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기술학의 도전

        김환석(Kim, Hwan-Su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0 No.-

        과학기술학의 역사는 ‘사회적인 것’에 대한 일련의 도전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도전의 첫 번째 시도는 과학기술학의 초기접근인 과학지식사회학이 대표한다. 과학지식 사회학은 ‘사회적인 것’을 ‘과학기술적인 것’과 엄격히 분리하는 전통적 사회학의 협소한 범주를 극복하려고 시도 하였다. 즉 과학지식사회학은 ‘사회적인 것’을 확장하여 그 속에 ‘과학기술적인 것’까지 포함시키려 하였고, 이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구성주의로 불리게 되었다. 행위자-연결망이론은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기술학의 두 번째 도전을 대표하는 접근이다. 그것은 과학지식사회학이 아직 ‘사회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또는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하는 이원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이러한 이원론을 비인간 존재들에 행위성을 부여함으로써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비인간행위성에 관한 과학지식사회학과 행위자-연결망이론의 서로 상반된 시각은 이른바 “인식론적 겁쟁이 논쟁”을 초래하였다. 이 논문은 행위자-연결망이론이 비인간 행위성을 인정함으로써 ‘사회적인 것’(내지 사회과학)을 폐지하려 하는 것인가의 문제를 탐색하려고 한다. 아울러 비인간 행위성을 인정하는 것은 단지 과학기술학의 발전에 중요할 뿐 아니라, 근대주의의 결함을 넘어서는 정치의 생태화에 중대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한국의 4대강 사업을 둘러싼 논쟁을 사례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기술학의 도전이 사회학의 혁신에 대하여 갖는 함의에 대하여 성찰하면서 이 글을 맺고자 한다. The history of STS can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challenges to the social.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SSK) represents the first of such challenges. It attempts to overcome the narrowly conceived category of the social, which is strictly separated from the technical, within traditional sociology. SSK seeks this by extending the scope of the social to include the technical, hence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ctor-Network Theory(ANT) represents the second challenge of STS to the social. It criticizes SSK in that the latter is still based on the dualism of the social vs. the natural (or the human vs. the nonhuman). ANT seeks to overcome this dualism by attributing agency to nonhuman entities.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SSK and ANT on nonhuman agency have led to the so-called ‘epistemological chicken debat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question of whether ANT seeks to abolish the social (and thus the ‘social’ sciences) by recognizing nonhuman agency or not. It will als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 recognition of nonhuman agency can contribute to the ecologization of politics through the cas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4 Major Rivers Project. This paper concludes by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this challenge of STS to the social for the innovation of sociology.

      • KCI등재

        과학적 실천이론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접점 : 캐런 바라드의 경우

        조주현 한국여성철학회 2016 한국여성철학 Vol.25 No.-

        성차별주의나 남성중심주의의 온상이었던 과학적 실천들에 대해 그간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이 페미니스트 비판을 통해 이뤄낸 연구 성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조명을 받으면서 논의가 이루어졌었다. 하지만 사회구성론적 경향이 강했던 이런 비판 과정에서 시작하여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들이 과학적 실천에 대한 독창적 시각을 가지고 과학기술학의 실천적 전환에 기여한 업적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학에 대한 캐런 바라드(Karen Barad)의 기여를 중심으로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발전과정의 한 흐름을 과학기술학의 실천적 전환의 맥락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논의는 다음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첫째, 실천이론과 과학적 실천이론을 간략히 소개한 후 그것이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및 정치학과 어떻게 서로를 재구성하면서 발전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한다. 둘째, 바라드의 과학적 실천이론을 바라드가 도입한 현상, 장치, 회절, 내부적-상호작용 개념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바라드의 포스트휴먼 수행성이론이 어떤 방식으로 푸코와 버틀러의 실천이론을 창의적으로 확장하였는지 살펴보며 그것이 페미니스트 정치학에 주는 함의를 분석한다. 셋째,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을 실천이론과 그로부터 도출되는 행위자모델의 틀 속에 위치시켜 평가한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드러나는 행위적 실재론의 함의가 페미니스트 정치학에 어떤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바라드 이론이 가지는 한계와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향을 최근 인지과학의 논의에서 제시한다.

      • KCI등재

        논문 : 갈릴레오의 과학 연구: 과학철학적 STS(과학기술학) 교육의 한 사례

        이상욱 ( Sang Wook Yi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2

        본 논문은 갈릴레오의 과학 연구에서 드러나는 여러 특징들이 과학철학적STS(과학기술학) 교육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탐색한다. 갈릴레오의 과학 연구는 그가 이룩한 과학적 업적만이 아니라 그의 종교재판이 과학연구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해 갖는다고 여겨지는 여러 메타과학적 함의로 인하여 과학철학적으로 더욱 흥미로운 사례이다. 필자는 갈릴레오의 과학 연구가 제기하는 과학철학적 쟁점을 망원경의 인식론적 지위, 후원의 사회인식론적 역할, 올바른 성서해석의 내용이라는 세 가지 축을 통해 분석하고 각각의 경우에 과학연구 일반에 대해 갈릴레오의 사례가 갖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통해 비록 하나의 과학연구 사례가 과학철학적 논증을 대체할 수는 없지만 과학척학적 STS(과학기술학) 교육에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I examine a number of philosophical aspects of Galileo’s scientific research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ase in the ‘philosophical’ STS education. Gelileo’s case is significant not just because he achieved so prominently as a scientist, but also because his way of doing research itself has lots of meta-scientific implications worthy of studying carefully in STS education. I discuss these implications along the three core issues; the epistemological status of Galileo’s telescope, the socio-epistemological role of patronage, and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rom the analysis I claim that although a philosophical case study of one particular scientist’s research cannot replace a proper argument in philosophy of science, the case can be legitimately and resourcefully employed in the ‘philosophical’ STS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과학과 젠더 개념

        하정옥(Ha Jung Ok)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1

        이 글은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핵심 개념인 과학과 젠더를 켈러와 하딩, 하러웨이의 논의를 비교하면서 검토한다. 켈러는 본격적으로 과학과 젠더를 하나의 분석틀에서 다룸으로써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가능성을 열었다 할 수 있다. 그런데 그의 젠더 개념은 여전히 이데올로기이자 개인적 정체성에 머물고, 젠더 없는 과학으로 대안을 설정함으로써 “나쁜 과학”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하딩은 젠더의 다차원을 설정하여 기존의 젠더 논의의 혼란을 정리하였고 나쁜 과학이 아닌 “일상 과학”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분석 대상의 경계를 제거하였다. 그렇지만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이 인식론적 특권을 가질 수 있는 공통의 지반을 찾으려는 노력과 서구백인중산층여성의 중심성을 탈피하고 여성들간의 차이를 고려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론적 성공을 거두지 못해 후반기에는 결국 생물학적 차이에 기반한 “여성적 입장”이라는 미완의 분석으로 남았다. 하러웨이는 “상황적 지식”의 부분적 시각 특권을 제시함으로써 다시금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을 질적으로 전환시켰다. 또한 그의 구성적 젠더 개념은 젠더를 고정된 주어진 변수로 다루지 않고 끊임없이 구성되는 변수로 다룸으로써 과학기술과 젠더를 상호 역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science and gender, the two most crucial concepts in the feminist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mainly by comparing E.F. Keller, S. Harding, and D.J. Haraway. Keller is well said to create the potentiality of feminist STS to be an individual sector by analyzing science and gender in one frame in earnest. However, her gender concept still only stayed on ideology, individual-focused identity, and criticism over "bad science." Harding, on the contrary, recognized the multi-aspects of gender, settling down the traditional confusions around the gender discussion, and focused on "science as usual" rather than bad science for analysis, clearing off the boundary among what to analyze in the feminist STS. However, as her efforts to find out a common ground to hold epistemological privilege and her attempts to get out of focusing on the Western/middle class/white women and to take differences among women into consideration could not bring a theological success, her elaboration dropped into a biological difference-based "women's standpoint" in the later. DJ. Haraway upgraded the feminist STS into another quality of dimension again as she presented a partial perspective privilege of the "situated knowledge." Moreover, she made it possible to make a dynamic analysis of science and gender by regarding gender as a constantly-in-the-making variable rather than a fixed given one.

      • KCI등재후보

        A Survey of Effects of STS Education on the University Students` Moral Development and Epistemological Beliefs: Using DIT and EBI

        한혜민 ( Hye Min Ha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9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기술학 교육의 교육심리학적 효과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기술학 교육은 과학기술윤리,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을 포괄하는 학제적 학문으로서 이공계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함양하는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계에서 촉발된 여러 사태들로 인해 과학기술의 윤리 문제 및 교육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학적 탐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발달과 인식론적 신념이라는 교육심리적 관점에서 과학기술학 교육의 효과에 대한 탐색적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도덕발달의 측정에는 DIT(Defining Issues Test), 인식론적 신념의 측정에는 EBI(Epistemic Beliefs Inventories)가 사용된다. 결과로, 인식론적 신념 부문에서는 지식의 확실성에서 장기간-다과목 수강자군이 타 학생들에 비해 발달의 정도가 유의하게 컸고, 도덕 판단력 부문에서는 역사 맥락적-학제적-사회 이슈를 다루는 과목군의 수강생이 여타 과목군의 수강생에 비해 발달의 정도가 유의하게 컸다. 이러한 측정도구들을 통해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학 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과학기술 민주화의 이론과 실천

        김환석(Kim Hwan-Suk)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5

        오늘날 과학기술이 구성되는 사회적 맥락은 기술관료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데 이는 과학기술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심화시키면서 대중의 우려와 불신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과학기술학(STS) 연구자들은 전문가가 아닌 시민대중의 참여를 통해 과학기술의 연구ㆍ개발ㆍ활용의 전 과정에 대한 의사결정을 민주화함으로써 이런 불확실성과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본다. 시민참여를 통하여 과학기술의 구성 과정을 변화시키면 과학기술의 내용뿐 아니라 사회적 맥락도 함께 변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0년대부터 서구에서는 이런 생각에 기초하여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추구하는 이론과 실천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다. 특히 숙의민주적 시민참여의 방법들이라 여겨지는 합의회의와 시민배심원 등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실험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과학과 정치에 대한 대중의 환멸과 불신을 이러한 방법들이 해소해줄 수 있을 것이라 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서 서구의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일부 시민참여의 실험들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STS의 통찰에 의하면 과학기술은 사회에 외생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일부이다. 따라서 과학기술의 내용을 민주정치의 대상으로 삼는 이른바 ‘과학기술의 민주정치(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지금 우리에게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핵심은 이 글에서 소개하였듯이 다양한 숙의민주적 시민참여의 실천에 있다. Today the social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takes on a strong technocratic character. This leads to concerns and mistrust of the public, by increasing uncertainty and risk associat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believe that such uncertainty and risk can be considerably reduced by democratizing the decision-making with regard to the whole processes of research,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chnologie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If we change the processes to construct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this would also change both the content and the social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fact, based on such an idea, Western countries have actively developed the theories and the practices to seek the democrat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1990s. Especially, many studies and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on consensus conference and citizen jury, which are well-known as methods of deliberative democracy. For these methods have been expected to resolve the disillusionment and mistrust of the public toward the existing science and politics. In Korea, also, w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se changes in Western countries and even to attempt some experiments of public participation by ourselves. According to the insights of STS, science and technology are not exogenous to society but an integral part of it.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target both the content and the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is paper has pointed out, the key to such politics lies in the diverse practices of public participation with a deliberative and democratic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