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정규원 대한의료법학회 2018 의료법학 Vol.19 No.3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have been developed from different bases and there gas been hot debate to distinguish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The distinction between two is very important in practice. If a doctor practices oriental medicine or an oriental doctor practices medicine, he/she shall be punished because he/she practices without license. Sometimes medical society and oriental medical society struggle whether a particular practice is medical practice or oriental medical practice. I think the elements of legitimacy of medical practice are (1) the subject should be a medical doctor, (2) the purpose of medical practice is to enhance human health and to protect human life, (3) the practice should be done according to medical standard, (4) the practice can be acceptable to the society. Also, the elements of legitimacy of oriental medicine are (1) the subject should be an oriental medical doctor, (2) the purpose of medical practice is to enhance human health and to protect human life, (3) the practice should be done according to oriental medical standard, (4) the practice can be acceptable to the society. Medical license or oriental medical license is protected by government. The person who has a medical license or oriental medical license can practice medicine or oriental medicine. Even if a person has good skill to practice medicine or oriental medicine, or has learned several hours in private sectors, he/she can not practice medicine or oriental medicine legitimately without medical license or oriental medical license. Respect can not be obtained by force or pressure. The specialists can be respected because he/she has proper and enough knowledge in that field and good skill. Also the specialists should have pride on his/her field.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는 서로 다른 학문적 근거를 가지고 발전하여 왔지만 최근에서는 그 구분의 기준을 어떻게 정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있다. 이러한 논의는 무면허 의료행위를 둘러싼 법적 판단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때로는 전문가 집단 사이의 분쟁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의사의 의료행위이건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이건 그 목적은 사람의 건강증진 및 생명보호임은 분명하다. 어느 의료행위이건 그 정당성의 요건으로는 주체가 의료인이며, 목적은 사람의 건강증진 및 생명보호이며, 행위가 의료법칙(혹은 한의료법칙)에 합치하여야 하며,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행위이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양자의 구분에서 결정적인 차이는 결국 의료법칙에 합치하는 행위인가, 한의료법칙에 합치하는 행위인가이다. 또한 의료인은 국가에서 공인하는 면허에 의하여 규율되고 있기 때문에 면허를 취득하고 유지하기 위한 요건이 무엇인가도 중요한 검토사항 중 하나이다. 국가에 의한 의료면허는 단순히 일정기간을 교육받았다거나 특정한 의료기술에 익숙하다는 것을 이유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집단이 전문가로서 존중을 받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의 자존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전문가로서의 자존감은 강요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전문가 스스로가 자신의 전문영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갖춤과 더불어 자신의 전문영역에 대한 존중을 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의료행위와 특허보호체제에 관한 연구

        이봉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3

        헌법상 보장된 환자의 생명권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면허를 가진 의료인의 「의료행위」에 대하여 특허를 부여하여 독점권을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어온 특허법상의 과제이다. 의료행위에 대한 특허부여의 문제는 의료행위는 모든 사람들이 제한 없이 수혜를 입어야 한다는 윤리적 측면과 특허제도내에서의 독점적 보호를 통한 의료기술의 연구 및 개발 촉진이라는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다소 모순되는 듯 보이는 두 가지 명제를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각 국에서도 이러한 방향으로 의료행위에 대한 특허성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바, 의료행위의 특허성을 윤리적 관점에서 어느 정도 제한하고 있는가 하면, 기술 개발의 촉진을 강조하여 원칙적으로 그 특허성을 인정하면서 그에 대한 침해책임을 면제함으로써 양자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게놈분석 및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이러한 연구 성과를 응용하여 유전자치료 및 재생치료 등의 의료기술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피부의 배양방법, 세포의 처리방법 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특허법에 있어서의 취급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법의 목적이 발명을 보호·장려하고 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하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의료행위관련 기술을 특허에 의하여 보호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의사가 행하는 치료 및 수술행위는 인간의 생명에 관한 것이므로 종래부터 특허에 의한 보호는 그러나 의료방법 발명의 특허성 배제에 대한 특허법상 명문의 규정은 없고, 다만 특허청은 연구개발 정책적 및 인도적 이유에서 의료행위에 대하여 특허권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의 특허청의 의료행위 발명에 대한 심사 실무는 기본적으로 인체를 기본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치료, 진단 및 수술방법은 제29조 제1항의 적용하여 모두 거절되고 있다. 한편 특허법의 목적을 감안하여 특허권의 효력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보다도 이것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 산업발전과 공공이익에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제한을 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의료행위를 특허의 보호대상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1996년 9월 30일 의료행위에 관한 특허권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의사의 치료행위에 미치지 않는다는 취지의 규정(미국특허법 제287조(c))를 포함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EU에서는 유럽특허조약(EPC) 제52조 제4항에서 외과수술 또는 치료에 의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에 실시하는 진단방법은, 이것을 유럽특허조약 제52조 제1항에 해당하는 산업상 이용할 수 없는 발명으로 규정하였지만, 2000년 11월 유럽특허조약의 개정에 의하여 외과수술 또는 치료에 의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에 실시하는 진단방법은 유럽특허조약 제53조(c)에 있어서 불특허 사유로 되었다. 또한 TRIPs협정 제27조에는 특허의 보호대상을 규정하고, 제3항에는 “회원국이 인간 또는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진단, 치료 및 외과적 방법을 포함하는 발명을 특허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생명공학기술의 급속한 발전 ... The question of whether to grant a patent for medical practice of a medical practitioner with a certain license to ensure the life rights of a patient with a constitutionally guaranteed license is a long-standing patent law challenge. The issue of patenting medical practice should be addressed in a way that harmonizes the ethical aspects of medical practice with the seemingly contradictory proposition of promo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rough exclusive protection within the patent system. Countries are solving the patentability problem for medical practice in this direction, limiting the patentability of medical practice to some extent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and trying to harmonize the two parties by emphasizing the promo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recognizing its patentability in principle and exempting it from infringement liability. Recent advances in biotechnology led to active genome analysis and research of embryonic stem cells, and by applying these findings, medical technologies such as gene therapy and regenerative therapy have also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treatment in patent law to promote new technology development, such as how to grow the skin, how to treat cells, etc.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Patent Act is to protect and promote invention and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can be considered to protect rapidly developing medical practice-related technologies by patenting them, but since treatment and surgical activities performed by doctors are about human life, the patent protection by doctors is traditionally based on human life, but the patent document on patent exclusion of medical method invention is not stipulated in the patent act, but the R&D and R&D policy for the reason for humanitarian policy. Thus, the current examination practice of medical practice invention by the Korean Patent and Trademark Office has been rejected by the application of Article 29 paragraph 1., which basically includes the human body as a basic component.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 purposes of the Patent Act, restrictions need to be imposed if it is deemed appropriate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public interest to impose restrictions on patent rights rather than to accept them as they are. Meanwhile, US patent law was enacted on September 30, 1996, which included provisions to the effect that while medical practice was included in the patent protection list, the patent right on medical practice was not, in principle, a doctor's treatment. In the EU, in Article 52 para 4 of the European Patent Treaty (EPC), the method of treating human or animal bodies by surgery or treatment and the method of diagnosing human or animal bodies by surgery or treatment, defined this as an industrial invention under Article 52 para 1 of the European Patent Treaty, but in November 2000 the method of treating human or animal body by surgery or treatment is the European Patent Treaty. In addition, Article 27 of the TRIPs Agreement defines the protection targets of patents, while paragraph 3 states that "an invention involving diagnostic, therapeutic and surgical methods for treating humans or animals may be excluded from the patent list."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to review patent protection methods in medical practice in the wak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n Korea. Whether the patent law treatment of medical practice is valid needs to be reviewed, including legislation, not just in the interpretation framework of the current law. These discussions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active discussions on how patent protection measures for future invention of medical practice and how the constitutional right of the patient's right to life can be reasonably adjusted to resolve conflicts.

      • KCI등재

        무면허의료행위의 실체와 불법성 판단

        박성민(Park, Sung-Min) 한국형사법학회 2013 형사법연구 Vol.25 No.4

        Medical practice, as the series of process to prevent, diagnose and treat diseases, is the area not easily accessible by laymen without medical knowledge. Therefore, the threats of medical practice by any non-specialist to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are definitely direct and actual. In this regard, Medical service act adopted strict qualifications on the practicers, and introduced punishment provisions to unlicensed practicers.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Control of Public Health crimes established aggravated punishment provisions for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for profit purposes. Meanwhile, in the environment of expanded concept of medical activities due to sustained reliance on folk remedies and naturopathy by the public and developmen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medicine, there are realistic limitations as uniform punishment on unlicensed practice is not feasible. Accordingly, the Supreme Court explained that in case of hand acupuncture treatment practice, illegality of unlicensed practice is established as a behavior that is not in breach of social normal ethics. Then how can anyone differentiate between illegal unlicensed medical practice and justified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e defini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nswer. In the course of the thesis, it is the outcome that this study verified substance of medical practice on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o determine whether crime charge of injuring is established, that this study criticizes the judicial precedents which considered commerciality in determination of illegality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while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nlicensed medical practice pursuant to Medical Services Act and the punishment provisions on Illegal Medical Practicer pursuant to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Control of Public Health crimes, and tha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etermination of illegality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shall focus on the determination of consequential illegality i.e. threat to the national health. However, due to the implication that the interpretations and discussions on determination of illegality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are meaningful only in case applied to actual regulatory practice of actual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t is hoped that the study on the definition in this thesis would contribute to the interpretative guideline between punishable unlicensed medical practice and justifiable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n the future.

      • KCI등재

        의료와 司法의 협력-일본에서의 진료가이드라인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송영민 대한의료법학회 2022 의료법학 Vol.23 No.2

        There are two aspects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at act as non-legal control before medical practice and as legal control standards after medical practice. The essential purpos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s the former, but the latter action cannot be excluded.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re a means of linking law and medical care. The negative percep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at medical professionals' autonomy can be violated by the enact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s an excessive negative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Rather, judicial judgment based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lays a role in respecting the autonomy of medical professionals. In other words,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suppress legal regulations on medical care as much as possible and are based on doctors' professional ethics and self-discipline, and patient awareness and coopera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ideal relationship of cooper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medical ethics' must be incorporated as a legal mea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re the most appropriate means for incorporating such medical ethics into legal procedures. The lawyer solves the case with a legal syllogism that establishes a norm and applies facts to it to conclude. For the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re used to establish norms that doctors should perform for specific diseases, and conclusions are drawn by applying the established norms to specific medical practices. When it is not easy to apply the established norms to specific medical practices, medical judgments by experts, such as emotions, expert testimony, and explanations by expert members, are used. As such, the Law respects the autonomy of medical care even in the establishment of norms and the application of norms. In particula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repared independently by the medical community are referred to in establishing norms, which are the prerequisites for legal syllogism. This shows that doctors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precedents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norms. The us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trials is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the autonomy of medical care. Although there may be an aspect in which the autonomy of individual doctors is limited b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autonomy of doctors as a group is respected. In this way,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lay a role in protecting the autonomy of the "medical" group from the logic of the "law." 진료가이드라인은 의료행위 전의 비법적 통제로서 작용하는 측면과 의료행위 후의 법적인 통제기준으로 작용하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진료가이드라인의 본질적 목적은 전자이지만, 후자의 작용을 배제할 수 없다. 진료가이드라인은 법과 의료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진료가이드라인의 제정에 의해 의료전문가의 자율성이 침해될 수 있다는 진료가이드라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진료가이드라인에 대한 지나친 부정적 평가이다. 오히려 진료가이드라인에 의한 사법판단은 의료전문가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진료가이드라인은 의료에 대한 법적 규제를 최대한 억제하고, 의사의 직업윤리 및 자기규율과 환자의 자각 및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의사와 환자의 협력이라는 이상적인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의료윤리」를 법적 수단으로 편입해야 한다. 이러한 의료윤리의 법적 절차에의 편입작업에 가장 적절한 수단이 의료가이드라인이다. 법률가는 규범을 정립하고, 그것에 사실을 적용하여 결론을 내리는 법적 삼단논법으로 사안을 해결한다. 의료분쟁의 해결은, 의사가 특정 질환에 어떠한 의료행위를 해야 하는가라는 규범을 정립할 때에 진료가이드라인을 사용하며, 정립된 규범을 구체적인 진료행위에 적용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정립된 규범을 구체적인 진료행위에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때에는 감정이나 전문가 증언, 전문위원의 설명과 같은 전문가의 의학적 판단을 이용한다. 이처럼 司法은 규범의 정립이나 규범의 적용에도 의료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있다. 특히 법적 삼단논법의 대전제인 규범의 정립에는 의료계가 자주적으로 작성한 진료가이드라인을 참고하고 있다. 이는 의료인이 판례의 형성에 참가하여 규범형성에 기여하는 모습이다. 진료가이드라인이 재판에 이용되는 것은 의료의 자율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이다. 진료가이드라인에 의해 개개의 의사의 자율성이 제약되는 측면은 있을 수 있지만, 집단으로서의 의사의 자율성은 존중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처럼 진료가이드라인은 「법」의 논리에서 보면, 「의료」 집단의 자율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KCI등재

        무면허의료행위와 한의사의 진단용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고찰

        장연화(Chang, Yeon-hwa),백경희(Baek, Kyoung-hee) 대검찰청 2016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3

        우리나라는 의료인에서 의사와 한의사를 구별하고 있고,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를 구별하는 이원적 의료체계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의료법상 면허의 종별에 따라 그 면허의 범위 내에서만 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면허 외의의료행위역시 무면허의료행위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의사가 의사의 면허 범위내에 있는 의료행위를 행하거나 혹은 의사가 한의사의 면허 범위 내에 있는 의료행위를 행한 경우 모두 무면허의료행위로 형사적・행정적 제재를 받게 된다. 대상판결은 한의사가 환자에 대하여 파킨슨병, 치매질환과 같은 뇌질환을 진단하기 위하여 양방의 뇌파계 진단용 의료기기를 사용한 것이 문제된 사안이었다. 뇌질환의 경우 면밀한 진단이 필요한 영역으로, 해당 질환에 대하여 조기 진단과 치료에 실패할 경우 환자의 건강권에 대한 침해가 우려된다. 또한 뇌파계 진단용 의료기기가 비록 귀적외선체온계 등과 같은 안전등급에 해당한다고 할지라도, 진단하려는 해당 질환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동일하게 취급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를 어떻게 구별하여야 하는지 그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고, 의료행위 중 진단행위가 지니는 의의와 특수성을 검토한 후, 우리나라 법원의 판례와 헌법재판소 결정에서 한의사의 양방의 진단용 의료기기 사용에 관하여 어떻게 판단하였는지에 관한 동향을 점검하여, 대상판결을 분석하고 향후 한의사의 양방의 진단용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Korea, Western medicine doctors and Korean medicine doctors are distinguished among the medical practitioners group, and Western medical practice and Korean medical practice are distinguished within a dualistic medical system. As the scope of medical practice is regulated by the type of licence granted under the medical law, medical practice outside the scope of the license is considered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erefore, if a Korean medicine doctor performs medical practice that is only granted to the license of Western medicine doctors, or vice versa, such performance shall be considered unlicensed medical practice subject to criminal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The issue of this case arose from the use of a bidirectional electroencephalograph diagnostic medical device by a Korean medicine doctor for diagnosis of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Encephalopathy requires precise diagnosis, where failure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can result in infringement of patients’ right to health. Even though electroencephalograph diagnostic medical devices are in the same safety grade as ear infrared thermometers, the type of diseases for diagnosis differ so much that the same treatment is inappropriate.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how to distinguish between Western medical practice and Korean medical practice and examines the standards for such distinction. Then, within medical practice, the meaning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diagnosis practice shall be discussed. Korean court decisions and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discussing the use of Western diagnostic medical devices by Korean medicine doctors shall be analyzed. We shall then propose the determining standards for the use of Western diagnostic medical devices by Korean medicine doctors.

      • KCI등재

        의료법상 의료행위의 개념과 그 판단기준 - 대법원 2016.7.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선종수(Sun, Jong-Soo)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2017 의생명과학과 법 Vol.17 No.-

        의료행위는 사람의 인체에 대한 침습행위가 전제되기 때문에 전문적 지식습 득과 숙련된 의료인으로부터 행해져야 한다. 의료법은 의료인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 등으로 구분하고, 교육 및 시험을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아 의료활동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직역에 따른 업무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비의료인의 의료행위’와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 등 두 가지를 무면허 의료행위로 규정하면서 이에 위반한 경우 제재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법은 어떠한 행위가 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 명확한 개념정의를 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현재 의료행위 개념은 학설과 판례에 의하여 그 범위가 설정되고 있으며, 변화하고 있다. 의료행위 개념의 변화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의료기술의 변화와 발전에 따른 것이며, 이로 인하여 과거에는 의료인 직역 사이에 중첩되지 않았던 의료영역이 유사한 영역이 생기면서 다양한 형태로 중첩되고 있다. 대상판결은 최근 논란이 되었던 치과의사가 미용성형시술로서 얼굴 미용 보톡스 시술행위를 한 경우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하는가에 대한 판단이다. 이는 의료인 직역 사이에 있어서 업무 영역의 중첩으로 인한 문제로 치과의사에게 얼굴 미용 보톡스 시술행위가 ‘치과의료행위 면허 범위’에 해당하는가의 문제이 기도 하다. 이에 대해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치과의사에게도 이 시술행위가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 다수의견의 판단처럼 의료행위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범위는 변화할 수 있는 가변적 개념이므로 의료 직역별 범주도 변화할 수 있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치과의사는 치과의료와 구강보건을 그 업무로 하며, ’치과의료행위’는 ‘구강’, ‘치아’, ‘악(턱)’ 등에 대하여 치과적 예방·진단·치료·재활과 구강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치과의사가 미용성형 시술로서 얼굴 미용 보톡스 시술행위는 치과의료행위 면허 범위라고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의료법은 의사와 치과의사의 업무 영역을 구분하여 면허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규정에서 정한 문언의 해석범위를 넘어서는 의료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의료인 직역 사이에서 발생하는 업무 중첩의 문제는 의료법상 ‘의료행위’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지 않음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이미 의료법 개정을 통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한 적이 있지만, 현실화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일한 문제가 계속하여 발생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으며, 이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성뿐만 아니라 해야 하므로 향후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Medical practice should be done by skilled medical personnel with professional knowledge since it is presumed that the body of a person is easy to be invasive. The Medical Law divides medical personnel into doctors, dentists, Korean Medicine Doctor (KMD), midwives, nurses, etc. After receiving professional education and passing examinations, medical personnel will get the license from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n conducts medical activities. Furthermore, two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will be penalized such as “medical activities of non-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activities without licenses.” However, the current medical law does not have a clear definition of the medical practice.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ories and precedents, and now this situation is changing.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is due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which com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some similar medical area which was not overlapped in the past, but is overlapping and forms various types now. The recent controversial verdict was a dentist did a facial cosmetic surgery with BOTOX, it was considered an unlicensed medical practice activites. Wether the overlapping of practice area of this case which the dentist did the cosmetics botox operation could be considered as in the “license scope of dental practice” becomes a question. At last, the judgement of trial in majority is that the dentist did the surgery conside as “medical activities without licenses.”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majority opinion based on changes in medical practice, like the range can be changed because the concept is variable and also can be changed as time goes by. However, the dentist has dental medical and oral health as its duties. The dental medical practice is aimed at dental prevention, diagnosis, treatment, rehabilitation and oral care for oral cavity, tooth, and jaw. In this sense,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 cosmetic botox surgery done by the dentis is in the range of a license for dental care. In addition, since the Medical Law grants licenses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duties of doctors and dentists, medical activities that exceed the scope of interpretation of the regulations shall be prohibited. The problem of overlapping practice area between medical staff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urrent medical law does not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Although the goverment have already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amendment of the medical law, but it has not been realized yet. Fo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ame problem will occure again, there is a strong needs to prevent it from the beginning and to be sloved in the future.

      • KCI등재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정도희(Jeong Do hee) 한국형사정책학회 2017 刑事政策 Vol.29 No.1

        Current Medical Service Act regulates that medical person refers to a medical doctor, a dentist, an oriental medical doctor, a midwife or a nurse, “who holds a license grant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Art.2(1)), and regulates that by type, a medical person has the mission to seek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and contribute to help citizens enjoy healthy lives by performing his/her mission(Art.2(2)). And the Act prohibits against unlicensed medical practices(Art.27(1)). It provides that “Non-medical personnel are prohibited from performing medical practices, and even medical personnel shall not perform any medical practice other than those licensed.”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have been prohibited uniformly by this provision. But recent case showed new tendency to relieve deregulation on some occasions. The court ruling related to unlicensed medical practice has shown deregulation of medical practice other than those licensed. The Supreme Court, 2013do850 has dealt with the medical practice over the scope of the his/her license by dentist. It is the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that “the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o fit situations of ages” is necessary. In this article, I suggest that modification of medical personnel, medical license, and medical practice.

      • KCI등재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박정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3

        With the development of ICT and the rapid change of the health care environment,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is reviving. It is not clear whether certain health care services using ICT are considered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or not. Nevertheless, there is no definition of medical practice under the current Medical law and the debate over its concept and scope is expanding. In addition, the Court's interpretation does not provide any specific criteria. For these reasons, there is considerable regulatory uncertainty for unlicensed non-medical personnel engaging in related industries, and their freedom of occupation is restricted from the entry stage to related industries.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should be legislated under the Medical law in order to reduce regulatory uncertainty, meet the people’s demand for various health care services and guarantee consumer’s choice. This article examines current legal regulations and precedents related to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insists on its legislation and proposes its direction.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 should be defined under the medical law, and some specific components of the concept such as purpose and method, work-relatedness, and the possibility of harming in health hygiene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vision. The scope of the medical practice may be expanded or reduced depending on the possibility of harming in health hygiene, so the provision should include some examples of its criteria. Also, the provision should be open and flexible to judge its sco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healthcare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Furthermore, even if some services meet these components of the concept, relatively low risky services should be carried out by non-medical professionals under new license system. ICT의 발전과 보건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ICT를 활용한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이러한 서비스도 과연 의료행위에 해당하여 의료법상 무면허 의료행위나 원격의료 금지규정의 적용을 받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현행 의료법에는 의료행위 개념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료행위의 개념에 관한 법원의 해석 역시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포함하지 않아 관련 업종의 종사자들은 규제의 불확실성 속에서 진입 단계에서부터 직업의 자유를 제한받고 있다. 법규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고 건강관련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수요를 충족시키는 한편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의료행위의 개념이 법률에 구체화되어야 한다. 이 글은 의료법 규정과 관련 판례를 검토함으로써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의 필요성을 논하고, 의료행위 개념의 입법방식과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료법에 의료행위 개념에 대한 포괄적 정의규정을 두고 개방성과 예측가능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도록 행위의 목적과 방법, 업무성 및 보건위생상 위해가능성 등의 구성요소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행위의 ‘목적’과 ‘방법’을 기준으로 보면,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위해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의료의 전형적인 형태는 당연의료행위에 해당한다. 한편, 질병의 치료나 예방 목적이 없거나 전통적인 의료의 전형적 형태가 아닌 경우라도 의료적 목적이 인정되는 보완대체의료와 의료적 방법에 따르는 확장된 의료는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는 ‘보건위생상 위해가능성’여부에 따라 구체적으로 의료행위 여부가 결정되는바, 이 기준은 구체적 타당성에 맞게 의료행위의 범위를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료행위의 방법과 보건위생상 위해가능성 판단기준에 대한 예시를 법률에 포함시키고 의료행위 해당성 판단 주체와 절차를 법률에 규정하면서도, 보건의료기술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료행위 개념을 유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요소를 충족하여 의료행위로 확정되더라도 위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일정한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갖춘 경우 비의료인에 의해서도 관련 서비스가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에 별도의 면허제도를 두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방 의료행위의 개념과 그 한계

        권순조(Soon Jo Kwon),엄석기(Seok Ki Eom) 한국의사학회 2015 한국의사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interpret the 'practice of Korean Medicine', differentiating it from 'medical practice'. Methods : I analyze the legislations and precedents regarding the practice of Korean Medicine. Results : The Korean Medicine and Pharmaceutics Promotion Act defines 'practice of Korean Medicine' and it clearly differentiates it from the definition of 'medical practice'. However, the scope of this definition is somewhat restricting and it can violate doctors of Korean Medicine's right to equality and their academic freedom. Thus, the application of this definition of the 'practice of Korean Medicine' should be limited to the fiel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Meanwhile, criteria of distinguishing 'practice of Korean Medicine' from 'medical practice', which used to mak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by rigorously applying their academic standards, are now focusing more on protecting and improving health of the people. Discussions & Conclusions : I suppos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actice of Korean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 will be more focused on public health rather than the academic stance of those two medical fields. Meanwhile, in accordance with dualistic medical system, the mutual usage of medical equipment in the area of 'treatment' should be limited while it should be allowed in the area of 'diagnosis' if it satisfies requirements sugges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 KCI등재

        한의사의 초음파의료기기 사용과 의료인의 면허 외 의료행위에 대한 판례의 고찰 : 대법원 2016도2131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신은주 한국의료법학회 2023 한국의료법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upreme Court's ruling that changed the previous ruling and made a different judgment. First, in the medical law recognizing the dual medical system, the use of an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in this case was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an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was a violation of the medical law, especially a medical practice other than that of Korean medicine doctor. To this end, since there is no definition of Korean medical practice in Korea's medical law, like medical practice, this study examined what constitutes Korean medical practice. Second, it was reviewed whether the use of an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by Korean medicine doctor falls under the licensed scope of medical practice of Korean medicine doctor or a medical practice outside of the licensed scope. Third, we reviewed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conflict between doctors and Korean medicine doctors in a desirable way in the future use of medical devices. This study took a critical position on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rul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dualized medical system and medical devices. 이 연구는 한의사의 초음파기기사용에 대한 대법원의 전원합의체의 판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늘날 의료기기의 발달과 범용성의 증대는 한의사나 의사의 의료기기사용을 수월하게 해 주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을 의사와 한의사가 상호 사용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우리나라 의료법은 의사와 한의사가 각각 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를 하도록 이원화된 면허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한의사의 의료기기사용이 한의사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가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대법원의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에 대한 판결은 의료계에 많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대법원은 초음파 진단기사용에 대하여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 사용이 한의사의 면허범위 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한다는 종전의 판결을 변경하여 초음파 진단기의 보조적 사용은 한의사의 면허범위 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전원합의체의 판결을 하였다. 본 연구는 종전의 판결을 변경하고 다른 판단을 한 대법원의 판결을 검토하기 위하여 첫째, 이원적인 의료체계를 인정하고 있는 의료법에 있어서 초음파 진단기 사용이 한방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의료법에는 의료행위와 마찬가지로 한방의료행위에 대한 정의규정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엇이 한방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둘째,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사용이 한의사의 면허된 범위의 의료행위에 해당하는가, 아니면 면허된 것 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하는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초음파 진단기의 사용이 한의사의 면허된 범위 외의 의료행위인지 여부에 대하여 그동안 의사와 한의사 간에 첨예한 대립이 있어 왔고, 이에 대한 제1심법원 및 원심법원의 판단과 대법원의 판단이 다르므로 한의사의 면허된 것 이외의 판단기준과 각 심급법원의 판단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이원화된 의료체계를 고려하여 다수의견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