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 코메니우스의 인간이해와 전인적(全人的) 신앙교육 방향

        최진경 ( Jin Kyoung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기독교 신앙교육은 인간의 전인격성(全人格性)에 기초한 돌봄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기독교 교육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성경은 인간을 지정의(知情意)라는 통합적 인격체로 이해하고 있고, 이러한 인간의 전인성 회복에 관심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코메니우스의 인간론(하나님 형상론)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인적 신앙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서론에서는 코메니우스 인간이해에 대한 연구가 기독교 토대연구로써의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전인으로써의 하나님 형상에 대한 코메니우스의 인간이해를 다루었다. 그는 하나님 형상으로써의 인간을 ``이성적 피조물``(知)이요, ``하나님의 대리자``(情)요,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意)로 이해하였다. 이에 그는 ``지성``, ``덕성``, ``경건성``을 인간의 본성을 이루고 있는 전인적 요소로 보았고, 이 지성과 덕성과 경건성 속에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존재자들 (하나님, 인간, 자연사물)을 이해하고 이들과의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이렇게 본론에서는 지정의를 통한 전인적 신앙교육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전인적 신앙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즉 전인적 신앙교육의 목표는 인간의 하나님 형상회복에 있고, 교육과제는 인간의 지성과 덕성과 신앙심을 일깨우고 계발시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존재자들과의 관계성을 회복하는데 있으며, 교육내용은 지성과 덕성과 경건성 계발과 연관되어야 하며, 교육방법은 인간의 지정의를 고려한 것이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는 하나님 형상론에 근거한 코메니우스의 인간이해를 통해 전인적 신앙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방향성에 대해 다루었다. This thesis emphasizes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the care based on human`s whole personality. Because the Bible, the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al theory, understands the human as integral being of the intellect, the emotion and the will. First of all, this thesis looked into the thought of Comenius` Imago Dei, who insisted the restoration of the human nature as Imago Dei through a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He understood ``human as Imago Dei`` as ``rational being``, ``God`s representative`` and ``Being of having free will``. Therefore he saw ``intellect``, ``virtue`` and ``piety`` as the wholistic elements composing the nature of human, and in these three elements there is the capacity which can understand all beings(God, human being, natural things) around the human and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them. So in this main chapter it w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whole personal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intellect``, the ``emotion`` and the ``will``.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wholistic christian education was talked in conclusion. Namely the goal of the wholistic christian educational is to restore human nature to Imago Dei; educational task to awaken and develop intellect, virtue, and piety in human in oder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all beings in the worl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intellect``, ``virtue`` and ``piety``; educational method should consider the intellect, the emotion and the will of human. This thesis introduced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rough the Imago Dei based on Comenius` anthropology.

      • KCI등재

        율곡 인간관의 미학적 고찰

        박광희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Yulgok Yi I (1536~1584)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ist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e was not only a confucian scholar but also a statesman. This paper is for studying his view of human aesthetically. Yulgok understood human as holistic and balanced ways. While most confucianists saw human only based on one's intelligence or moral nature, Yulgok considered one’s sensibility and desire as human factors as well. This Yulgok’s harmonizing view of human is revealed well in his theories of mind, nature, and sensibility. He regarded all of these mind, nature, and sensibility as harmonized Li and Chi. He believed that the ideal man can be actualized through the harmonization. 栗谷 李珥(1536~1584)는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요 경세가이다. 그의 탁월한 성리이론은 조선조 성리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고, 그의 경세론은 조선 후기 실학의 선구가 되었다. 그러나 율곡의 철학을 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것은 성리학 자체를 미학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아 온 기존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성리학도 우주론이나 인간 존재론이나 그리고 가치관에서 조화와 균형을 이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학적 접근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시각에서 율곡의 인간관을 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율곡은 기본적으로 전인적 인간관을 견지한다. 마음, 본성, 감정론에서 理와 氣의 묘합 구조를 전제한다. 즉 일체 존재는 리와 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그의 존재관은 본성, 마음, 감정을 보는 데에서도 일관된다. 그러므로 인심이나 도심도 氣發理乘의 구조로 보았고, 사단이나 칠정도 기발이승으로 보았고, 기질지성도 리와 기의 묘합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의 인간관은 리와 기의 유기적 구조를 전제하고, 리와 기의 조화와 균형을 기본으로 한다. 율곡은 지성과 덕성도 중요하지만 감성과 욕망도 인간의 요소로서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요소들이 어우러진 전인적 인간성이 진정한 인간의 본질이며, 이러한 인간성을 구현한 인간이야 말로 멋지고 온전한 인간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율곡의 전인적 인간관은 주희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며 유학이 인간의 본질을 仁으로 보는 것과 상통한다. 그리고 율곡의 전인적 인간관은 그의 理氣之妙의 철학적 입장을 인간관에도 그대로 적용한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율곡 인간관의 미학적 고찰

        박광희 ( Kwang Hee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栗谷 李珥(1536~1584)는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요 경세가이다. 그의 탁월한 성리이론은 조선조 성리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고, 그의 경세론은 조선 후기 실학의 선구가 되었다. 그러나 율곡의 철학을 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것은 성리학 자체를 미학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아 온 기존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성리학도 우주론이나 인간 존재론이나 그리고 가치관에서 조화와 균형을 이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학적 접근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시각에서 율곡의 인간관을 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율곡은 기본적으로 전인적 인간관을 견지한다. 마음, 본성, 감정론에서 理와 氣의 묘합 구조를 전제한다. 즉 일체 존재는 리와 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그의 존재관은 본성, 마음, 감정을 보는 데에서도 일관된다. 그러므로 인심이나 도심도 氣發理乘의 구조로 보았고, 사단이나 칠정도 기발이승으로 보았고, 기질지성도 리와 기의 묘합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의 인간관은 리와 기의 유기적 구조를 전제하고, 리와 기의 조화와 균형을 기본으로 한다. 율곡은 지성과 덕성도 중요하지만 감성과 욕망도 인간의 요소로서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요소들이 어우러진 전인적 인간성이 진정한 인간의 본질이며, 이러한 인간성을 구현한 인간이야 말로 멋지고 온전한 인간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율곡의 전인적 인간관은 주희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며 유학이 인간의 본질을 仁으로 보는 것과 상통한다. 그리고 율곡의 전인적 인간관은 그의 理氣之妙의 철학적 입장을 인간관에도 그대로 적용한 것이라 하겠다. Yulgok Yi I (1536~1584)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ist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e was not only a confucian scholar but also a statesman. This paper is for studying his view of human aesthetically. Yulgok understood human as holistic and balanced ways. While most confucianists saw human only based on one``s intelligence or moral nature, Yulgok considered one`s sensibility and desire as human factors as well. This Yulgok`s harmonizing view of human is revealed well in his theories of mind, nature, and sensibility. He regarded all of these mind, nature, and sensibility as harmonized Li and Chi. He believed that the ideal man can be actualized through the harmonization.

      • 왕양명과 생명윤리와 전인적 인간관

        양선진(Sun - Jin Y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8 철학과 문화 Vol.38 No.-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본질은 무엇인가? 생명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본질적이며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서 생명공학자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자들은 나름의 답변을 우리 사회에 제공하고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HGP)는 인간의 본성을 인간의 유전자 안에서 찾으려 하는 유물론적 이해 방식을 취하였다. 하지만 왕양명은 인간의 몸과 정신을 모두 인정하면서도 인간의 중심은 몸( )이 아니라 도덕적이면서 동시에 영적 특성을 지닌 마음, 즉 ‘영명( )’하며 ‘양지( )’를 갖춘 마음( )이라고 본다. 이처럼, 왕양명에 따르면, 인간의 본질은 서양의 주류 철학과 달리, 지성과 감성을 넘어서 도덕성과 영성이라는 특성을 모두 인정하는 총체적이며 통합적 인간 이해를 가지고 있다. What is a human being? What is the nature of man? What is life? Scientists and genetic technologists provide their answers to our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the life. The Human Genome Project (HGP) takes a materialistic understanding of the human nature to find it in human genes. However, while Wang Yang-Ming recognizes both human body and spirit, human center is not a body but a mind with a moral and spiritual character which means the mind with moral and spiritual heart. Thus, according to Wang Yang-ming, human nature has a holistic and integrated human understanding that recognizes both morality and spirituality beyond mind and emotion, unlike western mainstream philosophy.

      • KCI등재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김종덕(Kim Jongdeok)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1 No.-

        시대마다 전제하고 있는 인간상의 특징이 바로 법에 투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법의 역사는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 변천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으며, 어떠한 법이 어떠한 양상을 띠느냐는 그 법이 인간에 대하여 가지는 기본적인 이해에 좌우된다. 이와 같이 인간상의 문제는 모든 법 이론의 출발점이 되는 동시에 또한 귀결점이 되는 것이므로 인간상에 대한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인간은 인격적 존재이고 그 인격은 의식적인 인격층과 무의식적인 인격층으로 구성되는 중층적·복합적 구조를 지닌다. 이 중 법에 직접 관련되는 자유의사의 인정여부에 관해서도 의사자유론과 의사결정론이 대립하고 있지만, 인간에게는 절대적 의미에서의 자유의사의 존재보다는 어느 정도 유전적 소질이나 사회환경 등에 의해 제한을 받는 자유의사를 인정하는 이른바 상대적 자유의사가 있다는 복합적 인간상을 지닌다. 두 번째로 인간은 미완성의 불완전한 존재로 태어나 다른 인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자기를 완성해 가는 사회적·역사적·문화적 존재이며, 인간을 단지 이성적으로나 생물적으로 포착하기보다는 여러 가지가 조화를 이루고 통합된 조화의 인간·종합의 인간으로서의 전인적 인간으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형법이 기초하는 인간상도 정신적·영적 측면만을 중시하는 관념주의적 인간상이나 인간의 신체적·심리적 측면만을 중시하는 자연주의적 인간상과는 구별되는 구체적·현실적이면서 복합적인 전인적 인간상인 것이다. 세 번째로 인간의 본성에 관하여는 성선설, 성악설 그리고 백지설이 있지만, 인간은 본질적으로 성선설적 측면과 성악설적 측면이 동시에 내포된 혼합적 성격을 지니며, 다만 어느 측면이 강하느냐의 정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할 것이다. 네 번째로 인간은 이윤추구와 이해타산에 따라 행동하는 이기적이고 비이성적인 측면(법적 규율대상으로서의 인간상)을 지님과 동시에 공동체 내지 공익을 위하여 자신의 이익을 양보할 줄아는 공리적이고 이성적인 측면(윤리적 규율대상으로서의 인간상)을 동시에 지니고 있기에 전체적으로 통합적이고 양면적인 인간상을 지니고 있다. 다만 이기적이고 비이성적 인간상과 공리적이고 이성적 인간상은 서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면서 사정에 따라 어느 측면이 강하게 발현된다. 실정법에서는 이러한 여러 인간상을 바탕으로 그 법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어느 특정 측면에 더 중점을 두고 제정된다 할 것이다. Every legal system base on the organic relationships with essence of human. The matter that which laws assume of which aspect is influenced the basic understanding to human of the laws. Every laws established by human premise a certain kinds of human in it. The problem of human figure in law is both starting point and conclusion of every legal theory. For example, so most theories about crimes and punishments in criminal law need a proper decision of human figure in present day which they premise.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to formulate law theory must understand true concrete and real human in modern law. On the understanding that human substance is a unity of plural existence, we may frame a theory that based on all-round and compositive human figures. Therefore human figure in law should be arranged into realistic all-round human figure. Human figure in criminal law should be also analyzed and arranged in details about act, crime, and punishment. In conclusion, human figure in law have a compositive human figures, that it is composed of the personality of duplicate structure and all-round human figures, the self-interested(egoistic) and utilitarian human figures, and the rational and irrational human figures etc. In short brief, human being have some what defective existence and compositiverealistic human figures. And with changing of the society and the times, this human figures should be also changed in fu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도산 안창호의 인격론에 관한 연구

        박부전,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9 민족사상 Vol.13 No.1

        This study is on the character’s theory of Do San Ahn Chang-Ho. The character’s theory of Do San forms the basis and foundation of the Do San’s thoughts. Without exact understanding of character’s theory of Do San is utterly indecipherable to understand thought and philosophy of Do San. I analyzed the character theory of Do San in three major categories. First, the character theory of Do San can be defined as the humanistic character’s theory. Second, his character’s theory can be defined by his holistic character’s theory. It is a holistic theory of personality that combines the three main elements of the human mind :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The whole character’s theory leads to character training and renovation in the real world. Character is something that can be adapted by human effort, not fixed Character reform is realized through character training. Finally, his character’s theory can be defined as a character’s theory of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 To unite knowledge and conduct is a place for personality to pursue. 본 논문은 도산 안창호의 인격론에 관한 것이다. 도산의 인격론은 도산 사상의 기초와 토대를 이루고 있다. 인격론에 대한 이해 없이 도산 사상과 철학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불가하다. 필자는 도산의 인격론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도산의 인격론은 인간주의적 인격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간주의는 휴머니즘을 지칭하는 것으로 인간존중주의를 의미한다. 도산의 인간주의적 인격론은 유정사회론과 긍휼론으로 연계된다. 둘째, 그의 인격론은 전인적 인격론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인간 정신의 3대 활동요소인 지·정·의가 조화된 것인 전인적 인격론이다. 전인적 인격론은 현실에서 인격훈련과 개조론으로 이어진다. 인격이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노력에 의해 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인격개조는 인격훈련을 통해 현실화된다. 마지막, 그의 인격론은 지행합일적 인격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지행합일은 인격이 지향해야 할 수행지이다. 지행합일로 나아가지 않는 인격은 무의미할 뿐이다. 이렇게 보면 도산의 인간주의적 인격론, 전인적 인격론 및 지행합일적 인격론은 상호연동된 인격론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 KCI등재

        燕巖의 교육 문화적 가치관에 투영된 문화콘텐츠 고찰

        양명모(Myeong-mo Y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4

        燕巖의 교육 문화적 가치관은 교육목적, 제도 그리고 그에 따른 교육내용 즉 사회 문화 교육과정 문제에 대하여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현대 교육문화 활용에 대한 콘텐츠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에 燕巖의 실학사상에 투영된 교육문화 가치관은 해방 후 지금까지 서구 문화 교육 이론에만 급급한 나머지 교육문화 과정상 시행착오를 거듭해 온 결과 우리 교육 문화계에 신선한 개선방안을 시사하는 바가 크다. 燕巖은 교육 문화의 목적으로서 교육받은 인간상으로 선비를 제시하였고 선비란 도덕적인 삶을 사는 사람을 의미하였으며, 도덕적 인간으로 살아가는데 있어 선비가 해야 할 직무는 자기초월적인 도덕성을 유지하여 타인의 삶과 나아가 인류의 삶의 질의 향상을 추구함과 동시에 올바르게 가치를 판단하는 일이라고 하였으며, 만물의 공동참여의 場인 세계 문화의 현상들에 대한 理法 탐구로 인간 삶의 향상에 기여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燕巖이 사농공상의 신분적 계급을 사회 문화적 기능을 위한 분업적 구분으로 보고 선비의 학문은 농공상의 원리를 포함하여 탐구해야 한다고 과감하게 그 시대에 진보적 주장을 펼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燕巖이 바라는 교육 문화는 개인을 도덕적인 인간으로 육성하고 동시에 사회 문화에 유용하게 활용하여 만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조화의 인간을 기르는 것이며 합리적으로 탐구하고 나라와 타인을 위할 줄 아는 사람, 돈을 벌고 쓸 줄 아는 경제인으로 전인적인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이 전문화되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깊어져 가는 상황에서 만물을 하나로써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자기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그들의 입장과 관점에 입각해서 사회 문화 현상을 적용하여 평가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燕巖의 교육 문화적 가치관에 투영된 인간의 평등성과 존엄성을 현실 교육문화 속에 적용하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우리는 타인을 존중하고 이를 통하여 삶의 질이 향상되는 공동체적 사회 문화가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dea of education and culture of Yeon-am has a contemporary meaning as it creates new interest in concept, purpose and system of education, and content or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m. Especially his thought of education reflected in Realistic Confucianism strongly suggests our educational circles which have repeated trial and error about the educational management since National Liberation while striving only for Western educational theory, to upgrade to up-to-date methods. Yeon-am regarded scholars(Seonbi) as educated men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duties of scholars as moral persons lie in pursuit of improving lives of others and mankind with self-transcendent morality and in judgement of proper values as well. Furthermore, they shoul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lives of people by studying principles and rules about world phenomena in which all creations live. This context allows his advanced view that traditional social ranks of four classes existed for purpose of division of labor for social functioning and scholars must study principles of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also. Particularly, Yeon-am hoped that education would develop moral and harmonious individuals useful for helping others in society. He wanted to educate not only persons who would be willing to study rationally and to work for the country and others but also whole-persons with sense of economy who could earn and spend money

      • KCI등재

        조계종 五大 叢林의 재검토

        고영섭(Ko Young-Seop)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1 No.-

        이 논문은 불교 조계종의 종합수도장인 오대 총림의 역사와 전통 및 가풍과 문화 그리고 역할과 기능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통도사(靈鷲), 해인사(海印), 송광사(曹溪), 수덕사(德崇), 백양사(古佛)를 기반으로 한 오대 총림들은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불교계 안팎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해 왔다. 조계종의 3대 지표는 ‘역경’(譯經)과 ‘포교’(布敎)와 ‘도제양성’(徒弟養成)이다. 경전 번역은 불교의 기반을 정비하여 전문화하는 일이며, 포교는 양성된 도제를 통해 역경하고 전법(傳法)하는 일이다. 도제양성은 역경과 포교를 담당할 전문적인 인재와 대중화의 주역을 육성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일이다. 이러한 삼대 지표에 비추어볼 때 현재의 조계종 오대 총림의 기능과 역할은 일개의 교구본사 이상의 역할과 기능을 넘어서지 못하는 인상을 주고 있다. 그 이유는 총림이 지니고 있는 ‘종합적 성격’과 강원과 선원 및 율원 등의 ‘유기적 특성’을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는 데에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해당 총림권에 들어있는 각 교구본사 사이의 상호 독립의 역할과 상호 보완의 기능이 함께 이루어져야만 한다. 도제양성을 통하지 않고서는 불교의 미래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총림의 건설은 곧 붇다로 대표되는 ‘전인적 인간상’을 탄생시키기 위한 조계종단의 깊은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가 이 시대에 해줄 수 있는 가장 큰 명약은 눈앞에 부딪치는 ‘현상’ 혹은 ‘대상’에 대해 흔들림이 없는 마음자세를 확보해 주는 일이다. 총림은 우리의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수행의 공간이다. 동시에 수행자를 배출하는 곳이며 물질문명에 지쳐있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평화를 가져다주는 훌륭한 공간이다. 해서 ‘급속’(急速)한 물질문명에 지쳐 있는 현대인들에게 불교 총림이 보여주는 ‘서행’(徐行)의 정신문명은 치유의 명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총림의 기능과 역할을 극대화하는 지름길은 불교의 전인적 인간상의 제시와 이러한 인간을 만들어내기 위한 시스템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것은 인도 당시부터 불교가 제시해 왔던 자리적 인간상과 이타적 인간상을 탄생시키는 방법이었다. 따라서 우리 시대 불교총림이 해야 할 급선무는 지친 현대인들의 마음을 평화롭게 해주는 총림의 시스템적 기능을 회복하는 일이다. 그리하여 우리들의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할 정신의 산소를 공급하는 일이다. ‘삶의 새로운 전형’으로서 ‘붇다’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마음을 평화롭게 하는 지혜였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istories, traditions, customs, cultures, roles and functions of five comprehensive temples, which are general ascetic centers of Jogye School. The five comprehensive temples such as Tongdosa(Yeongchuk), Haeinsa(Haein), Songgwangsa(Jogye), Sudeoksa(Deoksung) and Baekyangsa(Gobul) have played various roles around Buddhist world in spite of difficult conditions. 3 mottos of Jogye School are ‘sutra translation', 'propagation' and 'disciple nurturing'. Sutra translation is the work to maintain and specialize the ground of Buddhism and propagation is the work to translate sutra and teach Buddha through nurtured disciple. Disciple nurturing is the work to nurture specialized manpower, who will be in charge of sutra translation and propagation and who will lead population of Buddhism and deploy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When considering three mottos, in the researcher's opini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current five comprehensive temples of Jogye School do not go beyond role and function of a doctrinal school's headquarter. The reason is that comprehensive temples' roles of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such as meditation hall, monk' school and vinaya schools' roles of 'organic characteristics' are not properly per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there shall be a mutually independent role and mutually reinforcing function between doctrinal schools' headquarters. It is because it is hard to expect the future of Buddhism without nurturing disciples. From that point, the construction of comprehensive temple shows the deep will of Jogye School to bear 'whole human image' that the representative of the Buddha. The most important role of Buddhism in this age is to secure an attitude that is not shaken by phenomenon' or 'object' that people face with. Comprehensive temple is an ascetic place to cultivate our bodies and minds. At the same time, comprehensive temple is an outstanding place that shall be performed in the comprehensive temple is to provide modern people, who are tired of material civilization, with mental peace as well as produce ascetics. In this way, the mental civilization of 'slow movement' that comprehensive temple introduces to modern people, who are tired of rapid material civilization, can be a good healing medicine. The shortcut to maximize function and role of comprehensive temple is to suggest whole human image of Buddhism and secure the system for producing this kind of human. This kind of Buddhism study method has been a shortcut to produce self-seeking and altruistic human image that Buddhism has suggested from the age of India. Therefore, comprehensive temple shall recover its systematic function to provide modern people, who are tired, with mental peace. At the same time, the most urgent thing that comprehensive temple has to perform in this age is to provide people with mental oxygen that can make mind clean. It is because 'Buddha' showed us the wisdom to make mind peaceful as a 'new pattern of life'.

      • KCI등재

        체육교육론 정립을 위한 신체 연구

        장성수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1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find contents to be able to assist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by looking for the ideal goal of physical education and its interrelated meaning with body, and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 In the process of examining documentary materials,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could be defined as "a variety of theories necessary for changing human being in the desirable direction through planned physical activities" aimed at a fully functioning person. The main teaching materials of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are divided into the five areas such as play, sports, dance, gymnastics and recreation, and as a result of inferring the essence of them through intuition, this research could approach motor and physical motor. In this part, this research came to know that body could be an essential substance in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In this part, this research could also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change to sense body, awareness body, and body reason from the understanding that body is an organic body through philosophers including Nietzsche who thought a body-centered theory could be enlarged to the world and even to the universe along with human lives in its meaning. Hence, this research could understand that in spite of an essential subordinate relation of body in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its meaning could be higher elevated. Therefore, as the interrelated meaning between a fully functioning person and body could turn into a meaningful thesis in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continuous and in-depth studies on the field are neede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체육교육의 이상적인 목적인 전인적 인간과 신체와의 상관적 의미를 찾아 체육교육론에 조력할 수 있는 의미를 찾기 위한 연구이다. 문헌자료 고찰과정에서 ‘체육교육론’은 전인적 인간을 목적으로 계획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인간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 나가는데 필요한 제반 이론이다 라고 정리할 수 있었다. 체육교육론에서 주요한 교재로는 놀이, 스포츠, 무용, 체조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등 5개 영역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직관을 통해 본질을 추리한 결과, 운동과 신체운동으로 접근해 들어 갈 수 있었다. 여기서 신체는 체육교육론에서 본질적 실재가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니체를 비롯한 신체 중심으로 사유하였던 사상가들을 통해 신체는 유기체라는 인식에서부터 감각신체, 의식신체 그리고 신체이성으로의 변화는 인간의 삶과 함께 세계와 우주까지 의미 확대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체육교육론에서의 신체는 본질로써 어떤 종속적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의 의미 고양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체육교육론의 목적인 전인적 인간과 신체와의 상관적 의미는 유의적인 정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 이것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