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판의 ‘편향성’과 잊혀진 질문 ― 당대 중국의 ‘궈모뤄(郭沫若) 현상’

        이종민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9 中國現代文學 Vol.0 No.50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is the perspective which recognizes literature as an expression of individual sensibility independent from politics. As everyone knows, when each field would emphasize its own specialization, the rhetoric of ‘independent from politics’ was usually used in China,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relation with politics, rather, it should be seen as a strategy that the field would have a right to freely express its own view based on the specialty. From this point,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also required the right that without political bonds, writers could freely express their own views in literary way. Nevertheless, the problem in this view lies in how to valuate the works, such as Guo`s literature, of expressing the voice of the selfless relating to the nation-making beyond the self of the individual. When we uniformly apply the same standard to Guo`s literature, probably, his works may be valuated to be no literary worth, even, have a possibility to be excluded from literary category itself. For instance, so the logic of ‘progress in thought, retrogression in art’ was, and under such a logic, only <the Goddesses> in the May Forth period and as its way of literary thinking the Pantheism, came to have a literary value among the whole literature of Guo. But, from Guo’s own point, if this was the very process of socially expanding the individual by the imit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western individualism, and through the resistance against suppressive reality, then, I think the way of valuation as that of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should be reserved. Ironically, Guo w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claimed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in the May Forth period, and he also supported the literature of expressing individual sensibility and independence of art. However, as many critics point out, it is true that Guo`s real literary activities had a lot of inconsistencies with his claim. I think, one of the major reasons which gave rise to these inconsistencies is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understanding on ‘the inner’ of the individual as a writing space in Guo’s literature. Though Guo in his poetry enthusiastically expressed a rebellious spirit against outside world, however, in a practical life he was merely a weak individual, who was always frustrated by suppressive reality like figures in his autobiographical novels. Guo could not accomplish his ideal of building a liberal society in reality, instead, in his inside made a holy ground called the inner to desire to deconstruct a corrupt world and to realize individual freedom in an imaginary space. Guo`s literature in the May Forth period was created just in the inner as an aesthetic space of the self, however, the inner was never a pure aesthetic space separate from society and politics, but a critical place that in a position of the self superior to outside reality, Guo thought about the matters of individual emancipation, national salvation, peace of the human being and modern China. The inner was also the place in which modern Chinese Literature was born by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e self. The self in literature could freely express its own desire in a superior position, however, the suppressive reality continuously made the self feel its limitation by thoroughly frustrating the self`s ideal. Hence, while the project of aesthetic resistance based on the inner became increasingly nerveless before the undeniable great tradition and reality, eventually in the late May Forth Guo came to feel a sense of disillusion to an extreme extent. Going through this experience of fail, Guo’s aesthetic autonomy combined with Marxism, which awakened him to the fact that his aesthetic autonomy is ineffective in coping with China’s situational crises, then, Guo’s literary thinking came to shift from aesthetic resistance to realistic resistance by discovering the Proletariat as an expanded individual. ...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is the perspective which recognizes literature as an expression of individual sensibility independent from politics. As everyone knows, when each field would emphasize its own specialization, the rhetoric of ‘independent from politics’ was usually used in China,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relation with politics, rather, it should be seen as a strategy that the field would have a right to freely express its own view based on the specialty. From this point,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also required the right that without political bonds, writers could freely express their own views in literary way. Nevertheless, the problem in this view lies in how to valuate the works, such as Guo`s literature, of expressing the voice of the selfless relating to the nation-making beyond the self of the individual. When we uniformly apply the same standard to Guo`s literature, probably, his works may be valuated to be no literary worth, even, have a possibility to be excluded from literary category itself. For instance, so the logic of ‘progress in thought, retrogression in art’ was, and under such a logic, only <the Goddesses> in the May Forth period and as its way of literary thinking the Pantheism, came to have a literary value among the whole literature of Guo. But, from Guo’s own point, if this was the very process of socially expanding the individual by the imit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western individualism, and through the resistance against suppressive reality, then, I think the way of valuation as that of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should be reserved. Ironically, Guo w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claimed the theory of aesthetic autonomy in the May Forth period, and he also supported the literature of expressing individual sensibility and independence of art. However, as many critics point out, it is true that Guo`s real literary activities had a lot of inconsistencies with his claim. I think, one of the major reasons which gave rise to these inconsistencies is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understanding on ‘the inner’ of the individual as a writing space in Guo’s literature. Though Guo in his poetry enthusiastically expressed a rebellious spirit against outside world, however, in a practical life he was merely a weak individual, who was always frustrated by suppressive reality like figures in his autobiographical novels. Guo could not accomplish his ideal of building a liberal society in reality, instead, in his inside made a holy ground called the inner to desire to deconstruct a corrupt world and to realize individual freedom in an imaginary space. Guo`s literature in the May Forth period was created just in the inner as an aesthetic space of the self, however, the inner was never a pure aesthetic space separate from society and politics, but a critical place that in a position of the self superior to outside reality, Guo thought about the matters of individual emancipation, national salvation, peace of the human being and modern China. The inner was also the place in which modern Chinese Literature was born by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e self. The self in literature could freely express its own desire in a superior position, however, the suppressive reality continuously made the self feel its limitation by thoroughly frustrating the self`s ideal. Hence, while the project of aesthetic resistance based on the inner became increasingly nerveless before the undeniable great tradition and reality, eventually in the late May Forth Guo came to feel a sense of disillusion to an extreme extent. Going through this experience of fail, Guo’s aesthetic autonomy combined with Marxism, which awakened him to the fact that his aesthetic autonomy is ineffective in coping with China’s situational crises, then, Guo’s literary thinking came to shift from aesthetic resistance to realistic resistance by discovering the Proletariat as an expanded individual. B...

      • 자원봉사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관한 연구 : 개인 자율성, 개인 역량, 조직 역량을 중심으로

        이경훈 ( Lee Kyung-hoon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자원봉사 종사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변수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영향 변수들은 그 동안 자원봉사자들의 만족도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개인 자율성, 개인 역량, 조직 역량이다. 세 가지 주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서, 경기도 31개 시, 군 자원봉사센터 소속의 자원봉사자 2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자율성과 자원봉사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봉사활동의 개인 자율성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자원봉사자들이 느끼는 봉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개인 역량은 봉사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관 역량의 영향에 관해서는 자원봉사단체(기관)의 역량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봉사자들은 더 높은 봉사만족도를 느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봉사자들의 봉사에 대한 만족을 통한 자원봉사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 봉사자 개인의 자율성과 함께 개인 봉사자들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봉사기관의 역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antecedents that influence volunteer satisfaction. The main antecedents are individual autonomy, individu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apacity, which have received little research attention so far in the studies of volunteer satisfaction. To test the three main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urvey data with 245 volunteers belonging to 31 city and county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Gyonggi province.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utonomy and volunteer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dividual autonomy of volunteer activities was perceived as, the greater the volunteers’ satisfaction was. Second, individual competenc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volunteer satisfaction.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apacity, the greater the capacity of a community service centers was perceived as, the greater satisfaction the volunteers fel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facilitate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volunteer satisfaction, community service centers’ capacity to effectively support individual volunteers is of critical importance, along with volunteers’ individual autonomy.

      • KCI등재후보

        자율성과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유수정(Yoo, Sujung),최경석(Choi, Kyungsu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1

        이 글은 생명윤리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온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자율성의 근대적 이념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생명윤리담론에서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사실상 자유 존중의 원칙에 가까운 것이었다고 비판한다. 자율성이 지나치게 강조되었던 것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가 사회이념으로 자리 잡는 사회상의 반영이기도 했다. 그러나 자율성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적 생명윤리 담론은 생명윤리적 쟁점들이 지닌 사회적 측면에서의 문제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게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공동체주의에 주목한다. 이 글에서 지지하는 공동체주의는 권위주의적 공동체주의가 결코 아니며, 자율성이라는 개인선과 공동선의 균형을 추구하는 공동체주의이다. 칼라한의 견해에서 주목할 수 있듯이, 공동체주의는 첨단 의·생명과학기술들의 수용과 관련하여 “그 기술이 우리 모두에게 무엇을 의미할 것인가?”라는 질문부터 제기함으로써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이것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자들이 어떤 새로운 기술이 단지 개인들에게 유용하다거나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그 기술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는 다른 접근이다. 아울러 칼라한은 자유로운 선택 중에서도 무엇이 좋고 나쁜 선택인지 구별하는 것까지 자율성 개념이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공동체주의가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해 어떤 새로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생명윤리적 쟁점을 형성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주의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는 생명윤리학에서 답해야 하는 문제들이 지금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들이 지금과는 다르게 해결되어야 함을 공동체주의는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critically considers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ioethical discourse. Although not rejecting the modern ideal of autonomy,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is no more than that of respecting freedom. The overestimation of autonomy reflects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liberal individualism had become an ideology. However, liberal individualistic bioethical discourses based on autonomy has their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fully deal with social problems embeded in bioethical issue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we need to explore a new approach to bioethical issues and to note a communitarian approach as a new one. Communitarianism this paper supports is not an authoritarian one, but responsive one that pursues the balance between individual good like autonomy and common good. As Callahan points out, communitarianism suggests a new approach by raising the question, “What will a new technology mean for all of us together?” This is different from liberal individualistic approach that raises whether a new technology is useful for an individual and what it means for him/her and decide whether to adopt it. In addition, Callahan argues that autonomy should be broaden to encompass an analysis of what constitutes morally good and bad free choices. This shows that communitarianism worries about the position in which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is understood to be that of respecting freedom. Communitarianism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new approaches that forms bioethics issues, although it produces a new concrete solution. Communitarian perspectives suggest that different bioethical issues may be raised and we may solve them differently.

      • KCI등재

        ‘신자유주의적 개인주의’와 자율성 존중의 원칙

        김문정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While the principle of autonomy is widely regarded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biomedical ethics, it is not completely clear how that principle should be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a reasonable concept of autonomy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neo-liberalist individualism. Neoliberalism developed out of the liberal tradition that emphasizes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s. However, the concept of autonomy at the root of this rights-based view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and qualitative changes to, individualism. In this article I discuss and reconsider the meaning of autonomy in terms of “an individual” as reflected in the spirit of neo-liberal individualism. I argue that while competition and accumulation are thought to be virtues of contemporary life, liberty should be understood, not in terms of liberty from interference, but rather in terms of liberty from the severe inequalities caused by the dominant social relations. This notion of liberty as non-domination is central to a more robust and meaningful principle of autonomy.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시대에 적합한 자율성의 논의를 주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생명의료윤리 영역에서 강조되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 다. 이에 필자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에서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변화를 가져온 신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에 대해 고찰하였다. 신자유주의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강조하는 자유주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그 렇지만 개인주의의 양적 팽창과 질적 변화를 통해 과거의 그것과는 분명 다르게 변모, 변질되었다는 사 실에 주목해, 그동안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의 관점에서만 이해되고 검토되어 왔던 자율성의 개념을 오늘날 현대사회, 특히 신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신조가 반영된 개인과 그러한 구조에 둘러싸인 개인의 삶의 조건들 속에서 새롭게 고려되어야 할 자율성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오 늘날 경쟁과 축적의 미덕의 시대에 단지 타인으로부터의 간섭과 방해의 부재가 아니라 지배관계에 현 존하는 극심한 불평등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즉 개인적 삶의 취약성과 불확실성을 넘어서 지배와 피지 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들어서는 것이야말로 자유로운 삶을 영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비지배의 자유는 다양한 상황과 조건들에 처한 인간들의 자율성을 회복하는 데 하나의 시대적 응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코기토, 소유적 개인주의, 예속적 주체화 ―서양 근대에서 개인과 개인주의―

        진태원 ( Jin¸ Tae-w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이 논문에서 나는 우선 서양 근대의 철학적 개인에 관한 지배적인 서사(특히 하이데거에서 유래한 서사)를 살펴보면서 그것이 지닌 맹점과 역설을 검토해볼 것이다. 그 다음 이러한 서사에서 빠져 있는 정치적 개인에 관한 또 다른 쟁점들을 ‘소유적 개인주의’라는 해석틀에 입각하여 검토해볼 것이다. 이러한 검토는 근대의 정치적 개인이 함축하는 양가성을 보여줄 것이다. 세 번째로 알튀세르와 푸코가 각각 나름대로 제시한 바 있는 예속적 주체화의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예속적 주체화라는 개념은 근대의 철학적 주체 및 정치적 주체에 관한 서사들을 전도하여, 자율적 주체로서의 개인들이 사실은 지배관계의 재생산 메커니즘 속에서 예속적으로 생산되고 재생산된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서양의 철학적 근대성과 정치적 근대성에 대한 강력한 도전이다. 관계론적 자율성 이론은 탈근대 사회 또는 신자유주의 사회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오늘날의 시대에 주권적 개인성 이론에 대해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마지막 결론이다. In this paper, I will first look at the dominant narratives of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individual in the modern Western philosophy (especially one derived from Heidegger), and examine its blind spots and paradoxes. Then I will review other issues concerning individuals as political subjects that are missing from these narratives on the basis of an interpretative framework of ‘possessive individualism’ which will demonstrate the ambivalence of modern political subjects. Third, we will look at the problem of assujettissement (subjectification), which Althusser and Foucault have suggested in their own ways. The concept of assujettissement is a strong challenge to Western philosophical and political modernity in that it overturns modern philosophical and political narratives, showing that individuals as autonomous entities are in fact subjugated and reproduced in the reproduction mechanism of domination.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the theory of relational autonomy may be one alternative to the theory of sovereign individuality in today’s age,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ostmodern or neoliberal one.

      • KCI등재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역할

        김미선,남숙경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와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역할을 알아보았다. 경상남도 J시에 소재한 특성화고 2, 3학년 남학생 416명이 참여 하였으며, 연구 결과 진학 및 취업 진로결정 집단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진로결정 집단간의 평균차이를 살펴보면,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진로 결정자율성의 하위변인인 확인된 조절과 학교생활만족도에서,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학 집단의 경우, 개인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집단의 경우, 집단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과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조절 두 개의 변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진학집단에서는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동기가 개인주의와 학교생활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집단에서는 집단주의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이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더불어, 유의하게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decision making factors between a career decision while entering a college and a career decision while attaining a job. We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identified regulation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f the groups and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a career decisions. In addition, the identified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student group for college admission had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those two variables. There was also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f an identified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student group for employment as well as the intrinsic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 KCI등재

        자치, 그리고 공동체주의 논거와 실천모색

        임승빈 ( Lim Suhngbi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3

        지난 200여 년 동안 발전해온 현대 민주주의와 지방자치 발달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이 필요하다는 것이 하나의 상식으로서 존재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민주주의는 대의 민주제의 위기를 넘어 참여 민주주의의 위기라고 언급할 수 있을 정도로 참여층의 과두제화와 극단적 지역이기주의의, 참여 무관심 층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치의 근본인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논리적으로 재탐색해보자는 데에서 출발했다. 우리가 지방자치를 이기적 지방자치가 아닌 자치공동체를 지향한다고 한다면 ‘자유방임적’ 자치이냐 혹은 ‘공동체주의적’ 자치이냐 라는 문제에서 명백히 후자를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을 보면 지방자치가 이기적인(selfish)것보다는 공동체 정신을 강조하면서 지방각자의 고유성을 찾아가는 개별주의(individualism)로 나아가는 것이 합리적임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해 자치와 공동체주의에 대한 이론적 논거와 한국적 상황에서 자치공동체주의에 기반을 둔 지방자치 실천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에서의 ‘공공의 선’을 만드는 공동체 주의가 우선시되기 위해서는 대의제를 보완하기 위한 SNS등의 직접민주주의 강조에만 있지 않고 읍면동 주민자치위원들의 선출방식을 시민배심원제도와 같은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Despite the common sense that there is a need for citize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local governmen that has developed over the last two hundred year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democracy is a crisis of participatory democracy beyond the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conglomeration of the increase of the indifferent participant in the area of extreme selfishness are prominent.Therefore, this paper begins with a logical re-examination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which is the basis of autonomy. If we aim for autonomous community rather than selfish local autonomy, we must clearly emphasize the latter in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laissez-faire" autonomy or "Communitarianism" autonomy. But in our reality, it is not true that it is reasonable for local autonomy to move towards individualism, which seeks the uniqueness of each locality, emphasizing the spirit of community rather than selfish. In conclusion, in addition to the emphasis on direct democracy, such as SNS, to complement the agenda in order to prioritize the communitarianism that creates a “common good” in the Communitarianism, The method of electing the residents in each district is Insist in the same way as the civil jury system.

      • KCI등재

        서구사회 개인화 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신경아(Shin Kyung-Ah) 한국여성연구소 2012 페미니즘 연구 Vol.12 No.1

        이 글은 그동안 주로 남성 사회과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온 개인화 이론을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재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구사회의 개인화 논의가 갖는 남성중심적 성격을 밝히고 여성주의 이론에서 개인화 논의는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주요 쟁점과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서구 사상사에서 ‘개인’ 개념이 갖는 이론적 함의를 살펴보고 20세기 후반의 개인화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논의를 검토한 후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후기근대 사회의 개인화란 근대적 남성주체의 구조적 쇠락(衰落)을 의미하며, 자율성과 책임을 모두 고려하는 여성주의적 개인 개념이 필요함을 제기하고 있다. This paper has reviewed the individualization thesis in western Europe theorized by Giddens, Beck, and Bauman in the feminist perspectives. It has two kinds of discussions, which one is to reveal the androcentric bias in the theory and the other is to show how the individualization thesis can be developed including women’s experiences and ways of thinking. In order to make a re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ization thesis in feminist perspec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individual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s at first. Then, it throws light on the individuality in late modernity so that may find th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within the theory. In a conclusion, this paper interprets the individualization in late modernity as the structural declination of a modern androcentric subject, and insists on the introduction of the feminist concept of individual accepting responsibility as well as autonomy.

      • KCI등재

        개인이 바랄만한 개인주의 : 동아시아 문화에서 개인주의 발견의 정당성

        모기룡(Mo, Ki Ryo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8 No.-

        서양의 문화와 사고방식은 개인주의적이고 동양은 집단주의적이라는 생각은 최근까지 비교문화학과 사회심리학에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이분법을 비판하는 주장들이 있었고,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적 성향이 집단주의와 다르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하지만 ‘관계적 집단주의’처럼 동양의 관계주의를 집단주의에 속하거나 그에 가깝다고 보아왔다. 최근에는 동양의 오래된 문헌과 사상에서 개인주의적 속성을 찾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그것을 개인주의로 보는 것이 정당한지, 그리고 그 시도의 필요성의 정당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개인주의는 여러 가지 가치적 요소들의 혼합이며, 분리적 관점과 이익적 관점으로 개념화시킬 수 있다. 서양 문화의 산물인 분리적 개인주의는 독립성과 비의존성을 강조하는 반면, 이익적 개인주의는 개인의 이익을 위해 ‘관계적 자율성’을 가질 수 있다. 동기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관계적 성향이 강한 동양 문화권 사람들도 자신의 이익을 가장 중시함을 보고하였다. 사회적 분리는 개인에게 많은 고통과 불행을 낳는다. 분리적 개인주의는 그 자체로 분리와 고독의 치명적 단점을 가지면서 개인의 이익을 우선한다는 내적 모순을 가지고 있다. 동아시아 문화에서 찾을 수 있는 개인주의는 이익적 개인주의이며, ‘관계적 개인주의’이다. 그것은 분리적 개인주의가 낳는 문제를 개선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Until recently, cross-cultural studies and social psychology have accepted the idea that Western culture and their ways of thinking are individualistic while Eastern culture is more inclined toward collectivism. However, there have been counter-arguments that criticized the dichotomy betwee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addition to claims that the relational tendencies of East Asian culture are different from collectivism. Nonetheless, similar to “relational collectivism,” Eastern relationalism has continued to be considered as collectivism or close to it. There has been a recent emergence of studies that identify individualistic inclinations in the old Eastern literature and thoughts, which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fair to classify such a disposition as individualism and what is the justification behind such an attempt. Individualism is a compound concept conceived through various elements of values and can be conceptualized from a perspective of separation and a perspective associated with self-interests. Separative individualism, a product of Western culture, highlights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while individualism associated with self-interest can have “relational autonomy” for the interest of an individual. Empirical studies on motivation reported that individuals with strong relational tendencies from Eastern culture also give priority to their own interests. Social separation causes considerable suffering and unhappiness for individuals. Separative individualism itself has an internal contradiction as it prioritizes individual interests while having fatal flaws of separation and loneliness. The individualism found in East Asian cultures is the individualism associated with self-interests and “relational individualism.” This can be an alternative to ameliorate the issues generated by separative individualism.

      • KCI등재

        표현의 자유에 대한 개인주의적 접근방법과 공익적 접근방법 -반론권에 관한 미 연방대법원 판례를 통해 바라본 헌법 이론적,철학적 지형-

        장철준 ( Cheol Joon Chang )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8 世界憲法硏究 Vol.14 No.3

        미국 헌법학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절대적 보장론의 유력한 근거 중의 하나가 개인의 자율성 신장이다. 이는 개인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전통에 의거한 것으로 자율성 수호를 기치로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에서 표현에 대한 국가의 간섭의 배제가 정당화된다. 여기에서의 자율성이란 개인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체의 외부적 제한이 없는 상태를 뜻하며 어떠한 명목으로든 국가 간섭주의를 배격하려 한다. 한편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등장한 공동체주의 사상이 발전하면서 표현의 자유 영역에서도 개인의 자유보다 공익을 우선시하는 견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자율성의 진정한 의미를 찾는 작업에서 정당화 근거를 도출하려고 하였는데,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공적 토론 과정에서 진정한 시민의 자율성이 확보되려면 개인주의에서 말하는 형식적 자율성의 허울을 벗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실질적으로 토론에 필요한 정보가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 구성원들을 위해 얼마나 공평하게 배분되었는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개인주의적 접근방법의 자율성 가치가 기존의 불평등, 부당한 정보의 배분 상태가 자율성을 명목으로 고착화 되었다는 사실이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진정한 자율성을 실현하기 위해 자율성을 핑계 삼은 표현의 자유 보호 논리는 지양되어야 한다. 자유와 자율성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이해한다면 개인주의 논리에서도 자유의 제한을 통한 자율성 신장이 가능한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라즈의 완전주의적 자유주의 개념에 의하면 국민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국가의 역할이 자유주의 내에서도 정당화 될 수 있다. 자유주의가 지배적 사상으로 자리매김 해 온 미국과 같은 환경이라면 공익적 접근방법의 자율성 제외 논리가 설득력을 가질 수 있으나 단체주의 사상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우리 상황에서는 자유주의에 대한 수정된 이해를 통해 자율의 가치를 유지하며 공익적 접근방법에서 제기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solute protection theory of freedom of speech in American constitutional law is justified by the value of individual autonomy. Traditional liberal individualism, which promotes autonomy as a foremost theoretical target, prohibits the government from constraining free speech over the process of public deliberation for the democratic collective self-decision making in the name of protecting autonomy. Autonomy, in this context, means being free of paternalistic external constraints.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tarianism, the collectivist theory of free speech, in which public interests are considered highly, has been shown. The theory criticize the liberal individualist approach to free speech for that autonomy, in this approach, is used as an excuse of existing unequal distribution of inform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source of the public deliberation. The strategical method of the collectivist theory to attack the individualist perspective, therefore, is concentrating on deconstructing this autonomy pretext. A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liberty, which was studied by Gerald Dworkin and many scholars, reveals the new possibility that autonomy can be promoted by the paternalistic intervention of liberty. In addition, Joseph Raz`s perfectionist liberalism, in which the government can ban immoral choices for promoting autonomy, leads a new understanding of liberalism instead of the traditional individualistic liberalism in the area of freedom of speech. Those works can be meaningful especially in the Korean circumstance where the collectivist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rights has relatively prevailed so f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