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으로 인해 발생한 형사책임의 귀속주체

        윤영석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1

        Automated vehicle refers to an self-driving automobile without regular vehicle control. Autonomy is classified in steps from 0 to 5 and drivers are not responsible for driving vehicles from the fourth step. In this paper, accountable subjects will be discussed when crimes violating the criminal law occurred in association with driving an automated vehicle. First, it is possible to think of responsibilities of automated vehicle designers and producers. As they proposed judging criteria of automated vehicle, they are generally responsible for triggering crime results from automated vehicle. If dilemma they suffer from is taken into accounts, it is quite difficult to impose unlimited criminal responsibilities on them. It is required to apply and interpret Article 20 of criminal law properly. Meanwhile, commitment responsibilities can be attributed to designers and producers if they are attributable to the errors of designing and producing automated vehicle's hardware and software and crime results were arisen from that mistake. Second, passengers in the automated vehicle can be attributed to criminal responsibilities. Drivers of the automated vehicle in the third step do not necessarily have to drive the car. Yet they are still obligated to control the car properly in case of emergency. They cannot avoid the criminal responsibility if car accident is taken a place without carrying out obligations. In contrast, drivers of the automated vehicle in the fourth step or higher are completely excluded from driving. Only in exceptional cases they may be attributed to criminal responsibilities. Unqualified driving and drunk driving can be considered on the same premise. What can be finally reviewed is whether criminal responsibilities can be imposed on automated vehicle itself independently from people. Artificial intelligence of automated vehicle is not assumed to be fully developed to discuss this step yet. However, future technologies can be developed at unpredictable speeds and directions, and at some point it will be necessary to criminalize automated vehicles themselves that are out of human control.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의 상시적인 차량 제어가 없어도 스스로 운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자율성은 0에서 5단계로 구분되고, 4단계부터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할 책임이 완전히 제거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과 관련하여 형사상 범죄가 발생하였을 때 그 책임귀속 주체에 대하여 논의하여 본다. 먼저 자율주행자동차의 설계자 및 제작자의 책임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들은 자율주행자동차의 판단기준을 제시하였으므로 자율주행자동차가 범죄결과를 발생시킴에 대하여 전체적인 고의가 있다. 그러나 이들이 겪는 딜레마를 고려한다면 이들에게 무제한적으로 형사책임을 묻기 어렵다. 이에 대해 일반조항인 형법 제20조를 적절히 적용․해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설계자․제작자에게 자율주행자동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제작에 관한 과실이 있고 그 과실로 인해 범죄결과가 발생하였다면 위 논의와는 별개로 과실범 책임을 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자율주행자동차에 탑승한 사람의 형사책임이 문제된다. 3단계 자율주행자동차의 운전자는 상시적으로 차량을 운전할 필요는 없지만 사고발생상황 등 비상상황에서 차량을 적절히 통제할 의무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한 의무를 다하지 아니하여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형사책임을 면할 수 없다. 이와 달리 4단계 이상의 자율주행자동차의 운전자는 운전에서 완전히 배제되고,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만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으로 인한 형사책임을 질 것이다. 무면허운전 및 음주운전죄도 위와 같은 전제에서 판단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검토될 것은 자율주행자동차가 스스로 인간과 독립하여 형사책임을 부담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아직 이 단계의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정도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인공지능이 발전하지는 아니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미래 기술은 예측할 수 없는 속도와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어느 시점에서는 인간의 제어를 벗어난 자율주행자동차 자체를 형사처벌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독일 도로교통법상 자동주행차의 규율에 관한 검토

        정다은,임현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technical development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global market, many countries try to make legislatio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However,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Korea is acting slowly to take legislative measures, which can result in limiting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y, the response to the global market and the convenience of people’s live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the paper aims to review the case of Germany which has made constant efforts to prepare policies and legislation for regulating automated vehicles. Also, by analyzing not only the discussions about amending German Road Traffic Act to introduce regulation of automated vehicles but also the amended regulations in the Act, it suggests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legislation on automated vehicles. The paper has four main parts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chapter. First, in the second chapter it deals with the concept of automated and autonomous vehicles and in the third chapter the political and the legislative discussions before and after the amendment to German Road Traffic Act to introduce regulation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fourth chapter, after interpreting the amended regulations in the Act, the paper introduces the concrete discussions and the criticisms on the regulations. Based on the review in these chapters, in the fifth chapter, the paper suggests some implications of the regulation contents in German Road Traffic Act and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m for Korean legislation on automated vehicles. First, more political and legislative discussions about regulating the use of automated vehicles should be in earnest begun - in specific such as about the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and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the proper operation of a public-private consultation organization and the measures for improving public acceptance. Second, som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must be taken. It is needed to use the term ‘Automated Vehicle’ instead of the term ‘Autonomous Vehicle’ which is used in the current legislation but is not enough for including various automation levels. Safety standards and operating permission of automated vehicles must be regulated not in Enforcement Rules of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and Notification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t in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itself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s in the German Road Traffic Act, driver must be also the one who activates the automated driving system and have a general driving license.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rinciple of Law-reservation to regulating automated vehicles can be limited due to high technology and professionality in the area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legisl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discuss enough the issues of the concretization of legal norms through administrative rules and broad delegation to enforcement decrees. 세계시장에서 자동주행차 산업의 기술발전은 계속되고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자동주행차의 상용화를 위한 법제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비해 우리나라의 입법적 대응은 더딘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자동주행차 관련 국내산업의 발전과 세계시장에의 대응 및 국민들의 삶의 편의를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하여, 꾸준히 자동주행차에 관한 정책적․입법적 대응을 해 온 독일의 사례, 특히 독일 도로교통법의 개정논의와 관련 규정들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법제에의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논문은 크게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Ⅱ장을 통해 자동․자율주행차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본 후, Ⅲ장에서는 자동주행차의 규율을 위한 독일 도로교통법 개정과 관련하여 개정 전후의 정책적․입법적 논의들을 파악해본다. Ⅳ장에서는 개정된 도로교통법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논의와 비판을 살펴본다. 이러한 검토내용을 바탕으로 V장에서는 자동주행차에 관한 독일 도로교통법의 규정내용과 관련 논의가 우리 법제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였다. 먼저 자동주행차의 이용에 관한 정책적․입법적 논의가 보다 본격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제적 기술수준과 국제규범에 대한 고려, 범부처 민․관 협의기구의 실질적 운영, 국민의 수용성 제고 등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자동주행차에 관한 입법의 정비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현행법상 자율주행자동차라는 용어를 자동주행차로 대체하고, 현재의 기술수준을 포섭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개념 정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언급하였다. 자동주행차의 안전기준 및 운행허가의 법적 근거를 마련함에 있어서는 독일 도로교통법상의 규정내용을 참고하여 현행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및 국토교통부장관 고시의 규정내용을 법률과 법규명령에 규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자동주행차의 운전자에 대한 입법에 있어 운전자는 자동주행 시스템을 활성화한 사람이 되며, 운전자는 일반 자동차의 운전면허를 소지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자동주행차가 고도의 기술과 전문성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법률유보이론의 적용을 통한 규율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입법과정에서 행정규칙을 통한 법령의 구체화 문제, 법규명령에의 포괄적 위임의 문제 등이 충분히 논의되어 그에 대한 대응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후보

        실제 도로상 자율주행자동차 평가 프로세스 도출 연구

        이영택,윤일수 한국모빌리티학회 2023 모빌리티연구 Vol.3 No.1

        As the hardware and software that make up the automated driving system become more complex, consumers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driving safety of automated vehicles in various fields such as failures of automated driving systems, risks to cybersecurity, and ethical issues of automated driving algorithms. Of course, efforts have been made to test the driving safety of automated vehicles in the simulation and proving ground. However, with current technology, there are clear limitations in implementing a perfect reality situation in simulation and proving ground. Therefore, it is time to focus on the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this safe evaluation of automated vehicles on the real road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define processes and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the driving safety of real automated vehicles on real roads. To this end, the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indicators to be observed when evaluating automated vehicles on real roads are presented through related trends and research reviews. In addition, three prerequisites to be observed before performing the evaluation were presented. First, only vehicles that have been certified for temporary operation permission after sufficient testing on the proving ground are eligible. Second, a pre-safety inspection of the vehicle must be performed before driving on a real road. Third, a supervisor is required to ride and manage a real automated vehicle to test it, and a vehicle accompanying it is needed in case an accident occurs. Under the above prerequisites, this study proposes four steps for safe and effective evaluation of automated vehicles. The first step creates a matrix that can represent Korea's transportation environment. The second step is to select a test section suitable for the operational design domain of an automated vehicle. Third, specify the driving conditions only when possible or necessary. Finally,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driving a real automated vehicle along the set test section. In order to evaluate an automated vehicle on a real roa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while the automated vehicle is driving in real time and conduct several tests to be evaluated. At this time, the final evaluation report shall be prepar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imulation and proving ground. As a result of reviewing related studies to select indicators for evaluating real automated vehicles, a total of 66 evaluation indicators was selected. This was divided into 7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and presented with a definition. It is believed that a basic design for the safe test of real automated vehicles can be derived through the real automated vehicle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차의 운행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법적 과제 ― 영국의 경험을 참고하여 ―

        김용훈 한국공법학회 2017 공법연구 Vol.46 No.1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various devices which ensure the convenience and one of the devices is the automated Vehicle. It is no necessary to operate or adjust the vehicle because the vehicle recognize the circumstances around it and pay attention to risky elements on its own. Thu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n epoch-making change in our life-style in various fields from individual convenience to the comprehensive aspects such as road safety and social well-fare etc. By the way, even though we will be able to expect and obtain the several advantages for the automated vehicle, it is necessary to pursue and adopt the specific legal strategies for the sake of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vehicle. More than anything else, it is true that there should be technical support and guide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 but it is more importan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s for the management and legal treatment and so forth due to the fact that thre will be disaster provided that we only consider and focus on the expected advantages and convenience rather than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institutions for the management of the vehicle. Thus it is significant to consider and discuss legal issue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automated vehicle because the policy and related management will be processed and achieved by the legal instrument like other fields. In particular, the public law strategies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s in that concrete legislative means are acquired for the sake of the automated vehicle policy thanks to the public law strategies. When it comes to the public law strategies, the crucial issues are the matter of licence or certificate for the driving the vehicle, the matter of responsibility burden and the matter of protection of privacy right etc. It is Great Britain that tries and plans to manage the policy of the management of the automated vehicle. Thus the experience of the country may be material guide to us relating to the adoption and management of the vehicle. Especially the fact that Great Britain tries to employ a policy concerning the automated vehivle positively such as strict criterion for the licence, diversity and accuracy of burden of responsibility and protection system for the right of privacy, a privacy impact assesment and so on. Therefore we can consider the flexible and diverse policies and measures for the adoption and management of the automated vehicle.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여러 분야에서 편의성을 담보하는 여러 장치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자율주행 자동차이다. 운전 등 별도의 조작을 요하지 않고 자동차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지하면서 탑승자를 목적지에 이동시키는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 개인의 편리함이라는 미시적인 수준에서 벗어나 도로 안전성 및 복지의 증진 측면과 같은 거시적인 수준에서의 이점 역시 확보하도록 하는 획기적인 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그런데 자율주행 자동차의 도입을 통하여 여러 수준의 효용을 인정할 수 있고 나아가 기대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의 실제적인 도입 및 운행을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법제도적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의 개발을 위한 기술적인 지원이 요구됨은 물론이겠지만 이에 못지않게 법제도적인 토양의 마련 역시 요구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효용 등과 같은 경제적인 효과만을 주목한 채 실제적으로 이의 도입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제도 및 정책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기대되는 효용과 이익은 재앙으로 다가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율주행 자동차의 도입과 운영의 구체화 작업 역시 다른 분야에서와 같이 법령 등과 같은 개별 법령을 통하여 구체화되고 실현될 것이라는 점에서 관련 법적 쟁점에 대한 논의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의 효과적인 운행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와 관련한 공법적인 쟁점을 정리할 필요성이 상당한 것이고 종국적으로는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구체적인 입법 방향을 설정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격적으로 제기되는 쟁점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운전을 위한 면허 부여의 문제, 사고 발생시 책임 부담의 문제 나아가 사생활 침해 및 보호와 관련한 문제가 주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정부 차원에서 자율주행 자동차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도모하고 있는 국가가 바로 영국이다. 당해 국가에서의 관련 논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을 것이다. 특히 영국에서는 면허 자격의 엄격화, 책임 판단의 다각화 및 사생활 보호를 위한 사생활영향 평가 등의 다양한 기제 활용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우리도 당해 정책을 십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동차 관련 법제의 합리적 개선방안

        박종수 한국법제연구원 2017 법제연구 Vol.- No.53

        This article aims at the study on Improvement of legal System which is related to automated vehicl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gal aspects of driving automation have two view points. One is to permit a automated vehicle, the other is to regulate the behavior of driver on the road. Signifying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IoT, AI, big data, cloud computing etc. Automated vehicles are the imbodiment of those new ICT technologies. The vehicle management act(VMA) rules about vehicle registration and approval of vehicle types. VMA defines a automated vehicle as a vehicle which can be self driven without handling of driver or passenger. Vehicle makers can take temporary driving permission for testing and research the driving automation. Current definition of automated vehicle of VMA is not enough for including all levels of SAE driving automation. In the VMA must be made also a new vehicle safty standard for automated vehicle. In the national assembly is curruntly pending three draft bills about legisl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Driving automation and AI technologies must be parallel developed. It is highly expected that more proceeding research of driving automation can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2016 DAVOS 세계경제포럼에서 Klaus Schwab이 “4차 산업혁명”을 처음으로 언급한 이래, 기존 산업이 ICT와 접목하여 새로운 신산업을 창출해내는 현상들이 국내외에서 뜨겁게 논의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다른말로 ‘Indutsrie 4.0’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자동차 산업도 마찬가지의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자동차가 세상에 나타난 이래 자동차 관련 기술은끊임없이 진화해오고 있는데, 독일 정부가 표방하듯 Industry 4.0 시대의자동차는 운전보조기능의 단계를 넘어 인공지능(AI)을 탑재하여 동적 주행성능의 대부분을 사람 운전자가 아닌 시스템이 관장하는 완전자율주행의 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은 나름대로의 방식과 체계로 주행자동화(driving automation) 기술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현행 자동차관리법령상 ‘자율주행자동차’ 개념은 다양한 단계의 자동화 자동차를 모두담아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자동화 자동차’로 개념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 아울러 자동화 자동차의 임시운행허가권의 소재도 국토교통부장관이 독점하는 것 보다는 시・도지사에게도 개방하여 지방화시대에 부합한 본래의 자동차 규제제도로 회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향후 자동화 자동차가 레벨3 이상의 단계로 진화하여 상용화하는 단계에서는 자동차안전기준도 독자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인바, 현행 임시운행허가시의 안전운행요건을 참조하여 레벨3 이상의 자동화자동차를 등록할 때 갖추어야 하는 안전기준을 정립하여 운용하여야 할것이다. 그밖에 레벨3 이상의 단계에서 시스템우선모드에서 운행되는 자동화 자동차라고 하더라도 그 운전자나 승객은 유사시에 운전개입을 하여 운행지배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운전면허의 소지자일 것을 요한다고 본다. 기타 자동화 자동차가 원활하게 운행되기 위해 필요한정보보호체계의 마련과 인공지능법제의 완비 및 자동화기술의 표준화 등은 향후 지속적으로 자동화 자동차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있어서 병행하여 정비하여야 할 중요한 법제영역이다.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윤성현 ( Sunghyun Yoon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6 법과 사회 Vol.0 No.5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율주행자동차는 과거 하드웨어 중심의 자동차 개념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디지털 정보를 광범위하게 처리하는 이동식 컴퓨터의 개념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는 일면적으로는 과학기술을 통한 혁신(innovation)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기술적ㆍ산업적 변화에 따라 인간의 삶이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에 대한 인문학적ㆍ철학적ㆍ법적 문제를 동시에 제기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래하고 있는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posthuman)의 시대는, 그동안 `인간`(human) 존재의 본질로 여겨졌던 이성과 신체능력의 상당 부분을 과학기술과 컴퓨터 시스템이 대신하게 됨으로 인해 생기게 되는 인간 개념에 대한 재해석과 함께 인간에 대한 새로운 위험의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자율주행자동차를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논자들은, 인간에게 더 나은 안전과 편의를 제공한다는 점을 내세운다. 물론 이러한 논변이 전적으로 틀렸다고 볼 수는 없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이상에 도달되기를 필자도 소망한다. 그러나 원자력 등 다른 신기술의 도입과정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과연 자율주행자동차가 과연 종전의 자동차보다 편리하고 좋기만 한 것인지, 신기술이 가져오는 새로운 위험이나 간과하고 있는 위험의 요소는 없는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만약 예상되는 위험이 있다면 우선 기술적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하며, 기술 및 산업이 자율적으로 고려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법제도와 정책을 통해서 위험을 줄이는 방향으로 유도·강제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오늘날 논의되는 자율주행자동차는 그 자체로서는 중립적이고 단지 생활에 편리한 도구(device)에 불과해보일 수도 있지만, 자율주행자동차는 각각 수많은 디지털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처리하면서 작동되는 시스템이고, 이것이 사물인터넷과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면(connected) 이는 곧 엄청난 개인정보의 수집ㆍ저장ㆍ유통기능을 담당하게 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와 사생활 보호의 관점에서 종전과는 다른 새로운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근대 이후로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러한 개인의 권리를 충실히 보호하고 복지를 확대한다는 이유로 공리주의적 사회통제가 강화되어온 감시사회라는 모순적 현실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고도화된 정보화시대에 개인정보는 더 많이 노출, 유통되고, 디지털화된 정보에 대한 수집, 감시는 더욱 용이해지고 있는데, 자율주행자동차 시스템도 디지털화된 수많은 개인정보, 특히 위치정보와 영상정보, 통신정보 등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노출과 침해의 위험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침해는 곧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는 물론 인격권에 대한 침해로 이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대한 침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법제 등을 참고하여 사전에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공법적 규제의 틀을 면밀하게 마련해 놓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주권자이기 위해서는 깨어있어야 한다.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와 주권을 지키는 문제에 있어서도 우리는 개별적으로 또 집단적으로 사전에 단단히 감시등을 켜두어야 자율주행자동차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할 경우 편의를 누리는 동시에 기술이 초래할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Concept of Automated Vehicl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ransforming from the `vehicle` that had its focal point in the hardware to the `portable computer` that has its focus in the software that processes broad range of digital information. The phenomenon in one aspect is innovation through scientific technology.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raising humanistic, philosophical and legal questions about how human life will change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transition.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osthuman` emerg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creating new concept of human and bringing forward the issue of new danger that is occurring when reason and physical abilities thought as the essence of `human` is being substituted by scientific technology and computer. The advocates of automated vehicle assert that it provides more safety and convenience to human. Such argument cannot be completely be false, and I wish to reach the same conclusion eventually. However, as other process of introducing new technology like nuclear energy tell us, to consider whether automated vehicle is more convenient and better than the previous vehicle system and whether there are no new danger that new technology is bringing about or overlooked elements of danger is severely important. Therefore, if certain danger is expected, technological prevention should be devised as a first step, and for the sections where technology and industry is not self-regulating, it is legislations and policies` role to lead and force to a human-friendly direction. Automated vehicle that is being discussed nowadays can be neutral itself and seem to be no more than a convenient device. However, since each automated vehicle is activated by entering massiv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and since it collects, stores, and distributes a welter of personal information when connected to Internet of Things(IoT), whole new danger from the previous era is created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The ironic reality of surveillance society since the modern times that has assured freedom of an individual on the one hand and has reinforced utilitarian society control on the grounds of fully protecting one`s right and expanding welfare on the other lies beneath this near future. Especially, personal information is more being exposed and distributed and collection and surveillance of digital information is becoming easier in the information age. Automated vehicle system cannot be free from such exposure and danger of violating since it is operated with geolocation, video,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as well. Moreover, since vio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lead to violation of privacy and human dignity, and damage the basic order of liberal democracy, arranging the frame of public regulation relating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researching U.S. and European Union legislation and seems more than necessary. Being awake is what sovereign needs in the digital era. Likewise, to secure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we should remember to turn the monitoring lamp on in advance not only as an individual, but also as a group in order to obtain convenience and prevent danger of new era of automated vehicle.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Automated Vehicles in the Variable

        Sunho Kim,Jaehyeon Lee,Yeong-beom Kwon,Chungwon Lee 한국도로학회 2018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8 No.05

        As interest in automated vehicles increases, there is a need for automated vehicles and traffic management for them in transportation field is being raised, and related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Traffic management for automated vehicles can be divided into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as in existing traffic management, but traffic management detailed strategies can be different for each direction. In this study, automated vehicles are applied to the variable speed limit, which is one of the longitudinal traffic management techniques,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automated vehicles in the variable speed limiting system is examined. Manual vehicles can receive traffic information by VMS, while V2X is used for automated vehicles. Therefore, various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speed limit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road infrastructure ahead of manual vehicles. Simulation of how such a vehicle-infrastructure cooperation system can be utilized in a variable speed limit system is conducted and analyzed by market penetration rate (MPR) of automated vehicles. It is expected that the variable speed limit system of automated vehicles utilization, which is invetigated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transportation management in the automated vehicles future.

      • KCI우수등재

        자동화 수준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 수용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

        정므엘,이슬찬,장형식,지용구 대한산업공학회 2019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5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rivers’ acceptance of an automated vehicle andto develop an acceptance model for partially and fully automated vehicles. To achieve this, we elicited factorsfrom previous literature and conducted a survey study. Then,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consisting ofperceived usefulness, trust, safety, system aspects, infrastructure aspects and driver characteristic. The surveywas conducted with 594 participants (295 : partially automated vehicle, 299 : fully automated vehicle) and theresults were analyzed by the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AMOS)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24 outof 40 hypotheses (12 : partially automated vehicle, 12 : fully automated vehicle) were statistically supported. Weidentified that the factor affecting drivers’ acceptanc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utomation level. In conclusion,the importance of trust and safety revealed, and key factors in system aspect, infrastructure aspect and drivercharacteristic derived to promote drivers’ acceptance.

      • KCI등재

        영국법상 자율주행자동차 보험제도와 그 시사점

        정완용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2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utomated vehicles are expected to operate . Around the world, the number of damages caused by car accidents is increasing worldwide,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reparing legislation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automated vehicles to prevent and reduce car accidents. In the case of Korea, commercialization of level 3 automated vehicles is expected to begin from the second half of 2020, and the provisions of the 2015 Automobile Management Law were amended to provide the concept of automated vehicles and temporary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testing research for automated vehicles. In addition, the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of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has been enacted in April 2019 and implemented in May 2020 . This article analyzes the legislation of the UK Automated Vehicles Act enacted in 2018. UK is one of the advanced countries of autonomous vehicles related technologies and legisl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ed several proposals to improve Korea's related legisl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auto liability insurance system required at the commercialization stage of autonomous vehicles,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regulations for storing and using digital driving records,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automated vehicle accidents and product liability laws, etc. Furth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amendments to the Road Traffic Act and the Automobile Damage Compensation Act have been proposed, and it is analyzed that more in-depth legislative improvement efforts are needed.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본격적인 자율주행자동차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사고로 인한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자동차사고방지와 피해감소를 위하여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기술개발과 관련 입법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20년 하반기부터 레벨 3 수준의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015년 자동차관리법이 개정되어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념을 신설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 연구목적을 위한 임시운행 허가제도가 신설되었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9년 4월 제정, 2020년 5월 시행)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본고는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술과 법제의 선진국 가운데 하나인 영국이 2018년에 자율주행자동차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영국 자율주행자동차법의 내용과 자동차보험제도를 검토하였고 이 법이 우리나라 법제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자동차보험관련 법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단계에서 필요한 자동차책임보험제도의 적용확대, 디지털운행기록 저장 및 활용 규정 개선보완,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와 제조물책임법의 적용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입법적인 개선을 위하여 자동차관리법, 도로교통법 및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에 관한 정치한 입법규정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과 안전에 관한 공법적 과제

        정태종 ( Chung Tae-jong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1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이 현실화되면서 운행에 있어서의 안전 담보는 공법적 과제가 되었다. 해외에서는 이와 관련된 논의 결과 입법적 대비가 가시화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제도정비와 법적 규율의 수준이 기술의 발전과 산업계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제공하는 이동의 편리성과 효율적인 시간 관리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앞서 운행의 안전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2019년 ‘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나 상용화 촉진에 중점을 두고 있어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따른 운행의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관련 외국의 법·제도적 동향을 고찰하고, ‘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따라 요구되는 구조적 안전기준, 안전운행 요건, 기능적 안정성 요건을 담보할 수 있는 공법적 과제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자동차운행 관련된「자동차관리법」,「도로법」,「도로교통법」등에 자율주행관련 전반적 사항을 반영하여 개정하거나, 자율주행자동차의 구조, 운행 및 안전과 그에 따른 책임문제, 관련 프로그램 및 데이터 관련 보호규정, 자율주행기능을 활성화하는 도로의 개설과 같은 구조적 요건까지 전반적으로 규율하는 단일법제의 제정방안이 고려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Despite the convenience of the movement and the possibility of efficient time management that the Automated Vehicles will present to humans, safety collateral according to driving should be considered prior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utomated Vehicles. That's because conventional car-driving systems are centered on humans, while the era of commercialization of the Automated Vehicles requires new definitions of existing road facilities, licensing systems and transportation systems on the prem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regulatory and safety systems. Especially in advanced automobil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Germany, not only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but also related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s are underway, and related legislation is being reorganized. South Korea also established the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of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in 2019 to provide a institutional basis for promoting and suppor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utomated Vehicles. However, the Act mainly focuses on promoting commercialization of the Automated Vehicles, so it is hard to regard it as a legal basis to secure operation and safety follow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utomated Vehicles. In this article, I will identify legal and institutional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ed Vehicles overseas, analyze the contents and problems of Korea's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of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and review the areas that need to be overhauled and supplemented before commercializing the Automated Vehicles in the future, and present future legal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