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대학병원 종양내과에서 사망한 환자들의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 결정 요소

        송태준 ( Tae Jun Song ),김규표 ( Kyu Pyo Kim ),고윤석 ( Youn Suck Koh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4

        목적: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는 무의미한 치료와 연관된 논쟁 중 하나이며 아직 우리 나라에서는 법적으로 인정되고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2001년 10월부터 병원 윤리 위원회에서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가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한 대학병원 혈액종양내과에서 사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의 현황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7월까지 한 대학병원 혈액종양내과에서 사망한 환자들 213명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213명의 환자들 중 181명(85%)에서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가 있었고, 이 중 1명의 환자에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다.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를 담당의사가 제기한 경우가 83.9%이고 가족 구성원이 제기한 경우는 16.1%였다. 입원횟수가 많은 환자들(3.7±2.6 vs. 2.9±1.7, p<0.05)과 교육수준이 높은 환자들(고졸 이상의 학력 89.5% vs. 10.5%, 고졸 이하의 학력 77.3% vs. 22.7%, p<0.05)에서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의 비율이 높았다. 소화기 계통의 암을 앓고 있던 환자들에서 폐암이나 혈액암을 앓던 환자들에 비해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의 비율이 높았다(p<0.05).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에 동의한 이후 치료 수준은 심폐소생술 유보가 31명(17.2%), 추가적인 치료 유보가 133명(73.9%), 그리고 치료 중단이 16명(8.9%)이었다. 결론: 입원 횟수와 암의 종류, 교육수준 등이 암환자들의 심폐소생술 금지 지시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ims: Do-Not-Resuscitate (DNR) orders have been one of the critical issues considered in futile medical management, but they have not been legally defined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NR agreement an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DNR orders in the hemato-oncology ward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which DNR orders were formally implemented through the Hospital Ethics Committee in October 2001.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213 patients who had died in the hemato-oncology department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2 and July 2002. Results: Of the 213 patients, 181 (85%) agreed to a DNR or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done in 1 out of 181 patients. The DNRs were suggested by attending physicians in 83.9% of cases and by family members in 16.1%. The patients with more frequent admission to the hospital (3.7±2.6 vs. 2.9±1.7, p<0.05) and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p<0.05) were more likely to agree to a DNR order.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were more likely to agree to a DNR order than patients with lung cancer or hematologic malignancy (p<0.05). The levels of care after DNR agreement were: withholding of resuscitation only (17.2%), withholding of additional support (73.9%), and active withdrawal of provided support (8.9%).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admission, type of malignancy, and educational level of patients were determining factors for the establishment of DNR orders in patients with malignancy.(Korean J Med 74:403-410, 2008)

      • KCI등재후보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에 관한 결정 : 유보, 중단을 중심으로

        김아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들에게 특별한 예외가 없다면 심폐소생술은 즉각적으로 시행되어 져야 한다. 그러나 소생술이 궁극적으로 심장기능의 회복에 도움을 주지 않고, 당사자가 소생술을 원하지 않았던 것이 명백하다는 이 2가지가 모두 만족된다면 소생술의 유보나 중단은 정당화 될 수 있다. 국내의 현실적 여건과 응급실의 상황들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필수적 요건들이 충분한 근거에 의해서 만족되기 어렵다. 이에 저자는 심정지가 발생한 후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에서 심폐소생술을 유보하거나 중단할 수 있는 시점들을 지정하였으며, 이때에 만족시켜야 하는 요건들을 알아보았다. 병원 전 단계 심정지에서는 응급구조사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때문에 유보나 중단에 대하여 의학적 측면에 근거한 의료지도가 필수적이다. 병원 단계 중 응급실의 초기 단계에서는 생명의 이익에 근거한 의학적 판단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심정지 후 치료까지를 포함한 넓은 범위의 심폐소생술의 과정에서는 후반부에 이를수록 의학적 판단 이외에도 가치 판단적 요인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심정지시 응급실에서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의 유보, 중단을 위해서는 단계에 따라 충족시켜야하는 요건들이 달라질 수 있으며, 환자 이익의 측면에서 이를 정당화 시키는 절차가 필요하다. CPR should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cardiac arrest without the special exceptions. If CPR don’t help the recovery of heart function and if the patient don't want CPR in advance, withholding and withdrawal of CPR can be justified. Domestic practical conditions and environments of EMS prevent two requirements from being satisfied. We showed the entire CPR flow, the possible steps and requirements not to resuscitate. Physician’s medical directions are necessary in prehospital phase. In early hospital phase, to withdraw CPR would be on the physician’s judgement for the patient’s life interest as well. Physician should consider the patient’s value and non-medical factors in later CPR phase. There should be the different requirements to each step for withholding and withdrawal of CPR. The institution’s modeling of decision making CPR can be complementary to the present system.

      • KCI등재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홍성애 韓國老年學會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4

        본 연구는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의식이 있을 때 임종기의 치료에 대한 선호도를 밝혀두는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6개 시·도에 거주하는 의료인(의사/간호사)과 일반성인 383명을 대상으로 AD 관련 실태와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AD 모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X² test,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심폐소생거부권(DNR order)과 AD에 대해서 알고 있었으며, 소수이기는 하지만 병원 내규나 서식을 통해 활용하고 있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우리나라에 AD를 도입하는 것과 AD를 작성하는 것에 동의하였고, AD가 법적 효력을 갖는 것에 찬성하였다. AD를 작성하는 방법으로는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을 혼합하는 유형을 희망했고, 문서로 작성하는 것을 희망했다. 또한 AD를 작성하는 시기로는 말기질환으로 진단받았을 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문화와 실정에 맞는 AD 모형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AD 도입을 위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concucted to present a model of advance directives(AD) when a patient, who is in consciousness, shows a preference for an end of life care as an act of preparing for an uncertain situation that may arise in the forseeable futu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383 doctors/nurese and adults, who live in six cities and province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D, attitude regarding a meaningless life-prolonging treatment, and moreover, an understanding of and a preference for AD. The research was done by the well-structured questionnaire. Also, SPSS 14.0 is us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focused on frequency analysis, avearage and standard deviation, X2 test.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ost of the surveyed doctors/nurese knew DNR orders and AD and a few of them used DNR orders and AD practically.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negative conception of meaningless life-prolonging treatment among the responents, in addition, most of them agreed upon the idea of introducing AD to Korea, filling it out and making it legally effective. As a method of making AD out, the respondents wanted to use a form that mixed living will with an Power of Attorney in a document. Also, considering the appropriate time, respondents prefered when they are diagnosed with terminal illness. At the moment, the introductory model for AD,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culture and current situation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the future, other researches should deal with specific measures that can lead to a social consensus to adopt AD in Korea.

      • KCI등재

        심폐소생술 금지 동의 후 호스피스 병동과 암병동에서 사망한 말기 암환자의 특성 비교

        송난(Song, Nan),최자윤(Choi, ja Yun) 대한종양간호학회 2020 Asian Oncology Nursing Vol.20 No.1

        Purpose: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among deceased cancer patients that had do-notattempt-resuscitation (DNAR) agreements in hospice and oncology wards.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who died after making DNAR agreements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6 .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that died in hospice (n=150) and those that died in oncology wards (n=100).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7 to February 2018. Two trained investigators independent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for subjects using survey tool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r =.81). Result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t=-2.54, p=.012) and education (χ²=5.96, p=.015). Among the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surgery history (χ²=10.09, p=.001), chemotherapy history (χ²=11.08, p=.002) and symptoms (t=5.14, p<.001)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treatment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chemotherapy at death (χ²=9.61, p=.002), radiotherapy at death (χ²=5.60, p=.018)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χ²=6.15, p=.029)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nursing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nursing intervention after DNAR consent (t=3.72, p<.001)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outcomes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sciousness state at the DNAR consent (χ²=64.82, p<.001), self-written consent (χ²=18.26, p=.001), hospitalization days (t=2.31, p=.022) and the cost per day of hospitalization (t=-4.81, p<.001)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atients, families, and medical staff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o prevent medical expenses from rising due to unnecessary life-support treatment while preparing for death with family members.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