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책옹호연합 간 정책아이디어의 차이와 시기별 변동 분석 :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김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3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licy ideas and advocacy coalition formed by groups of actors such as the government, progressive/conservative news media, and public opinion concerning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carried ou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2020 to solve economic problems caused by COVID-19. Ealier studies that analyze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through policy ideas explained policy ideas with ostensibly exposed arguments, which lacked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ideas that might be multi-layered. Furthermore, there was a lack of ealier research explaining Sabatier's Advocacy Coalition(ACF) model through the concept of ‘policy idea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semantic network of the action groups surrounding the emergency disaster subsidy policy process to analyze what kind of policy ideas they have and how they form the advocacy coalition. In order to derive the meaning network of the behavior groups, various and extensive data from the online space were used, such as government press releases, media articles, and blogs and cafe posts on large portals. The semantic network of the government, the progressive/conservative media, and public opinion was derived to identify policy ideas and review them in terms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s a result, the following four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he advocacy coalition model, the words that constitute the instrumental beliefs of the behavior group were generally common words shared by the behavior groups, and were word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 as a policy instrument. On the other hand, the words related to the core policy beliefs were words that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action group, and were words related to the actual effect of emergency disaster subsidies and political issues. Second,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the advocacy coalition according to the policy idea composed of core policy beliefs, in the case of the first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 the universal-support-coalition composed of the government-progression press, the selective-support-coalition composed of the conservative press, and the pragmatism-coalition composed of the public opin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 The coalition composed of the government-progressive media’s core policy beliefs changed into a selective-support, the criticism-coalition composed of conservative media, and an pragmatic-coalition composed of public opinion. Interestingly, the behavior group that make up the advocacy coalition remained the same, and the core beliefs of the policy were changing. Third, the words shared by the behavior groups to be analyzed for the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polic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al aspects of the emergency disaster subsidy policy such as 'application and support method, economic situation awareness, payment method and standard'. The results of QAP regression analysis on the semantic network confirm how these instrumental beliefs influence the perception structure of the public opinion by the government shows that the policy perception of the media influences the delivery of policy perception to the private public opinion. On the other hand, through words showing differences by behavior group, it can be seen that the perspectives and approaches to the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policy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by behavior group. Fourth, within each advocacy coalition, there is a “common characteristic” semantic network structure that remains similar throughout the entire quar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also a policy idea of instrumental beliefs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aspect of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However, according to the political issues that existed each quarter, there were specific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re policy beliefs. It seem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spect in which the core beliefs of each advocacy coalition are revealed in that the first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has become an issue as a universial support, and the second Emergency Disaster Subpport Funds has become an issue as a selective support. From the above conclusions, the existing discussion describing the policy process through policy ideas can be supplement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possibility of research to confirm visible policy ideas based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shown, while reducing the possibility of bias in grasping policy ideas, since the policy ideas were in-depth through big data existing on the online space. Seco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role of word clusters that show the policy ideas of the action groups constituting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using the concept of a “belief system” i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In addition, by performing a dimensio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detailed classification of the belief system, it was identified that the perception that shows differences between behavior groups is the core belief that distinguishes the advocacy association. Through this, the advocacy coalition model could be supplemented by empiricall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ole in the belief system. Finall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olicy ideas, what kind of differences in policy opinions were made for each advocacy coalition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deas may fluctuate according to political-environmental issues occurring in the passage of tim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case of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analysis i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future research on policy changes and policy conflicts, and can be used as empirical data. 본 연구는 2020년 대한민국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에 관하여 정부, 진보/보수 언론, 민간 여론과 같은 행위자 집단들이 형성하는 정책 아이디어와 옹호연합에 대해 기술한다. 정책 아이디어를 통해 정책 변동 과정을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정책 아이디어를 표면적으로 드러난 주장으로 설명하여 다층적일 수도 있는 아이디어의 구조를 파악하기 부족하였다. 또한,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ACF)을 정책 아이디어의 개념을 통해서 설명하는 선행연구 또한 부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의미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해 긴급재난지원금 정책 과정을 둘러싼 행위 집단들이 해당 정책에 가지고 있는 의미 네트워크를 도출하여 어떠한 정책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옹호연합을 구성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행위 집단들의 의미 네트워크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정부 보도자료, 언론 기사, 대형 포털의 블로그·카페 게시글 등 온라인 공간의 다양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정부, 진보/보수 언론, 민간 여론의 의미 네트워크를 도출하여 정책 아이디어를 파악하고 옹호연합모형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옹호연합모형에서 행위 집단의 도구적 신념을 구성하는 단어들은 대체로 분석 대상 행위 집단들이 함께 공유하는 공통 단어들이었으며, 긴급재난지원금이 어떠한 특징을 가진 정책 도구적 수단인지를 설명하는 단어였다. 반면, 정책 핵심적 신념과 관련한 단어들은 각 행위 집단 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단어들이었으며, 긴급재난지원금의 실질적인 효과, 정치적 이슈 등과 관련되는 단어였다. 둘째, 정책 핵심적 신념으로 구성된 정책 아이디어에 따라서 옹호연합을 구성한 결과 1차 긴급재난지원금의 경우 정부-진보언론으로 구성된 보편적 지급 연합, 보수언론으로 구성된 선별적 지급 연합, 민간 여론으로 구성되는 무관·실용주의 연합으로 구성되었으며, 2차 긴급재난지원금의 경우 정부-진보 언론으로 구성된 선별적 지급 연합, 보수언론으로 구성되는 지급 비판 연합, 민간 여론으로 구성되는 무관·실용주의 연합으로 정책 핵심적 신념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옹호연합을 구성하는 행위 집단은 그대로인채 정책 핵심적인 신념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셋째,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에 대하여 분석 대상 행위 집단들이 공통으로 공유하는 단어들이 ‘신청 및 지원 방법, 경제 상황 인식, 지급 방법 및 기준’ 등과 같은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이 가지는 도구적 측면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도구적인 신념이 정부가 민간 여론에 인식 구조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한 의미 네트워크 QAP 회귀분석 결과 민간 여론으로의 정책 인식 전달에 있어서 언론의 정책 인식이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반면, 행위 집단별로 차이를 보이는 단어들을 통해서는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에 대한 시선과 접근 방식이 행위 집단 별로 의미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각 옹호 연합 내에서도 전체 분기를 통틀어 유사하게 유지되는 ‘공통 특성’ 의미네트워크 구조가 존재하며, 이 역시 긴급재난지원금의 행정적 부문과 연관된 도구적 신념의 정책 아이디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분기별 존재하는 정치적 이슈에 따라서 정책 핵심적인 신념에 따라서 세부적인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는 1차 긴급재난지원금은 전국민 보편 지급의 성격으로 이슈화 되었으며, 2차 긴급재난지원금은 선별적 지급의 성격으로 이슈화 되었다는 점에서 옹호연합별 정책 핵심적인 신념이 차이가 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정책 아이디어를 통해 정책 과정을 설명하는 기존의 논의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보완할 수 있다. 첫째, 온라인 공간 상에 존재하는 빅데이터를 통해서 정책 아이디어를 심도있게 파악하였기에 정책 아이디어 파악에 있어서 편향의 발생가능성을 줄이면서 의미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가시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확인하는 연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Sabatier의 옹호연합을 구성하는 행위 집단의 정책 아이디어를 보여주는 단어 클러스터들을 옹호연합모형에서의 ‘신념체계’ 개념을 활용하여 그 역할을 검토할 수 있었다. 또한, 더 나아가 신념체계의 세부적 분류에 따라 입체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행위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는 인식이 옹호연합을 구별하는 핵심적 신념임을 파악하여 신념체계의 역할별 특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 옹호연합모형을 보완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파악된 정책 아이디어에 따라 옹호연합별로 어떠한 정책 견해적 차이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확인하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일어나는 정치환경적 이슈에 따라 아이디어가 변동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의 긴급재난지원금 정책 분석 사례가 추후 정책 변동 및 정책 갈등에 관한 분야 연구에서 정책적 함의를 가지며 실증적인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Japan’s participation i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 the role of ideas and domestic institutions

        조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23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driving factors that account for Japan’s participation i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The TPP is considered a high level treaty among mega-FTAs in that it sets a goal to “eliminate all tariff items.” Japan’s participation in the TPP was fairly astounding in that Japan had favored limited FTAs. The Japanese government attempted to lower the trade liberalization rate in order to minimize damage to its uncompetitive industries such as the agricultural area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t was obvious that Japan had been reluctant to open more of its markets and to eliminate tariffs owing to oppositions from domestic politics. From this point of view, Japan’s participation in the TPP underlines that Japan is transforming its trade policy from a restrictive and asymmetric one to one that is rather outright and symmetric. In particular, considering Japan’s path dependence - where its reluctant attitude toward extreme FTAs clearly stands out - not many people has expected Japan to join the TPP so early. In order to reveal why and how Japan was able to take part in the TPP, this study scrutinizes the political dynamics that has altered Japan’s trade policy. The existing literature cannot entirely explain why Japan changed its trade policy and declared to participate in the TPP. In order to add to the existing studies, this thesis sheds lights on Japan’s ideas and domestic institutions. Specifically, the thesis accentuates the importance of Japan’s ideas of Asian regionalism. It argues that Japan has developed two strands of Asian regionalisms as ways to “identify itself within the region” and “perceive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The Japan’s ideas of regionalism has historically vacillated between “East Asian regionalism” and “Asia-Pacific regionalism,” and the sway between the two regionalisms can account for why Japan joined the TPP. Japan has shaped its ideas of Asian regionalism as a counteraction to the perceived threat of China. Japan began to recognize the China threat as China became a major global economic power and aggressively involved itself in territorial disputes with Japan. In addi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U.S. perception of China as well. When both Japan and the U.S. shared a rather complacent perception of the China threat, Japan was more likely to put forward a narrower regionalism as did the Hatoyama Cabine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Prime Minister Hatoyama pursued an idea of East Asian regionalism, whereas the other three Prime Ministers, Kan, Noda, and Abe, had shared their views for an Asia-Pacific regionalism. Consequently, the Hatoyama Cabinet did not express any interest for the TPP despite U.S. urges for Japan’s entrance to negotiations. On the contrary, the Kan, Noda, and Abe Cabinets were able to display their concerns for participating in the TPP. It is because they had established the idea of Asia-Pacific regionalism even before the Prime Ministers’ inaugurations and had developed it further throughout their terms. However, the idea of regionalism alone cannot explain why the Kan, Noda, and Abe Cabinets have shown different reactions to the TPP after 2010. In order to clarify the parts that have escaped fair explanation, this thesis argues that domestic institutions also influence the transition of Japan’s trade policy and takes the following domestic institutions to have been significant: (1) the formal policymaking structures; (2) the informal policymaking structures; (3) veto players; and (4)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groups and the government. Hence, as aforementioned, the ideas of regionalism affect the direction of Japan’s trade policy - whether to liberalize trade or not. On the other hand, the extent of actions that could follow such decisions can be explained by institutional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This thesis compares what institutional changes had occurred in each cabinet, from Hatoyama to Abe, and locate each cabinet on the spectrum of “bureaucracy dominant policymaking structure,” “party dominant policymaking structure,” “cabinet dominant policymaking structure,” and “prime minister dominant policymaking structure,” depending on their institutional features.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this thesis discovered, the Hatoyama Cabinet and the Second Abe Cabinet attempted to magnify the prime minister’s political power (prime minister dominant policymaking structure), whereas the Kan Cabinet retreated from the DPJ’s political reform aimed at strengthening the prime minister and the cabinet to procure a structure where the party takes predominance (party dominant policymaking structure). The following Noda Cabinet once again turned the transformation around, resulting in a cabinet dominant policymaking structure. Noda had built up close ties between the prime minister and the DPJ cabinets. By contrast, the Abe Cabinet again has concentrated its political resources on the prime minister and had a top-down policymaking process. As a result, the Abe Cabinet was able to go forward with entering the TPP, while the Kan Cabinet and the Noda Cabinet, which also had pursued similar ideas of regionalism as the Abe Cabinet, has had difficulties doing so. Focusing on Japan’s ideas of regionalism and domestic institutions, this thesis, compared to the existing literature, has an analytical merit that well explains why Japan has transformed its trade policy and participated in the TPP. Therefore, this provides a new insight in understanding Japan’s trade policy. Not only external shocks, but ideas and domestic institutions of each cabinet also have shaped trade policy. The prime minister’s ideas of regionalism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intertwined with external factors, have a great influence on Japan’s trade policy.

      • Understanding Values & Ideas of the University in International Organisational Policy Discourse

        DeLaquil, Tessa Boston College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910

        This project ai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etical interpretations of multiple values and ideas of the universities from within and across different disciplines and their influence on higher education and its internationalisation within the real international organisation (IO) policy context. With this foundation, I derived a theoretical construct to gauge the often implicit presence of values and ideas of the university in policy. The theoretical construct consisted of: (i) an academic idea of the university from philosophy of higher education literature; (ii) a globalised idea of the university from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literature; and (iii) a developmental idea of the university from international development higher education literature. To apply the theoretical construct using theory-testing vi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IO policy, I framed IOs as leaders in the global governance of HE, possessing significant linguistic capital (Bourdieu, 1991)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higher education. I used the concept of elite capture to describe the phenomenon of IO power over knowledge and values via policy channels enabling them to "describe, define, and create political realities (Taiwo, 2022, p. 32). The theoretical claim I tested, via the two theory-testing cases of UNESCO and the World Bank, was that the values held by IOs with regards to HE and its internationalisation practically shape IO structures and policy processes. I focused on internationalis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collaboration as specific policy areas for theory-testing.I found that idealised theoretical ideas of the university are useful for this analytic approach and play a part in shaping IO structures and processes, but in complex ways not neatly represented by disciplinary-bounded theoretical categories. Further, the discursive function of IO strategic priorities shapes discursive construction of higher education policy, how higher education is broadly treated, and the bounds within which internationalisation of higher education is approached. I recommend a richer and more complex theorisation of the university to account for rationales of different stakeholders, including academic, developmental, and globalised ideas of the university, to support policy-maker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higher education.

      •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In Korea 1960-Present : the Dynamics of Ideas, Networks, and Linkages

        신동면 University of Bath 2000 해외박사

        RANK : 2910

        동아시아 국가들-일본과 동아시아 신흥개발국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폴)-의 지속적인 눈부신 경제발전은 경제발전과정에서 국가역할에 관한 수 많은 논의를 양산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은 하나의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계속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은 보다 심층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국가의 경제개입, 사회복지의 공급에서 국가역할,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연계(policy-linkages between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이러한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본 논문은 한국의 다섯 개의 정책영역- 거시경제정책, 산업정책, 사회보장정책, 노동정책, 교육훈련정책-을 중심으로 196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경제 사회문제에 관한 국가개입의 동태적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이 논문은 국가정책이 경로종속 (path dependency)의 방식, 즉 과거의 국가정책은 작금의 정책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일정한 패턴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경로종속 과정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정책망 (policy-networks)의 성격과 정책 아이디어 (policy ideas)에 따라 정책수단과 정책문제의 범위가 다르게 되며, 결과적으로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내용이 변화하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경제개발과 사회복지의 공급에 있어서 국가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이 상호 배타적인 과정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님을 주장하고 있다. 즉 한국에서 사회정책의 내용과 유형은 경제정책의 필요에 의하여 커다란 제약을 받아왔다는 것이다. 즉, 1960년대 이후 한국정부는 세계무역시장에서 국내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노동비용 최소화전략을 선택하였으며, 이러한 전략은 사회정책의 형성과정에서 중대한 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사회정책의 발달은 경제정책의 요구에 의하여 제약을 받기 때문에 사회정책은 경제정책의 요구가 내재화 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Social policy in Korea has been embedded in and constrained by the requirements of economic policy). 본 연구를 통하여 경제정책과 사회정책간 정책연계의 성격은 사회정책의 영역과 경제정책의 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EU energy policy change and energy security : agenda entrepreneurship of the European commission

        손효동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909

        European Union (EU) energy policy is notable both for its integrated and innovative ways of suggesting and delivering policy measures and ideas. The EU’s Energy Union has been proposed in a holistic way by the European Commission (EC) in 2015 and is a direct example of the EU’s innovation and integration of energy policy. Given this, as a concrete research question, the thesis seeks to ask and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how does the EC utilize the changed policy idea on energy security of supply for EU energy policy change?’ In the process of answering the aforementioned question, the thesis suggests the new concept, ‘agenda entrepreneur’. It will highlight important but under-scrutinized examination about the actor-centric determinants, which frame policy ideas in agenda-setting. An ‘agenda entrepreneur’ is defined as ’political actor who changes a policy idea through endeavors to frame problems so they become opportunities for eventual policy change in agenda-setting stage’. As specific entrepreneurial innovation, three types of agenda entrepreneurship are suggested in this thesis: agenda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 agenda interlinking entrepreneurship, and agenda synthesizing entrepreneurship. These types are divided by the two conditions: whether policy existed before and if original policy can be derived from conventional usage of the policy idea related to problems. Moreover, for analysis of specific energy security idea as a dependent variable, an analytical framework of broadened typology on the energy security policy idea is suggested. Out of those typology components, this thesis focuses on security of supply as one kind of energy security idea and how the EC frames such an idea to frame problems and suggest strengthened, interlinked, and synthesized alternatives. This thesis concentrates on four energy policy subtopics, focusing on the period after the early 2000s: gas supply policy, electricity internal market policy, energy efficiency policy, and Energy Union policy. In addition, out of many energy-related crises, the discussion of this thesis is examined through three major gas-related Russia-Ukraine disputes. The findings from four case studies shows that whether policy existed before, and if the original policy can be derived from the conventional usage of a policy idea related to problem can influence the policy change process. It was possible to get this result through the actor-centric ideational change explanation in agenda-setting. This thesis has both empir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s an active supranational actor, the EC could influence actual policy change beyond its original mandate as the executive body of the EU. This has direct implications for its role a policy manger that tries to create values such as policy integration and innovation under its legal and practical limitations. The EC’s agenda entrepreneurship which turns problems into opportunities is much more relevant when energy security related policy becomes prevalent, as evidenced by the current situation. Moreover, theoretically, the concept ‘agenda entrepreneurship’ could extend the applicability of entrepreneurship in the polis and policy change. 유럽연합(EU)의 에너지 정책은 지역의 정책으로 다른 세계의 어느 지역과 비교하여 그 정책의 통합 강도와 혁신의 정도 측면에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2015년 유럽위원회가 제안한 에너지연합(Energy Union)은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정책을 포괄하여 관리하려는 종합 정책으로서 그 통합과 혁신의 모습과 그 방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EU 에너지 정책은 변화하는가? 정책의 혁신과 통합을 고려하는 정책입안/관리자는 어떤 정치·정책적 고려를 할 수 있을까? 복잡해지는 정치 환경 속에서 어떤 전략을 갖고 있으며, 이는 실제 정책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일련의 질문에 본 논문은 정치학, 행정학, 정책학 등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정책변화 요인을 찾는 가운데, 정책아이디어를 강조한다. 동시에 정책아이디어를 구성하는 주체인 행위자를 중심으로 정책변동을 설명한다. 아이디어의 구성은 특히 정책과정에서 의제설정 단계에서 두드러지는데, 이를 중심으로 정책 변화를 설명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구체적 연구질문으로서 ‘유럽위원회는 에너지 정책 변화를 위해 어떻게 에너지 공급 안보의 개념을 이용하는가‘를 설정하고 답을 하는 과정에서 ‘의제혁신가’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EU의 에너지 정책은 왜 실체적, 아이디어적으로 변화하였고, 의제혁신가로서 유럽위원회 어떻게 그 정책변화를 이끌었는가에 대한 답도 제공해 준다. ‘의제설정단계에서 최종적인 정책변화를 위해 정책아이디어를 변화하여 문제를 기회로 만드는 노력(본 노력을 의제혁신이라 명명함)을 하는 정치적 행위자’로 정의하는 의제혁신가의 의제혁신 유형은 의제강화혁신(agenda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 의제연결혁신(agenda interlinking entrepreneurship), 의제종합혁신(agenda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으로 나뉜다. 의제혁신가의 혁신전략은 (1) 관련 정책의 기존 정책 존재 유무와 (2) 의제혁신가가 프레이밍(framing)하려는 문제와 정책변화의 대상이 되는 기존 정책이 갖고 있는 정책 아이디어의 연관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에너지 정책의 아이디어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정책아이디어로서 에너지 안보의 개념적 구분을 위한 분석틀을 제시한다. 정책아이디어로서 에너지 안보는 (1) 안보 위협의 대상으로서 에너지 시스템이 정책아이디어를 논의하는지 (공급 안보로서 에너지 안보, 수요 안보로서 에너지 안보) 아니면 (2) 안보 위협을 발생시키는 주체로서 정책 아이디어를 논의하는지(정치적, 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요인)로 구분 가능하다. 논문에서 주목하고 있는 점은 공급 안보로서 에너지 안보의 아이디어가 유럽위원회를 통해서 어떻게 프레이밍 되며 정책 변화를 위한 정책 대안이 강화, 연결, 종합되는지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2000년 초반 이후 에너지 정책 변화를 연구한다. 다양한 에너지 정책 중, 가스공급 정책(gas supply policy), 전력내부시장 정책(electricity internal market policy), 에너지효율 정책(energy efficiency policy), 에너지연합 정책(Energy Union policy의 4가지 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에너지 관련 문제 중에서, 세 차례(2006, 2009, 2014년)의 러시아-우크라이나 발 가스 위기(가스 공급 안보 관련 에너지 위기)는 논의의 중심이 된다. 가스 위기는 최근의 안보 이슈 중에서도 유럽위원회의 문제 규정의 노력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의 결과 우선 가스공급 정책의 경우, 유럽위원회는 정책문제와 기존 정책 수단을 진단함을 통해 문제를 지속적으로 프레이밍함을 통해 (의제강화혁신) 문제 해결을 위한 강화된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유럽위원회의 정책 아이디어에서 꾸준히 강화되며, 실제 정책의 장기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력내부시장 정책과 에너지효율 정책은 일련의 가스 공급 안보 관련 위기와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유럽위원회는 관련 문제를 프레이밍하고 대안을 제시함에 있어 전력내부시장의 강화와 에너지효율의 향상이 문제와 연결되고 필요한지를 부각하고 요구한다. 실제 전력내부시장 정책의 경우 유럽위원회의 의제연결혁신을 통해 관련 정책은 다른 정책아이디어(시장자유화)의 결합과 함께 더욱 통합된 형태를 갖게 되었다. 에너지효율 정책의 경우, 의제혁신가의 혁신의 정책 변화에 있어 영향력은 전력내부시장 정책의 영향력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했으나, 정책의 변화와 발전을 위해 의제혁신가가 문제를 더 큰 범위에서 프레이밍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연합 정책의 경우, 유럽위원회는 가스 공급 안보 관련 에너지 위기를 계기로 삼고 더욱 혁신적이며 종합적인 대응을 강조한다. 그렇지만, 유럽위원회는 의제종합혁신의 일환으로서 많은 전략들을 펼치고는 있으나, 여전히 관련 종합정책이 기존에 없었다는 점과 프레이밍하려는 문제에 대해 많은 EU 정책 행위자로부터 정책의 이득과 필요성에 대한 정당성을 얻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실제 네 가지 정책변화 사례에 대한 분석은 의제혁신이 관련 정책의 아이디어와 실체 변화에 있어, 기존 정책 존재 유무와 의제혁신가가 프레이밍하려는 문제와 정책변화의 대상이 되는 기존 정책이 갖고 있는 정책 아이디어의 연관 정도에 많은 부분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의제 설정과정에서 문제를 프레이밍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행위자를 분석함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연구의 결과라 할 수 있다. EU의 에너지 정책에는 EU라는 지역국제기구가 처한 다양한 위협과 더불어 정책변화가 계속해서 통합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함께 존재한다. 이런 우려에 대한 본 논문으로 유럽위원회의 행위자의 역할을 주목하였다. 유럽위원회를 단순히 국제기구의 행정을 담당하는 기구를 넘어서서 정책의 영역에서 실제 정책 변화에 영향을 주는 행위자로서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유럽위원회를 에너지 정책의 정책관리자라는 시각에서 본다면, 위원회가 갖는 법적, 실질적 한계에도 보여준 정책변화에서의 역할은 관련 정책관리자에게 시사점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가스관련 수급 위기로 대표되는 에너지 관련 위기가 증가하고 있는 최근 여러 실증적인 시사점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일면 에너지 정책이 갖는 다차원적 특성이 유럽위원회로 하여금 다양한 의제혁신을 가능하게 하였지만, 주어진 조건에서의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유럽위원회의 혁신 전략은 그 자체로 정책관리자에 혁신의 전략에 대한 안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론적으로 본 논문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정책변화에 있어 아이디어와 행위자 중심의 설명을 의제혁신가라는 개념을 통해서 그 적용의 가능성을 넓혔다고 볼 수 있다.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들이 갖는 방법론적 한계가 존재하지만, 해당 논문은 다른 정책변화의 연구들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로서 의미가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해서 보완 가능할 것이다.

      • 클린턴 행정부의 신 기술정책 : 정책사고와 정치적 연합을 중심으로

        손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06

        본 논문은 과연 미국의 정책을 시장주도적 정치관리형태로 단정지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미국은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규제국가로 분류된다. 전통적으로 시장이 경제를 이끌어가는 자유주의적 사상이 지배하는 미국은 국가가 특정한 목적을 지니고 정책을 실행하는 발전국가가 아닌 시장경쟁을 강화하는 조정자로서의 규제국가적 성격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세계화의 가속화 속에서 국가 간 상호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의 정치관리형태가 필요하다면 시장에 전략적으로 개입하는 신중상주의적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한 경험적 사례로 클린턴행정부의 신 기술정책을 살펴본다.199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의 경제적 번영은 첨단기술산업 분야에서의 압도적인 국가경쟁력을 바탕으로 한다. 1990년대 정보통신기술의 개발과 확산에 클린턴행정부는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는 1980년대 레이건행정부와 부시행정부의 기술정책이 국방기술과 기초과학중심이었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클린턴행정부의 신 기술정책은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민간기술의 개발과 지원에 초점을 맞추었다. 클린턴행정부의 첨단민간기술개발전략(Advanced Civilian Technology Strategy)과 기술재투자프로젝트(Technology Reinvestment Projects)는 연방정부가 상업용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 대표적 기술정책이다. 첨단민간기술개발전략은 민간분야의 첨단기술개발, 기술개발과 상업화에 필요한 정보 제공, 기술하부구조 구축, 기업과 민간부문의 선도역할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첨단민간기술개발전략 중 기술개발 분야의 첨단기술프로그램(Advanced Technology Program)과 기술 하부구조 구축 분야의 국가정보기반(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고성능컴퓨터 및 통신체계개발 연구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또한 기술재투자프로젝트를 통해 클린턴행정부가 민수시장과 군수시장에 동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인 민군겸용기술(dual-use technology)개발과 확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음을 살펴본다.국가경쟁력 약화라는 위기 속에 있었던 1980년대 레이건행정부, 부시행정부와 1990년대 클린턴행정부의 기술정책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본 논문은 무엇이 이러한 기술정책의 전환을 가능하게 했는가를 고찰한다. 클린턴행정부의 기술정책 등장 요인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국제적 요인으로 첨단기술산업의 기술경쟁시대 도래와 일본의 전략적 과학기술정책을 지적하고, 국내적 요인은 정책사고(policy ideas)와 정치적연합(political coalitions)을 분석틀로 연구한다. 클린턴행정부의 신 기술정책은 경제안보론과 전략적무역정책론이라는 정책사고를 바탕으로 관련 제도의 정비와 기술부문관료의 형성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또한 클린턴행정부는 첨단산업계와의 정치적 연합과 신 기술정책을 비판했던 공화당과의 갈등을 수습할 수 있었던 정치적 힘을 바탕으로 기술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다. 클린턴행정부의 기술정책은 통상정책과도 긴밀한 연관성을 가졌다. WTO 보조금협정 과정에서 클린턴행정부는 민간기술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려는 국내적 상황을 고려하여 보조금축소에서 보조금확대로 입장을 변경하였다. 최종보조금협정은 미국의 제안대로 결정되었다. 클린턴행정부는 WTO를 통해 전자상거래 무관세원칙을 국제규범화하고자 노력했다. 정보통신분야에서 우월한 경쟁력을 갖추게 되자 클린턴행정부는 미국의 첨단기술산업계에 유리한 시장환경을 조성하려 하였다. 미국은 전자상거래 무관세원칙 문제를 WTO 내에서 처음 제기한 이후 WTO 회원국들로부터 전자상거래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현재의 상황을 유지하자는 모라토리엄을 이끌어내었다.결론적으로 클린턴행정부는 국제경쟁력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연방정부가 민간기술개발과 확산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WTO를 통해 자국의 기술정책 추진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신중상주의적 특징을 나타냈다. 미국의 경제정책을 이해하는 데 있어 시장주도적 관리양식으로 보는 규제국가론 시각을 탈피하여 좀 더 다각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시도가 필요하겠다. This dissertation's question is whether we could completely consider U.S. policies as market-centric governance or not. The United States is categorized into a regulatory state. America has been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regulatory state because this nation was dominated with liberalism which emphasized the market's leading role in economy. However, the political governance of America has been changed to neo-mercantilistic governance in which the U.S. government engaged in market strategically if it was needed as the globalization expanded and the interdependence increased. New technology policy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was examined as a experimental case for the governance change. America's economic prosperity since 1990 has been based on the overwhelming 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high technology industry. The Clinton administration wa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ctively in 1990's. This policy was very different from the technology policy of the Reagan and Bush administration which focused on defense technology and basic science technology. The Clinton's new technology policy outlined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civilian technology for enhanc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dvanced Civilian Technology Strategy and Technology Reinvestment Project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were major technology policie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technology. The Advanced Civilian Technology Strategy was designed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building and leading the cooperate field in civilian technology. In this thesis, Advanced Technology Program among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s of Advanced Civilian Technology Strategy was studied. Among technology infrastructure building programs,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program were researched.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linton administration helped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dual-use technology which the defensive and the civilian could use was explored.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echnology policy between the Reagan, Bush administration of 1980's and the Clinton administration of 1990's while they experienced weakened national competitiveness similar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uses of this technology policy conversion. The advent of competitive high-technology industry era and Japanese strategic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were highlighted as international factor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the Clinton's technology policy. National factors were studied within the framework of policy ideas and political coalitions. New technology policy was performed by the policy ideas of economy security theory and strategic trade theory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technology bureaucrats building. Moreover, the Clinton administration was able to carry out the technology policy with political power to settle the resistance of the Republican Party which criticized the political coalitions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with high-tech industry and the new technology policy. The technology policy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was relevant to the trade policy. The Clinton government changed the stand from a subsidy decrease to a subsidy increase in the process of a WTO subsidy agreement because American government wanted to operate the technology policy well for supporting the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The Clinton adminstration strived to make electronic commerce duty free after getting the superior competitivenes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Since the U.S. government had set up an agenda of duty free electronic commerce in WTO, it drew a moratorium in which WTO's members agreed to sustain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duty free cyber space.To conclude, there were some neo-mercantilistic features in the American governance in that the U.S. federal government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high technology positively to overcom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crisis during the Clinton administration and made some trade rules that were advantageous for America through WTO. When the U.S. policy is examined, more diverse perspectives are necessary with breaking from the regulatory nation theory.

      • Whose policy ideas matter in South Korea's ODA?

        장지선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 2016 국내석사

        RANK : 2894

        본 연구는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정책결정과정을 대통령 중심 모델을 이용해 분석하여 “한국 ODA배분에 있어 누구의 정책아이디어가 중요한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대통령은 한국 ODA정책 결정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정권이 바뀜에 따라 대통령의 정책아이디어 또한 변하며 그에 따라 한국의 ODA 배분 포트폴리오 또한 재구성된다. 이는 한국 ODA 정책 결정과정이 대통령에 집중된 정치권력과 더불어 원조기관 본부의 의사결정력이 상대적으로 막대한 중앙집권적 지배구조 유형에 속하기 때문이다. 대통령과 한국 ODA와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두 개의 가설을 양적 및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대통령이 수원국 방문 및 수원국의 국가 원수가 한국을 방문하였을 경우, 수원국으로의 한국 ODA 배분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이는 151개국을 1987년부터 2014년까지의 계량적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 모델의 종속 변수로는 수원국으로의 한국 ODA, 독립변수로는 대통령 방문 및 수원국의 방한을 포함한 총 7개의 변수를 택하였다. 두 번째 가설은 대통령의 정책아이디어는 대통령 연설에 드러나고, 그러한 정책아이디어가 한국의 ODA 포트폴리오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통령의 정책아이디어를 확인하기 위해 대통령 연설에서 단어 빈도를 측정한 후, 노무현의 대외원조 확장 시기와 이명박의 자원외교, 그리고 박근혜의 새마을 운동 등 세 가지 사례를 선정해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대통령이 한국 ODA 정책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게 한 원조 지배구조와 비공식 네트워크 등 2개의 중개변수를 검토하였다. 이는 대통령 및 원조기관, 관련 부처와의 관계를 가시화하여 각 기관의 핵심 인물들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통령이 한국 ODA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에 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원조기관에 내재되어 있는 비공식 네트워크와 중앙집권적인 원조 지배구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answering the question of “Whose policy ideas matter in the allocation of South Korean ODA?” by analyzing the president-centered model of the South Korean ODA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The presid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uth Korean ODA, so when the policy ideas of the president change as new administrations assume office, the focus of the ODA allocation portfolio is reshaped accordingly. This is primarily because South Korea has concentrated political power, the president-centered model, with a relatively centralized aid governance structure, where the headquarters of the aid agencies hold relatively more decision making power. Based on this, the research looks at the president and their connection to South Korean ODA by exploring two arguments, implemen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when a president visits a recipient country, or when the head of a recipient country visits South Korea, ODA distribution from South Korea to that recipient country increases. This is examined by using a panel data regression analysis of 151 countries from 1987 to 2014. The model adopts South Korean ODA to recipient countr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even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presidential visits to recipient countries and visits by recipient countries to Korea. The second hypothesis argues that the policy ideas of presidents are reflected in presidential speeches, and these policy ideas shape South Korea’s ODA portfolio. This is examined by conducting a word frequency analysis of presidential speeches to identify the president’s policy ideas. The argument is further explored through case studies of three administrations; Roh Moo-hyun and his aid expansion period, Lee Myung-bak and resource diplomacy, and Park Geun-hye’s revival of the Saemaul Undong. Afte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ident and South Korean ODA, we look at two intervening variables, aid governance structures and informal networks, which allow the president to exercise a strong influence on South Korea’s ODA policy,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is phenomenon occu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idents, two South Korean aid agencies, and two ministries, MOFA and MOSF, are examined by building a relationship map between key personnel.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is involved in shaping South Korea’s ODA portfolio, confirmed in both hypotheses. The mechanisms behind this are the embedded informal network in aid agencies, and the aid governance structure that makes it relatively easy for a small group or individual to influence ODA policy.

      • 한국의 경제발전과 외자도입정책에 관한 연구 : 경제발전, 외자도입정책, 국가능력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조수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889

        이 연구는 196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말 경제위기 이후 김대중 정권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경제발전경로에서 나타나는 국가개입전략과 외자도입정책에 관한 연구로서, 역사제도주의(historical institutionalism)적 설명방식을 통해 분석한다. 외자부문은 경제발전과정에서의 자원배분과 관련된 국가개입의 정치경제적 속성 및 국가-사회관계, 그리고 국가와 국제자본간의 권력관계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는 영역으로, 외자도입정책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는 한국의 경제발전경로의 원인과 결과에 보다 풍부한 설명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역사적·맥락적 분석을 통해 한국의 경제발전과정에서 어떠한 요인이 국가개입방식 및 외자도입정책에 영향을 미쳤고, 외자도입정책 패턴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그 결과는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경제발전, 외자도입정책, 국가능력간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유익한 이론적 함의를 얻고자하는 것이다. 고도성장기 뿐만 아니라 경제자유화 시기에도 외자(차관 & 외국인직접투자)는 산업화 궤도 및 국가-사회관계의 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고 국가가 국내 사적 자본과의 관계에서 더욱 강력한 전략적 지위를 점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였으며 국가능력을 강화시키고 국가의 경제개입을 오히려 자극하고 활성화하였다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 정치경제체제와 한국 고유의 정치적 맥락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차관 및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국가개입방식이 변화되어 왔다는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의 경제발전과 외자도입정책, 그리고 국가능력간에는 상호적 관계(reciprocal relations)가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고도성장기에 형성되었던 제도적 특징 및 정책유산이 1990년대 말 김대중 정권까지도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e)'과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unintended consequence)'를 강조한다. 그런데, 이 때 주의할 것은 한국의 경제발전과 외자도입정책의 결정 및 추진과정에서 권력자원(power resource)이 어떠한 정책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행위자에게 주어져 있느냐에 따라, 경로의존성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정책패러다임의 전환이 초래되는 경우가 있었다는 점이다. 결국, 한국의 경제발전과 외자도입정책은 국제 정치경제적 맥락, 역사적·구조적으로 조건지어진 국가- 사회관계, 그리고 행위자의 정책 아이디어와 상호작용함으로써 특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자율적인 국가기구를 기반으로 사적 자본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효과적인 국가개입능력을 갖추었던 박정희 정권은 외국자본에 의한 국내 경제의 종속을 방지하기 위해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해 비교적 강력한 규제를 하였던 것에 반해, 차관승인 및 배분과 관련하여 자본과 협력함으로써 전략적 산업에 대한 집중투자를 조장하여 재벌의 경제력집중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전두환 정권에서의 안정화 및 자유화조치는 1960년대 이래로 지속되어온 권위주의적인 개입방식에 의해 노동의 희생을 통해 구체화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재벌의 성장은 가속화됨으로써 한국의 재벌은 특권적 지위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결국, 1960, 70년대의 국가개입방식의 정책유산은 1980년대의 정책방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으로, 이러한 현상은 1990년대 말까지도 지속됨으로써 경제발전과 외자도입정책의 결과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가운데, 1997년 말 경제위기 이후 IMF의 요구에 따라 한국 정부가 신자유주의적인 경제정책 기조를 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화(globalization)라는 외부적 압력으로 인하여 선진자본이 국내 경제에 급속하게 진출하고 있고 국내자본은 국제분업체계에 더욱 체계적으로 편입됨으로써 자립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국가능력이 사실상 상실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경제발전의 역사적 정책유산으로 인해 재벌의 경제력집중이 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본축적을 위한 정치경제적 하부구조를 국제자본이 필요로 하고 있는 이상, 김대중 정권의 적극적인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으로 인한 국내기업의 해외매각이 외국자본에 대한 한국 경제의 종속을 심화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다만, 자본의 이동성이 점차 증가하고 국가간 경제적 상호의존성이 점차 높아지며 외적 요인에 대한 국민국가(nation state)의 정책자율성이 제약받기 쉬운 상황에서, 한국의 국가가 갖추어야 할 것은 '조정능력(coordinating capacity)'일 것이며, 이는 국가가 자본 뿐만 아니라 노동, 그리고 시민사회 등을 포함한 조직화된 사회세력과의 제도적 연계체계를 가질 때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economic development and foreign capital policy from the early 1960s through the Kim Dae Jung government in Korea by utilizing the historical institutional perspective. Not only does foreign capital policy indicate the political economic characteristics of state intervention associated with the state's resource mobilization and allocation activities, but also state-societal arrangement and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state and international capital. Therefore, the political economic analysis of foreign capital policy provides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ath.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concrete analysis of the causes, patterns, and consequences of state intervention and foreign capital policy. Moreover, this study emphasize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economic development, foreign capital policy, and state capacity in Korea by conducting a historical and contextual political economic analysis of the Korea's capital accumulation process. On the one hand, foreign capital has affected industrialization trajectory and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state-societal relations in economic liberalization as well as rapid economic growth phases. With the control over the types and sectoral allocations of foreign capital, the state could guide the pattern of private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tional politico-economic context and domestic political dynamics transformed the pattern of state intervention.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re are reciprocal relations among economic development, foreign capital policy, and state capacity in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stresses 'path dependence' and 'the unintended con sequences' of state intervention. However, one should not lose sight of actor's policy ideas. It is impossible to interpret paradigm shift i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foreign capital policies by stressing path dependence only. That is, the movement from one policy paradigm to an other is likely to be preceded by significant shifts in the locus of power over policy. This means that the dynamic interplay among economic development, foreign capital policy,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state-societal arrangement, and actor's policy ideas is a major fact or behind Korea's industrial policy shifts. To be concrete,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 based on dense institutional linkages between an autonomous state bureaucracy and private capital, applied relatively strict restrictions on FDI in order to prevent the Korean economy from being dependent on foreign capital. By contrast, the Korean government actively sought to increase foreign loans by utilizing foreign loan guarantee system. This resulted in the over capacity of strategic industries and the concentration of chaebols' economic power. Moreover, stabilization and liberalization attempts of the Chun Doo Whan government were bared on the sacrifice of labor class, while chaebols enjoyed the privileged position of business. These legacies of state intervention still constrain the state's freedom to maneuver. The Kim Dae Jung government is under severe external pressures, that is, globalization and IMF's neoliberal restructuring measures. Although the Kim government tries to induce FDI through various liberalization measures, it will not lead to the dependence of Korean economy on foreign capital because of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haebols' economic power in Korea. Finally, the Korean state should possess' coordinating capacity' to cope with the increasing mobility of capital. This coordinating capacity can be developed only when the institutional linkages between the state and organized social classes are established.

      • 한국의 정책평가제도 변동에 관한 정부별 비교연구 : 정부성향(paradigm idea)과 국무총리 위상을 중심으로

        양홍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876

        한국정부에 최초의 정책평가제도라 할 수 있는 심사분석제도가 1961년 도입된 이후 정책평가제도는 약 50여 년 동안 정부정책의 효율성, 책임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많은 제도변동을 겪으며 발전해 왔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평가제도는 예산, 감사제도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발전되었으나, 한국은 국무총리의 국정통할을 위한 기능적 수단 중의 하나로서 발전되어 온 특징이 있다. 1987년 헌법에 의거 출범한 노태우 정부에서 국무총리실에 평가기능이 부활(‘90년)된 이후 정책평가제도는 각 정권마다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면서 커다란 변동이 있어왔다. 본 논문은 장기적 관점에서 정책평가제도 변동의 핵심적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각 정부별 평가제도 변동양태는 어떠했는지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향후 평가제도 변동을 예측하고 바람직한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제도변동 영향요인을 환경 요인, 정권 특성, 행위자 역할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특히, 평가제도 변동의 핵심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정권특성(제도적 맥락)을 정부성향(paradigm idea)과 국무총리 위상(status)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부별 변동압력을 규명하였다. 정부별 변동양태 분석을 위해 메타평가(meta evaluation) 분석모형을 제시한 후, 3개 부문(평가체제, 평가과정, 결과환류)에 대한 변동강도 비교를 통해 정부별 변동유형을 제시하고 정부성향에 따른 제도 운영상의 공통점과 향후 평가제도 변동의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및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권교체 등 환경 요인의 변화는 정권 특성(제도적 맥락)의 변화를 촉발하게 되는데, 제도적 맥락 중 정부성향의 연속성 여부, 국무총리 위상의 고저 등에 따라 평가제도에 대한 변동압력 강도는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둘째, 평가제도 변동압력은 직전정부와 정부성향이 불연속적일수록, 국무총리 위상이 높을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평가제도의 실제 변동여부는 국무총리의 위상에 좌우되므로 평가제도 변동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국무총리 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정부별 평가제도 변동양태에 대해 종전 제도와의 변동강도와 연속성을 기준으로 4가지로 유형화하였다. ① 김영삼 정부(행정조정실 심사평가)는 변화강도가 약하고 노태우 정부와 연속성이 있는 「점진적 변동」이었다. ② 김대중 정부(국무조정실 기관평가)는 변화강도가 매우 크고 김영삼 정부와 연속성이 약한「급진적 변형」이었다. ③ 노무현 정부(국무조정실 통합평가)는 변화강도는 강하지만 김대중 정부와 연속성이 있는「급진적 변동」이었다. ④ 이명박 정부(국무총리실 통합평가)는 노무현 정부와 동일한 법적기반으로 변화강도는 약했으나, 이전 정부와 연속성이 약한「점진적 변형」유형이었다. 넷째, 정부성향에 따라 평가제도 운영에 일정한 정향이 나타났다. 즉, 진보성향 정부에서 평가기능을 보다 강조하고 급진적인 제도변동이 일어났다. 평가과정에서도 진보성향 정부의 경우 기관평가/종합평가/계량평가 등이 강조되었으며, 결과처리의 제도화 및 평가결과에 대한 실제 환류수준도 보수정부에 비해 진보성향 정부가 높았다. 본 연구의 주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정부업무평가기본법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방향에 대한 시사점이다. 향후 5년 주기의 정권변동에 따라 평가제도가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법률 및 시행령 규정사항, 평가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으로 규정을 체계화하되, 정부성향 등 정권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는 부분은 하위규정에 위임토록 하여 융통성 있는 운영을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06년 제정된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중 실제 제도운영과 다르게 규정된 불필요한 조문 삭제와 법령상 혼재되어 있는 성과관리 제도를 분리?규정하는 등 정비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책평가기능을 통한 국무총리의 국정통할 지원을 위해 국무총리가 정책조정 필요사항과 의도하지 않은 부처 간 정책혼선 분야를 파악하고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이명박 정부에서 널리 활용된 수시현안과제 분석을 활성화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Since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an assessment system for government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 first time in 1961, the Institution of Government Policy Evaluation(IGPE) has been developed as a way for reinforcing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policies. Even though the IGPE in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budget or audit system, the Korean system has been evolved as one of the Prime Minister’s authorities to control and supervise the cabinet. After the function of policy evaluation was endowed to the Prime Minister’s Office in 1990 under the Tae-Woo Noh Administration, based on the Constitution of 1987, the IGPE has been gone through various changes with ever-changing names for each Administration. This study is aime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at finding out the causal mechanisms of the institutional changes and giving direc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system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 changes in each Administra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focal factors for the institutional changes. The framework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historical neo-institutionalism, which classifies main driving forces of the change into threefold: environmental factor, traits of each government, and the role of major actors.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as a focal factor for the IGPE’s change are analyzed by paradigm idea and Prime Minister’s status, and then their impacts on the institutional change are identified. After building meta evaluation model to analyze the IGPE’s change at each government and comparing the strength of change in three categories (evaluation system / process / feedback), the type of changes in each Administration and i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like regime change trigger the changes of the traits of government, which are manifested as the adjustments both in the continuity of paradigm idea for each government and in the level of Prime Minister’s status. Second, it turns out that the strength of pressure on the IGPE’s change in an Administration is stronger when the continuity of paradigm idea is weaker than the former government and the level of Prime Minister’s status is higher. 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more important factor for change is Prime Minister’s status because the IGPE’s change relies on Prime Minister’s status. Third, the result of the IGPE’s change in each Adminstration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change strength and institutional continuity. ① The change in the Young-Sam Kim government is a type of「incremental change」, weak change strength and close continuit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government. ② The Dae-Jung Kim government can be interpreted as a type of「radical transformation」, strong change strength and weakened continuit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government. ③ For the Mu-Hyun Roh government, a type of「radical change」seems appropriate, with strong change strength and strong continuit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government. ④ Finally, the Myung-Bak Lee government can be recognized as a type of「incremental transformation」, externally weak change strength with internally weak continuity comparing with the Mu-Hyun Roh government. Fourth, according to paradigm idea in managing and operating the IGPE, a different orientation for each government, relying on the political propensity, is found. It turns out that a relatively liberal government stresses more on the function of the IGPE and sets radical institutional change in motion. Also, it is shown that a liberal one also places more importance on the method of organizational / comprehensive / statistical evaluation and reaches the high level of feedback than a conservative Administration. These findings lead u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o improve the Government Performance Management Act in 2006, it is necessary to seek a balance between the systematization of policy rules and the delegation to sub-provision, considering the change of presidency every five year. Second, the revision of unnecessary provision apart from operating reality is necessary. and it is also needed to amend mixed institutional provision of evalu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Third, for the support of Prime Minister’s cabinet control through the IGPE, the tool of spontaneous policy issue analysis, widely utilized in the Myung-Bak Lee government, should be reinforced and developed to detect the needs of policy coordination and make corrections for the unintended policy errors among Ministries.

      • 청탁금지법 결정요인 분석 : 정책아이디어와 행위자 선호, 전략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최슬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74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what are the k ey variables that affect public policy decisions and how they affect the dec isions through what channels. It concentrates on the case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the anti-graft law) which demonstrates a policymaking process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ith existing approaches bas ed on the conception of self interested behaviour. Although the anti-graft l aw was a public policy that regulate the lawmakers themselves, the anti-g raft law was passed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with the approval of an absolute majority of lawmakers. This study noted that public sentiments can affect public policy decisions by changing specific pr ogram ideas that reflect the preferences, strategies, preferences and strategi es of individual or group actors involved in policy-making. In the beginning, contrary to public support for the anti-graft law, lawm akers had a strategy to delay legislation of the law, which would regulate their actions. Even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resultant Guanpia fr ame became popular in 2014, the delay and avoidance was maintained and the government and legislators only used the anti-graft legislation as a pol itical rhetoric. However, with the release of Lee Wan-koo's transcript, publ ic sentiment turned into a frame that links the objection to the anti-graft l aw to corrupt acts seeking private interests, which was perceived as a poli tical threat to the next election.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shift ed their strategy to quickly legislate the anti-graft law through a negotiati on between the leader, and in the process, issues of content were ignored or decided in a way that can avoid immediate responsibility. Opposition from media companies and private schools was expressed, but it was impossible for them to practically oppose the law, since they could not form a coalition with policy-makers in the system due to the overwhel ming public sentiment that emphasizes publicness and fairness. As a result, the conflict over the issues of the anti-graft law, which required social dis cussion and agreement, was also settled only temporarily. 본 논문은 공공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가 무엇이며,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청탁금지법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 아이디어로서 공공의 정서와 주요 행위자들의 선호, 아이디어가 상호작용하고 변화하는 양상과 정책 프로그램 아이디어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공공정책 결정의 핵심 변수로서 공공의 정서의 역할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입법 과정과 법 내용과 체계 등에 대해 졸속 입법, 과잉입법이라는 비판이 만연했던 것에 비해 실제 청탁금지법의 입법 과정에서 절차적 합법성이나 정치적 합리성을 저해하는 국정 파행 없이 국회의원 다수의 찬성으로 국회본회의에서 가결되었다. 본 연구는 청탁금지법 입법 과정에서 정책 아이디어로서 공공의 정서가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개인 또는 집단 행위자들의 선호와 전략과 상호작용하며, 선호와 전략을 반영하고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수정변화시킴으로써 공공정책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공공의정서를 포함한 정책 아이디어들은 담론화되어 행위자들에게 인지되는데 정책을 둘러싼 담론은 언론 보도를 통해 대중에 전달되고, 정책결정 참여자들 또한 공공의 정서와 여론을 인지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언론매체가 매개 역할을 하게 된다. 정부와 국회의 공식 문건, 언론 매체 보도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직사회 부패를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엄격한 처벌과 감시의 도입을 골자로 하는 반부패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는 공공의 정서를 반영한 프로그램 아이디어로 청탁금지법이 제시되었으나 폐쇄적인 한국 입법 제도 내에서 프로그램 아이디어의 수정과 채택, 결정에 실질적인 권한이 집중된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행위를 규제하게 될 해당법의 입법을 지연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2014년 세월호 사건의 책임론과 관피아 프레임이 확산될 때까지도 청탁금지법 입법을 여론을 인식한 정치적 수사로서만 활용하는 지연과 회피 전략은 유지되었다. 이완구 총리후보의 녹취록 공개를 계기로 공공의 정서는 입법 지연의 고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청탁금지법 입법을 반대하는 정치인은 사익을 추구하는 부패 정치인이라는 프레임으로 변화하고 나서야 차기 선거 낙선과 정당 지지도 상실의 잠재적 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선호한 여당과 야당 모두 합의를 지도부 합의를 통해 입법을 강행하는 전략을 추구하게 되었다. 공공성, 공정성의 가치를 강조한 압도적인 공공의 정서가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압도하면서 법 적용 대상으로 포함된 직능집단들의 반발과 비판들은 수용되지 못했고, 제도 내 정책결정자들과 연합을 형성하지 못하여 조직적인 반대도 불가능해지면서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했던 법안의 쟁점들도 봉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정책, 특히 물질적 이익이 연관되지 않은 규제적 성격의 공공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책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규범적 프레임의 공공의 정서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결정과정에서 대중의 정책 아이디어와 정책결정자들의 아이디어, 선호의 상호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사적 이익에 비해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되던 정당성, 규범성 등 가치 변수의 영향을 재고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