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이인영 ( In Young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1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2 No.1

        The legal definition of the mother has traditionally carried an unshakeable presumption, namely, that she is the person from whose womb the child came. Traditionally, this presumption of biology, which has formed the definition of motherhood, has been the unquestioned and pervasive rule for determining motherhood. Genetics, gestation, and intent are all potential criteria for establishing motherhood. Those who advocate either genetics or gestation generally attempt to resolve the issue of motherhood within the context of gestation surrogacy, an arrangement in which an intending couple provides an egg and sperm to a surrogate who carries the child to birth. However, those who advocate intent-based parenthood argue for a generic definition of motherhood that applies to all surrogacy cases regardless of whether the surrogate or a donor provides the egg. On the one hand,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tics standard and the intent standard, courts of many countries favor the intended parents in gestational surrogate motherhood arrangements and reject the contract as a legal document in and of itself. Attempting to account for the possibilities made available by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advocates of a third view of motherhood link parental rights with the pre-conception intent to become parents.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t bond between mother and child, established during pregnancy, is one reason why the investment and contribution of the gestational surrogate is the bonding that occurs between the surrogate and the child she is carrying. Although significant bonding may occur between any two individuals, the combination of biological investment and the resultant bonding weighs heavily in favor of gestation as the determinant of motherhood.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different ways of determining motherhood surrounding surrogate motherhood. Scientific advances in reproductive technology yield possibilities such as surrogate motherhood that do not fit our traditional legal concepts, culturally rooted as they are in natural reproduction. In most surrogacy cases, the traditional view of motherhood presupposes that a woman who gives birth to a child is conclusively presumed to be the mother with full, uncontested maternal rights to the child. I suggest that a dual standard, namely gestation standard and the intent standard, for determining surrogacy motherhood would consider the best interests standard and that a new system of affiliation proceedings that surrogate mother or intented mother recognized the surrogate baby as her own child,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후보

        계약모 생식 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이혜정 한국여성철학회 2008 한국여성철학 Vol. No.

        This essay debates a surrogate motherhood and surrogate arrangement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Surrogate arrangement is one of old reproductive conventions, but is difficult of debate immorality of surrogate motherhood because of reproductive technology development. Natural law theory and categorical imperative of Kant criticize surrogate arrangement powerfully. But moral theories of these days, that is, reproductive freedom and rights and arrangement based on mutual agreement is difficult of express immoral reasons of that. Then, how do feminist theories consider immorality of surrogate motherhood today?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se have a diverse views. Technophiles feminists view positively surrogate arrangement a menas of woman liberation, Technophobic feminists do not accept that arrangement, as it means of woman oppression and control of man. Therefore, I argue that a feminist reflection of surrogate motherhood focus on contexts and situations in relation to surrogate arrangement. 본 연구는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계약모와 계약모 협정에 대해 논의한다. 계약모 협정은 오래된 생식 관행 중의 하나이지만 문제는 생식 테크놀로지의 발전 때문에 계약모의 비윤리성을 논의하기 힘들어 지고 있다는 것이다. 자연법 이론과 칸트주의의 정언명법이 계약모 협정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지만, 오늘날의 도덕 이론들, 즉 생식적 자유와 권리 그리고 상호 합의에 의거한 협정은 계약모를 비윤리적으로 볼 이유를 설명하기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렇다면 여성주의 이론들은 계약모의 비윤리성을 일관성 있게 비판하고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반드시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내린다. 테크노필리아 여성주의자들은 생식 테크놀로지를 여성 해방의 수단으로 보는 관점에서 계약모 협정 역시 긍정적으로 볼 것이지만, 테크노포빅 여성주의자들은 생식 테크놀로지 자체가 남성의 여성 억압과 통제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 계약모 역시 긍정적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계약모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은 계약모 협정이 일어나는 맥락과 상황 등이 조망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계약모 생식 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이혜정 한국여성철학회 2008 한국여성철학 Vol.9 No.-

        This essay debates a surrogate motherhood and surrogate arrangement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Surrogate arrangement is one of old reproductive conventions, but is difficult of debate immorality of surrogate motherhood because of reproductive technology development. Natural law theory and categorical imperative of Kant criticize surrogate arrangement powerfully. But moral theories of these days, that is, reproductive freedom and rights and arrangement based on mutual agreement is difficult of express immoral reasons of that. Then, how do feminist theories consider immorality of surrogate motherhood today?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se have a diverse views. Technophiles feminists view positively surrogate arrangement a menas of woman liberation, Technophobic feminists do not accept that arrangement, as it means of woman oppression and control of man. Therefore, I argue that a feminist reflection of surrogate motherhood focus on contexts and situations in relation to surrogate arrangement.

      • KCI등재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서경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surrogate motherhood in the records of nannies left by the male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records of male intellectuals written after the death of the nanny generally describe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order in the life of the nanny, and the diligence as a nanny is emphasized by virtue. The reality of the nanny revealed in it is that it does not form an emotionally familiar family with the child or the husband, and the child is killed severely. And the nanny is forced to transfer maternity because of low status and poor economic circumstances, so that she exhausts maternity and projects qualities and winds to the child she cares for. These nanny behaviors are read as loyalty to the owner 's family, rather than being remembered as authenticity that can be accepted as part of the employer' s family. However, unlike the qualities and virtues expected from a nanny in these male intellectuals' writings, a nanny is not regarded as a possession to be used as a substitute maternity for breastfeeding or nurturing, There was also a gaze in relationship with her family as a human being with maternity. This gaze reveals an understanding of the surrogate motherhood, which is difficult to give a voice in terms of status and gender. 본 연구는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이 남긴 유모 관련 기록들에 나타난 대리 모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모의 사후에 쓰인 남성지식인들의 기록은 대체적으로 유모의 삶 가운데 자신과의 인연을 중심으로 서술되며 유모로서의 근면함이 덕성으로 강조된다. 그 가운데 드러나는 유모의 현실은 본인의 자식이나 남편과는 정서적으로 친밀한 가정을 이루지 못하고 가혹하게는 자식을 잃는 경우도 생기며, 낮은 신분과 빈곤한 경제사정으로 인해서 모성의 전이가 강제되어 보살피는 아이에게 모성을 소진하고 정성과 바람을 투사하는 것이었다. 유모의 노역을 담당하는 인물들의 이러한 행동들은 기록자에게 주인 집안의 가족 일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진정성으로 기억되기보다는 주인 집안에 대한 충성으로 읽혔다. 그러나 이러한 남성 지식인들의 글에서 유모에게 기대하는 자질이나 미덕과는 달리, 유모를 수유나 양육을 담당하는 대리모성으로서 사용 가능한 소유물로만 판단하지 않고, 본인과 그 가족까지 아우른 관계 속에서 모성을 가진 한 인간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존재했다. 유모의 노역을 하는 여성의 실체를 그 삶의 질곡 속에서 분명하게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선은 신분적으로나 젠더면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기 힘든 대리 모성에 대한 이해를 드러낸다.

      • KCI등재

        영아기 자녀 양육을 위한 육아지원서비스 이용 및 선호 유형에 대한 연구

        백은주(Baik Eun-Joo),한선아(Han Sun-Ah),강민정(Kang Min-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육아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 유형과 선호 유형, 그리고 육아지원서비스 유형 선정에 관련되는 변인을 살펴봄으로써, 육아지원서비스 정책의 수혜자이자 실효성의 주체가 되는 부모들의 육아에 대한 요구 및 선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분석 된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연구(PSKC) 1차년도 데이터의 일부이며, 조사 대상의 표본은 2008년도 4월부터 7월 중에 전국에서 표집 된 산부인과에서 출생한 2,078 신생아 가구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4.0으로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영아기 자녀의 주 양육자는 대부분 어머니였으며, 대리양육의 경우 보육시설보다는 개인대리양육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부모들이 모성보호제도와 육아지원서비스 확대를 희망하는 가운데 특히 가정과 같은 분위기에서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을 중요한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의 다양한 관련 변인에 따라 선호하는 육아지원 서비스의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demands and preferences for childcare support policy of parents with infants. We look into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utilization type and the preference type of parents and their final choices for their childcare support service in which they are the beneficiaries and the subjects of its effectiveness. As a result, most of major childcare persons for infants are the mothers, and in the case of the surrogate childcare, the parents prefer private facilities as to child-care centers. Majority of the parents regard it important that their infants are protected safely, in particular, at the home-like atmosphere as they want the motherhood protection system and the childcare support service to be expanded. Also,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the favorite childcare support service according to the various variables of parents.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the skillful human resource training system for the childcare support through the private surrogate childcare. Second, the direct support is required for parents who hope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directly at home. Third, the systematic study is needed to provide the support system efficiently by the age of target infants. Fourth, the various situations and their consequent requirements of parents, i.e. the direct users of the childcare support service, are required to be analyzed systematically and specifically to prepare the individual childcare support policy.

      • KCI등재

        쇼팬의 『각성』에 나타난 에로스와 타나토스

        이선주 ( Son Ju Yi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3 미국학 Vol.36 No.1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dynamics of Eros (sexual instinct, the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and Thanatos (death instinct) work with each other in Chopin``s The Awakening. In truth, Eros is not incompatible with Thanatos. Instead the highest self-love inevitably goes with the self-destruction (physical death) as we can see in Tristan and Isold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merican society witnessed a very intense conflict between the traditional Victorian moral values and the new awakening for women that mainly stemmed from both the philosophy of enlightenment and American transcendentalism. As for Edna, the heroine of The Awakening, everything which surrounds her, especially the 19th century Creole society in Louisiana rigorously prohibits her from realizing her real identity, her so-called essentials. Therole assigned for her by society is nothing but that of a wife or a mother. At first, Edna repeatedly tries to overcome these social barriers through the salvation of the ``surrogate mothers`` (Adele Ratignolle, Mlle. Reisz) or the ``perfect lover`` (Robert Lebrun) which is destined to fail. Gradually the ``home``, the counterpart of Foucault``s ``prison``, is suffocating her to the extent that she cannot sustain herself as an integrated individual any more. Motherhood is one of the most unwilling duties imposed on her by society. She neither wants to be a woman-angel nor a woman-monster. Like the great thunderstorm that hit all of Louisiana in 1893, the Thanatos in Edna finally induces her to take her own life. Her suicide should be regarded as not a defeat to her fate but a victory to achieve her true self which is the only worthwhile object of her highest Eros.

      • KCI등재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전해정 한국여성철학회 2017 한국여성철학 Vol.28 No.-

        보조생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모라는 주체와 자궁이라는 몸은 이제 더 이상 하나의 개념이 아니다. 이것은 특히 대리모 출산에서 법률상 모를결정하는 경우에 잘 드러난다. 그런데 법학계나 여성계나 대리모를 분석함에있어서 자녀양육과 연결된 기존의 모성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푸코의 이론은 현대 과학기술 진보에 따른 모(母) 개념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준다. 푸코는 공간을 주체형성의 인식론적 조건으로 분석한다. 또한 푸코의주체화 양식의 역사는 생체-권력bio-power으로 지칭되는 헤테로토피아적인식민 공간에 새겨진 역사(권력의 공간화 역사)와 관련된다. 이를 대리모에적용하면, 대리모의 자궁은 헤테로토피아로서 대리모를 형성하는 인식론적조건이다. 푸코가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한 것처럼 대리모도 기존의 범주를 해체함으로써 자신의 자궁을 통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 대리모의 자궁은 푸코 자신의 몸처럼 하나의 실재하는 공간이다. 또한 종의생명을 규율하는 생체-권력에 의해 대리모의 자궁이 어떻게 파편화되고 점유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대리모 자궁에서의 섹스는 억압받거나 욕망이라기보다 생명의 관리를 위해 작동하는, 생명을 위해 활용되는 기제이다.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자궁을 지닌 대리모는 생체-권력의 작동에 따라 자(子)의 완전한모(母)이면서도 완전한 모(母)가 아니다. 대리모의 자궁은 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와 결부된 생체-권력에 의해 규격화된다. 대리모는그러한 규격의 작동 결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이 이미 소멸된 이질적인공간에서 법적인 주체를 동질적으로 결정하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