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합리적인 민주적 숙고에서 넓은 반성적 평형의 역할 : 보건의료 자원 배분의 문제를 중심으로

        최경석 ( Kyungsuk Choi ) 한국윤리학회 2013 윤리학 Vol.2 No.2

        치솟는 보건의료비용과 희소한 보건의료자원은 보건의료에서 배분을 불가피하게 만든다. 보건의료에서 배분은 민주적 숙고를 통해 스스로 부과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민주적 숙고는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합리적인 민주적 숙고의 대상이 되는 견해들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다수결 원칙과 같은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포함한 합리적인 민주적 숙고는 이러한 숙고의 결과로 얻은 결정에 대해 도덕적 권위를 부여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필자는 합리적인 민주적 숙고에서 넓은 반성적 평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필자는 합리적인 민주적 숙고 그 자체는 상호간에 발생하는 맥락 중심적인 넓은 반성적 평형의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넓은 반성적 평형은 민주적 숙고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첫째, 합리적인 민주적 숙고의 대상이 되는 판단들은 이성적이어야 하고 도덕적으로 허용 가능한 견해여야 하는데, 넓은 반성적 평형의 관점에서 볼 때 이 견해들 각각은 최소한 개인 차원에서 평형에 도달한 견해이다. 둘째, 맥락 중심적 반성적 평형은 숙고의 범주를 한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넓은 반성적 평형의 관점에서 볼 때, 합리적인 민주적 숙고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우선, 공유된 넓은 반성적 평형을 통한 의견 일치 가능성이다. 또한 서로 다른 반성적 평형들 사이의 중첩된 합의를 통한 의견 일치 가능성도 존재한다. 끝으로 여전히 의견 불일치 상태이지만, 이러한 의견 불일치에 대한 해결 방식 즉 다수결 원칙과 같은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해결한다는 해결 방식에 대한 의견 일치가 있는 경우이다. 내용에 대한 의견 일치에 이른 앞선 두 경우와 다수결 원칙과 같은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의견 불일치를 해결하는 마지막 경우는 도덕적 권위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 마지막 경우조차도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스스로 부과한 보건의료 배분이며, 이것 역시 정당화되거나 충분히 정의로운 것이다. Escalating health care cost and the scarcity of health care resources make health care rationing inevitable. Health care rationing should be self-imposed through democratic deliberation. But democratic deliberation raises some questions. What opinions can be exposed to rational democratic deliberation? Can rational democratic deliberation including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give m oral authority to its decisions? We need to focus on the roles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in rational democratic deliberation. Rational democratic deliberation itself can be considered to be a process of context-centered wide reflective equilibrium at the interpersonal level. There are two roles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in rational democratic deliberation. First, opinions under rational democratic deliberation should be reasonable and m orally permissible views, each of which reaches an equilibrium in the personal level of w ide reflective equilibrium . Second, context-centered wide reflective equilibrium makes the domain of deliberation defined. There are three possible outcomes of rational democratic deliberation from wide reflective equilibrium ; an agreement through a shared wide reflective equilibrium ; an agreement through overlapping consensus in different w ide reflective equilibria; still disagreement but getting a solution to the disagreement through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There is a difference in m oral authority between the two cases that we reach an agreement and the last case that moral disagreements are solved through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such as voting or the majority rule. But health care rationing in the last case is also self-imposed through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It is “justified” or “just enough.”

      • KCI등재후보

        그룹 믿음과 넓은 반성적 평형

        최경석 ( Kyungsuk Choi ) 한국윤리학회 2016 윤리학 Vol.5 No.1

        필자는 넓은 반성적 평형이 이성적 불일치와 이성적 다원주의를 사실로서 여기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단순히 개인의 추론 방법으로서의 의의를 넘어서서 그룹 추론의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필자는 그룹 믿음을 한 그룹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믿음으로 정의하고, 그룹 정당화는 그룹이 공유하는 어떤 믿음에 대해 각각의 구성원들이 그것을 정당화하는 공유된 실질적인 이유를 지녔을 경우 또는 각각의 구성원들이 나름의 이성적인 포괄적 믿음 체계 내에서 그 믿음을 정당화하는 실질적인 이유를 지니고 있음을 인지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이러한 그룹 정당화 개념을 수용할 경우, 넓은 반성적 평형은 중첩적 합의가 지닌 의미를 잘 설명할 수 있고 완전 합의가 어떤 것인지 잘 설명할 수 있다. 윤리위원회와 같은 그룹이 그룹 믿음을 생성하는 경우 추론의 방법에 대한 다양한 입장 즉 하향식 추론 방법이나 결의론과 같은 상향식 추론 방법을 존중하면서도 넓은 반성적 평형은 이들 두 방법과 양립가능하며, 오히려 이들 방법의 사용은 결과적으로는 그룹의 추론이 넓은 반성적 평형을 사용한 결과에 도달함을 이 논문은 주장하고 있다. This paper shows that wide reflective equilibrium plays an important role of group reasoning beyond its function of personal reasoning in a pluralistic society in which reasonable disagreement and reasonable pluralism are considered as facts. A group belief is defined as a belief that is mutually accepted by all members of a group. A group belief is justified in case that all members mutually accept a substantial reason or they mutually recognize each of them has substantial reason within their own reasonable comprehensive belief system.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ith this notion of group justification properly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overlapping consensus. In addition, complete consensus is well explained. When a group such as ethics committee tries to produce a group belief, the group method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respects top-down approach or bottom-up approach like casuistry and is compatible with them. Interestingly, the use of different approaches converges on the outcome produced by the method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 KCI등재후보

        반성적 평형과 동물의 지위

        김명식 한국환경철학회 2008 환경철학 Vol.0 No.7

        이글에서는 동물의 도덕적 지위 문제를 살펴본다. 이 문제는 육식, 동물실험 등과 같은 실천적인 문제와 직결된다.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입장은 1) 이것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입장 2) 원리적으로 인간과 동등하게 인정하는 입장, 3) 제한적으로만 인정하는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글은 넓은 반성적 평형의 방법을 통해서 세 번째 입장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넓은 반성적 평형은 숙고된 도덕판단, 도덕원칙, 배경이론들간의 정합성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연역주의와 결의론과는 달리 배경이론의 역할을 인정함으로써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그것은 실천윤리학에서 요구되는 사회과학 및 자연과학의 연구성과를 흡수하기에 용이하다. 동물의 지위를 제한적으로 인정하자는 입장은 도덕이론과 관련해서는 차별적 생명가치론과 계약주의의 지지를 받는다. 그리고 생태학과 진화론 등의 배경적 사실에도 잘 들어맞는다는 점에서 반성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moral standing of animals. The issue directly relates to the legal, practical subjects such as animal experiment and eating meat. There are three views on the moral standing of animals. 1) denying the standing 2) approving the equal standing with human 3) approving the standing restrictively. I would like to justify the third view. Wide reflective equilibrium is the method to try to get the coherence among the considered moral judgments, moral principles, and background theories. I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very well cope with the social change compared to the rival theories such as deductionism and casuisty. Also, it can absorb the outcomes of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into itself through background theories. Approving the standing restrictively gets the support of the moral theories such as contractarianism. And it arrives at the reflective equilibrium with the background theories such as evolutionary theory and ecology.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류재한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다양한 가치 체계로 구성된 다원주의 사회에서 생명의료윤리와 헌법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생명의료윤리 영역에서는 다양한 가치 체계 속에 내재한 요소들을 잠정적으로 균형 상태를 결정하고 그 결정을 정당화 하는 톰 뷰챔프와 제임스 칠드러스(Tom L. Beauchamp/ James F.Childress. 이하 BC)의 반성적 평형을 공통 도덕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분석한다. 그 분석의 결과 본 논문은 BC가 제시하는 정당화 방법인 반성적 평형의 의미를 믿음들 간의 갈등이 내재적 개연성(intrinsic probability)으로 정당화되면, 이런 내재적 논의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공통도덕(common morality)을 외재적(extrinsic) 권위로 도입하고 있다고 해석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분석할 때 본 논문은 외재적 권위로써 공통 도덕이 토대론의 기초적 신념처럼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도덕을 정당화할 수 없는 취약점이 있다고 본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정당화의 부담을 들어주기 위해서는 다가치 체계속에서 외재적 권위처럼 사용될 수 있으면서 사회 구성들이 합의할 수 있는 지점으로써 우리나라 헌법 10조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 개념을 제시한다. 이 “인간”은 자율적인 인격으로 외재적 권위의 도입 없이 내재적 배열을 통해서 BC의 도덕적 추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명윤리학과 헌법이 상보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지점이 될 수 있다. The thesis amis to find the complementarity between bioethics and constitutional law. this thesis analyses the connection between reflective equilibrium and common morality as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propo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is thesis interprets reflective equilibrium with intrinsic probability. This probability bears the limit that justifies immoral system. Also It is believabl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Beauchamp and Childress introduces common morality with extrinsic authority. When making the analysi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ioethics and constitutional law should be understood. In order to understand that, it should be analysed in the premise that human being the self-autonomy that is raised in provision 10 of constitutional law. This analysis, without the introduction of extrinsic authority, through intrinsic augment manages to overcome the limit of moral inference of Beauchamp and Childress, also it will set the foundation of build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ioethics and constitutional law.

      • KCI우수등재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목광수(Kwangsu Mok)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19

        생명의료윤리학 분야의 대표적인 저서인 톰 비췀(Tom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의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이하 PBE)은 1979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2012년 7판까지 개정을 거듭하면서 자신들의 논의에 대한 반론에 대응해오고 있다. 개정 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로 간주되는 것은 1~3판까지의 연역주의의 토대주의가 4판부터 넓은 반성적 평형(wide reflective equilibrium, 이하 WRE)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6판부터는 WRE에 공통 도덕(common morality)이 결합한 형태로 수정된 정당화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와 수정이 무엇인지, 이러한 변화와 수정이 정당한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과 해석이 공존하여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비췀과 췰드리스(이하 BC)의 PBE에 나타나는 WRE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문의 목적과 관련해서, 본 논문은 PBE 6~7판에 나타나는 BC의 정당화 이론인 공통 도덕과 결합한 WRE에 대해 세 가지 비판을 제기하고자 한다. 첫째, BC는 WRE와 인식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순수한 형태의 정합론(coherentism)을 동일시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BC는 다른 많은 학자들이 그런 것처럼 WRE와 정합론을 동일시하여 적어도 정당화 방식에서는 불필요한 공통 도덕을 도입해 WRE와 결합시킨다. 또한 이러한 한계로 인해 BC는 자신의 정당화 이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는 첫 번째 비판과 연결된 것으로, BC는 WRE를 오해하고 있다. BC는 WRE가 갖고 있는 정합성 논의가 형식적이라고 오해하고, 이러한 형식적 차원이 초래할 “고립화의 문제”(isolation problem) 또는 “고립 반론”(isolation objection)에 대응하기 위해 공통 도덕을 통해 실질적 성격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WRE의 숙고된 도덕 판단은 초기부터 신뢰가능성을 이미 확보한 판단이기 때문에 공통 도덕 없이도 실질적 성격을 가질 수 있다. 셋째, BC의 정당화 이론에 등장하는 공통 도덕 논의가 혼란스럽다. BC의 논의에는 공통 도덕이 수정가능하다는 해석과 수정가능하지 않다는 해석이 모두 가능하여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필요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을 토대로 본 논문은 PBE 6~7판에서의 정당화 이론은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BC는 WRE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공통 도덕 논의의 명료화를 통해 정당화 이론을 정교화 해야 한다. 본 논문의 이러한 비판적 검토가 BC의 논의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여 생산적인 논쟁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minent and important works in bioethics. It has been significantly revised for sophistication between the 1st edition (1979) and the 7th edition (2012). The most important change was from Beauchamp and Childress (BC)’s deductive method of justification (in the 1st~3rd editions) to their coherent method of wide reflective equilibrium (in the 4th~7th ed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icate what BC’s method of justification really is (namely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based on the common morality) and to examine critically whether it is theoretically justifiable and plausible. I criticize WRE based on the common morality for three reasons. First, BC does not distinguish WRE from coherentism as a purely epistemological method of justification. For this reason, BC argue with the example of “Pirates’ Creed of Ethics or Custom of the Brothers of the Coast” (1640), that WRE cannot respond to “the isolation objection” coherentism usually faces. Second, related to the first reason, BC misunderstand WRE and unnecessarily introduce the common morality to respond to the isolation objection. WRE itself can respond to the objection in that it is based on considered moral judgments with initial credibility. For this reason, I argue that BC do not have to introduce the common morality in their method of justification. Third, BC’s concept of common morality is confusing. On the one hand, BC seem to argue that the common morality is strongly fundamental and infallible when they try to make up for the presumptive weak point of WRE. On the other hand, BC seem to accept that the common morality is revisable when they contrast their common morality with Bernard Gert’s. Whether it is a considered moral judgment derived from the irrevisable common morality or the revisable common morality, the belief in WRE is revisable. If so, I doubt that the common morality needs be introduced into BC’s method of justification in that it does not differentiate from considered moral judgments. Therefore, I suggest that BC should revise their method of justification based on WRE. This means detaching the common morality from their method, at least in justification, and reviving their understanding of WRE in the 4th~5th.

      • KCI등재

        롤즈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자존감―도덕 철학적 성격인 규범성 논의를 중심으로―

        목광수(Kwangsu Mok) 한국법철학회 2021 법철학연구 Vol.24 No.2

        롤즈(John Rawls)가 『정의론』(1971)에서 넓은 반성적 평형(wide reflective equilibrium, 이하 WRE)을 처음 제시한 이후, WRE는 실천 윤리학 영역에서 중요한 방법론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용 과정에서 WRE는 다양한 영역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추론 방법론과 인식론적 정당화 방법론으로만 이해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일반적 이해는 WRE가 적용되는 『정의론』의 합의과정과 합의 이후의 안정성 논의를 취약하고 불충분하게 한다. 합의 과정에서 철저한 준수의 동기부여를 갖는다는 도덕 심리 전제를 합의 당사자가 왜 받아들여야 하는지, 그리고 좋음에 일치된 합의 원칙인 옳음을 사회 구성원이 왜 자신의 책무로 수용해야 하는지가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롤즈는 『정의론』에서 자신의 WRE에 도덕 철학적 성격이 있다고 강조하는데, 본 논문은 WRE의 이런 성격이 합의된 원칙을 자신의 책무로 수용해 내면화하는 동기부여인 규범성(normativity)이며 이러한 성격이 합의 과정과 안정성 논의에서의 도덕 심리 부분을 보완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이 있으려면, 코스가드(Christine Korsgaard)의 규범성 논의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인간의 반성성 논의, 다양한 좋음과 일치하는 옳음을 추구하는 반성적 승인 과정 논의, 그러한 승인을 수용하고 내면화하는 정체성 논의의 구조가 『정의론』에서도 동일하게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세 부분은 『정의론』에서 가치관에 대한 능력과 정의감에 대한 능력을 갖추는 인간관, WRE의 수정과 조정 과정 논의, 그리고 자존감(self-respect) 논의와 상응한다. 롤즈의 자존감은 도덕 심리의 발달 과정에서 정의감과 함께 형성되어 도덕 행위자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자신의 행위가 가치 있고 의미 있음을 규정하는 역동적이고 실천적인 가치여서 규범성의 정체성 논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롤즈 WRE의 도덕 철학적 성격인 규범성을 규명하는 본 논문의 작업은 WRE와 자존감에 대한 이해를 풍성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롤즈 논의에서 취약하게 보였던 도덕 심리 부분을 보완한다는 의미가 있다. Since John Rawls proposed his wide reflective equilibrium (hereafter, WRE) in A Theory of Justice (1971/1999), WRE has been widely used as an important methodology in the field of practical ethics. In this use, WRE tends to be understood only as the method of coherence in reasoning and the structure of epistemic justification, which are able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as well as moral philosophy. In this general understanding of WRE, Rawls’s WRE does not explain why parties in the original position should observe their chosen principles in strict compliance, and why citizens in the well-ordered society should willingly accept and obey the right after congruence argument. In this paper, I argue that Rawls’s WRE has a moral philosophical feature as well as a general understanding, and the former feature can explicate people’s motivation in moral psychology. This moral philosophical feature of WRE is the normativity as a motivation in moral psychology, as Christine Korsgaard proposes in her Sources of Normativity. She argues that a person as a reflective being examines her goods in the process of reflective endorsement and willingly observes her endorsement in her practical and moral identities. I argue that Rawls’s discussion of moral person with her capacity for a sense of justice and her capacity for a conception of the good, the process of revision and adjustment in WRE, and Rawls’s self-respect arguments correspond with Korsgaard’s arguments of normativity. Rawls" self-respect is formed along with a sense of justice in the development of moral psychology and embodies the identity of a moral agent, because it is a dynamic and practical value that defines one’s own actions as valuable and meaningful. This paper, which examines the normativity as the moral and philosophical feature of Rawls’ WRE, not only enriches our understanding of WRE and self-respect, but also contribute to supplement Rawls’s moral psychology in A Theory of Justice, which seems to be weak and insufficient in Rawls’s discussions of original position and stability argument.

      • KCI등재후보

        이성적 불일치 문제에 대한 절충안 모색과 인테그러티의 문제 - 실천윤리적 문제의 정책결정 -

        최경석 한국환경철학회 2008 환경철학 Vol.0 No.7

        We are often faced with sharp conflicts of opinions when we discuss policies about various bioethical issues and environmental ones. It is very hard to find a societal solution to this kind of issues. One reason is that there is no objective evidence favoring either of conflicting opinions. The other is that these conflicts come from different and often conflicting views of life, world, and values. These difficulties are based on "the burdens of judgment" John Rawls mentioned. I consider these conflicts of opinions to be reasonable disagreement. Although lots of issues in bio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may be such reasonable disagreement, we often have to make a decision of policy. What can we do in this circumstance? I argue that we have to make a compromise. In most cases, however,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a personal beliefs and compromise as a group belief. Some wonder if this discrepancy harms the integrity of a person who makes a compromise. For those who follows wide reflective equilibrium, compromise may not harm a personal integrity because the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role of committee, the sources of reasonable disagreement, the necessity of toler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compromise. Rather, we may say in this circumstance that the attitude denying any kind of compromise is unreasonable because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other's purpose or perspective. In addition, wide reflective equilibrium requires that compromise cohere a belief system of a group. Thus, compromise does not harm an integrity of a society, either. 생명의료윤리의 문제들을 비롯하여 환경 문제 등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결정의 문제들에 직면하여 우리는 첨예한 의견 대립을 자주 목격한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어려운 이유는 어느 한 쪽의 의견에 손을 들어 줄 만한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한 경우도 많지만, 상이한 인생관, 세계관 등의 가치관이 대립하는 경우도 많다. 필자는 이와 같은 어려움이 존 롤즈(John Rawls)가 지적하였던 판단의 부담(the burdens of judgment)에 근거하며, 따라서 이러한 이견을 이성적 불일치(reasonable disagreement)라고 이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성적 불일치를 인정한다 하더라도 우리는 사회적 차원의 어떤 정책적 결정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들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상황 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절충안의 모색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절충안에 합의한 사람들의 개인적 믿음과 절충안이란 그룹의 믿음 사이에는 괴리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괴리는 개인의 인테그러티(integrity)를 해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그러나 넓은 반성적 평형의 방법을 따르는 사람들에게는, 위원들으로서의 역할과, 이성적 불일치의 발생 근거, 관용의 필요성, 그리고 절충안의 성격에 대한 이해 등을 바탕으로 절충안의 모색이 개인의 인테그러티를 침해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어떠한 절충도 배척하는 태도는 타인의 목적이나 관점을 고려하지 않는 비이성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넓은 반성적 평형의 방법을 그룹의 추론 방법으로 채택하는 경우, 절충안은 그룹의 믿음 체계에도 정합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절충안은 한 사회의 인테그러티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생명윤리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판단력

        최경석 한국법철학회 2008 법철학연구 Vol.11 No.1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was first presented by John Rawls and developed by Norman Daniels. It was thought of primarily as a method for evaluating theories of justice (Rawls) or ethical theories (Daniels).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then considered WRE as an explicit methodology for biomedical ethics, that is, moral reasoning for the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s. Thus, I characterize the method of WRE as practical moral reasoning. The process of reaching a conclusion using the methods of WRE is characterized as a back-and-forth process of revision aimed at coherent comprehensive personal or group belief systems without incorrect beliefs. The question arises, however, as to whether the methods of WRE can give us determinate answers about what to do. But there must be different ways of revising beliefs depending on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faculty of thinking. There is no algorithmic decision procedure. Some may expect a mechanical decision procedure by which to reach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but this is misconceived. Our decision in unprecedented or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cannot help calling for judgment. Judgment is not unique to the methods of WRE. Other methods, such as principlism and casuistry, also rely on judgment. When principlists attempt to apply moral principles to a particular case, they must decide which of their moral principles covers the case, just as a judge would have to decide which law or regulation is relevant to a given case. Because principles are abstract and general, they must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details of the particular case. Thus, we arrive at conclusion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al knowledge(major premise) and particular knowledge(minor premise) in a practical syllogism. Casuists also call for the use of judgment. They usually suggest the use of analogical thinking employing paradigm cases. Similarities must be sought between a given case and paradigm cases. However, the recognition of similarity is not a mechanical procedure it requires judgment to determine which features of two cases being compared are relevant. The need for judgment implies that there are no determinate answers for resolving a conflict between two arguers following same method of reasoning. But the exercise of judgment is not a matter of mere taste or arbitrary preference. It requires its justification. There may be some principles and values to guide and regulate the exercise of judgment required in the methods of WRE. First, coherence, comprehensivenes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beliefs are not only criteria for comparing competing belief systems, but will also be values for a revision process. Second, we will pursue the maximization of coherence and comprehensiveness while minimizing revision, by revising peripheral beliefs rather than core beliefs in our belief system. Third, the efficiency of a revision process may be one of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tied to the choice of provisionally fixed beliefs. Wide reflective equilibrium (WRE) was first presented by John Rawls and developed by Norman Daniels. It was thought of primarily as a method for evaluating theories of justice (Rawls) or ethical theories (Daniels).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then considered WRE as an explicit methodology for biomedical ethics, that is, moral reasoning for the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s. Thus, I characterize the method of WRE as practical moral reasoning. The process of reaching a conclusion using the methods of WRE is characterized as a back-and-forth process of revision aimed at coherent comprehensive personal or group belief systems without incorrect beliefs. The question arises, however, as to whether the methods of WRE can give us determinate answers about what to do. But there must be different ways of revising beliefs depending on the exercise of judgment as a faculty of thinking. There is no algorithmic decision procedure. Some may expect a mechanical decision procedure by which to reach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but this is misconceived. Our decision in unprecedented or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cannot help calling for judgment. Judgment is not unique to the methods of WRE. Other methods, such as principlism and casuistry, also rely on judgment. When principlists attempt to apply moral principles to a particular case, they must decide which of their moral principles covers the case, just as a judge would have to decide which law or regulation is relevant to a given case. Because principles are abstract and general, they must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details of the particular case. Thus, we arrive at conclusion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al knowledge(major premise) and particular knowledge(minor premise) in a practical syllogism. Casuists also call for the use of judgment. They usually suggest the use of analogical thinking employing paradigm cases. Similarities must be sought between a given case and paradigm cases. However, the recognition of similarity is not a mechanical procedure it requires judgment to determine which features of two cases being compared are relevant. The need for judgment implies that there are no determinate answers for resolving a conflict between two arguers following same method of reasoning. But the exercise of judgment is not a matter of mere taste or arbitrary preference. It requires its justification. There may be some principles and values to guide and regulate the exercise of judgment required in the methods of WRE. First, coherence, comprehensivenes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beliefs are not only criteria for comparing competing belief systems, but will also be values for a revision process. Second, we will pursue the maximization of coherence and comprehensiveness while minimizing revision, by revising peripheral beliefs rather than core beliefs in our belief system. Third, the efficiency of a revision process may be one of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tied to the choice of provisionally fixed belief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