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죽음’과 유학의 죽음관

        김명숙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

        Death is one of the biggest event in life. But these days the process of death is transferred to doctors, thus dignity of finishing the finale of life or meaning for people who are left to live(Surviving) seems less important. Facing death not only provokes fear it also makes us aware of the meaning of life and makes our lives affluent so it is something we shouldn’t put behind. The point of this paper is to show what is the ‘good process of dying’(facing death) modern day Korean wants, and how ‘good death’(Death) consist of by doing a survey called ‘idea research of death for Korean’. And found out what influence is given or can be given by view of death in confucianism in ‘good death’ present age Koreans want. 죽음은 인생의 핵심 대사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오늘날 대다수 사람들의 죽음의 과정은 병원이나 의사에게 일방적으로 떠넘겨지고 삶의 대단원을 마무리하는 존엄함이나 떠나보내는 사람들의 삶의 의미로 살아나지 못한다. 죽음에 직면하는 것은 불안감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경험이 되어 삶을 풍요롭게 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뒷전으로 밀쳐 버릴 일이 아니다. 본고에서 논자는 현대 한국인들이 바라는 ‘좋은 죽어 가는 과정’(임종)이란 어떠한 것인지, ‘좋은 죽음’이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표상 연구’라는 설문의 응답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유학의 죽음관이 현대 한국인들이 바라는 ‘좋은 죽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혹은 줄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朝鮮時代 유교적 죽음 이해

        한예원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7 No.-

        Research of Death is life. 'Life and Death' is the important topic, because birth is no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will but death is related to it. Generally a good death is conclusion of a good life. One person do one's best for a good life but one's death is not always happy. For example, one's death is unfair or victimized. In case of these death, how can we comport the death? Who has responsibility for the death? This paper focused on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is a shared value system and lifestyle in East Asia's tradition. Especially 'ancestral rites' is a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Joseon Dynasty. Understanding a ghost is understanding for 'ancestral rites'. East asians believe once people die, they become a ghost. How distinguish Life and Death? Living descendants perform ancestral rites, pay respects, and ancestors ghosts come back their home in Confucian philosophy. Descendants live an honest life, walk with God and put life into their ancestral rites, then ancestors will answer the devotion. This response is a final goal of filially. When behave filially, the moral society is realized in Confucianism. We have to arrange ways of approach to Confucian death,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values and it can give more fundamental meanings of life in nowadays. 죽음 연구는 삶에 대한 연구이다. ‘生死’라는 주제가 중요한 이유는, 태어남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지만, 죽음에는 본인의 의지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좋은 죽음은 곧 좋은 삶의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개인은 좋은 삶을 살기 위하여 노력하였지만, 어쩔 수 없이 죽을 수밖에 없는 죽음, 억울하고 불쌍한 죽음, 천수를 다하지 못하는 죽음이 있다. 이런 경우 그 죽음에 대하여 살아있는 자들은 어떻게 죽은 자를 위로해야 하는 것일까? 그 죽음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의 죽음이해를 고찰하였다. 유교적 죽음 개념은 동아시아 전통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공통의 가치체계이며, 삶의 방식이다. 특히 조선의 죽음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제사’가 중요한 단서가 된다. ‘제사’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사의 대상이 되는 鬼神의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귀신이 된다는 귀신론에서 볼 때, 生死란 어떻게 구별되는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살펴 볼 필요성이 생긴다. 유교철학에서는 죽은 선조의 귀신은 살아있는 후손의 정성으로 자기가 살던 집에 돌아와서 제사를 흠향한다고 믿었다. 산사람이 바르게 성실하게 살면서 정성으로 제사를 받들면, 죽은 조상은 그 정성에 ‘感應’한다는 것이다. 이 감응이 바로 효도의 목표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효도의 실천에 의하여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는 도덕사회가 구현된다고 보았다.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의 근거가 되었던 유교적 죽음이해에 대한 정리를 통하여, 현대를 사는 우리는 보다 근본적인 인생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논어(論語) 를 통한 좋은 죽음 철학하기

        황정희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3 생사학연구 Vol.4 No.-

        It is a thesis of Doing philosophy about what good death is through <Analects>. Good death is a process of insight into life and philosophy about death, and it should be revealed itself throughout one’s life. In <The Analects>, I discussed the fact that life and death are not separated in <Analects> along with the problem of awareness and realization of Providence and Tao. And It was discussed that the lack of harmony between human reason and emotion experienced within the time and spac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should be overcome with sadness and courtesy. Next, I discussed that the good death referred to in <The Analects> is to know ‘Practice the Tao well despite death’, that is, what the way to go, and to do my best on that path and expand the horizon of life. In addition, And since death is an inevitable problem for anyone,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sadness caused by it and recover from daily life, and I suggested that ‘Sad but not deeply hurt’ is the necessary attitude of life at this time. Rather than distinguishing death itself as good or bad, he stressed that a sufficient mourning process is needed for death to remain a good experience, and that it must be sadness enough to restore daily life again. Through this thesis, I introduced the way modern people can escape from thinking that divides death and life, and I tried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death and life caused by science, commerce, and individual desires.

      • KCI등재

        ‘좋은 죽음’과 유학의 죽음관

        김명숙(Kim, Myung-Sook)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

        죽음은 인생의 핵심 대사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오늘날 대다수 사람들의 죽음의 과정은 병원이나 의사에게 일방적으로 떠넘겨지고 삶의 대단원을 마무리하는 존엄함이나 떠나보내는 사람들의 삶의 의미로 살아나지 못한다. 죽음에 직면하는 것은 불안감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경험이 되어 삶을 풍요롭게 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뒷전으로 밀쳐 버릴 일이 아니다. 본고에서 논자는 현대 한국인들이 바라는 ‘좋은 죽어 가는 과정’(임종)이란 어떠한 것인지, ‘좋은 죽음’이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표상 연구’라는 설문의 응답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유학의 죽음관이 현대 한국인들이 바라는 ‘좋은 죽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혹은 줄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Death is one of the biggest event in life. But these days the process of death is transferred to doctors, thus dignity of finishing the finale of life or meaning for people who are left to live(Surviving) seems less important. Facing death not only provokes fear it also makes us aware of the meaning of life and makes our lives affluent so it is something we shouldn’t put behind. The point of this paper is to show what is the ‘good process of dying’(facing death) modern day Korean wants, and how ‘good death’(Death) consist of by doing a survey called ‘idea research of death for Korean’. And found out what influence is given or can be given by view of death in confucianism in ‘good death’ present age Koreans want.

      • 좋은 죽음의 개념 분석

        이경주,황경혜,라정란,홍정아,박재순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2006 호스피스논집 Vol.10 No.-

        Purpose: Death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in our life. However,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what a good death me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cept of a good death by exploring attribute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empirical criteria for a good death in literatures. Method : Reviewed material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web cites such as PubMed, National Library of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Walker and Avant's method(2004) was used for this concept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showed that a good death includes seven attributes: dignity (personal respect and privacy), self-control (the right of choice, independence, clear consciousness), comfort (physical, psychological, spiritual). optimal relationships (supportive environment, proper car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ppropriateness (sequence and proper age of death), preparation for death (completing unsettled tasks, leaving a legacy,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death) and minimizing burden. Conclusion : This results will provide health professionals and people with a preliminary understandings of a good death. In addition, there is the need for further study to develop objective measurement of a good death and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dying.

      • KCI등재

        암브로시우스의 『죽음의 선함』(De bono mortis)에 나타난 죽음이해

        황훈식 ( Hun Sik Hwa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1 대학과 선교 Vol.49 No.-

        본 논문의 목적은 죽음의 선함을 논한 암브로시우스의 저서를 통해서 그의 죽음관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4세기경에 쓰여진 저서가 어떻게 오늘까지 우리의 손 안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그리고 『죽음의 선함』이라는 책을 쓸 당시의 상황은 어떠했는지, 책의 구성과 내용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론으로 들어가서 암브로시우스가 어떠한 관점과 방식으로 죽음의 선함을 논했는지를 찾아 분석하고, 결론적으로 암브로시우스의 죽음의 진정한 의미를 통해 오늘날 상황을 해석하는데 적용하고자 한다. 암브로시우스는 죽음을 세 가지 유형, 즉 죄로 인한 대가인 죽음, 신비적 영적인 죽음, 자연적 죽음으로 나누면서 죽음은 악이 아니라, 선하다는 이유를 설명했다: 죽음이 선한 이유는 1) 고통스러운 인생의 마침이기에, 2) 그래서 쉼에 들어가기에, 3) 죽음은 끝이 아닌 잠이고 깨어남(부활)의 소망이 있기에, 4) 죽어가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복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영혼의 상태는 ‘죽음의 선함’을 현재적으로 그리고 미래적으로 누림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암브로시우스는 그리스도의 모범과 사도 바울의 선포(고전15:31) 안에서 우리의 영혼을 영원함과 완전함으로 나아가게 하자고 권면한다.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t to analyze and interpret Ambrose's view of death in the writings of Ambrose, who discussed the goodness of death. For this, first, I will examine how did the writings of the 4th century come into our hands to this day, what wa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writing the book De bono mortis, and what wa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book. Then, going into the main body, I will try to find and analyze what kind of Ambrose’s viewpoint about Death and how Ambrose discussed the goodness of death, and in conclusion, apply the true meaning of Ambrose's death to interpret the present situation. Ambrose explained why death is good, not evil, by dividing the concept of death into three types: death due to sin, mystical spiritual death, and natural death. Why Death is good, This is because 1) it is the end of a painful life, 2) it ist the beginning of rest, 3) it ist not the end, but a sleep, and theres es a hope of awakening(resurrection), 4) we can enjoy the blessing of helping people who are dying. The state of our souls is very important in our present and future enjoyment of the 'goodness of death', and Ambrose exhorts us to advance our souls to eternity and perfection in the example of Christ and the proclamation of the Apostle Paul(1 Cor.15:31).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유교적 죽음 이해 - 생사(生死), 귀신(鬼神), 제사(祭祀)개념을 중심으로 -

        한예원 ( Han Yae-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7 No.-

        죽음 연구는 삶에 대한 연구이다. ‘生死’라는 주제가 중요한 이유는, 태어남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지만, 죽음에는 본인의 의지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좋은 죽음은 곧 좋은 삶의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개인은 좋은 삶을 살기 위하여 노력하였지만, 어쩔 수 없이 죽을 수밖에 없는 죽음, 억울하고 불쌍한 죽음, 천수를 다하지 못하는 죽음이 있다. 이런 경우 그 죽음에 대하여 살아있는 자들은 어떻게 죽은 자를 위로해야 하는 것일까? 그 죽음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의 죽음이해를 고찰하였다. 유교적 죽음 개념은 동아시아 전통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공통의 가치체계이며, 삶의 방식이다. 특히 조선의 죽음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제사’가 중요한 단서가 된다. ‘제사’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사의 대상이 되는 鬼神의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귀신이 된다는 귀신론에서 볼 때, 生死란 어떻게 구별되는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살펴 볼 필요성이 생긴다. 유교철학에서는 죽은 선조의 귀신은 살아있는 후손의 정성으로 자기가 살던 집에 돌아와서 제사를 흠향한다고 믿었다. 산사람이 바르게 성실하게 살면서 정성으로 제사를 받들면, 죽은 조상은 그 정성에 ‘感應’한다는 것이다. 이 감응이 바로 효도의 목표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효도의 실천에 의하여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는 도덕사회가 구현된다고 보았다.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의 근거가 되었던 유교적 죽음이해에 대한 정리를 통하여, 현대를 사는 우리는 보다 근본적인 인생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Research of Death is life. ``Life and Death`` is the important topic, because birth is no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will but death is related to it. Generally a good death is conclusion of a good life. One person do one`s best for a good life but one`s death is not always happy. For example, one`s death is unfair or victimized. In case of these death, how can we comport the death? Who has responsibility for the death? This paper focused on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is a shared value system and lifestyle in East Asia`s tradition. Especially ``ancestral rites`` is a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Joseon Dynasty. Understanding a ghost is understanding for ``ancestral rites``. East asians believe once people die, they become a ghost. How distinguish Life and Death? Living descendants perform ancestral rites, pay respects, and ancestors ghosts come back their home in Confucian philosophy. Descendants live an honest life, walk with God and put life into their ancestral rites, then ancestors will answer the devotion. This response is a final goal of filially. When behave filially, the moral society is realized in Confucianism. We have to arrange ways of approach to Confucian death,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values and it can give more fundamental meanings of life in nowadays.

      • KCI등재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김혜숙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P area. It analyzes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scariest thing when thinking about death', and 'the contents of emotions related to death'. In additi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intention to apply for rejec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vance a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face-to-face survey method called 'Naver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the Good Death Perception score of the college student group was 3.1. When thinking about death, 35.2% of the students said they were most afraid of the "remaining family." Next, 32.8% of 'Pain Before Death', 20.8% of 'End Fear', and 8% of 'Unfulfilled Dreams'. Well-dying reduces the psychological burden related to death not only to oneself but also to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In additi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t enhances the meaning and active attitude of current lif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n operation model for related programs support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presented. 본 연구는 P지역 소재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와 죽음을 생각할 때 가장 두려운 것과 죽음 관련 감정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향과 사전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는 비대면 조사 방법으로 네이버 폼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좋은 죽음인식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 집단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1점으로 나타났다. 죽음 관련하여 가장 두려운 것은 ‘남아있는 가족’이라는 응답이 전체 35.2%로 가장 많았고, ‘죽기 전의 고통’이 32.8%, ‘생이 끝났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20.8%, ‘못 이룬 꿈’이 8%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의향과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여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좋은 죽음인식 점수가 높을수록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웰다잉은 자신뿐 만 아니라 남은 가족에게도 죽음과 관련된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며, 삶의 질과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죽음준비 교육은 대학생들의 현재의 삶에 대한 의미와 능동적 태도를 높이기 때문에 인격 함양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죽음준비 교육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현심,이순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향후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좋은 죽음 관련 66편의 논문을 분석준거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죽음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년도는 2019년(18.2%)이었다. 연구설계 별 분석에서는 양적 연구가 52편(78.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조사연구가 36편(54.5%)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 에서는 간호학 논문이 47편(71.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학제간 연구는 3편(4.5%)이었다. 좋은 죽음 연구 대상자는 주로 지역사회 노인과 간호대학생으로 이 각각 13편(19.7%)으로 나타났고, 환자 대상연구는 4편(6.1%) 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도구가 38편(73.1%)에서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변인은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간호였고, 가족지지는 매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좋은 죽음을 종합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 다학제 연구와 다양하게 좋은 죽음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good death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research trends on good death. For this purpose, 66 articles related to good deat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11 to 2021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 of references. As a result, the year with the most good death studies was 2019 (18.2%). In the analysis by research design, 52 articles (78.8%) were the most quantitative studies, and 36 studies (54.5%) were survey studies. In the field of research, nursing studies were the most researched with 47 articles (71.2%), but multidisciplinary studies were three articles (4.5%). The subjects of the good death study were mainly the aged in the community and nursing students, each of which was 13 (19.7%), but the studies for patients were published only four articles (6.1%). The most used tool was the perception of a good death and conducted in in 38 articles (73.1%). The main research variables were th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nd family support was used as mediating variables. Therefore, not only multidisciplinary research but also development research for vaious good death instruments may be sugges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good death.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윤일훈,문원희,박수정 한국융합학회 2023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2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하위요인 간의 점수 비교를 통해 좋은 죽음의 속성 중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102명을 편의 모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chwartz 등의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을 번역한 도구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좋은 죽음 인식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점수의 평균차이를 보인 요인은 임상실습의 경험으로 도출 되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3.13±0.36점)이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학생들(2.90±0.31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156, p=.002). 특히 임상실습 유경험자(3.46±0.39점)가 무경험자(3.16±0.37점)보다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친밀감에 대한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이 높았다(t=3.476,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상실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효과적 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goo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and compare sub-factors among the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s for the research method, 102 people who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were conveniently recruited. As a research tool,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by Schwartz et al. (2003) was translated by Lee (2017),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f the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were used. Factors showing average differences in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good death awarenes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e mean of good death (3.13±0.36 points)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2.90±0.31 points) (t=3.156, p=.002). In particular, the mean of good death for ‘clo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3.46±0.39 points)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3.16±0.37 points) (t=3.476, p=.001).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a good death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were in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for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in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