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in 112 Emergency Dispatch Center

        위진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98

        국문 초록 112종합상황실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 전공 위진혁 112종합상황실은 국민이 위험에 처했을 때 가장 먼저 연락하는 경찰 부서이다. 경찰법이 규정하는 경찰의 첫째 임무가 국민의 생명과 신체, 재산을 지키는 것임을 생각해 볼 때, 112종합상황실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한때 경찰 조직 내 한직(閑職)으로 인식되던 112종합상황실은 2012년 발생한 수원 토막 살인 사건 이후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 경찰 조직 내 하나의 독립된 과(課)로 재편되었다. 최근에는 경찰청 차장 직속으로 치안상황관리관이 신설되었고, 이로 인해 112종합상황실의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직 내 위상 변화와는 달리, 아직까지 112종합상황실에서 근무 중인 경찰관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본 연구는 112종합상황실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은 무엇인지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12경찰관들의 직무만족을 높여 그들이 자신의 직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결국에는 국민들을 더욱 안전하게 하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먼저, 경찰관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직무만족 요인들을 파악하였고, 이를 직무 스트레스 요인, 인간 관계 요인, 업무 환경 요인, 외부 환경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112종합상황실에 맞게 하위 요소들을 구성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역할갈등, 역할 모호성, 역할 과부하로 구분하였다. 인간관계 요인은 상사, 동료, 부하와의 긍정적 관계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였다. 업무 환경 요인은 승진에의 유리여부, 징계의 불합리성, 보수 만족도, 복지 만족도로 구성했다. 외부 환경 요인은 시민들의 112경찰에 대한 신뢰와 존경, 언론의 112경찰에 대한 비판적 태도로 구성하였다. 개별 하위 요소들을 독립 변수로 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직무만족도) 간 관계에 대한 11개의 가설을 구성하였다.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의 112종합상황실 경찰관들이 112 직무 교육을 위해 경찰교육원에 입소한 기회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4월부터 11월까지 21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19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에 대한 통계 분석을 위해 STATA 14 버전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112종합상황실에 근무하는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보수 만족도로 파악되었고, 그 다음은 역할 과부하 요인이 지목되었다. 나머지 독립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이 가능하다. 먼저, 112종합상황실 경찰관의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의 업무에 대해 정당하고 충분한 보상이 필요하다. 보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다른 공안직보다 낮게 책정된 기본급을 상향해야 함은 물론이고, 112종합상황실 근무자에 대한 수당 지급 확대를 제안하였다. 수당 확대와 관련해서는, 기존 112출동 수당의 지급대상에서 빠진 112센터 직원들까지 지급 대상으로 포함하는 방안과 더불어, 112 종합 상황실의 특성을 반영한 112 사건 접수(지령) 수당의 지급을 제안하였다. 또한, 역할 과부하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112근무자 1인당 처리할 수 있는 업무량에 대한 과학적 직무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인력 배치를 할 것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자격으로 설문을 작성하여 진행한 결과,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112경찰관 응답자의 응답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다 보니,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를 단일문항으로 측정하는 등 각 요소 측정을 위한 충분한 설문을 제시하지 않아 설문 후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표본의 수가 부족하고, 설문 조사가 7회에 걸쳐 나누어 실시되어, 어느 특정 시점의 만족도를 측정하지 못하였다, 셋째, 연구의 설계 과정에서 112경찰만의 독자적인 독립변수를 발굴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그 동안 경찰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112종합상황실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논문으로서 가치가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불철주야 국민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는 112종합상황실 근무 경찰관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들의 직무만족과 처우 개선을 위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in 112 Emergency Dispatch Center We, Jinhyuk Global Public Administration Major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in 112 emergency dispatch center, and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that can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on police officer job satisfaction, the factors of police officer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job stress factors, human relationship factors, work environment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After that, they were divided into sub-elements. Job stress was classified into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Human relationship factors were composed of positive relations with boss, colleagues, and subordinate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immediate boss. The factors of work environment were divided into advantages to promotion, irrationality of discipline, satisfaction of pay, and satisfaction of welfare. Finally,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consisted of citizens’ trust and respect for 112 police, and critical attitude of the press for 112 police. Using these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11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were constructed. To verify the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opportunity for police officers in 112 emergency dispatch centers to enter the Pol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for job training. From April to November 2019,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9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ATA 14 was used as a statistical program for survey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in 112 emergency dispatch center was satisfaction of pay, followed by role overlo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aining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are possible.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112 center police officers, a fair and sufficient compensation is needed for their work. In addition to the need to raise the basic salary of the police, which is set lower than that of other public security positions, it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allowances of 112 center worker. Next, in order to relieve job stress caused by role overload, I suggested to allocate manpower based on the amount of work that can be processed per employee through the accurate and objective job analysis. In this study, there were some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questionnaire items to measure each factor, insufficient number of samples, and failure to discover unique independent variables of 112 center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valuable as a study that directly deals with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in 112 emergency dispatch center,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police job satisfaction studies so far. Based on this study, I hope that the interest in 112 center workers will increase, and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reatment.

      • Does a leader pay a price for being servant? the negativ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behaviors on leaders' well-being

        Phan Thanh Thao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7

        This study adopts job demands-resources theory as an overarching framework to examine the enactment of a servant leadership style and its potential negative effects on leaders themselves. Whereas much of the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about servant leadership focuses on how these leaders can improve follower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how this leadership style may act as an additional demand on the leaders who engage in it. Based on temporal separation data collected in Vietn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gaging in servant leadership leads to emotional exhaustion by generating psychological job demand in terms of role overload. Moreover, the study identifies a boundary condition on the extent to which adopting servant leadership behaviors would be more stressful, by taking into account their followers’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leaders’ well-being is more strongly negative when leaders’ perception of subordinates’ manipulative intention is high.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호텔직원의 불완전취업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중심으로

        홍성남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090

        본 연구는 서울소재 특1급 호텔직원들을 대상으로 호텔산업에서 연구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호텔직원이 지각하고 있는 불완전 취업, 직무 스트레스의 대표적인 세 가지 요인들이(역할모호성, 역할충돌, 역할과다) ‘자기효능감’ 이라는 변수를 매개변수로 하였을 때 나타나는 그들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대한 구조적 영향관계를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기간은 2014년 5월 8일부터 8월 14일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설문지 500부 중 회수된 473부 중 불성실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58부를 최종 유효한 설문지를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AMO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실증적 방법으로 연구가설을 규명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역할모호성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H2)라는 가설2를 제외한 불완전 취업(H1), 역할충돌(H3), 역할과다(H4) 변수들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1, 가설3, 가설4는 모두 채택으로 나타났다. 요인들의 영향력 순서를 살펴보면 불완전 취업, 역할충돌, 역할과다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며, 역할모호성은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로 나타난 점은 역할모호성 변수가 다른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보다 훨씬 낮은 결과의 값으로 나타난 점이다. 이것은 체계화된 메뉴얼, 반복적인 업무, 특1급 호텔의 여러 가지 제반 여건 등이 우수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결과치가 나왔다고 판단된다. 특히, 특1급 호텔의 경우 직무 전문화, 부서화(departmentalization), 권한위임(patterns of authority), 통제체재(span of control), 협업체계(methods of coordination)가 명확하여 역할모호성이 줄어들고 있다는 기존의 선행연구(Aldag & Stearns, 1987)를 지지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역할모호성에 대한 기각은 외국과 한국의 문화적인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외국에서는 직무에 대한 정확한 메뉴얼이 주어지므로 역할에 대한 모호성을 덜 느끼게 되고 감소하는 실정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직무에 대한 다양한 역할수행을 요구하며 타 부서와의 협력체계를 너무나 당연한 관계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역할모호성에 대한 지각된 인지가 약해져 있는 문화에 익숙하다고 볼 수 있으며 역할모호성에 대한 개념이 불명확하고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값도 낮게 나타나면서 기각의 결과로 설명되는 것이다. 둘째, 매개변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 변수와 직무성과 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매우 큰 영향력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성과에 대해서는 직무만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대하여 자신과 호텔조직을 동일시하거나 추구하는 가치가 유사하다고 판단한다면 호텔에 대한 충성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며 직무만족에도 큰 영향을 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호텔조직의 가치, 신념, 규범, 경영이념, 목표, 조직에 대한 충성심이나 자부심이 직원들 자신의 이러한 성향들에 대하여 유사하다고 느끼는 내부만족도를 중시하는 경영으로 호텔기업이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종속변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직무만족 변수는 직무성과 변수에 대해 매우 큰 영향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호텔기업과 같은 서비스산업군은 인적관리 측면이 기업의 성장에 직결되므로 고용상황 개선이 더욱 중요하다. 호텔직원들의 직장생활 환경과 삶의 질이 개선되고 좋아진다면 직원들의 직무만족이 고객만족 및 고객지향성으로 나타나 개인의 직무성과와 기업성과로 반영될 것이다. 결국, 직무만족에 대한 직원들의 불안한 심리나 우울, 결근 및 이직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직의 기업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가지는 호텔에 대한 동일시정도, 조직가치의 내재화정도,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는 조직몰입이 선행되어야만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호텔기업과 같이 서비스를 생산․판매하는 환대산업에서는 직원들의 이러한 가치들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들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otel employee's perceived under-employment, job stres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deals with under-employment of five-star deluxe hotels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 Korea. Job stress is composed of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and Self-efficacy is used of mediator variabl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of five star deluxe hotels in Seoul from May 8 to August 14 2014. The study sample was randomly selected from the employees working at 10 top-tier five-star hotels in Seoul, Korea. Out of 500 surveys distributed to the hotel employees (50 surveys per hotel), 473 employee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458 completed responses were obtained for data analysis. The survey measured the respondents’ opinions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The endpoints for scales used were “very unlikely” to “very likely” or “strongly disagree” to “strongly agree”.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 order to simultaneously measure the impacts of three determinants of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two-step approach recommended by Anderson and Gerbing(1988). A measurement model was first established via a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and then, using AMOS program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path coefficients were estimated. From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t shows that all hypotheses are supported except Hypothesis 2,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ambiguity and self-efficacy. This means that under-employment,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which were confirmed by interpreting the path coefficients, are a negative factor on self-efficacy. In this research, role ambiguity was statistically less significant at p < 0.001 than other role str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five star hotels have more systematic manuals and better conditions than other hotels. Specially, five star hotels make every effort to decrease role ambiguity through role specialization, departmentalization, patterns of authority, span of control, and methods of coordination(Aldag & Stearns, 1987). Above all, the low result of role ambiguity can be explained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Hotel employee’s perceived understandings of role ambiguity are falling with Korean culture because various roles and cooperations with other departments are required. Second,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was more influenced by self-efficacy than job performance in detail. Employee’s perceived high self-efficacy improves hotel’s loyalty and has a good effect on job satisfaction. Further, self-efficacy is in close connection with hotel’s value, belief, norm, philosophy, and goal. Management of hotel corporations think about how to increase their loyalty and internal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influencing job performance. It exerts a favorable influence upon the delicate psychology, the gloom, the absence and the turnover of hotel employees. As a service industry, a hotel is thoughtfu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hotel is to create the maximum commitment effect with the value and the loyalty of employees to achieve their goal. If a hotel gives better treatment and quality of life to employe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s reflected by job satisfaction. In consequence, job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reflected. The relationships among under-employment, job stresse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may provide a clue regarding how hotels can promote job and role culture to boost their performance.

      •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우울 영향요인: 피로와 역할 과부담을 중심으로

        공은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042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s of depression, fatigue, and role overload in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fatigue and role overload on depression. Method: From September 8, 2020 to September 17, 2020, a total of 142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at four medical institutions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version program.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depression had an average rating of 14.51±9.54 points from 60 points and fatigue in participants was shown to have an average rating of 3.19±0.64 points on a 5-point scale. The role overload of participants averaged 3.03±0.64 points on a 5-point scale.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were health status (healthy, moderate) and fatigue. Conclusion: Fatigue is a factor that contributes to depression in nurses who care for COVID-19 patients. To reduce fatigue, medical institutions should have massage chairs and foot massagers in the COVID-19 ward so that they can be easily used and provide special leave for nurs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laws and systems to ensure an adequate quantity of nursing staff to care for patients with new infectious diseases. University hospital nurses, who are mainly responsible for severe COVID-19 patients, hav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an nurses at medical cen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levels of depression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develop and apply effectiv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those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this initiative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 근무중, 근무시간 이외의 테크노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ANGMINY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041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함을 느끼게 해주는 반면 스트레스와 불편함도 수반하게 된다. 조직에서의 소셜 미디어 사용은 업무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반면에 직원들이 역할 스트레스와 작업 침해를 많이 느낄 수 있으며, 퇴근 후에도 직장 사람들로부터 온 연락을 받음으로 인해 개인 생활 침해, 소셜 상호작용 과부하 등을 느낄 수 있다. 그로 인해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직장 사람들한테 근무 증 뿐만 아니라 퇴근 이후에도 스트레스를 많이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테크노스트레스 이론을 바탕으로 근무시간 중이나 근무시간 이외에 소셜 미디어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테크노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41명의 중국인 위챗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근무 중에 발생하는 역할 과부하, 역할 충돌, 작업 침해는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퇴근 후에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개인 생활 침해, FoM도 마찬가지로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중에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퇴근 후에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use of social media is not only convenient for us in life, but also brings stress and discomfort to us. Although the use of social media can improve work performances, it can also make workers feel role overload, role conflict,and invasion of work. Besides people can still receive messages from colleagues in the workplace after work, so that they will feel social interaction overload, privacy of personal life. As a resulu, the use of social media can also create a lot of stress for people at work and afte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echnostress caused by the use of social media during and after working hours on turnover inten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41 for Chinese WeChat users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found that role overload, role conflicts, and invasion of work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technostress in work, and also found social interaction overload, invasion of personal life, and FoMO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ostress. In work technostress has shown n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on turnover intention, but after work technostress has shown a posi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s.

      • 도시 주부의 가정간편식(HMR) 시장세분화와 구매행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혜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1979

        최근 식품 시장에 있어서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직장인이나 독신자들의 편의성 측면에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2009년 7,100억 원 수준에서 2013년에는 1조 3,00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전자신문, 2013.10.02.). 국내 선행연구는 역할이론(Role theory)을 이용한 직업과 만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편의성 소비(convenience consumption), 특히 HMR과의 관계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주부의 사회진출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소비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발전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MR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고, HMR 상품 판매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HMR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밝히고, 도시 주부의 취업여부가 HMR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Reilly(1982)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HMR 소비자들의 역할과중(Role overload)과 HMR 구매행동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김민정(2011)이 사용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FRL; Food-Related Lifestyle) 척도를 인용하였다. 수도권 지역의 주부들을 패널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군집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HMR 1인당 구매금액은 전업주부가 약 6만 1원이고, 취업주부는 5만 8천원으로 나타났고 도시 주부의 취업유무와 HMR 소비 증가와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기준으로 시장을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등으로 세분화 한 결과 4개의 소비자군이 분류되었고, 그들을 ‘가격 둔감 집단’(군집1)과 ‘조리 선호 집단’(군집2), ‘건강 무관심 집단’(군집3), ‘외식 비선호 집단’이라고 명하기로 하였다. ‘가격 둔감 집단’(군집1)은 외식비용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HMR 1인당 구매액도 높아졌다. 이 집단은 외식과 HMR 구매에 지출을 많이 하였다. ‘조리선호 집단’(군집2)은 외식을 자주하는 사람일수록 C3,4 상품과 같이 조리에 시간을 투자해야하는 상품 구매비중이 높아졌다. ‘건강 무관심 집단’(군집3)은 식사준비에 대한 몰입(Involvement)이 낮을수록 HMR 구매비중 높아졌다. ‘외식 비선호 집단’(군집4)은 식사준비에 대한 Involvement가 낮을수록 HMR 구매비중이 높았다. 또한 외식이 잦은 사람들일수록 HMR 1인당 구매액과 각 상품 등급별 1인당 구매액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각 소비자군 별 특징에 적합한 판매전략 수립이 필요하고, 향후에는 더욱 다양한 상품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길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