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오승민,조완제,김종구,이혜리,이덕철,심재용,Oh, Seung-Min,Cho, Wan-Je,Kim, Jong-Koo,Lee, Hye-Ree,Lee, Duk-Chul,Shim, Jae-Y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말기 암 환자의 증가, 노년인구의 증가, 연명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완치될 수 없는 질환을 가진 말기 환자에 대한 치료 결정(End of life decision making)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나 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은 낮은 상태에 있고 이로 인해서 말기 환자에게 말기진정과 같은 결정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시행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때로는 잘못된 시행으로 윤리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통하여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올바른 태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미래 의료계의 주역이 될 의과대학생들이 말기진정을 포함하여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6월 25일부터 6월 29일 사이에 1개 의과대학 본과 1, 2학년 학생과 임상 실습중인 3학년 학생 총 388명을 대상으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인구사회학적 자료를 설문 조사하였다. 응답이 완료된 267명을 대상으로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각 인자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일개 의과대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의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의 시행에 찬성하는 비율은 각각 37.1%, 21.7%, 58.4%, 60.3%, 41.6%였다. 이 비율은 각 항목의 윤리적 타당성에 대한 설문 결과와 유사하였다. 1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능동적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더 반대하였고,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에 대해서는 더 찬성하였다. 종교 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각 항목에 대한 찬성이 적었으며 교육 경험 유무, 특히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학년 학생에서 말기 진정에 더 많이 찬성하였다. 연령, 임종 환자 경험 유무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결론: 말기 환자 치료 결정의 구체적 임상 행위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태도에 이전 연구에서처럼 종교 또는 교육이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임상실습을 통한 교육경험이 태도 변화에 중요하였다. Purpose: Sooner of later, end-of-life care decision-making will unfold and be settled during the professional lives of medical students. However, there is prevalent ambiguity and uncertainty between the palliative treatment and euthanasia. We conducted this survey to investigate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towards end-of-life making decisions, and to find out which factors primarily influenced the attitudes.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among medical students at one university, the Republic of Korea. A written questionnaire was sent to all the 1st, 2nd, and 3rd-year medical students. It presented 5 statements on end-of-life decision-making.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hey agreed or disagreed with each statement.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74.4%, and 26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Percentages of agreement with each statements on Voluntary active euthanasia (VAE), Physician assisted suicide (PAS), Withholding life-sustaining management, Withdrawing life-sustaining management, and Terminal sedation (TS) was 37.1%, 21.7%, 58.4%, 60.3%, and 41.6%, respectively. The grade of students, religious activity, and educational experience were determinant factors. Agreement on each statements was higher in the low religious activity group than in the high religious activity group. Agreement on TS was higher among 3rd year students during their clerkship than among 1st and 2nd year students. Age of students and the experience of dying-people car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Conclusion: In end-of-life decision-making, religious and educational factors influenced medical students' attitud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education during clerk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Proper teaching on end-of-life decisions should further be considered during medical students' clerkship.

      • KCI등재후보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최경석(Kyungsuk Choi)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은 비교적 짧은 한국 생명윤리의 역사에서 연명의료중단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이정표적 판결이다. 대법원 판결은 원칙론적이기는 하지만 치료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권리의 행사가 생명과 관련된 치료의 경우에는 매우 제한적으로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적어도 회복불가능한 사망단계에 진입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은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허용된다고 판시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의식의 회복불가능성을 회복불가능한 사망 단계 여부를 판단하는 요소로 언급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대법원은 죽음의 시기를 인위적으로 연장하지 않는 죽음을 수용한다는 점에서 자연사 개념에 입각한 판결을 내리고 있다. 그러나 논리적인 측면에서 대법원은 자연사 개념에 입각한 접근 방법의 논리적 일관성을 충분히 전개하지 못한 채, 자기결정권 존중의 원칙에도 호소하고 있다. 이것은 대법원이 자기결정권 존중의 논리적 함축 또한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자기결정권 존중의 원칙이 적용되는 범위 또한 제한하는 결과를 낳게 하였다. 그래서 자기결정권의 존중이란 원칙에 충실했던, 카렌 퀸란이나 낸시 크루잔 사건에 대한 미국 법원의 판결과 달리 사실은 대리판단의 표준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최선의 이익이나 자기결정권을 언급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으며, 최선의 이익이나 자기결정권의 존중의 개념 역시 부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자기결정권의 행사와 관련해서 대법원은 매우 제한적인 요건을 제시하고 있어 자기결정권 존중의 문화가 정착되지않은 한국에서는 생전유언을 통한 자기결정권 행사가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법원 판결은 단지 인공호흡기에 대한 판단이었다는 점에서 연명치료 중단의 쟁점 중 일부만을 다루고 있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Korea Supreme Court’s case of Grandma Kim is an important cornerstone for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 relatively short history of Bioethics in Korea. The Court’s decision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declares, in principle, a patient’s right of self-determination on his/her treatments. However such a right should be very carefully exercised under a very restricted circumstance. The Court shows that when a patient has been in the irreversible procedure of dying, his/he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s allowed with the satisfaction of some qualification. But the Court takes a mistake in mentioning the irreversible consciousness as an element of the irreversible procedure of dying. The Court accepts not prolonging the end point of death on the basis of the conception of natural death. However, the Court does not fully develop the logic of the conception and also appeals to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This reveals that the Court does not fully understand the logical implications of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This problem results in restricting the scope of self-determination. Thus, the Court’s argumen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Quinlan’s case and Cruzan’s case in America, which focus on the principle of respecting for autonomy. Although the Court finally follows substituted judgment standard, it appeals to both best interests for a patient and respect for self-determination with the misuses of these principles. In addition, the Court’s decision shows its limitation in that it deals with one of issues related to lifesustaining treatment, that is, the issue of artificial respiratory device alone.

      • KCI등재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중환자 전담의사의 인식: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상현,손명세,고신옥,이일학 한국의료윤리학회 2012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5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ntensive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medically futile treatment.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intensive care physicians in charge of critical care units at tertiary hospitals in Daegu, Gwangju, and Seoul, South Korea. Results are as follow. 1.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opposed the inclusion of persistent vegetative state (PVS) patients in the category of medically futile treatment. 2. And though the distinctions between ordinary and extraordinary treatment, and between the withholding and withdrawal of treatment, were not clinically meaningful in the intensive care units under study, they are nevertheless relevant because of individual religious beliefs and Korean cultural traditions. 3. Since the beliefs and traditions of family members often makes it difficult for a patient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we argue that a gradual approach would be useful in choosing advance directives, making those directives optional rather than mandatory. 4. Economic factors also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futile treatment in Korea. These factors were neglected in earlier surveys. Finally, the participants insisted that the physician’s right to make clinical decisions about medically futile treatment should be legislatively guaranteed based on their convi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follow: a) that detailed criteria for medically futile treatments be established; b) that a decision-making process be developed that is culturally, ethically, medically, and legally acceptable; and c) that ethical education be provided to intensive care physic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