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대한의료법학회 2012 의료법학 Vol.13 No.1

        Just in case a patient's state couldn't get better or get even worse after medical practices,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s side to accept the result and it tends to think that its damage is caused by his doctor's malpractice. Medical practices of a doctor require highly advanced attention duty as a medical expert, because they are targeted at a human body of the best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However, it is hard to prove the malpractice on the patient's side in medical dispute. Therefore, to solve a medical dispute quickly and fairly before the medical suit Korea Consumer Agency (KCA) has done a medical dispute adjustment business since 1999. For the past 5 years (2006~2010), the medical team of KCA had managed 4,171 cases as an injury relief, but it had dealt with them focusing on an injury relief business only after the occurrence of a medical accident.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ange of its services in purpose of preventing the injury of consumers. If we can solve the problems -the clear statements about the cease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the fundamentals of comsumer act, the presence of parties directly concerned at comsumer dispute adjustment committee, and the effect of an agreement, etc. -, which have been founded in medical injury relief service of KCA and the management and procedures of the comsumer dispute adjustment committee of KCA and if we can also give KCA more workers and the proper budget of the government, we can expect KCA to become a more useful agency.

      • KCI등재

        의료사고피해구제법안상 무과실책임주의 도입 문제

        정용엽 대한의료법학회 2006 의료법학 Vol.7 No.2

        In the situation of bringing out of social problem about the medical accident and medical dispute, from 1988 the enactment activity for a legislative bill on conciliation of dispute has promoted, a legislative bill on prevention and relief of medical accident was again proposed in December, 2005. This bill has been faced rough going in review process of National Assembly. Because the purpose of this legislative bill is the conciliation of interest of between medical service consumer and medical service supplier, an item of issues of law is no-fault compensation scheme. However, as no-fault compensation scheme runs counter to the principle liability with fault in our civil law, as expected, whether the inducement is valid or, if induced, the problem is not must be totally reviewed. First of all, the general of principle liability without fault and especially the medical system in foreign countries are reviewed, by reviewing an issue and the pros and cons of the inducement of no-fault compensation scheme, this article draws the conclusion. After all, considering that the necessity adapting Gefahrdungschftung in medical accident as much as other industrial fields exists, the many provisions of the principle liability without fault exists in civil law and special law of our law system, and no-fault compensation scheme let legislative purpose be, to what extent, achieved by conciliating patient and doctor, the inducement of principle liability without fault in medical field is reasonable in the aspect of politic and legal system.

      • KCI등재

        공제급여 산정시 피공제자의 기왕증 참작 및 과실상계를 허용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내지 제3항의 효력

        양진수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39

        Article 19-2(1) or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hereinaft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grants consideration of a mutual aid beneficiary’s medical history and comparative negligence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mutual aid benefit pursuant to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hereinafter “School Safety Act”). The Supreme Court previously held that consideration of medical history or comparative negligence was impermissib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by law on the ground that the underlying purpose differed between the mutual aid benefit system under the School Safety Act and the tort damages system under the civil law (see Supreme Court Decision 2011Da111961, Dec. 13, 2012). Provided, however, in the 2012 Supreme Court Decision, supra, it did not appear as if the Court rendered judgment on wheth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in fact invalid without delegation by the primary law applicable, due to the school safety-related accident having occurred prior to April 1, 2012 when the relevant provisions came into effect. Accordingly, notwithstanding the aforementioned judicial precedent, the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hereinafter “SSMA”) had been granting consideration of a beneficiary’s medical history and comparative negligence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mutual aid benefit, and up until the subject case, the lower court judges were divided on the matter. In the subject case, the key issu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either prescribed without delegation by the applicable law or exceeded the scope of the delegated applicable provisions and therefore deemed invalid. The dissenting justices stated that the said provisions were valid inasmuch as the School Safety Act, being the primary applicable law, provides that “[t]he purpose of the Enforcement Decree shall be to prescribe matters as delegated by the Act” (see Article 1 of the School Safety Act). However, as set forth in the Majority Opinion,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regarded as going beyond the scope of the delegated applicable provisions and thus deemed as invalid provision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ing: (i) the mutual aid benefit system and the damages system are inherently different; and (ii) direct compensation under the system by the SSMA for any injury, etc. suffered by a mutual aid beneficiary involving a school safety-related accident constitutes a type of performance of legal obligation, thereby supporting schools in maintaining a safe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learning. Meanwhile, in his concurrence, Justice Kwon Soon-il expressed that the legal nature of payment of mutual aid benefits under the School Safety Act contained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law elements, and that the lawsuit seeking such payment by focusing on the elements of public law constituted a party litigation under the public law. Nonetheless, as stated in the Majority Opinion, the Supreme Court affirmed the judgment of the lower court that followed the existing practice of law and accordingly tried the instant case as a civil suit.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안전법’이라고 한다)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내지 제3항(이하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라고 한다)은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액을 산정함에 있어 피공제자의 기왕증을 참작하고 과실상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대상판결 이전의 2012년 대법원판례는, 학교안전법에 따른 공제급여 제도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는 제도와 그 취지나 목적을 달리하므로,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과실상계나 기왕증 참작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그런데 2012년 판례의 사안에서 학교안전사고의 발생 시점은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의 시행일인 2012. 4. 1. 이전이었기 때문에 위 판례에는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의 위임 없는 무효의 규정인지에 관한 판단이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판결 이전에 학교안전공제회(이하 ‘공제회’라고 한다) 측은 위 2012년 판례에도 불구하고 공제급여액을 산정하면서 여전히 피공제자의 기왕증을 참작하고 과실상계를 해 왔고, 이에 대한 하급심의 판단도 양분되어 있었다. 대상판결에서는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 조항의 위임 없이 규정된 것이거나 모법 조항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인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 되었다. 이에 관하여 이 사건 시행령 조항에 대하여 모법인 학교안전법에 위임의 근거조항이 있으므로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은 유효라는 반대의견의 지적이 있었으나, 다수의견은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 조항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무효의 규정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는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제도는 민사상의 손해배상 제도와는 그 본질이 다르고,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피공제자가 입은 피해를 학교 교육과정의 안전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공제회로 하여금 직접 전보하게 하는 일종의 법정채권관계에 의한 급부임을 주된 근거로 한다. 한편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의 지급을 둘러싼 법률관계에는 공법적 성격과 사법적 성격이 혼재되어 있다. 그중 공법적 요소에 주목하여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지급을 구하는 소송의 법적 성질이 공법상 당사자소송이라고 하는 별개의견의 지적이 있었으나, 다수의견은 기존의 실무에 따라 민사소송으로 처리한 원심을 확정하였다.

      • KCI등재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이원,김소윤,이미진 한국의료법학회 2014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2 No.1

        의료기술의 발달, 의료서비스의 이용 증가 등과 함께 의료분쟁, 의료소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의료분쟁의 증가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은 환자와 가족뿐만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등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료사고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나, 국내 제도는 의료분쟁의 해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상태이다. 현재 국내 의료분쟁 관련 정책을 바탕으로 판단해 볼 때, 의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당장 시행가능한 부분은 분쟁자료를 분석해 의료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본 산과의료보상제도 원인분석위원회의 원인분석보고서와 근본원인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원인분석과 재발방지에 초점을 맞춘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판결문에 적용해보았다.

      • 깨진 유리창 이론에 기초한 군(軍) 인명사고 예방 연구

        신지훈 한국입법정책학회 2015 입법정책 Vol.9 No.2

        군 인명사고가 미치는 파급효과는 전투력손실은 물론 국민들의 군에 대한 불 신을 초래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에 군 응급의료예방은 매우 중요하 다. 앞으로 효과적인 군 응급의료 활동을 위해서는 군 조직 특성 및 생활환경 을 고려한 사회학 측면에서의 접근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사회학적 이론 중에서 실증적 분석 및 실제 적용을 통해 효과를 거둔 「깨진 유리창 이론」에 기초한 군 사고예방 활동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군 대 환경의 개선, 군내의 응급 의학 전문 군의관과 응급구조사, 응급처치요원 을 활용해야 하며, 상시 훈련을 통해 숙달된 대량 전상자 분류 반을 피해상황 에 따라 운용하고 민간에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Efficiency loss ripple effect on military personnel as well as military accident prevention because the medical emergency is a direct cause of distrust of the army of the people is very important. What approache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than in the sociological aspects of the consideration of military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for effective military emergency medical activities. Won a real effect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applied from the sociological theory proposes an alternative group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based on the "broken windows theory". This improvement in the military environment, gunnae of Emergency Medicine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Medical Officer, must take advantage of the emergency personnel away from mass jeonsangja classified anti-trained through regular training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and should be leveraged in the private sector.

      • KCI등재

        사고·손상·중독 유형별 사회·경제적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

        유인숙(In-Sook Yoo),최은미(Eun-Mi Choi)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3

        우리나라에서는 손상 질환에 대한 발생률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어서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2008)의 설문조사 자료와 사회·경제적비용을 추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사고·손상·중독 유형별 사회적 비용과 의료이용 형태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였다. 향후, 손상 발생률 감소와 의료비 감소를 위한 연령, 교육, 경제소득. 사고 발생장소 등에 맞는 구체적인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지속적인 손상예방 교육이 필요하고, 우리나라 손상의 사회경제적비용을 줄이기 위한 건강보험의 효율적 운영과 개인의 참여와 사회적,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In South Korea,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to the incidence of injury diseases and into their demographic and sociologic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has estim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 questionnaire investigation carried out by the Korea medical panel (2008) and the social economic costs. In particular, an estimation has been conducted of social costs for each type of accident, injury and intoxication and of medical use for the injuries.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crete programs customized for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income and to continually implement injury prevention education, with a view to reducing the injury incidence and medical expenses; and also,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and social and national efforts are required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health insurance, for the purpose of reducing social and/or economic costs for injuries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개정 표준약관 개관

        이현열(Yi Hyun Rul) 한국보험법학회 2010 보험법연구 Vol.4 No.1

        최근 일본, 독일 등의 보험계약법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보험계약법, 즉 1962년에 제정된 상법전에서 "제4편 보험"은 1991년에 한차례 개정된 후 근 20년이 지나도록 개정된 바가 없지만, 최근 이에 대한 개정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정된 표준약관은 보험거래현실의 변화와 국내의 학설, 제외국의 보험법 개정내용 등을 참고로 한 것이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는 향후 보험거래의 근간을 바꿀 정도로 비교적 대폭적인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질병상해보험(실손의료보험 혹은 질병상해손해보험 및 질병상해정액보험)표준약관 등의 신설 (2) 보험계약자 등의 보호 강화 (3) 청약철회 정비 (4) 증권모델의 폐지 (5) 계약체결시 고지의무조항 정비 (6) 타보험가입 통지조항 정비 (7) 보험수익자 변경에 관한 조항 정비 (8) 자살약관 정비 (9) "while" clause 폐지 (10) 면책사유 정비 (11) 범죄행위 및 폭력행위 면책사유 폐지 (12) 다수 실손의료보험의 보험금 분담조항의 정비 (13) 중대사유에 의한 해지 신설 (14) 통지의 도달간주조항 정비 (15) 모럴 리스크 방지 등 개정의 주안점은 보험계약자 이익의 확보에 두었지만 그것은 가급적 기존의 보험법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 진 것이다. 이는 향후 국내 보험계약법 개정에 있어서도 소비자 보호를 엄격히 하는 최근의 추세와 맞물려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본다. 다만, 개정작업이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지다 보니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도 없지 않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비판적 견해 등에 터잡아 향후 표준약관이 보다 정치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Recently insurance contract law ha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 in many countries worldwide. Especially in japan and in germany there was heavy revision in the field of insurance law. Part Ⅳ (Insurance) Korean Commercial Act, enacted in 1962, was revised in 1991. But recently the revision of insurance law is also hot issue in Korea. Though the revision of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reflects changes in insurance transactions, related academic theories, and revised insurance laws overseas, the changes are qualitatively so important that they may transform the basis for future insurance transactions. The main point of the revision is as follows. (1) The new establishment regarding illness casualty insurance (property health insurance or illness casualty property insur-ance / illness casualty fixed benefit insuranc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etc. (2) The enhancing the rights of policyholder etc. (3) The improvement of the clauses regarding cooling-off (4) The abolition of the policy model (5) The improvement of the clauses regarding the duty of dis-closure in making contract (6) The improvement of the clauses regarding notice to insurers of other insurance (7) The improvement of the clauses as to the change of the beneficiary (8) The improvement of the suicide clauses (9) The abolition of the "while" clause (10) The improvement of exceptions (or exclusions) from liability (11) The abolition of exception regarding criminal behaviour and violent behaviour (12) The improvement of conflicts between "other insurance" clauses (13) The new establishment regarding the termination in critical conditions (14) The improvement of the clauses regarding arrival fiction of notice (15) The prevention of moral risk etc. The key to the revision lies in enhancing the rights of policy-holders, but the changes were made within the confines of existing legal principles. It seems to cast an important lesson to the revision of the Korean insurance contract law in the near future,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strict protection of the comsumers. Given the relatively short time frame for revision, unexpected side effects may emerge. It is hoped that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will become more comprehensive based on critical opinions and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