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

        이용표,송승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5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drawing implication of the society in which the high rate of involuntary and long-term hospitalization are sustained through examining cases of Italy, which has restrained compulsory hospitalization of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t most and developed Mental Health and community-centered social services by Mental Health System. For the achievement of goal, it demonstrated historical background of mental health reform, mental health related laws, mental health budget, payment systems and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of Italy. Also, it analyzed the detailed progression, content and performance of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cases of Trieste, a representative local government in the reform of mental health. It also suggested the policy implication which Italian Mental Health System can bring to Korean Mental Health Welfare System. First, The barriers to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t is a matter of policy will rather than a mental health law system itself. Seco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 involuntary admission is possible only in public mental hospital. Third, In order to efficiencies mental health budge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ayment of social services for medical ai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ersonal budget system.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tracting-out system to secure of the Public Services of the mental health community center. Fif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of organization on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ixth, A society activist role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s required. 본 연구는 정신보건개혁을 통하여 정신병원을 폐쇄하고 지역사회중심의 정신보건 및 사회서비스를 발전시켜온 이탈리아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비자의입원 비율과 장기입원이 지속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의 함의를 도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이탈리아의 정신보건개혁의 역사적 배경, 정신보건관련 법제, 국가정신보건계획, 정신보건재정방식 그리고 정신보건전달체계를 전반적으로 조명해보고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대표적인 지방자치단체인 트리에스테시를 사례로 개혁의 진행과정, 내용, 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신장애인 탈원화의 장벽은 정신보건법체계 자체의 문제이기보다 정책적 의지의 문제이다. 둘째, 비자의입원은 공공정신의료기관에서만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신보건재정 효율화를 위하여 의료급여의 사회서비스 지불과 개인예산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신보건센터 공공성 확보를 위한 민간위탁제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신장애인 당사자조직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정신보건전문가의 사회운동가 역할이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호주의 정신보건 개혁에 관한 연구: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을 중심으로

        신창식 국회입법조사처 2015 입법과 정책 Vol.7 No.2

        The National Mental Health Plan has provided the overarching policy framework that has guided and extensive process of mental health reform in Australia for the last 20 years. The Fourth National Mental Health Plan committed governments to collaborative action in 34 areas designed to achieve reform at a national level in each of the five priority areas: social inclusion and recovery,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service access, coordination and continuity of care, quality improvement and innovation, and accountability-measuring and reporting progress. There are considerable progress and outcomes in participation rates by people with mental illness of working age in employment, participation rates by you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of working age in education and employment, rates of stigmatising attitudes within the community, percentage of mental health consumers living in stable housing, rat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by people with mental illness, rates of contact with primary mental health care by children and young people, and rates of suicide in the community under the Fourth National Mental Health Plan. 본 논문은 호주의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의 추진을 통한 정신보건개혁의 주요 내용과 그 성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정책에 주는 함의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부터 2014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수립된 국가정신보건 5개년 계획은 지난 20년 동안 호주의 정신보건개혁의 광범위한 과정을 선도하는 중요한 정책 준거틀을 제공하였다. 2009년에 발표된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은 정신질환자의 사회통합과 회복,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 개입, 서비스 접근성 개선과 서비스 조정을 통한 보호의 지속성 확보, 서비스 질의 개선과 혁신, 그리고 책무성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성과측정과 보고 등을 정책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을 통한 정신보건개혁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고용률 증가, 청년 정신질환자의 교육과 경제활동 참여율 증가,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도의 향상, 정신질환자의 주거 안정, 초‧중등학교 교과과정을 통한 정신건강교육의 증가, 아동‧청소년의 1차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 증가, 지역사회 내 자살율 감소, 퇴원 후 28일 이내 재입원률의 감소, 퇴원 후 지역사회보호서비스 이용률 증가, 정신질환자의 치료효과성 향상 등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 KCI등재

        길릭(Gillick) 판결과 아동의 동의능력

        백승흠(Baek, Seung Heum)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30 No.2

        The English House of Lords decision in Gillick has been a standard of the minor’s ability. The Gillick Case has dominated the issue of minor capacity to consent or to refuse for decades, and influenced all over the world. Furthermore, the Gillick decision has brought more questions and ambiguities than it hoped to solve. The speeches of Lords in Gillick Case were made in the context of contraception advice and treatment. Though it would be difficult to set up a criterion to give a capacity to the minor, however the criterion is essential to respect mino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protect the integrity of the body and the mind. What is more, that could be extended a broad spectrum of interests. In Korea, there is no legislation or case law determining if and when minors can obtain medical treatments(eg., contraception advice and treatment) without parental consent or knowledge. This raises concerns for health professionals practice and minors’ status as patients. Therefore the legislators have to try widely to recognize minors’ autonomy. This article discusses whether the rulings in Gillick are applicable or even should be applicable to Korea with regards to medical treatment. The article suggests a legislation for giving medical advice and treatment to minors through a embracement of Lord Fraser’s guidelines(Gillick Competence). The author want that these guidelines would be incorporated into a suggested legislative framework and professional guide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