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壬辰倭亂時期援朝明軍兵力考

        류영련 ( Yonglian Liu ),양조귀 ( Siukwai Yeung ),조은상 ( Eunsang Cho )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6 No.-

        While Imjin War, The Ming dynasty sent some troops to aid Joseon(朝鮮). At present, the research about the specific details of military aid to the war is less. Such as the force of those troops, there are many views on it. But these views are not accuracy because of lacking datum and analyzing on it. Although Ming’s dynasties for allocating those soldiers changed again and again, and all history datum about them are mixed and disorderly, if we bring together and compare and distinguish them, and analyze the progress of sending troops at two periods in the war one by one, we can achieve the accurate number of all soldiers in those troops finally. On this basis, we can beat out where those troops were sent from, what compositions in it, and why were sent out. So that we can judge objectively and accurately of ImjinWar and rel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nd help ourselves to understand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and Ming dynasty’s intention on national defense in that date

      • KCI등재

        從 “西域” 到 “東海”

        劉永連(Liu, Yong Lian),楊兆貴(Yeung, Siu Kwai),趙殷尙(Cho, Eun Sang)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5 중국과 중국학 Vol.- No.24

        소그디안은 기원전 10세기에서 기원후 11세기까지 중앙아시아에서 활동하던 이란계 민족이다. 이들은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진출하였고, 심지어는 한반도와 일본까지 진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역사와 문화는 소그디안의 멸망과 함께 역사 속에서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다행이 일부 학자들을 중심으로 소그디안의 중국진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어느 정도 성과도 거두었다. 현재 남아있는 과제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해의 진출경로와 그 배경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두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7세기 이후부터 영주(현재 요녕성 조양시)를 거쳐 한반도와 일본으로 이주한 소그디안이 점점 증가하였다. 사막을 통과해야 하는 여건 때문에 실크로드가 단절되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각종 문헌과 유물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한반도와 일본 등지에서 소그디안들의 빈번한 왕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그디안과의 교류는 적어도 12세기까지는 중단되지 않았고 계속 지속되었다. 많은 학자들은 소그디안과의 교류가 9세기 혹은 7세기에 이미 중단되었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현존하는 유물을 통해 유추해 보건 데 소그디안과의 교류는 12세기까지 계속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East China Sea” and “the Western Regions” stand far apart facing each other, but we can’t say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m. In medieval times, Sogdian went forward with great strength into “the East China Sea”. From the view point of time, the main periods of Sogdian’s Migration is the Tang Dynasty, but it can be traced back to the year 4th Century, and can be extended to 10th to 12th Century when Korea and Liao Dynasty were side by side, and it interfered more long to the modern times. From the view point of space, Sogdian migrated from the Northeast of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as the main line, but not exclude the phenomenon that some of them migrated by the South Sea route to North Korea and Japanese. These facts reflect long and rich relations between the two big reg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