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우병 소견을 가진 뇌출혈 환자 치험(治驗) 1례(例)

        정인태,서병관,이현종,하지영,강미경,홍장무,백용현,박동석,최도영,Jung, In-tae,Seo, Byung-kwan,Lee, Hyun-jong,Ha, Ji-young,Kang, Mi-kyeong,Hong, Jang-moo,Baek, Yong-hyeon,Park, Dong-suk,Choi, Do-young 대한침구의학회 2003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0 No.4

        Objective : Hemophilia, a genetically determined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abnormality of the coagulation mechanism due to functional deficiency of a specific factor, namely VIII or IX.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ong-Si acupuncture therapy on the cerebral hemorrhage patient with hemophilia was evaluated. Methods : We treated him with acupuncture by stimulating Dong-Si acupuncture point(Yuk Wan) and assessed the effect by using manual dynamic evaluation of MRC(Medical Research Council) and Modified Barthel Index. Results : After treatment, the bleeding tendency was grossly reduced and bleeding lesion was absorbed gradually. And manual dynamic evaluation of the upper extremity increased from 4 grade to 5 grade. Conclusions : This result suggest that Dong-Si acupuncture therapy on the cerebral hemorrhage patient with hemophilia was effective. And fu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cret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Dong-Si acupuncture therapy for treating hemorrhagic diseases.

      • 내시경적 절제로 진단된 폴립 형태의 심재성 낭종성 위염 2예

        허종현,조영화,성용완,유재훈,구동영,김갑식,노지훈,문원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2

        Gastritis cystica profunda (GCP)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hyperplastic and significant extension of cystic dilatation of the gastric mucous glands, which results in a cystic lesion in gastric submucosa. It often occurs on the part of gastroenterostomy, but can be found in the stomach without any previous surgery. GCP has variable gross finding including solitary polyps, diffuse ones, submucosal tumors, and rare giant gastric mucosal fold. It is difficult to tell GCP from a cancerous lesion by gross finding that the disease demands a necessary tissue biopsy, though GCP is commonly showed as a benign in the progress. We report a case of GCP in polypoid types diagnosed by endoscopic polypectomy.

      • 편마비 환자의 정상측과 마비측의 비복근 운동점에서의 근육 두께 차이

        김동건,도현경,김현동,황지선,정규영,정호중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1

        Objective :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 of muscle thickness in the motor points of the gastrocnemius between the paretic and non-paretic legs in hemiplegics. Method : Ultrasonography was used to assess in vivo the gastrocnemius muscle thickness at the motor points in the paretic and non-paretic legs of twenty-four patients with stroke. Results : Muscle thickness at the motor points were reduced in the paretic legs compared to the non-paretic legs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uscle thickness and duration of hemiplegia, site of hemiplegia. However, it did not take regular pattern of the muscular atrophy in the paretic legs. Conclusion : The gastrocnemius muscle of the paretic leg had smaller thickness compared with the non-paretic leg.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paresis in hemiplegics may affect the accuracy of intramuscular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A. Therefore, we recommend ultrasonography for visually controlled, anatomically precise injection of botulinum toxins.

      • KCI등재후보

        대학캠퍼스내 스타디움 주변지역의 조경계획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를 중심으로

        김동찬,김선영,성현지,박익수,임동민,임상재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1998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 No.1

        Today, Suwon campus face circulation and open space problem, especially the spaces in front of Gooksugun, Stadium, and Multimedia Cent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we need a rational and organic landscape planning. This plan aims to offer an open spaces which is for comfortable activities as well as better campus landscape. This open space will provide a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outdoor space.

      • 류마티스 관절염과 전신경화증의 중복증후군 1예

        이은지,서광원,유충헌,박봉수,허민영,김지현,김혜란,김동욱 인제대학교 2008 仁濟醫學 Vol.29 No.-

        Overlap syndrome is a disease that combines major features of more than one rheumatic disease in the same patient. A 58 year-old female who was diagnosed as rheumatoid arthritis (RA) developed skin thickening and dyspnea.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revealed that she was affected by systemic sclerosis (SSc) and interstitial lung disease. Finally, she was diagnosed as overlap syndrome consistent with RA combined with SSc.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RA-SSc overlap syndrome with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장애이해교육을 포함한 국어과 협력교수가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학급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동현,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비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포함한 국어과 협력교수를 실시하고, 이것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학급 분위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P초등학교 4학년 두 학급의 학생 61명으로, 학급에 장애학생이 속해 있지 않고, 연 2회 이하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교육 외에는 지속적인 장애이해교육에 참여해 본 적이 없는 학생들이다. 실험집단은 특수교사와 실험집단의 담임교사가 8주 동안 총 18회기의 협력교수를 국어시간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담임교사가 정규 국어수업을 실시하였다. ‘장애학생 수용성 척도(A-Scale)’를 사용하여 장애이해교육을 포함한 국어과 협력교수가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고, ‘나의 학급 척도(MCI)’를 사용하여 학급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두 종속변인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정을 통해 정규 교과 시간 안에서도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을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하여 진행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embedd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cooperative teaching on the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class climate. Sixty-one typically developing 4th graders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for 8 weeks (18 sessions) during regular Korean language class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regular Korean language classes only. The Acceptance Scale and My Class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the intervention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class climate. Finally, discussions of the results as well a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ovided.

      • 불량행위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학교폭력 가해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정신병리(V)

        박지도,최현경,장우성,조동환,김정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불량행위 청소년군과 학생군을 대상으로 학교내외에서 행하는 폭력행동의 특징을 알아보고 특히 가해자의 정신병리와 청소년의 폭력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학교폭력의 이해와 대처방법 그리고 예방프로그램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 불량행위 청소년(청소년 선도프로그램인 BBS참석자) 남자 331명과 남자 중고등학교생 394명을 폭력의 유형을 괴롭힘, 금품갈취,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위협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나눈 설문문항을 바탕으로 각 경우의 경험빈도를 5점 척도로 하여 각 문항에서 3점 이상을 가해자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조사와 정신병리의 측정도구로서 한국판 아동-청소년 문제행동 평가 척도표(CBCL : Child Behavior Checklist, 청소년용)및 청소년의 자기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피어스-해리스 소아 자기 개념척도(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Piers, 1984, 이하 자기개념척도)를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test, T-test, 그리고 Two-way ANOV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대부분의 요인에서 불량행위군과 학생군 그리고 가해자군과 비가해군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흡연과 음주하는 비율이 불량행위군과 학생군 두 군 모두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부부싸움 빈도는 불량행위군에서는 가해자와 비가해자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생군에서는 가해자군에서 종종 싸운다는 비율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에서는 성적이나 교우관계에서는 두 군 사이와 가해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성적은 불량행위군이 학생군에 비해 낮은 반면 가해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학생군에서는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성적이 낮았으며 만화방을 이용하는 빈도도 가해자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폭력물 시청 시 느낌은 불량행위군과 학생군 모두에게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흥분된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CBCL(Child Behavior Checklist)척도는 불량행위군의 경우 비행, 공격성, 외현화, 사회성 척도가 학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위축, 사회적 미성숙, 사고문제, 주의집중, 내재화 척도는 학생군에서 불량행위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 대상군을 가해자군과 비가해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신체증상, 사고문제, 주의집중, 비행, 공격성, 내재화, 외현화척도에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군과 가해여부의 상호작용효과 검증결과에서는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이는 척도는 없었으나 각 집단의 모든 척도에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으며 불량행위군의 경우 가해자군일수록 비행, 공격성, 외현화 척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학생군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비행, 공격성, 외현화 척도에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기개념 척도는 불량행위군의 경우 행동, 지적학업척도에서 학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불안, 인기척도는 학생군에서 불량행위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전체 대상군을 가해자군과 비가해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행동, 지적학업척도는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으며 각 군과 가해여부의 상호작용검증결과에서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인 것은 없었으나 두 군 모두 행동척도가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결 론 : 불량행위군과 학생군에서의 폭력가해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비가해자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나 각자의 내재된 심리상태와 정신병리에 따라 폭력 영상물과 음주 흡연의 가능성증가 그리고 가정에서의 폭력의 학습 등 주변의 위해 요인에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수립 시 결과에만 초점을 맞춘 처벌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이들이 가진 심리적 특징과 정신병리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예방적인 대책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self concept, psychopathology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male aldolescent delinquency doing school violence. And we hoped to use this result as basic material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rough comparison of those of students group. Method : We surveyed 725 male adolescents including 331 deliquents from educational program called "Big Brothers and Sister" in Pusan. We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mposed of demographic data and attitude to viol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sychopathology and self-concept, we used Child Behavior Check List, Youth edit, Korean version(CBCL) and the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Chi-square, t-test, two-way ANOVA. Result : The results show that in most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 including age, education, socio-economic condition, religion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linquent and student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ully and non-bully in both group. The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were higher in bullying groups. For the feeling of watching violent mass-media, bullying delinquents reported more excited state than non-bullying delinquents in both group. On results of CBCL, subscales of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 social scale in delinqu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student group. Subscale of somatic complaints, thought problem, attention problem,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 and externalizing problem in bullying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nonbullying group. In both delinquent and student group, subscale of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externalizing problem in bully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nonbully group. In the results of self-concept scale, subscales of behavior, intellectual and school status in delinquen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student group. Subscale of somatic complaints, thought problem, attention problem,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 and externalizing problem in bullying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nonbully group Conclusion : In both delinquent and student groups, most psychosocial factors in bully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in nonbully group. Bully group was more influenced by internal psychic state, psychopathology and environmental factor than nonbully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