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헬스케어를 위한 TMO기반의 액티브 모델

        윤영민(Young-Min Yoon),정창원(Chang-Won Jeong),주수종(Su-Chong Joo)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3 No.5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되었던 u-헬스케어지원 분산 프레임워크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헬스케어 홈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적응형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티브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실시간 헬스케어 홈서비스에 적용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홈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환경과 헬스케어를 위한 센서, 장치 그리고 기기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타 및 가공된 정보를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 구축된 헬스케어 데이타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하며, 서로 다른 주기적인 특성을 해결하기 위해 TMO 스킴을 이용하여 액티브 모델을 구현하였다. 특히, 분산 객체그룹 프레임워크(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DOGF)를 기반으로 u-헬스케어를 지원하기 위한 분산 프레임워크와 다양한 헬스케어 홈서비스 간에 적응형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끝으로 본 모델을 헬스케어 모니터링 서비스에 적용하여 수행 결과 및 성능 평가를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ctive model based on the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which provides adaptiv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o support it to various Healthcare home service. And we applied it to Healthcare home service. This proposed model provides information that collected from physical environment of the home network and sensors for healthcare service according to situation of the user. We uses information of the healthcare information database which was constructed previously, and we uses TMO scheme for to solve each other different periodic quality. We uses information of the healthcare information database which was constructed previously, and we uses TMO scheme for to solve each other different periodic quality. Specially, We wrote about interaction of various Healthcare Home services for adaptive information services, and wrote about u-healthcare framework based on DOGF. Finally, we apply active model to healthcare monitoring service, and we showed its result and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통합형 u헬스케어디자인 연구성과 분석

        최인영(Choi, Inyoung),이민아(Lee, Mina),백진경(Paik, Jin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4

        연구배경 ‘통합형 u헬스케어디자인’이란 디자인을 중심으로 의용공학, 정신의학, 보건학, 인간공학, 인문학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통합적 u(User-centered, Universal, Ubiquitous)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1년 총서 발간을 계기로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통합형 u헬스케어디자인 연구’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연구사업을 통해 발표한 국내외 전문학술지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개념정의, 분석설계, 결과분석 3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통합형 u헬스케어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각 단계별 연구범위 및 내용을 정리한다. 둘째, 분석설계에서는 분석대상을 구체화하고 분석단위를 설정하여 유형화 틀을 구성한다. 셋째, 유형화 기준에 따라 단계적 측면, 내용적 측면에서 연구성과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첫째, 단계적 측면에서는 1단계-3단계에 걸친 양적 연구성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학문분야별 분포를 통해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다학제적 연구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내용적 측면에서는 분석단위로 설정한 5가지 통합모델을 - 산업분야통합모델, 사용자통합모델, 디자인대상통합모델, 관점적통합모델, 지역사회케어통합모델 -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치료와 예방을 위한 환자, 의료진 관련연구에서 일상생활 관리를 위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케어로 그 범위가 광범위하게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헬스케어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집약함으로써 헬스케어디자인의 융복합적 연구 경향과 가능성을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헬스케어디자인 관련 다양한 분야의 연구주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융복합학으로 분류되고 있는 헬스케어디자인 학문분야의 개념 및 체계 정립에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Integrated u-Healthcare Design’is a study of integrated u(User-centered, Universal, Ubiquitous) healthcare design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such as medical engineering, psychiatry, health science, ergonomics, and human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Integrated u-healthcare design research" project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with the publication of the 2021 general book. Methods For this study,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published through the research project,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conceptual definition, research design, and result analysis. First, the concept of ‘Integrated u-Healthcare Design’is defined and the scope and contents of each step are summarized. Second, in the research design, the analysis object is embodied and the analysis unit is set up to form a typological framework. Third, the study results are analyzed in the aspect of stepwise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Resul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by step,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from the first stage to the third stage were confirmed. An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fields, we could look at the tendency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focusing on design. Second, in terms of contents, the five integrated models set as analysis units - industrial integration model, user integration model, design object integration model, viewpoint integration model, community care integration model -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is expanding to a wide range of studies such as community care for the general public for daily life managemen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convergent research trend and possibility of healthcare design by synthesizing research in various fields of healthcare design. In addi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ll be presented by analyzing topics related to healthcare design in various fields.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oncepts and systems in the field of healthcare design, which is classified as convergence science.

      • KCI등재

        헬스케어 모바일 앱 활성화 정책 연구

        김종엽(JongYeob Kim),이예진(Ye-Ji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3

        코로나 19를 계기로 디지털헬스케어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은 더 커졌으며, 주요국은 디지털헬스케어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헬스케어 모바일 앱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헬스케어 모바일 앱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주로 허가 · 심사 등 규제정책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르며, 구체적인 활성화 정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등 헬스케어 모바일 앱이 실제 의료현장에서 도입 될 수 있는 정책을 펼치고 있는 나라의 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가별 정책을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헬스케어 모바일 앱에 대한 정의와 인허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가 기관에서 이를 검증하고 있다. 또한 의료공급자 및 소비자가 검증된 모바일 앱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 국가의 보건의료제도 정책에 적합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앞으로 국민들에게 보다 폭넓은 헬스케어 모바일 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건강보험에서도 수가 지급 여부 결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With the Corona 19, the importance and interest in digital healthcare has grown, and major countries are making various policy efforts to revitalize healthcare mobile apps, one of the key areas of digital healthcare. Korea is also making efforts to revitalize healthcare mobile apps, but most of them are related to regulatory policies such as licensing and reviewing, and there is a lack of specific activation policies. In this study, we tried to draw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policies of countries where healthcare mobile app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are implementing poli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 the actual medical field. In common, the definition and licensing guidelines for healthcare mobile apps are being provided and verified by state agencies. In addition, various policies are implemented to suit the health care system policies of each country so that medical providers and consumers can safely access proven mobile apps. It is also time for Korea to provide more extensive information on healthcare mobile apps to the public in the future, and for health insurance to be improved so that the number can be used in deciding whether to pay.

      • KCI우수등재

        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 순응의도가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남연(Namyeon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6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1 No.4

        최근 인구의 고령화 추세 및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는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헬스케어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여 실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헬스케어 서비스의 효과성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서비스를 통해 추천되는 콘텐츠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순응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행동을 취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은 순응의 서비스에 대한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는 연구들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사용자의 순응의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는 지를 기존의 의료정보학 및 정보시스템 분야의 이론을 기반으로 실증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순응의도(compliance intention)를 중심으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고, 순응의도는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순응의도를 높이는 변수들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Entering aging society and increasing individual’s interests on wellbeing lead to increasing demands of healthcare service and various healthcare related applications are providedon app market or Internet. These healthcare services could enhance user’s health status if the users continuously use the service.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of a healthcare service, the service user should comply with recommendations or directions are provided by the service. However, previous studies of healthcare service are not considered effects of compliance intention on continuous usage. Hence, we tested how user’s compliance intention effect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healthcare service based on theories of information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Moreover, we found that compliance intention of users for healthcare service is an important factor on sustainability of healthcare service.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what factors are related with user’s compliance intention.

      • 뷰티헬스케어행위가 지각된 상호작용및 삶의 질의 관계에 미치는 연구

        CHEN QIUYING,이상준 한국EA학회 2019 한국EA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0

        최근 몇 년간 단순히 외형적인 아름다운뿐만 아니라 내면의 아름다운 역시 화두에 오르 면서 건강과 운동에 대한 중요성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 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현대사회에서 사람의 신체적 모습이나 외모의 특징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 외모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이상적인 외모를 아 름답게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뷰티헬스케어관련 산업이 빠른 추세로 발전하고 다양한 소 비층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뷰티헬스케어행위를 통하여 자기관리와 외모관리행동을 하게 되면 내면화가 높아져서 심리적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이를 바탕 으로 뷰티헬스케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다양한 프로그램개발 방법에 도움을 주기 위해 연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상호작용을 인간적 상호작용(UI)과 기계적 상호작용(HCI)을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 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한지은(Han ji eun),권규현(Kwon gyu hyun)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의료업계는 정보통신기술과 융합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환경은 환자의 안전한 입원생활 뿐 아니라 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에도 도움을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 종사자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환경을 구성하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표를 구성한 후 일반병원과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지표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안전성, 공조환경, 기능성, 사회성, 기술성의 다섯 가지 지표로 정리되었다.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환경지표는 안전성, 사회성, 기술성, 공조환경, 기능성순이라고 답한 반면, 일반병원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기술성, 안전성, 기능성, 공조환경, 사회성 순이라고 답했다.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서비스환경에 익숙하게 적응되어 있어 이에 대한 요구보다는 환자의 안전(안전성),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사회성)에 대한 중요도가 더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응답자 모두 공통적으로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료종사자가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지표와 중요성을 환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디지털헬스케어 시장과 O2O서비스 소비자분쟁 및 보호방안

        변승혁(Byeon, Seung Hyeok) 한국중재학회 2020 중재연구 Vol.30 No.4

        The O2O services in the healthcare sector have only been in full swing for about three years, and unlike existing O2O consumer goods, the scale and scope of the dispute are more complicated due to restrictions on medical treatment. In this study, O2O service platform operators and medical institutions roles and responsibilities were redefined as a countermeasure for resolving disputes in healthcare O2O services and the laws for changing the transaction environment. A change in institutional mechanisms was proposed. This study looked at the types of consumer disputes related to healthcare O2O services as insufficient information problems, problems in the course of medical service implementation, problems with immunity provisions for platform operators, cancellations, and non-compliance with refunds. All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ransactions in the healthcare sector was extensive in scale and included the most sensitive information among personal information, stressing the importance of ensuring security. The area that started in the O2O range before the medical institution visit also proposed a plan to establish a system for the delivery of proven information as a pre-medical person. The scale and growth will grow faster, given that consumers can experience the information they want anytime, anywhere they want. However, the platform broker s role, a link player, will become more important because consumers who use the service will have their first meeting with non-face-to-face product providers. On the other hand, service providers may have side effects of misleading consumers by providing false information or misleading consumers through exaggerated advertisements. The O2O service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beyond distribution and dining out to the entire industry. However, since it is challenging to check accurate statistics on the detailed market, various disputes and consumer protection measures will be required for each detailed market, and comprehensive leading solutions will be essential in the future.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한 모바일 경제가 활성화 되면서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은 그 형태를 달리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경제활동은 모바일커머스(M-Commerce)라 불리우며 IcT결합 및 O2O(Online to Offline)형태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특히 O2O서비스의 확산은 소비형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O2O시장은 2019년 기준 전년대비 30.4% 성장한 2.9조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O2O서비스시장은 향후 더욱 높은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O2O는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따른 위험 인지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비대면 의료시장이 주목받게 되었고 헬스케어 O2O서비스 또한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캐나다의 인공지능 기반의 블루닷 플랫폼이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을 가장먼저 인지하면서부터 의료시장에 대한 분야가 진료 이외에 4차산업혁명의 대표기술인 인공지능과 모바일 플랫폼과 융합되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주목받게 된 것이다. 인구형태 및 구조의 변화에 따른 의료비 지출증가와 스마트 기기 대중화에 따른 IcT기기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현상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및 소비자로 하여금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필요성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고령화 및 유병장수와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는 정기적인 의료비 지출을 통한 예방의학 습관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었으며, 더 나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건강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Seth R. Frank는 처음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웹 브라우저 및 특정기기를 통한 미디어 접속을 통해 의료서비스가 이전의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어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새로운 영역이 초해될 것임을 예측하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의료서비스가 디지털기술과 융합되어 전 세계인이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며, 그 과정이 건강증진 및 세계 안전보장을 위해 중요한 필수조건이라고 주장하였다. 국내에서도 의료법상 완전한 비대면 진료행위는 금지되어 있지만, O2O형태의 비대면 서비스는 2017년 이후 의료법 개정을 통해 실시되고 있다. 헬스케어 O2O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강남언니, 굿닥, 똑닥, OK검진과 같은 다양한 플랫폼이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국내 SK텔레콤은 유전자검사 DTC를 통한 비대면 진료 및 헬스케어 구독서비스를 런칭 하였고, 국내 대형기업에서는 비대면 헬스케어 시장규모를 7조원 이상으로 전망하다. 아직까지 디지털헬스케어 기반으로 O2O서비스는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한지 불과 3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으며, 일반 유통 및 소비재와는 달리 의료법 내 진료행위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헬스케어 기반의 원격진료는 시행되고 있지 않은 바, 비대면 헬스케어 시장에서 허용된 O2O서비스에서의 소비자 분쟁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유진(You-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수용의도, 헬스케어 서비스별 선호 디바이스 유형 및 속성의 차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용의도 및 최대지불금액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병원 및 의료기관 관계자, 노인 및 만성질환자, 건강유지에 관심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수용의도는 중간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관계자의 수용의도가 가장 높았다. 디바이스 유형으로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헬스케어 서비스 유형에 따라 디바이스 속성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건강관리 서비스에서는 용이성과 유희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용의도는 병원용도보다 개인용도가 다소 높았으며, 어플리케이션 속성으로는 개인정보 보호를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ferred device types, the difference of device properties by service types, and acceptance intention for applications and willingness to pay for healthcare services. To attain this goal,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ed to the subjects of those concerned in hospitals and medical institutions, the aged an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and consumers having interest in health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acceptance intention for mobile devices for healthcare services was high in general. An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and those concerned in hospitals showed high acceptance intention. Smart phones were preferred the most in the support of healthcare services. And there was the difference of device properties by service types, and in health maintenance, easiness and playfulness were somewhat high. Acceptance intention for mobile applications was rather high in personal use, and regarding the propertie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as valued highly.

      • KCI등재

        항노화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 국가책임제 도입에 관한 정책 연구

        이보애(Lee, Bo-Ae)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1 스포츠와 법 Vol.24 No.4

        인구 고령화의 심화 및 급격한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자 증가에 따른 다양한 사회 및 경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급변하고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면역력에 대한 증진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이 더욱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세계주요국들의 헬스케어 관련 규제 동향과 정책들을 살펴보고 항노화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미래 발전 방향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존 헬스케어와 관련한 정책들은 세계경제포럼에서 건강관련 요소는 미래에 건강기반경제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 예견한 바가 있음에도 초창기 4차 산업혁명 시기 헬스케어산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처치 및 치료 중심에서, 건강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유지 및 관리의 외연이 확장된 웰니스 부문에 기반이 되는 정책들이 수반이 되질 못하고 있다. 이에 만성질환자뿐만이 아니라 항노화헬스케어를 지향하고 일반인들과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을 국가책임제로 도입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헬스케어 컨설턴트를 위한 항노화 시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경제효과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A healthy lifestyle is gaining increasing attention due to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trends and policies of healthcare-related regulations in global countr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and policy to facilitate anti-aging healthca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concluded as follows. Although the traditional policies regarding healthcare predicted that health-related factors would be the driving force of the health-based economy in the future at the World Economic Forum, the early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d on the treatment and intervention for patients who are already in the healthcare industry. Thus, excluding the policies based on the expanded wellness sector of health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healthy people.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reate new jobs and build various policy supports and infrastructures for healthcare consultations to stimulate economic growth during the anti-aging era.

      • KCI등재

        헬스케어 디바이스 제품 특성과 서비타이제이션 사용가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쾌락적 가치의 매개효과

        김충건,송종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논집 Vol.29 No.3

        최근 전 세계 스마트 폰의 보급률이 확대되고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스마트폰 판매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 IOT 산업을 이끌어갈 신성장 동력 및 4차산업 시대를 이끌어갈 새로운 산업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건의료 분야인 헬스케어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헬스케어 산업 분야 내에서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제품의 개발 및 판매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헬스 케어 디바이스 제품의 생산 및 소비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소비자 측면에서 헬스케 어 디바이스 제품의 특성(정확성, 가시성)과 서비타이제이션 사용가치 특성(지식, 접근성, 관계성, 가격) 이 쾌락적 가치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적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서비타이제이션 사용가치 특성인 가격 만이 쾌락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확성, 접근성, 관계성, 가격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인 쾌락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헬스케어 디바이스 제품의 생산 및 소비 확산을 위해서는 쾌락적 가 치를 고려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growth of smartphone sales has slowed as the global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has expanded and markets have entered maturity.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lead the IOT industry, the healthcare industry is drawing attention,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selling healthcare device products in the healthcare industry is rapidly rising.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healthcare device product characteristics(accuracy, visibility) and servitization value characteristics(knowledge, accessibility, relativity, price) on purchase intentions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pread of healthcare device products, and conducted empirical surveys on potential users.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only pricing, the value-of-use characteristic of servit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hedonic values. Second, accuracy, accessibility, relationship and price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intention of purchase. The third parameter, hedonic value, is investiga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and product development should take into account hedonic valu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