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학습자의 {-었-} 사용 양상 연구

        장기남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840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학습자가 한국어의 시간 표현(Time Talk), 즉 시제(Tens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그동안 제2 언어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분야에서는 제2 언어 학습자가 시간 표현(과거나 미래 표현)을 어떻게 습득(Acquisition)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지속하여 왔다. ‘시상가설’(Aspect Hypothesis)은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 많은 언어에서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져 범언어적인 현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맥을 같이 하는 시도로서, 한국어를 제2 언어로 학습하는 경우에도 ‘시상가설(AH)’이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KSL 학습자의 한국어 시간 표현 사용 양상을 다양하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문어텍스트(작문)를 자료로 하였으며, 과거 표지 {-었-}이 출현해야 할 모든 용례를 추출하여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 조사하고, 이러한 양상이 학습자의 수준, 시간부사(temporal adverbial)의 출현 여부, 용언의 의미 특성, 통사적 위치(종결형과 연결형) 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시간 표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제(tense)를 ‘직시적 범주(deictic category)로서 사건(event), 과정(process), 상황(state)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로 정의하였으며,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현재:미래’의 삼분 대립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한국어에서는 ‘과거:비과거’의 이분 대립으로 보이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시간부사어와 시제 간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어서 학습자가 시상 형태소를 습득할 때 용언의 의미 특성이 습득 양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시상가설을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종결형에서 과거 표지 {-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논의하였다. 정확도, 결합 용언의 다양성, 시간부사어의 출현 여부에 따른 차이, 그리고 용언의 의미적 특성에 따른 차이 등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종결형에서 과거시제 표지 {-었-}의 사용 양상을 조사한 결과 상위 그룹은 89.75%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하위 그룹은 30.61%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상위 그룹은 238가지 동사(type)에 {-었-}을 총 710회(token) 사용하여 하나의 동사에 대해 평균 2.98회 사용한 반면, 하위 그룹은 83가지 동사 종류(type)에 {-었-}을 총 259회(token) 사용하여 하나의 동사에 대해 평균 3.12회 사용함으로써, 상위 그룹이 type 및 token 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type 당 token 수는 적게 나와, 하위 그룹에 비해 다양한 동사에 {-었-}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위 그룹의 경우 출현 빈도가 높은 80개 동사의 누적 빈도가 74.08%에 그쳤지만 하위 그룹의 경우에는 98.84%에 달했다는 사실, 그리고 1회만 출현한 동사의 수가 상위 그룹은 전체 동사의 55.4%에 이른 반면, 하위 그룹은 40.9%에 그친 점에서도 뒷받침된다. (2) 시간부사어(temporal adverbial)의 출현은 {-었-} 사용의 정확도에 다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간부사어가 있을 때의 정확도는 66.37%이며, 출현하지 않았을 때는 60.89%로서, 시간부사어의 출현이 {-었-} 사용의 정확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수준별로는 상위 그룹의 경우 시간부사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정확도 차이가 2.95%, 하위 그룹의 경우에는 시간부사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정확도 차이가 3%를 보여,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에서는 차이가 적었으나, 중위 그룹에서 시간부사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정확도 차이가 8.63%를 보였다. 이는 시간부사어(temporal adverbial)의 출현이 {-었-}의 정확도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었-}의 사용 수준이 높아지는 중간 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동사의 의미 특성은 {-었-}의 사용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경우, ‘완성동사(accomplishment)>성취동사(achievement)>행위동사(activities)>심리동사(psych verb)>상태동사(states)’의 순서로 {-었-} 사용의 정확도가 높았다. 완성동사와 성취동사의 경우는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의 정확도 차이가 42% 정도이며, 행위동사 및 상태동사의 경우는 60% 이상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행위동사와 상태동사일 때 {-었-}이 더 늦게 습득됨을 시사하며, 한국어 시제 표지 {-었-} 습득의 경우에도 시상가설(AH)과 유사한 양상이 나타남을 말해 준다. 다만, ‘시상가설(AH)’에서는 과거시제 습득이 ‘성취동사’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상태동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완성동사와 성취동사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심리동사는 상태동사보다 정확도가 높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여 준다. 4장에서는 연결형(접속문)에서의 과거시제 표지 {-었-}의 사용 양상을 다루었다. 연결형에서는 {-었-}의 출현이 불가능한 경우와, 출현 여부가 의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 출현 여부에 따라 의미가 다른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는 각각의 경우 {-었-}의 출현 Ph. D. Thesis A Study on the KSL Learners’ Use of Korean Past Tense Marker ‘-었/əss/-’ Gi-nam Ja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Dong-ju Choi)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learners of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use the time-based expression (“Time Talk” or Tense). Most studies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rea have focused on how second language learners come to recognize time-based expressions (or tense). Aspect hypothesis (hereafter “AH”)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representative case in many languages to be understood as a cross linguistic phenomenon. The concept of this study is similar with AH, and focuses on the issues involved if AH is adopted by learners of KSL, and how they use time-based Korean expressions in multiple points of view. The data of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articles written by KSL learners and all data were examined to assure proper applicatio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examined cases were differently adopted according to learners’ levels,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meaning or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and syntax structure (conclusive type and connective type).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oretical discussion on temporal expression was dealt with in Chapter Two. This study specifically defined the term of tense as a grammatical category that shows a temporal position of event, process, and state as a role of deictic category. Although trichotomous antagonism of past, present, and future tenses was shown in some cases, it was regarded as a dichotomous antagonism of past, and ‘non-past’ from the reference of earlier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adverb and tense, introducing AH, in which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affects learners’ acquisition in learning Aspect (past tense expression of ‘-었/əss/-’). Chapter Three dealt with the issue of how learners of KSL use the past tense expression ‘-었/əss/-’. Accuracy, diversity of connective predicate, the different uses by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and the difference of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were addressed in this chapter.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aspect of past tense expression ‘-었/əss/-’ in the conclusive type, the advanced-level group shows an accuracy of 89.75% while the lower-level group shows an accuracy of 30.61%. Advanced learners used ‘-었/əss/-’ 710 times with 238 different verbs (which means 2.98 times with one verb on average), while lower-level learners used ‘-었/əss/-’ 259 times with 83 different verbs (which means 3.12 times of use with one verb on average). Advanced learners used ‘-었/əss/-’ in more verbs, more times, but less times per one verb, indicating they use ‘-었/əss/-’ in a greater variety of verbs. These results can be supported by the survey showing that cumulative frequency on 80 high frequency verbs was 74.08% in advanced learners, and 98.84% in lower-level learners. The proportion of verbs used once was 55.4% in advanced learners compared to 40.9% in lower-level learners. (2)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seemed influential in accuracy of using ‘-었/əss/-’. The accuracy rate was 66.37% with temporal adverbial and 60.89% without temporal adverbial, which shows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has a positive influence in the accurate use of ‘-었/əss/-’. Advanced learners and low-level learners have an accuracy gap of 2.95% and 3% respectively, while the intermediate level has an 8.63% gap.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is not influential to the accuracy of ‘-었/əss/-’ overall, but it can be influential to intermediate learners whose language pro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beginners. (3)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verbs can affect the use of ‘-었/əss/-’. The learners of KSL showed high accuracy in using ‘-었/əss/-’ in order of accomplishment verbs, achievement verbs, activity verbs, psych verbs and state verbs. There was a 42% gap in accuracy between the advanced group and the beginner group in the case of accomplishment verbs and achievement verbs, and there was a gap of over 60% in the case of activity verbs and state verbs. This result shows that learners may acquire the proper use of ‘-었/əss/-’ later with activity verbs and state verbs. The acquisition of Korean temporal expression of ‘-었/əss/-’ has similar aspects with AH. AH predicted that the acquisition of past tense can be acquired in order of accomplishment verbs and state verbs,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milar accomplishment degree with those two verbs. Additionally, the learners showed higher accuracy in using psych verbs than with state verbs. Chapter Four dealt with the aspect of how the past tense expression of ‘-었/əss/-’ was used in a conjunctive sentence. There were three kinds of case studies because the appearance of ‘-었/əss/-’ has varied meanings. The ‘first case’, when the use of ‘-었/əss/-’ is not allowed; the ‘second case’, when there is no difference of meaning regardless of ‘-었/əss/-’; and the ‘last case’, when there is a difference of meaning with or without ‘-었/əss/-’. (1) In the ‘first case’, there were 38 uses of ‘-었/əss/-’ even though the use of ‘-었/əss/-’ was ungrammatical. These errors were caused by the failure to acquire the restrictions on the use of ‘-었/əss/-’ in the conjunctive sentence. However, it is a different case without ‘-었/əss/-’ in the past tense. In the ‘second case’, it is difficult to notice the difference, for the case is always correct regardless of ‘-었/əss/-’. Acc

      • 한국어 교육용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화행 판별 자질 연구

        한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60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dialogue act of user response utterances for the development of a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lect what features are appropriate for efficiently discriminating such utterances. This paper proposes a dialogue tag set that classifies the learner's utterance intent to develop a chat bot dialog system designed to enable Korean learners to practice Korean conversation. In order to classify the utteranc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se tag set, I examine what features are suitable for the conversation system made for Korean education among the discriminant feature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For this purpose, a corpu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llected to annotate the discriminant features and dialogue act. Based on the annotated corpus, we selected the dialogue act tags that can be used in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ather than the traditional linguistic works, the discriminant features were chosen for practical use in the dialogue system for practicing Korean conversation. In case of the discriminant features, the features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both rules base – d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statistics-based automatic classification a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speech, second chapter the scholarly works on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method. Furthermore, this chapter analyze the corpu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after summarizing the discriminant features used in the study. The third chapter provides the design and collection of dialog corpus to be used in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ourth chapter analyses the collected response speech data. The conclusion part g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issues. 본고의 연구 주제는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 응답 발화의 화행을 분류하고, 이러한 화행을 효율적으로 판별하는 데 적합한 자질이 무엇인지를 선별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회화를 연습할 수 있도록 고안된 챗봇 대화 시스템에 입력된 학습자의 발화 의도를 파악하고 분류하는 화행 표지 체계를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화행 표지에 맞춰 발화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기존에 화행 자동 분류 연구에서 이용된 화행 판별 자질 중 한국어 교육 목적 대화 시스템에 적합한 자질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용 대화 말뭉치를 구축하여 화행과 화행 판별 자질을 주석하였다. 주석된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화행 표지를 선정하였고, 화행 판별 자질과 화행 간의 연관도를 검토하여 각 화행별로 유의미한 화행 판별 자질을 추출하였다. 화행 표지는 전통적인 언어학에서의 화행과는 별개로 한국어 회화를 연습하기 위한 대화 시스템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지를 선택하였다. 화행 판별 자질의 경우 규칙 기반 자동 분류 모델과 통계 기반 자동 분류 모두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질을 선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배경, 의의에 대해서 논한다. 관련 연구에서는 화행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본 후, 화행 자동 분류 방식에 대한 연구의 흐름에 대해서 탐구하면서 이러한 연구에서 활용된 화행 판별자질에 대하여 정리한 뒤 기존의 연구에서 활용된 말뭉치에 대하여 분석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목적의 대화 시스템에서 사용될 대화 말뭉치의 설계와 구축에 대하여 논의하고 4장에서는 수집된 응답 발화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행별로 유의미한 화행 판별 자질을 선별한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성과와 추후 과제에 대하여 논한다.

      • Automatic summarization via classification-baseed entity-representative feature learning and its applications

        신훈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88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로 인해, 자동 요약은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고 표현하는 효율적인 도구로 주목 받고 있으며, 특히 사람이 직접 검사하거나 수동 요약에 수반되는 높은 비용을 고려할 때 각광 받고 있다. 데이터 유형과 상관없이, 자동 요약은 주어진 데이터를 잘 설명하는 주요 특성을 추출하는 계산 과정인데, 이러한 관점에서 자동 요약을 주어진 데이터 소스의 기본 단위 엔터티를 대표하는 특성을 학습하는 절차로 정의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의 경우, 키워드 추출은 자동 텍스트 요약을 위한 가장 전형적인 도구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키워드 레이블의 가용성에 따라, 기존 문헌은 지도 또는 비지도 학습 기반으로 발전했다. 지도 학습 기반 방식은 레이블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더 나은 성능을 얻었지만 실제 데이터의 대부분은 이러한 레이블 정보가 부족하여 다양한 비지도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주로 단어 빈도에 의존하므로 전처리 및 불용어 선택에 매우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정규화 기법을 사용하여 범용적이고 도메인에 독립적인 키워드 추출 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는 제안된 프레임워크가 다양한 크기, 클래스 레이블 수, 가독성 수준 및 도메인을 가진 문서 그룹 전반에 걸쳐 표현 가능성과 구별성 측면에서 강력하게 잘 수행됨을 보여준다. 반면 추출 요약은 주어진 문서나 말뭉치에서 핵심 문장을 선택한다. 요약에 포함되는 문장을 선택하는 과정에는 주로 각 문장에 대해 대표성을 계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가진 문장이 주어진 문서의 핵심 요소로 분류된다. 본 논문에서는 추출 요약 과정의 일부로 사전 훈련 모델과 미세 조정(fine-tuning)간의 학습 격차를 줄이기 위한 문장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특허 청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안된 모델을 테스트하고 제안하는 모델이 핵심 문장 추출하여 효과적으로 요약 한다. 마지막으로 자동 요약은 다양한 영역에서 산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기계 학습 기법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료 거래 데이터인 보험 청구 데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요약하기 위해 개념(concept) 임베딩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이상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요약을 데이터의 주요 특성을 학습하고 추출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텍스트와 거래 데이터에 적용하여 해결하였다. 추후에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자동요약 기법을 다양한 산업 문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wing to the ever-increasing amount of data, automatic summarization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n efficient tool to understand and represent the information provided, especially given the high cost involved with human inspection and manual summarization. Regardless of data types, an automated summarization primarily involves the computational extraction of key features that, by themselves, well describe the given data. In this light, we define automatic summarization as the procedure of learning features that ar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base unit entity of the given data source. As for textual information, keyword extraction has served as one of the most conventional working tools for the automated text summarization.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keyword labels, existing literature has developed in two directions: the supervised or the unsupervised approaches. While supervised approaches enjoyed better performances by fully exploiting the label information, most of the real-world data lacks such label informatio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unsupervised models. These approaches relied primarily on word frequencies, thus highly sensitive to the preprocessing and stopword selection.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general-use, domain-independent keyword extraction model which utilizes a simple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lasso) regularization technique in order to address such issues. We show that our proposed framework performs robustly well in terms of representability and distinctiveness across document groups with varying size, number of class labels, levels of readability, and domain. On the other hand, an extractive summarization focuses on selecting key sentences from the given document or corpus. The selection process primarily involves computation and representativeness scores for each sentence, where sentences with the highest scores are chosen to represent the key elements of the given document.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sentence classification method, designed to reduce the learning gap between the pre-training and the fine-tuning models, as part of the extractive summarization process. We test the proposed model using patent claims, and the results show that our model successfully detects the key statements with which each given patent claim may be summarized and indexed by the main technological problem it is invented to solve. Finally, automated summarization may be coupled with other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solve industrial problems across various domains. In this dissertation, in particular, we develop an anomaly detection model in which we employ the "concept embedding" approach to summariz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vailable in medical transaction data. We show that our information summarization method via concept embedding, coupled with other metrics determined from the source data, are well translated to anomaly scores based on which abusive medical institutions are determined.

      • 현대 한국어 인용구문 연구 : 인용구문의 유형과 범주를 중심으로

        윤정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85

        이 연구는 현대 한국어의 인용구문을 두루 살펴 그 통사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의 내포절 체계에서 인용절 내포문의 지위를 새로이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인용은 인용격 조사에 의한 인용절 내포문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것은 다시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으로 분류된다. 인용에 대한 이 같은 이해는 인용구문의 범위를 좁게 본 것으로 이러한 인용구문 범위에서는 실제로 인용이 실현된 문장이지만 인용구문에서 누락되는 문장들이 다수 존재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용구문 체계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장을 새로이 인용구문 체계에 추가하여, 기존에 인용구문으로 분류되었던 직접인용구문, 간접인용구문과 더불어 인용구문의 체계를 확대,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이들 인용구문 중에서 내포 인용구문들은 피인용문이 명사구적 속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근거로, 한국어 문법의 내포절 체계에서 인용절 대신 인용 명사절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대상,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이 연구가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인용구문 연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논하였다. 과거의 인용구문 연구에서 인용구문 체계는 직접인용구문과 간접인용구문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에 반영되지 않았지만 실제로 인용의 기능이 실현된 것으로 보이는 인용구문은 특수한 인용구문으로서 개별적으로 그 특성이 연구되어 왔다. 이에 그간 인용구문으로 논의되어 왔던 특수한 문장들을 반영한 인용구문의 체계가 제안될 필요가 있었기에, 이 연구에서는 인용구문의 유형과 특성을 다시 살펴본 것이다. 제2장에서는 인용을 정의하고 인용구문의 조건을 제시하여 인용구문의 범위를 설정한 다음, 인용구문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여 인용구문을 유형별로 나누었다. 이를 통하여, 그간 특수한 인용구문으로 논의되어 왔던 문장들 가운데 인용구문의 조건을 충족하는 문장들이 이 연구의 인용구문 체계에 반영되었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직접인용구문, 간접인용구문, 직접발화 인용구문, 간접의문 인용구문, 인용 수식언 구문, 인용 보조용언 구문, 비내포 인용구문, 화용적 인용구문 등이 인용구문의 체계를 이룬다고 보았으며, 이들 유형은 문장 내부에 인용임을 드러내는 표지가 있는가의 여부, 피인용문의 내포 여부, 피인용문과 조사의 결합 여부, 피인용문과 인용격조사의 결합 여부, 인용 시 인용 대상의 변형 여부 등 다섯 가지 분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었다.제3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인용구문의 각 유형에 대하여 간단히 구조를 살피고, 피인용문의 통사적 성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내포 인용구문에 속하는 직접인용구문, 간접인용구문, 직접발화 인용구문, 간접의문 인용구문, 인용 수식언 구문, 인용 보조용언 구문 등에서는 피인용문이 명사구적 속성을 가지며, 부사어의 기능을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옛 인용구문의 화석형인 비내포 인용구문에서 피인용문은 서술어의 의미구조상 보충어 역할을 하나, 인용구문 전체는 접속의 구조를 가진다. 제4장에서는 내포 인용구문에 대한 제3장의 논의를 토대로 내포 인용구문 각 유형들을 내포절 체계에 반영하여 새로운 내포절 체계를 제안하였다. 새로운 내포절 체계는 기존에 인용절 내포문으로 분류되던 것을 명사절 내포문의 한 유형으로 취급하되, 명사형 전성어미의 실현 여부에 따라 명사절을 인용 명사절, 비인용 명사절 등 둘로 구분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서 제2장에서 제4장을 거치면서 논의되어 온 주장들을 요약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현대 독일어 감정동사와 감정표현 관용구 연구 : 표현구조와 내용구조를 중심으로

        김수남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573

        본 논문의 목적은 동사를 문장의 구조적인 중심으로 여기는 의존문법/결합가 이론을 토대로 독일어의 감정동사와 감정표현 관용구의 표현구조/통사구조와 내용구조/의미구조를 기술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독일어의 감정동사와 감정표현 관용구는 문장에서 결합가 보유어로서 자신의 주위에 일정한 빈자리를 열어준다. 즉 전체로서 술어를 형성한다. 우리는 사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감정동사와 동사를 구성성분으로 갖는 관용구, 즉 구(句)의 자격을 갖는 관용어 부류로서 문장에서 술어기능을 하는 감정표현 관용구와 고정된 주어를 갖는 술어구조형 감정표현 관용구를 연구대상으로 한정했다. 감정동사의 기술을 위해 G. Helbig(1983)의 ‘6단계 모형’을, 감정표현 관용구의 결합가기술을 위해서는 B. Wotjak(1992)의 ‘다단계 모형’/‘다층위 모형’을 토대로 삼았다. 우리는 교수법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G. Helbig(1983)와 B. Wotjak(1992)의 모형을 약간 변경하였다. 제2장에서는 의존문법/결합가 이론의 근간이 되는 독일어의 동사 보충어 분류와 그에따른 문형 설정 및 동사 결합가 모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2장은 제3장과 제4장에서 논의되는 감정동사와 감정표현 관용구의 결합가 기술을 위한 이론적.방법론적 토대의 역할을 한다. 제3장에서는 감정동사의 표현구조와 내용구조가 논의되었다. 우리는 형태-통사적 기준에 따라 감정동사를 일차적으로 보충어의 수 및 동사의 내재적 자질인 [±kausativ],[±statisch], [±Aktivitat]와 [±relational]에 따라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다. 세 가지 그룹간의 관계도 변형적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하나의 형태-통사적문형에 여러 개의 의미적 문형이 상응할 수 있다는 사실과 역으로 하나의 의미적 문형에 상이한 형태-통사적 문형이 상응할 수 있다는 사실도 증명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감정표현 관용구의 표현구조 및 내용구조가 논의되었다. 제3장과 마찬가지로 감정표현 관용구를 구조외적인 결합가에 따라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감정동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형태-통사적 문형에 여러 개의 의미적 문형이 상응할 수 있다는 사실과 역으로 하나의 의미적 문형에 상이한 형태-통사적 문형이 상응할 수 있다는 사실도 증명할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현존하는 독일어 관용어 사전들 가운데 가장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Duden-관용어사전』의 문제점을 특히 표제어 및 결합가 진술과 관련하여 지적해보고, 해결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은 또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를 배우는 한국인들에게 독일어 동사와 동사 관용구를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의존문법/결합가 이론적 어휘분석의 방법론을 제시해 줄 것이며, 더 나아가 의존문법/결합가 이론을 수단으로 한국어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국어학자들에도 언어비교.분석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 form structure-also called a syntactic structure-and the meaning structure, or a semantic structure, of verbs and its derivative idioms which is usually rendered into "idiomatic verb phrases" related to human emotions in Modern German. To achieve the intended goal, it is advisable to base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e paper on the valency theory that corresponds to dependency grammar. According to the valency theory, the verbs as well as other elements have a valency that specifies the number and type of the modifiers they may have. In most cases, complements (obligatory) and adjuncts (optional)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a valency. Needless to say, it is of great importance for foreign learners of German to classify verb complements according to a verb-specific valency and to establish and produce sentence types based on complements in a real-life setting. This paper aims to prove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German as a foreign language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idiomatic verb phrases which are a subcategory of the whole system of idiomatic expressions of German verbs. German verbs and its idiomatic expressions indicating a variety of human emotion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the number and type of complements. The eventu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ublish a German-Korean Contrastive Verb Valency Dictionary and a German-Korean Contrastive Idiom Dictionary.

      • 러시아어 무인칭문의 주어 자질 분석

        박혜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70

        인간은 언어 외적 상황을 언어적으로 해석하고자 할 때 주어라는 보편적 범주를 사용한다. 주어는 다면적인 개념으로 기능에 따라 문법적 주어, 의미적 주어, 심리적 주어로 나눌 수 있다. 러시아어에서 주어는 통사적 개념인 문법적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둘의 불일치가 빈번히 발생한다. 즉, 문법적 주어가 술어의 보유자가 아니거나 사격 형태의 의미적 주어로 술어자질의 보유자를 표현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어에서는 판단 요소인 주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문법적 주어를 포함한 사격주어까지 고려하여 주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격주어이자 의미적 주어인 무인칭문의 주어 자질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주어의 원형적 자질을 모색하기 위해 필모어의 격문법과 키난의 주어자질목록을 살펴보았다. 이 중 키난은 기본문장과 기본주어를 설정하고 주어가 가진 일관적인 자질들을 주어자질목록으로써 제시하였다. 주어자질목록은 여러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어의 자질을 수집했기 때문에 보편성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키난의 주어자질목록을 의미적 주어 분석을 위한 주어의 원형적 자질로 선정하였다. 첫째, 주어는 문법적 일치를 위해 동사를 지배하며 자동사 문장에서 주어는 격을 부여받지 않는다. 이를 지배성과 격 비부여성으로 명명한다. 둘째, 자율지시성으로 주어는 자신과 동일하게 지시하는 대상을 대명사나 재귀대명사를 통해 대용형으로 대체한다. 셋째, 주어는 화·청자가 알고 있는 구정보인 주제로서 동사에 선행한다. 넷째, 주어의 의미역은 동사에 의해 결정되며 주어의 의미역은 일반적으로 행위자이다. 또한 무인칭문의 의미적 주어만이 가지는 부정성이라는 독특한 자질이 있다. 이는 부정문을 표현하는 무인칭문의 의미적 주어에서 찾을 수 있다. 인칭문으로 표현된 부정문에서는 주어의 형태와 의미가 긍정문의 주어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무인칭문에서는 주어의 형태가 사격으로 변화하며 의미적으로도 대상 그 자체만을 강조하는 변화가 생긴다. 이처럼 주어의 원형적 자질에 입각해 무인칭문의 의미적 주어를 비교 및 분석해 봄으로써 의미적 주어 자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