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에 있어서 포장정보 공간변이의 공간통계학적 해석

        이충근,손연규,성제훈,정인규,김상철,박우풍,박원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4 No.2

        논에 있어서 정밀농업을 위한 기초자료수집과 분석을 하기 위해서 토양의 특성, 포장면 고저차, 생육상태 그리고 수량에 관한 포장정보를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기본통계값을 살펴보면 유효태 규산의 경우는 한 포장내 14배 이상의 변이차이를 보였으며, 생육정보 중 분얼수는 3배, 수량은 4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나. 포장정보의 변이계수를 살펴보면 5.45∼51.3%의 공간변이를 보였다. 토양특성 중에 pH를 제외한 나머지가 10%이상의 공간변이를 보였다. 포장면 고저차는 51.3%, 생육정보는 7.32∼23.2%, 그리고 수량에 있어서도 변이계수가 22.5%를 보였다. 다. 포장정보를 공간통계학을 이용해 해석한 결과, 포장정보의 공간구조 발달여부를 표시하는 Q값이 0.24∼1로서 공간구조가 포장정보에 따라서 발달되어 있었으며, 공간변이의 의존거리를 나타내는 랜지는 8.1∼147.9m를 보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랜지는 토양특성값이 15∼50m 정도, 생육정보는 15m 전후, 포장면 고저차는 30m 정도, 수량은 8.1m를 보였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크리깅 방법으로 데이터를 보간하여 지도화 시킨결과, 공간변이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포장정보 지도를 얻을 수 있었다. Soil properties, relief of field surface, growth information, grain yield were investigated in a 1ha paddy field in 2001 to obtain basic field information for precision agriculture. The field information were analyzed to examine their within field variabilit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 Semivariograms and Kriged maps of geostatistical analysis were also adopted to examine their within field spatial dependenc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Nutrient distribution difference of available SiO_2 was seemed 14 times overs, 3 times overs at tiller number, 4 times overs at grain yield from within a paddy field. 2) Descriptive statistics of field information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ranged from 5.45∼51.3%. 3) Field information showed a high spatial dependence within a paddy field. The Q values ranged from 0.24∼1, the ranges of spatial dependence were from 8.1∼50m, respectively. 4) Kriged maps enable the visualization and comparison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field informaton.

      • KCI등재

        국내 자탈형 콤바인의 보급 현황과 주요성능 비교 분석

        이충근 ( Choung Keun Lee ),최용 ( Yong Choi ),최덕규 ( Duck Kyu Choi ),강태경 ( Tae Gyoung Kang ),전현종 ( Hyeon Jong Jun ),최일수 ( Il Su Choi ),박태종 ( Tae Jong Park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7 No.1

        When the supply status and main performance of the head feeding combines in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view point of the researchers and farmers, the results that were shown as the below. Although the supply units of head feeding combines were peaked as 10,000 units per year in 2,000, those are recently staying about 3,000 units per year because of the reduction of cultivation area, and the high performance and enlargement of head feeding combine. In the supply model of head feeding combines, the four rows model was mainly supplied in 2,000 but currently the five rows model is the most popular because of the enlargement of it. The work efficiency, rated horse power and main dimension of head feeding combines were improv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number of cutting device.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reshing and sorting for the amount of increased harvesting, because the work efficiency of some four, five and six rows of head feeding combines, which was built up based on the four rows of head feeding combin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e loss of grains, damaged grains and the material other than grains in harvesting, threshing and sorting for the head feeding combines became less than 1%, except some models. Finally, when the farmers select the head feeding combin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rm scale, work efficiency, and policy institutional changes. The researchers have to develop the technology which is needed to the demand of consumers and th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과학; 일본의 과수 재배의 일반현황과 기계화 동향

        이충근 ( Choung Keun Lee ),최용 ( Yong Choi ),강태경 ( Tae Kyoug Kang ),전현종 ( Hyeon Jong Jun ),최일수 ( Il Soo Choi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5 No.2

        일본의 과수 재배 일반현황과 기계화 동향을 살펴본 결과, 일본의 과수 재배면적과 농가 수는 점점 줄고 있으나 호당 경지면적은 증가하고 있고, 특히 3 ha 이상의 대규모 재배농가가 증가하고 있었다. 주요 과수작목의 10 a 당 평균 노동시간은 300시간으로 벼 재배의 약 10배 이상을 보였으며, 포도가 가장 긴 455시간을 보였고, 감이 가장 짧은 186시간을 보였다. 과수 기계화율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로 재배측면에서 농기계가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재배양식의 표준화, 저수고화를 포함한 수체의 콤팩트화, 수형의 규격화 등 재배환경의 최적화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배양식의 표준화는 차세대형 기계화는 물론 이미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함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기 때문이며, 재배양식 다양성이 기계의 보급대수를 제한하고 제조비용을 높게 만들어 보급이 진행되지 못하게 막는 방해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수체가 콤팩트하게 된다면 기계도 소형화 될 수 있고, 에너지와 기계 비용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체 피복형 작업기가 실현가능하게 되어 환경보전형 방제기와 각종 작업의 로봇화에도 크게 공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형의 규격화가 진행됨으로서 기계개발의 가능성이 크게 넓어질 것이다. 즉, 노력이 가장 많이 들고 있는 전정과 적과, 수확 등의 기계화 여부는 수형의 콤팩트화와 규격화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로 기계측면에서는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해 전정·제초로봇, 친환경 방제용 기계, 수확 운반기계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고령 농업인들을 위한 농작업 부하경감을 위해 파워 어시스트 슈트의 개발과 허리, 손, 무릅에 부담이 가는 작업의 부담경감을 위해 동작 패턴을 기억하여 재현 가능한 기술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s a result of examining fruit culture general status and mechanized trends in japan, fruit cultivation area and the number of farms is decreasing gradually. But arable land per household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large-scale farmers more than 3 ha is increasing significantly compared with 5 years ago. Average working hours are 300 hours per 10 a shows about 10 times more than the cultivation of rice. Grape has shown the longest time 455 hours, persimmon showed the shortest time as 186 hours. Mechanization of fruit growing in Japan is about the same level as Korea, such as pesticides and weeds control work have been mechanized until now, however harvesting mechanization is more required. In order to promote the mechanization of fruit cultivation was required on a priority basis approach from the side of cultivation. In other words, the standardization of cultivation method, the compactification and patterning of a tree shape was considered to be the first. And, to resolve labor shortages the development of pruning-weeding robot, eco-control machinery and harvesting-conveyance machinery was considered necessary in terms of the machine. To reduce agricultural work load for older farmers, the power assist suit and the reproduction technologies of behavior pattern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이앙기 보급현황과 주요성능 비교 분석

        이충근 ( Choung Keun Lee ),최용 ( Yong Choi ),최덕규 ( Duck Kyu Choi ),강태경 ( Tae Gyoung Kang ),전현종 ( Hyeon Jong Jun ),최일수 ( Il Su Choi ),박태종 ( Tae Jong Park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7 No.1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eneral distribution status and major performance for rice transplanters in Korea provided the following results. Distribution number of rice transplanter has remained the 5 thousand units currently a big decrease from 46 thousand units in 1997, due to high performance and larger domestic rice transplanter. Distribution models were mainly 4 rows in 1997, but 6 rows were accounted for 85% in 2014. Work efficiency showed 38 ~ 59a/h in the case of 6 rows and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rated power output. Missed hill ratios were 2.5% or less, except that hill seeding type rice transplanters were not correlated with an increase in number of seedling hills. Finally, farmers must take missed hills, work efficiency, convenience of the move and price into account, when choosing a rice transplanter. And selection of rice transplanter is important, and should consider support of the agriculture-friendly environment. The researchers should develop technologies such as autonomous straight apparatus that would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 skill of the workers, and high performance 8 row rice transplanters of ultra-light weight.

      • KCI등재
      • 6조식 자탈형 콤바인 시작기 포장성능시험

        우제근 ( Jea-keun Woo ),최일수 ( Il-su Choi ),이춘구 ( Chun-gu Lee ),이명희 ( Myung-hee Lee ),김영화 ( Young-hwa Kim ),유승화 ( Seoung-hwa Yu ),최용 ( Yong Choi ),최덕규 ( Duck-ky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이충근 ( Choung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농가인구의 고령화 및 감소, 1인당 경지면적 증가 등으로 인해 노동력 부족 현상이 조명되고 있다. 따라서 시간당 더 많은 면적을 작업할 수 있도록 농기계의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4~6조 콤바인이 시판 중에 있으며, 앞서 설명된 영농 규모 변화에 따라 대형 콤바인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6조식 자탈형 콤바인 고성능화를 위하여 작업속도에 따른 수확성능과 작업능률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시작기의 벼 수확 포장성능 시험은 경남 창녕군 남지읍 소재 농가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시작기 선별부의 구동조건을 선별체 회전수 422 rpm, 풍구 회전수 800 rpm, 채프각 45°으로 고정하고, 작업속도 3수준(1.5 m/s, 1.7m/s, 1.9 m/s)을 시험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수확성능 분석을 위해 작업구간을 10 m로 설정하고 임의로 1 m 구간을 선정하여 시작기 뒤로 배출된 볏집, 검불 등을 조사하여 곡립구중의 손실립비를 측정하였다. 작업능률의 경우 시험 당시 측정된 평균 작업속도, 유효 작업폭, 회행시간을 측정하여 도출하였다. 공시작물의 생육조사 결과 경장 86.83±4.95 cm, 이삭길이 20.40±5.85 cm, 곡물 함수율 15.37±0.43%, 천립중 28.65±1.05 g으로 나타났다. 시험 결과, 최대 작업속도인 1.9 m/s일때, 곡립구중의 손실립비가 0.41%로 농업기계 검정기준(1% 이하)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년도에 동일한 구동 조건으로 수행한 선별부 시뮬레이터 시험 결과인 1.08%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선별부 시뮬레이터 구동 시, 시작기에 부착된 선별부 대비 고정력이 약하여 더 큰 진동이 발생, 손실립비가 시작기에 비해 높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능률은 평균 작업속도 1.9 m/s 기준, 유효 작업폭 1.8 m, 회행시간 9.33s로 측정되어 0.11시간/10a로 나타났다.

      • 6조식 자탈형 콤바인 선별조건에 따른 선별성능 분석

        이명희 ( Myung-hee Lee ),최일수 ( Il-su Choi ),김태구 ( Tae-goo Kim ),우제근 ( Jea-keun Woo ),유승화 ( Seoung-hwa Yu ),최용 ( Yong Choi ),최덕규 ( Duck-ky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이충근 ( Choung-keun Lee ),신창순 ( Chan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벼농사의 기계화율은 98.4%으로 수확 작업은 콤바인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4~6조 콤바인이 되어 시판 중에 있다. 대형 농가 및 영업농의 출현으로 대형 콤바인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화, 대형화, 정밀화 등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6조식 콤바인의 고속 작업을 위한 선별부 최적 메커니즘을 위해 선별부 운용 조건에 따른 곡립 선별 성능을 분석하였다. 선별부 최적화를 위해 6조 콤바인 선별부과 동일한 선별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으며, 선별체, 채프, 풍구, 수확이송 오거, 환원처리 오거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선별체 회전수 및 풍구 회전속도를 요인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콤바인 수확 시 투입된 벼는 탈곡 선별부 초기 1/3 지점에서 약 70%의 곡립이 탈곡되어 선별부로 누하 된다(2016, 김 등). 이에, 시료는 선별체 투입구에서 26.25 cm 떨어진 중앙에 투입하였다. 시료는 벼 알곡으로만 구성하였으며, 투입장치로 위치를 고정시킨 후 1 kg를 투입하였다. 선별체 회전속도는 선별체 회전수 393, 408, 422 rpm일 때의 풍구 회전수 저속, 중속, 고속 3수준을 요인으로 수행 하였고, 배진 손실량 및 처리 시간을 측정하였다. 처리 시간은 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시료 투입지점부터 수확이송 오거 수직상단 지점까지의 시료 이동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초당 프레임 600으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선별체 회전수 408 rpm, 풍구 회전수 저속일 때 처리 시간 4.8초, 배진 손실률 0.69%로 배진 손실률이 가장 양호하였지만, 처리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선별체 회전수 422rpm, 풍구 회전수 저속 조건이 처리 시간 3.7초, 배진 손실률 1.08%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Allelic analysis of low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s using 2-DGE in Korean wheat cultivars

        Lee, Jong-Yeol,Jang, You-Ran,Beom, Hye-Rang,Altenbach, Susan B.,Lim, Sun-Hyung,Lee, Choung Keun Japanese Society of Breeding 2017 Breeding science Vol.67 No.4

        <P>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GE) was used as a complement to SDS-PAGE to determine the allelic compositions of LMW-GS in 32 Korean wheat cultivars. Protein patterns generated by 2-DGE from each cultivar were compared to patterns from standard wheat cultivars for each allele. At the <I>Glu-A3</I> locus, thirteen <I>c</I>, twelve <I>d</I>, three <I>e</I> (null), two g and two new alleles were identified. At the <I>Glu-B3</I> locus, one <I>b</I>, nineteen <I>d</I>, four <I>h</I>, one <I>i</I> and five <I>ad</I> alleles were identified. At the <I>Glu-D3</I> locus, twenty-three <I>a</I>, four <I>b</I>, four <I>c</I> and one <I>l</I> alleles were identified. When compared to results obtained previously using SDS-PAGE, there were discrepancies in the allelic designations of 10 of 32 cultivars (31%). While SDS-PAGE is a rapid and relatively simple method for assessing LMW-GS composition, the similar mobilities of the proteins makes it difficult to discriminate certain alleles. 2-DGE is a more complicated technique, but provides a more accurate picture of the complement of the LMW-GS in a given cultivar. In addition to providing essential information for wheat breeders, the 2-DGE reference maps generated in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to study the contributions of individual LMW-GS to flour quality.</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