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탁과 관련된 상속세ㆍ증여세문제와 Estate Planning 도구로서 신탁의 이용가능성

        김재승 한국세법학회 2011 조세법연구 Vol.17 No.3

        수익자 고정형 유언신탁은 물론 수익자 연속형 유언신탁과 공익신탁도 개정신탁법하에서 설정이 가능하나, 유언신탁도 유언에 의해 설정되기 때문에 민법상 유언관련 규정이 적용되어 유언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유류분권도 신탁의 설정에 의해 침해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이 밖에 개정신탁법하에서도 사망이 아닌 수익자 연속신탁형 신탁의 설정이 가능하며, 수익자지정권을 수여한 신탁의 설정도 가능하다. 상속세 및 증여세와 관련하여서는 신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와 구별이 없다. 따라서 일정요건을 갖춘 공익신탁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Estate Planning 도구로서 유언신탁은 유용성이 적다. 위탁자의 사망을 요건으로 하여 수익자 등 제3자에게로 재산이전효과가 발생하는 유언 대용으로서의 생전신탁도 개정신탁법상 허용되며 유언신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익자 연속형신탁의 설정이 가능하나 상속인의 유류분권을 침해할 수는 없다. 그러나 유언신탁의 경우 유류분산정의 기준이 신탁재산 자체이나 유언대용신탁의 경우에는 수익권의 가치가 유류분산정의 기준이 된다. 개정신탁법은 유언대용신탁이 유언 “대용”(will substitute)으로 기능을 다하고 신탁설정의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유용한 제도인 철회권을 유보한 신탁(revocable trust)이나 제3자나 수익자 등에게 수익자지정ㆍ변경권을 부여한 신탁의 설정을 위한 근거규정을 마련하였다. 유언대용신탁과 관련된 증여세나 상속세문제를 규율하는 직접적인 규정이 없다. 현행법 규정의 해석상 이들에 대한 과세는 가능할 것이나, 근본적으로 명확한 기준이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증법 제1조에 유언대용신탁을 포섭할 수 있는 규정신설 및 제9조 및 제33조 이외 상속재산 및 신탁이익으로 과세될 유언신탁재산의 범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 Revocable trust 및 수익자 지정ㆍ변경권의 세법상 처리 및 과세근거가 또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배우자 상속공제는 실제 상속액만 공제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유언신탁이나 유언대용신탁에 의해 배우자가 소유권유사수익권을 취득한 경우에도 배우자공제가 허용되는 입법조치가 필요하다. 신탁설정자의 생존 중 일정기간 동안만 존속하면서 수익자가 수익권을 향유하는 생전신탁의 경우 수익자에게 증여세가 과세되며 이외 이자에 대한 소득세도 과세된다. 금전신탁의 경우 세율이 높은 자에게서 저세율소득자에게로 재산이전을 통한 신탁의 남용이 문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신탁제도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미국세법의 “grantor trust rule” 같은 것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 Estate Planning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는 신탁 중 bypass trust, marital trust, charitable remainder trust, irrevocable life insurance trust 및 dynasty trust는 개정신탁법에서도 설정이 가능하다. 조세문제와 관련하여 보면, 이 중 irrevocable life insurance trust와 marital trust는 현행 상증법하에서는 이용이 곤란하다. Charitable remainder trusts의 일부는 이미 우리나라 소득세법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속재산이 많지 않은 경우 bypass trust는 우리나라에서도 유용한 상속계획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Dynasty trust는 우리나라에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현행 상증법은 이런 류의 신탁과 관련된 과세와 관련하여 명확한 규정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신탁의 이용은 아직 불명확한 상태에 있다. This article reviewed and summarized the basic concepts of a trust in the Revised Trust Act in Korea(“RTA”), effective July 26, 2012.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ax implications related to civil trusts under the RTA, introduced frequently used trusts as estate planning t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d whether they can be used in Korea as planning vehicles. After the foregoing reviews and analysis, this article comes to the following results: Under the RTA, no restriction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a trust by will exists. So all kinds of trusts, including a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and a trust with power of appointment, can be established. However, since establishment of a trust by will must comply with inheritance law, it must satisfy the conditions prescribed in the inheritance law, especially elective shares and formalities of wills. As for estate or gift tax on property transferred via a trust by will,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ransfer by will without trust. So a trust by will is not a useful estate planning tool except with respect to a charitable trust. Also, the main hindrance for a trust as an estate planning tool is that the current Estate and Gift Act(“EGA”) does not permit a marital deduction for a beneficiary share in a trust that will be (or was) obtained by a spouse. A living trust only with specified period has been frequently used, but it opens the door to a tax avoidance tool since through this kind of trust parents with higher tax rate income can divert their income to their children with lower tax rates. To prevent this practice, Korean Government has to introduce the “grantor trust rule”, as esta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whether it has fixed beneficiaries or beneficiaries in succession can be established under the RTA, but it also must not violate the right of the elective shares of heirs. Under the RTA, either a revocable trust or a trust with the power of appointment can be established without restriction. The EGA does not have any provision for a living trust as will substitute. Sections 9 and 33 of the EGA are applicable only to a regular living trust. So new provisions applicable to a living trust as will substitute are required. For instance, section 1 of the EGA should be revised to comprise a living trust as will substitute. Clear provisions to impose tax on a revocable trust and beneficiary with power of appointment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clear definition of revocable trust and power of appointment from a tax perspective. Among estate planning tools wid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bypass trusts, marital trusts, charitable remainder trusts, and irrevocable life insurance trusts can be established under the RTA. From a tax perspective, irrevocable life insurance trusts and marital trusts are not available since for the former, beneficiaries concerned may be taxed and marital deductions may not be allowable for the beneficiary in a trust. A charitable remainder trust has already been in place in Korea. A bypass trust can be a useful tool for a small estate. A dynasty trust is permissible in Korea since the RTA has no provision like the rule against perpetuity in common law. However, since the EGA does not provide a clear provision for a bypass trust or a dynasty trust, its use in Korea as an estate planning tool is still limited.

      • 사전의료지시서의 입법에 관한 연구

        이재경 국회입법조사처 2012 입법과 정책 Vol.4 No.1

        This paper is aimed at considering of legal discussion in Austria and Germany and developing an argument concerned with legistration of living will. In Austria living will is provided in the special law on living will and in Germany it is provided in the civil law on guardianship. In korea two bills were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has set up a guidline for remove the artificial respirator. And according to a decision on the remove of life-sustaining treatments the Korea Supreme Court(2009 da 17417)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atments could be permitted by the subjective condition and by the objective condition. It is appropriate to introduce living will under the civil law on guardianship. For this, the provisions of the law on tighter living will requirements are essential. If a living does meet these requirements, the living will shall be legally binding. 본 논문은 사전의료지시서의 입법에 관한 오스트리아와 독일 및 국내의 논의를 검토하고, 사전의료지시서의 입법에 관한 의견을 개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특별법에서 이러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으며, 독일의 경우 민법의 성년후견제도에서 그것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 현재 국회에 이와 관련한 2개의 입법안이 제출되어 있고, 대한의사협회 등의 연명 치료 중단에 관한 지침이 존재하는 한편, 2009년 대법원 판례가 연명 치료 중단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입법은 성년후견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전의료지시서의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그에 따라 사전의료지시서의 구속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遺言信託 및 遺言代用信託의 硏究

        임채웅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7

        Till now, trust has not been used so much in Korea. It is same to testamentary trust(TT) and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LTWS). Korean laws have few statutes on trust. It has not been studied enough. This essay touches those issues like hereunder. First, this essay examines trusts related with will or will substitute in the other countries. They are the revocable trust in the States and LTWS in Japan. Second, I try to define what TT and LTWS are. Especially it is necessary for LTWS because it has seldom been discussed in Korea. I show several types. They are 2 for TT and 4 for LTWS. Third, this essay examines the validity of TT and LTWS and the method to create them. It is meaningful especially for LTWS because Korean laws say nothing on it while TT is grounded by the trust law. My conclusion is that LTWS is valid even under the current Korean trust law and it needs not to follow the formal way which is requested by law to make a will. Fourth and finally, this essay touches some issues like the relation between TT/LTWS and the legal reserve of inheritance by Korean civil law(the inheritance law), the scope of consecutive beneficiary and the beneficiary who will be born in the future as the settlor’s offspring.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신탁이 비교적 덜 활용되어 왔고, 유언신탁 및 유언대용신탁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나라의 신탁법제는 유언신탁에 관하여 매우 간략한 규정만을 두고 있고, 학계 및 실무계에서의 논의도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글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논의의 기초로 삼기 위하여 외국의 예를 검토하였는데, 미국의 철회가능신탁과 일본의 유언대용신탁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소개하였다. 둘째, 유언신탁 및 유언대용신탁의 정의를 시도하였는데, 특히 유언대용신탁에 대해 그간 국내에서의 논의가 충분하지 못하였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이어 유언신탁 및 유언대용신탁의 각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유언신탁에 관해서는 두 가지 유형, 유언대용신탁에 관해서는 4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유언신탁 및 유언대용신탁의 유효성과 방식에 관해 논의하였는데, 유언신탁은 현행 신탁법에 의하더라도 인정되는 것이므로 주로 유언대용신탁에 논의를 집중하였고, 그 결과 현행 신탁법에 의하더라도 유언대용신탁은 유효하고 또한 유언의 방식을 취할 필요가 없음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언신탁 등과 상속제도의 관계를 검토하였는데, 주로 유류분제도와의 관계를 검토한 다음, 관련문제로 연속수익자의 범위 및 장래출생할 자인 수익자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

        쇼펜하우어 성의지의 슬픈 사연들에 대하여

        김은진 ( Eunjin Kim ),이건근 ( Geongeun Lee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6 영어영문학21 Vol.29 No.3

        A pessimistic philosopher, Schopenhauer is known to have opposed the optimistic ideas emphasized by the German idealists of the 19th century such as Fichte, Shelling, and Hegel. His approach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 of the metaphysics of reason that had been more prevalent since Kant`s The Critique of Pure Reason because he suggested that the will-to-live should be substituted for reason, corresponding to Kant`s thing-in-itself or Plato`s form. Especially sexual will, to his eyes, reveals the innermost essence of everything in nature as one of the most strengthened instincts, whose causal nature is not etiologically explicable, creating not a little hostility among intellectuals. Given this, we draw a distinction between reason and sexual will by referring to Schopenhauer`s philosophical theory and illuminate what aspects sexual will shows to reason by observing Robinson Jeffers`s "Roan Stallion" and John Steinbeck`s four short stories "The Snake," "The Chrysanthemums," "The White Quail," and "The Harness." This analysis shows how, in "Roan Stallion," the heroine California experiences an initiation process where she finds her real sexual will by an act of bestiality. Meanwhile, "The Snake" and "The Chrysanthemums" depict situations where sexual will bursts forth in the space controlled by reason in the name of cold practicality and science. Also, "The White Quail" and "The Harness" show the appearance that sexual will repressed by the power of reason gives the characters suffering and agony. Lastly, Schopenhauer`s theory of sexual will is found to account for irrational human acts behind reason and to emphasize a sort of asceticism by acknowledging and looking to its destructive power.

      • KCI등재

        쇼펜하우어의 이념(Idee)에 대한 고찰

        이서규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3 No.2

        Schopenhauer develops metaphysics of will in the world as a will and representation. He sees the world as representation on the one hand and will on the other, but this does not mean the dualist understanding of the world. According to Schopenhauer, the original world is entirely will. However, we first experience the world as a representation through the “Satz vom zureichenden Grunde”, principium individuationis. According to Schopenhauer, this representational world is the world of all abstract perceptions, concepts, and disciplines. But Schopenhauer emphasizes that this representational world is a world in which the will is objectified. According to Schopenhauer, the role of philosophy is to grasp the world not as a representation but as a will. In other words, philosophy reveals that the essence of the world is the will. Schopenhauer uses the term “Objektivation des Willens” to emphasize that the representational world is a phenomenon of will, in which he emphasizes the role of Idee that connects the world of will and representation. The term Idee borrowed from the concept of Plato's idea means the direct objectivity of the will and acts as a mediator between the will and the representational world. In this sense, Idee plays a role in bringing will to the world of representation. This ro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exist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 and the representation. However, the objects of this representational world that are revealed as such become obsessed with the blind impulse of the will, and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becomes painful. That is why Schopenhauer on the other hand emphasizes the role of Idee as a means to overcome this domination of the individual. Idee at this time does not strengthen the will control of the individual on a will – friendly basis but plays a role in overcoming the will to let it fall from the dependency of the will. It is undeniable here that Schopenhauer mediates between the will and the representation through Idee and develops his position on the world. However,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he dual role of Idee is justified. This paper examines the ontological and metaphysical roles and the problems that Schopenhauer gives to Idee. 쇼펜하우어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의지의 형이상학을 전개한다. 그는 세계를 한편으로는 표상(Vorstellung)으로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지(Wille)로서 파악하지만, 이것은 세계를 이원론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본래 세계는 전적으로 의지이다. 그러나 우리는 충분근거율(Satz vom zureichenden Grunde), 개체화원리(principium individuationis)를 통해서 세계를 표상으로서 경험한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이러한 표상세계는 모든 추상적 인식과 개념 그리고 학문의 대상이 되는 세계이다. 그런데 쇼펜하우어는 이 표상세계가 의지가 객관화된 세계라는 점을 강조한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철학의 역할은 세계를 표상으로서가 아니라 의지로서 파악하는 것이다. 즉 철학은 세계의 본질이 의지라는 점을 밝혀내는 것이다. 쇼펜하우어는 의지의 객관화(Objektivation des Willens)라는 말을 사용하여 표상세계가 의지의 현상이라는 점을 강조하는데, 여기에서 그는 의지와 표상세계를 연결시키는 이념(Idee)의 역할을 강조한다. 플라톤의 이데아개념에서 빌려온 이념이라는 용어는 의지의 직접적인 객관성을 의미하며, 의지와 표상세계를 이어주는 매개역할을 한다. 이런 점에서 이념은 한편으로 의지가 표상세계로 드러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은 의지와 표상의 존재관계를 설명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처럼 의지가 드러난 표상세계의 개체들은 의지의 맹목적인 충동에 사로잡히게 되고 개체들의 존재는 고통스러운 것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쇼펜하우어는 다른 한편으로 개체에 대한 이러한 의지의 지배를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이념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때의 이념은 개체에 대한 의지의 지배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의지의 종속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쇼펜하우어가 이념을 통해서 의지와 표상 사이를 매개시키면서 세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전개시킨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이처럼 이중적으로 부여되는 이념의 역할이 과연 정당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쇼펜하우어가 이념에게 부여하는 존재론적 역할과 형이상학적 역할이 지닌 특징들과 문제점들을 고찰하도록 한다.

      • KCI등재

        신탁제도를 통한 재산승계 -유류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구태 ( Chung Ku-tae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개정 신탁법은 유언대용신탁에 의한 재산승계를 명문으로 인정하고 있다. 유언대용신탁은 위탁자가 자신의 의사표시로 생전에 사망 후 상속재산의 귀속을 정한다는 점에서 민법상 유증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바, 유언대용신탁에 의하여 유류분이 침해된 경우에도 유류분반환을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이는 위탁자와 수탁자, 그리고 수익자 등 신탁을 둘러싼 이해관계인은 물론 유류분권리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하여 유언대용신탁과 유류분의 관계에 대한 종래 학설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의 연구결과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언대용신탁의 수익자는 실질적으로 ‘수익권’을 증여받는 것이므로 유류분 기초재산 산정시 수익권의 가치를 평가하여 이를 증여재산에 준하여 가산하여야 하며, 수익자가 수익권을 취득하는 시기는 피상속인의 사망시이므로 신탁재산의 이전시기와 상관없이 수익권의 가치는 모두 유류분 기초재산에 가산되어야 한다. 둘째, 유류분반환청구는 수익자를 상대로 하여야 한다. 셋째, 수익자는 수익권 자체를 양도함으로써 원물반환의무를 이행하여야 하며, 수익자가 원본수익자가 아니거나 아직 수익급부를 받지 않은 경우에도 수익자로서는 신탁원본에 대한 급부청구권을 내용을 하는 수익권을 양도함으로써 반환의무를 이행하면 된다. 이 글에서 다룬 주제 외에도 유류분과 신탁의 관계에 관하여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난제가 적지 않다. 이 글에서 다루지 않은 수익자연속신탁과 유류분의 관계 등 남은 문제에 대해서는 후일의 연구를 기약하고자 한다. The revised Trust Act recognizes the succession of property by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The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has the same effect as the bequest in the civil law in that the trustee decides the attribution of the inheritance after his death by his declaration of his own will. Then, if the forced share is infringed by the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is it possible to return forced share? This is a very important issue that affects not only the interested parties, trusters, trustees and beneficiaries but also the right holder of forced share. In this paper, I try to solve this problem by critically examining the conventional theorie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and forced share through the method of the literatur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beneficiary of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is entitled to “beneficiary right.” Therefore, the value of the beneficiary right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the value of the beneficial property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basic property of forced share. Because the time when the beneficiary acquires the beneficiary right is the death of the heir, both the transfer of property and the value of the beneficial interest should be added to the basic property of forced share. Second, the claim for return of forced share should be made against the beneficiary. Third, the beneficiary must fulfill the obligation to return forced share by transferring the beneficiary rights. If the beneficiary is not the original beneficiary or has not received the benefit yet, the beneficiary must transfer the beneficiary right to claim the benefit. In addition to the topics covered in this article, there are still many unresolved challeng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ced share and trust. I would like to pledge further research on the remaining issu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s and forced share, which are not covered in this article.

      • 쇼펜하우어의 생의지로서 사랑

        이정은 ( Jeong Eun Lee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7 기독교철학연구 Vol.8 No.-

        이 글은 쇼펜하우어의 사랑의 본질은 무엇이며, 궁극적으로 그의 철학 체계에서 사랑의 위치와 역할은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당시의 변화하는 사랑관과 결혼관에 비추어보면 쇼펜하우어는 다소 시대착오적인 발언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발언은 사랑과 인간에 대한 편파적이고 왜곡된 심정을 토로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 체계와 관련된 형이상학적 배경에 기인한다. 쇼펜하우어에게 사랑은 종족 보존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성적 충동이며, 성적 충동은 2세 생산의 관점에서 인간 행동을 야기하는 생명에 대한 의지의 발현이다. 사랑은 생명에 대한 의지이며, 궁극적으로 의지와 표상의 세계라는 쇼펜하우어의 철학적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사랑에 대한 쇼펜하우어의 시대착오적인 입장과, 생의지라는 철학적 관점과 연관된 사랑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관념론에 대한 그의 비판을 먼저 살펴봐야 한다. 쇼펜하우어는 독일 관념론이 사상사를 지배하던 시절에 라이프니츠와 칸트 철학과 접하면서 물자체와 현상의 이원론을 지성적이고 주관적인 구성이라는 점에서 수용하지만, 이원론과 지성적 구성의 한계를 자각하고 물자체를 의지와 의지에 따른 행동으로 규정하면서 관념론 비판으로 나아간다. 관념론 비판에서 나온 의지가 그의 독특한 관점의 기반이 된다. 그러므로 글의 전반부에서는 쇼펜하우어의 관념론 비판과, 그에 따른 의지와 표상의 세계의 정립을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관념론 비판이 사랑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쇼펜하우어가 왜 당대인들의 거센 비판과 찬사를 동시에 받을 수밖에 없었는지를 이해하고, 그의 사랑 이해와 철학 체계와의 관련성을 부각시키면서 성애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려면 형이상학적 체계에 대한 조명과 변화 또한 동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essay aim to understand the Schopenhauer`s love, and the Relation of love and metaphysical system as Will-to-Live(Willen zum Leben). Schopenhauer regard Love as Will-to-Live. Furthermore, he treat Love with Sexual Love, and with Sexual Impulse. On the contrary, he look like Sexual Impulse as Will-to-Live. Why he make the theory that look to be peculiar and narrow-minded? Schopenhauer criticize the idealism(Deutsche Idealismus). And he criticize the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i. e. his dualism of Thing in itself and Phenomena. He try to suggest an alternative philosophical-system of the monism that get over the dualism. It is influenced on the possibility of consciousness of Thing in itself. He change the Phenomena(Erscheinung) into the Presentation(Vorstellung), and change Thing in itself(Ding an sich) into the Will. He argues and proofs the possibility of consciousness of Thing in itself through the action and impulse of body. He suggest the action and impulse of body as like the Will. As a result, man has the possibility of consciousness of Will. The Will-to-Live appear as the instinct of preservation of the species and sexual impulse. For him, Sexual Impulse is same as Love.

      • KCI등재

        쇼펜하우어의 현존재 분석

        윤채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6

        Schopenhauer examined human existence, based on his metaphysics of Will. This paper is to establish his examination as ‘Schopenhauer’s Dasein-analysis’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uman-Dasein. Schopenhauer held that it is the reality of suffering that leads us to engage in philosophizing. In suffering, human beings, as a metaphysical animal, come to investigate into its origin. According to Schopenhauer, the origin of sufferi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world. In his philosophy, both of them are integrated in what[essentia]-question. He analysed our self-consciousness, submitting Will as the answer to the question. In the fathomless depth of our consciousness, thing-in-itself, in the form of time, manifests itself as the acts of will. Therefore, in Schopenhauer’s ontology Sein und Zeit is Wille und Zeit. Will is the essence of all beings. Will as thing-in-itself reveals itself as the will-to-live in organisms. Humans as organisms are the locus in which the will-to-live is revealed, that is, Da-sein. Thus, on the horizon of temporality, Will reveals itself as the fundamental existential definitions of human-Dasein, which includes thrownness[Geworfenheit], bodyhood[Leiblichkeit], and the factuality of suffering[Faktualität des Schmerzes]. This analysis discloses that human-Dasein is ‘Dasein of the body thrown into suffering’. In Schopenhauer’s philosophy, essence lies in existence. The essence of Will is unfolded as concrete existential modes of human-Dasein.―Excavated as the former are immanence, cannibalism, and purposelessness; then, established as those concrete modes are selfishness, hunger and reproduction, and boredom; and finally, as human-Dasein’s supreme existential mode wherein his or her understanding of Being is revealed, the heart of compassion. 쇼펜하우어는 의지의 형이상학에 입각해 인간 실존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이를 ‘쇼펜하우어의 현존재 분석’으로 정립하여 인간 현존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다. 쇼펜하우어는 인간을 철학적 사유로 인도하는 계기를 ‘고(苦)의 실상’으로 보았다. 고통 속에서, 인간은 형이상학적 동물로서 그 근원을 천착하게 된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고통의 근원은 곧 세계의 근원과 같다. 그의 철학에서 양자는 무엇[본질]-물음으로 통합된다. 그는 자기의식을 분석하여 ‘의지’라는 답안을 제출하였다. 의식의 심층에서 물자체는 시간 형식을 통해 의지의 활동으로 개시한다. 그러므로 쇼펜하우어의 존재론에서 ‘존재와 시간’은 ‘의지와 시간’이 된다. 의지는 만유의 본질이다. 물자체로서의 의지는 유기체를 통해 ‘살려는 의지’로 개시한다. 인간은 유기체로서 살려는 의지가 개시되는 처소, 즉 현-존재(Da-sein)이다. 그러므로 시간성의 지평에서 의지는 인간 현존재의 실존론적 근본 규정으로서 개시되며, 이러한 규정에는 피투성, 몸성, 고의 현사실성이 포괄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인간 현존재는 ‘고통에 내던져진 몸의 현존재임’이 밝혀진다. 쇼펜하우어의 존재론에서 본질은 실존에 있다. 의지의 본질은 인간 현존재의 구체적인 실존 양식으로 전개된다.―의지의 본질로서 내재성, 카니발리즘, 무목적성이 발굴되고, 이에 따른 실존 양식으로서 이기심, 굶주림과 번식, 권태가 정립된다. 마지막으로 동고의 발심이 인간 현존재의 존재이해가 드러나는 ‘탁월한’ 실존 양식으로서 정립된다.

      • 미국에서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입법적 논의

        박영호 대한변호사협회 2005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50

        미국에서는 Living Will이 있거나 의사능력이 있는 상태에서 결정한 소극적 안락사를 종교의 자유와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인정하면서 자신의 의사에 따라서 종교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있는 것처럼 자신의 의사결정에 따라 연명치료를 거부하는 것은 인간의 타고난 권리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역대 어느 정권보다 친기독교적인 정책을 노골적으로 취하고 있는 부시행정부에서도 Living Will에 의한 소극적 안락사는 개인의 헌법상 권리로 인정하고, 종교인들도Living Will에 의한 소극적 안락사에 대하여는 반대 의사를 표현하는 것을 매우 꺼려하고 있는 것은 소극적 안락사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알게 하여 준다.소극적 안락사가 광범위하게 묵인되고 있는 우리 나라의 현실과 세계적인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문제는 현재 환자의 회복 불가능성에 대한 판단이나 환자 본인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사표시의 진정성 여부에 관한 판단에 대하여 아무런 기준도 없이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나 환자 가족의 독단적이고 독선적인 판단에 의하여 소극적 안락사라는 미명하에 실제로는 환자를 살인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에서와 같이 소극적 안락사는 당연히 허용하면서도 그 시행은 매우 엄격히 규제하여 환자의 소극적 안락사 시행 이전에 반드시 환자의 회생가능성 여부와 환자의 연명치료거부 의사의 표시 여부를 법원의 판단을 받아서 그 법원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소극적 안락사를 시행하도록 하여 소극적 안락사를 허용하되 그 허용요건과 시행을 엄격한 감시와 통제하에 두는 것이 오히려 더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변덕스런 버스]의 여성혐오주의논란에 대한 성(性)의지 관점에서의 재해석

        김은진(Kim Eunjin),이건근(Lee Geonge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존 스타인벡의 󰡔변덕스런 버스에 대한 여성혐오주의 논란을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주의(主意)주의 성(性)의지론에 비추어 재해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필자들은 우선 이 소설에 대한 논점들을 살펴보고, 논쟁거리가 된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야기 전반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그 과정에서 당시 작가의 험난한 혼인생활에서 야기된 여성폄하적 태도와 성적으로 더 매력적인 자가 성교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성적 선택설에 입각한 사고가 이러한 논란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음을 제시한다. 또한 이 소설가가 심리적 서술방법으로 열명에 이르는 등장인물들의 내면세계를 거의 균등하게 묘사하고 있는 흥미로운 사실이 성의지의 보편성과 관련 이 있음을 밝힌다. 이것을 감안하여 의지가 이성보다 인간의 실제 삶에 더 커다란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는 쇼펜하우어의 생명의지와 니체의 역능의지를 원용하여 이 작품을 해석한다. 이 분석을 통해 이 소설은 단지 작가의 여성혐오주의에 기인하기보다 제2차 세계대전직후 미국사회에 만연되어있던 자본주의 병폐들 중 하나인 성의 물화현상에 반대하는 인간의 순수한 본성을 묘사하고 있는 것임을 주장한다. 나아가서 작가뿐만 아니라 이 철학자들의 사상들이 반드시 여성혐오주의를 지지한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the controversy over the misogyny of John Steinbeck’s The Wayward Bus in the light of Schopenhauer’s and Nietzsche’s voluntaristic sexual will theory. For a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s first discuss the points at issue about this novel and introduce the whole story centralized on its controversial text briefly. The process suggests the fact that this argument is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attitude of denigrating women caused by the writer’s stormy marriage life of the time and the idea grounded in the sexual selection theory that a more sexually attractive person is more likely to have the possibility of making love. Also, the interesting fact that the novelist describes the inner world of as many as ten characters almost equally in the psychological methods of narration is revealed to be related to the universality of the sexual will. Considering this aspect, the researchers interpret this work by quoting Schopenhauer’s will-to-live and Nietzsche’s will for power, who insist that the will plays a larger role than the intellect in real human live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claimed that this novel merely delineates the pure human nature against the phenomenon of making sexuality a commodity, one of the capitalistic ills with which the American society was pervaded right after World War Ⅱ rather than being merely caused by the writer’s misogyny. Moreover, the researchers emphasize that the two philosophers’ ideas as well as the writer’s do not necessarily support misogy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