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성인의 상용치료원 변화 영향요인 : 한국의료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홍진아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3866

        본 연구는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만18세 이상 한국성인을 대상으로 상용치료원 보유 현황과 상용치료원 변화추이 및 상용치료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이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전체 조사 대상자 중 2016년부터 2018년 동안 상용치료원 설문에 대답한 만18세 이상 한국성인 가운데 상용치료원을 보유하고 있는 최종 분석에 포함한 대상자 수는 총 2,484명이고, 병원 또는 종합병원에서 최종 의원급 상용치료원으로의 변화가 있었던 대상자는 30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상용치료원 변화 결정 요인은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패널로짓분석으로 상용치료원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였고,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의원급 상용치료원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상용치료원에 응답한 전체 대상자 9,943명 중 3년동안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대상자는 2,484명(25.0%)이고, 그 중 상용치료원 변화를 보인 대상자는 1,150명(46.3%)로 나타났다. 상용치료원 변화에 따른 대상자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 의료보장형태, 우울, 장애,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 경증질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원급 상용치료원으로의 전이확률은 67.7%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의원에서 의원으로 유지할 확률이 87.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치료원 변화 결정 요인은 연령, 우울인 경우 상용치료원 변화에 유의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원급 상용치료원으로의 변화 결정요인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 소득, 우울, 장애, 음주, 경증질환인 경우 의원급 상용치료원으로의 변화에 유의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성인의 상용치료원 보유 현황 및 상용치료원 변화를 확인하고, 상용치료원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의원급 상용치료원으로의 변화를 분석한 연구로서 상용치료원 보유자의 특성과 요구도를 충분히 고려한 상용치료원 선택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일차의료강화 및 적절한 회송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Purpose: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ing the Korean medical panel data from 2016 to 2018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sual source of care, trends in possession of usual source of care,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s in usual source of care for among Korean adults aged 18 and over. Method: Of the total survey subjects, 2,484 Korean adults who had usual source of care aged 18 years or older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at usual source of care from 2016 to 2018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re were 300 subjects who had changed to a usual source of ca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A 17.0 program, and the determinants of changes in usual source of care were identified by panel logit analysis using fixed effects model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usual source of care.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ambulatory care facilities level usual source of care were identified b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out of the 9,943 subjects who responded to usual source of care, 2,484(25.0%) had usual source of care for three years, of which 1,150(46.3%) had changes in usual source of ca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ubjec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nges in usual source of ca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identity, age, education level, medical coverage type, depression,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smoking and mild diseases. The probability of transfer to ambulatory care facilities level usual source of care was the highest at 67.7%, of which the probability of maintaining ambulatory care facilities to ambulatory care facilities was the highest at 87.5%. The determinants of the change in usual source of car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change in usual source of care in the case of depression as the age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determinants of the change in ambulatory care facilities level usual source of car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change to the ambulatory care facilities level usual source of care in the case of gender identity, age, economic activity, income, depression, disability, drinking and mild disease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status of possession of usual source of care and changes in usual source of care of Korean adults, and analyzes the changes in usual source of care and changes to ambulatory care facilities level usual source of care. It is intended to help the selection of a well-considered usual source of care, and furthermore,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primary healthcare institution and preparing appropriate return standards.

      • Consumers' preferences and willingness to pay towards organic food in Ecuador

        Tuquerrez, Grace Karina Catucuamb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3865

        The agricultural production in Ecuador in order to meet the consumers’ demand and due to the absence of promotion of other systems to produce, farmers has to boost up the use of fertilizers and pesticides. As a consequence of this, causing chemical residues on food which affects to one of the rights of food sovereignty that intends to provide quality, safe and nutritious food produced under sustainable systems. Nevertheless, organic farming is one alternative besides of provide food to contribute to soil conservation,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s that are affecting on Ecuadorian consumers’ preferences and as well their willingness to pay a different premium prices for organic food. It was used secondary data, surveyed by government officials in 23 of 24 provinces of Ecuador in 2017, having as a result of 3022 respondents. The data is being assessed by frequencie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educated consumers consider organic products are healthy, nutritious, environmentally friendly, certified and controlled under standards of regulation which increases their preferences to purchase it. Nevertheless, the household size and income are factors with less influence on consumers’ preferences. Furthermore,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from 1% to 10% on organic food because they trust on certification standards, are free of chemical residues, none contains transgenic, produced by small farmers and packaged on recyclable material. However there are consumers that shown less probability on willing to pay into this range, whom are in the age of 26 to 30 years old with income between $376 to $1000 dollars and consumers that belief the organic production does not use allowable agricultural inputs. Finally the willingness to pay in the range of 11% to 20% is by convinced consumers who were educated and strength their trustiness that organic food is certified and follow a strict management and periodic monitoring by accredited certifications bodies. In contrast for consumers in the age of 26 to 30 years old with 0 to 375 USD shown a less influence of willingness to pay into this range. To conclude the organic agriculture in Ecuador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through agricultural policies to promote, enhance and invest on it and educate the consumer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this model of production. 에콰도르 농업에서는 생산자 공급보다 소비자 수요가 많아 생산량을 증대시켜야 한다. 농산물 생산을 증대하기 위해 비료와 살충제의 사용을 증가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에 인해 농산물 화학 잔류물이 많아지고 지속 가능한 시스템 하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품질, 안전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농 농업이 토양 보존, 생물 다양성, 기후 변화에 기여할 수 있고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콰도르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유기농 식품의 지불 의욕에 대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에콰도르 정부에서 24개 주 중 23개 주에 대하여 설문한 2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는 총 3022명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수준이 높은 소비자는 유기농 식품이 더욱 건강하며, 영양가 있고, 친환경적이며, 이는 유기농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선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가구 규모와 소득은 유기농 식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농 식품에 대하여 1%~10%가격을 더 지불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유기농식품의 식품안전 인증 기준을 신뢰하고, 화학 잔류물질이 없고, GMO 식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재활용 식품 포장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있다. 또한 지불 의향이 없는 소비자는 주로 나이가 26세에서 30세이고, 수입은 376달러에서 1000달러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비자는 유기농 식품의 생산량이 적고, 생산을 하지 않는 것이 맞다고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11%~20% 범위에서 가격을 더 지불 할 의향 있는 소비자는 유기농 식품의 안정성이 국가 정부에 인증이 되어 신뢰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에 나이가 26세에서 30세이고, 소득이 0달러에서 375달러 사이인 소비자는 유기농 식품에 대한 더 지불 의향이 강하지 않게 나타났다. 에콰도르의 유기농 농업을 위하여 농업 정책을 통해 소비자의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유기농 식품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소비자의 식품 안전 인식 등을 강화해야 하며, 더 많은 소비자들이 유기농 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해야 한다.

      • 청년층의 고용보험 가입유형과 결정요인 연구

        한효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3863

        오늘날 청년층의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청년 실업률은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고 청년층 근로자의 비정규직 비중과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고용불안정에 대응하는 가장 일선의 제도로는 고용보험이 있다. 고용보험은 실업급여와 직업훈련 등을 통해 소득단절 및 고용불안정의 위험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청년층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률은 다른 근로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고용보험에 미가입한 청년 근로자는 고용불안정이라는 위험을 온전히 개인이 떠맡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청년층 고용보험의 사각지대를 파악하고 그 결정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은 직업탐색과 같은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노동시장 유연화 및 이중화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양상을 갖는다.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노동시장 진입 직후 5년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고용보험 가입유형을 구분하고, 이어서 유형별 고용안정성의 차이와 유형의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고용보험의 구조적 사각지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5차~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학력을 마치고 2009~2011년 사이 노동시장에 진입한 만 15~34세 청년 37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세 단계로 구성되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집단중심추세분석(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을 활용하여 고용보험 가입유형을 구분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크루스칼-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H test)을 통해 유형 간 고용안정성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는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고용보험 가입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였고 유형별 궤적을 시각화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은 분석기간 5년간 계속 가입상태를 유지하는 ‘가입유지형’, 계속 미가입상태를 유지하는 ‘미가입유지형’, 분석기간 초기에 무직 상태로 전환하는 ‘초기이직(離職)형’, 후기에 무직상태로 전환하는 ‘후기이직(離職)형’, 가입상태에서 이탈하였다가 다시 복귀하는‘가입복귀형’으로 나뉘었다. 둘째, 각 유형의 고용안정성 수준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형태, 근로소득, 사회안전망, 근속기간, 미취업기간 변수의 유형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용안정성 수준이 가장 높은 유형은 ‘가입유지형’이며 가장 낮은 유형은 ‘초기이직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자면, ‘미가입유지형’은 고용보험제도 적용상의 사각지대이며 ‘초기이직형’은 가장 고용이 불안정할 뿐 아니라 적용 및 수급요건의 사각지대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취약한 두 가지 유형을 중심으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셋째,‘미가입유지형’과 ‘초기이직형’의 결정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첫 일자리 요인, 고용안정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미가입유지형’의 분석 결과, 무엇보다 첫 일자리의 고용보험 가입여부가 비교집단 네 유형 중 ‘초기이직형’을 제외한 세 유형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첫 일자리에서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개인은 이후의 가입이력에서 ‘가입유지형’, ‘후기이직형’, ‘가입복귀형’에 속하기보다는 미가입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의 이중화된 노동시장을 반영하고 있다. 다음으로 ‘초기이직형’의 대표적인 결정요인으로는 성별, 첫 일자리의 고용형태, 평균 근속기간을 들 수 있다. 여성일 경우 근로상태를 유지하는 궤적을 보이는 ‘가입유지형’, ‘미가입유지형’보다 ‘초기이직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초기이직형’의 고용안정성 수준이 가장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노동시장 내 여성의 지위가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첫 일자리가 비정규직일 때, 평균 근속기간이 짧을 때‘초기이직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보험제도의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 가장 고용안정성이 높은 이들이 우선적으로 제도 내로 포함되고 가장 고용이 불안정한 집단이 제도 밖에 머무는 제도의 부정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용보험은 오늘날 청년층의 고용불안정에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가장 취약한 청년들을 포괄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둘째,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활성화를 통해 취약한 청년들의 안정적인 노동경력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 결과, 첫 일자리의 요인이 취약한 경우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에 속할 확률이 높아 분절된 노동시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용서비스 및 직업훈련 등을 통해 개인의 인적자본을 개발하고 노동의 상향이동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일 경우 분석기간 동안 계속 근로하기보다는 초기에 무직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가사 및 육아 등으로 인한 이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들이 경력단절 이후 비정규직 또는 저임금 일자리로 복귀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가정 양립정책의 활성화를 통해 여성의 안정적인 노동경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분절노동시장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첫 일자리 요인이 취약할 때 ‘미가입유지형’과 ‘초기이직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 이중화된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2차 노동시장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사회보장 강화뿐 아니라 중소기업 지원, 최저임금 향상, 비정형일자리 규제 등 다방면에서의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labor market insecurity on youth has been a huge societal problem. In Korea, Employment Insurance(EI) works in the first line against this employment insecurity. However,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 EI coverage rate on youth workers are relatively low which is 73.0% in 2017. The youth who are left behind the EI have to deal with insecurity by themselves.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young workers who are not covered by the EI and making policy suggestions to support their vulner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Therefore, this conducted three steps to find out the insured types of youth on EI and their determinants. First, it examined the types with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Second, this investigated the distinctiveness by the type with Kruskal-Wallis H test and Mann-Whitney test. Third, the study analyzed determinants of the vulnerable types vi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KoWePS), the 373 youth who are between the age of 15-34, finished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started their first work during 2009-2011 were selected as a target population and individual EI insured records were analyzed, which trace for five years after they entered into the labor mark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sured typ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nd the trajectory of every type was able to be visualized. The first type is ‘Continuous insured type’ which keeps insured status for five years of the whole observation period and the second type is ‘Continuous uninsured type’ which is exactly opposite from the first type. The third type is ‘Early out-of-work type’ that joblessness happens in the early part of the observation period, and ‘Late out-of-work type’is the fourth one that has joblessness in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The last and the fifth one is ‘Re-insured type’ displaying dynamic trajectory that had been out of EI coverage but re-enter into the insured status later on.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level of employment security which is composed of five variables which are employment status, labor income, EI status, length of continuous employment, length of out-of-work. As a result, the highest level of employment security was found in ‘Continuous insured type’ and the lowest in ‘Early out-of-work type’. To sum up the results above, ‘Continuous uninsured type’ and ‘Early out-of-work type’ are vulnerable among five types in that the former one is not covered by the EI, and the latter one experiences the biggest insecurity and is not likely to receive unemployment benefits from EI because of the short insured period. Therefore, only these two types were dealt in the latter part for examining determinant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ninsured type’ and ‘Early out-of-work type’. For the former type, when the youth are not insured in the first workplace of their job career, they are more likely to be uninsured for the whole observation period, which reflects dual labor market in Korea. For the latter type, three variables of gender, employment status in the first workplace, mean of length of continuous employment were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gender, compared to male, female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Early out-of-work type’ which is the most vulnerable in employment security. Moreover, when the first work is irregular and the length of continuous employment is short, it is more likely to belong to this type. Based on these results abov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I should meet the aim of itself which supports employment vulnerabilities. EI does not well cope with the insecurity in the Korean youth and needs to take action to cover the youth workers. Second, it is needed to support youth career experiences via ALMPs(Active Labor Market Policies) because it was found that the more vulnerable in the first workplace, they are more likely to be vulnerable in five years. Therefore, developing human capital and facilitating upward labor mobility should be supported by ALMPs. Third, more supports are needed for work and family reconcil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female are more likely to move to out-of-work early rather than keep working. Considering big motherhood penalty or family gap in Korea, reconciliation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in a more proactive way. For the last, the study could observe segmented labor market in Korea and, therefore, not only the suggestions above but other policy efforts should be taken to mitigate dual labor market in Korea as well. Various proactive action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econdary labor market and decrease the gap between two distinct markets, including supporting SMEs, raising minimum wage level, regulations on irregular workers, and so on.

      • 한국 중앙정부의 행정윤리 정책과 변화 : 유형과 예산규모를 중심으로

        김덕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3848

        Studies in administrative ethics have mainly focused on ethical behavior of public officials. However, this research maintains that administrative ethics is not identical to ethics of public officials. It has been indicated that administrative ethics has multifaceted traits so that an ethical public official in an organization may implements unethical public policy. Therefore, administrative ethics needs to include perspectives on the civil society and cover organizational, communal context. In this vein, this research raises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the contents of administrative ethics are organized?” Second, “What types of administrative ethics policy have been intended to be enhanced?” Third, “What are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budget size of the administrative ethics policy?” Fourth, “What factors affects the selection of the policy type?” To deal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ethical policies and the budget of each policy are collected. A budget proposal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has been used to collect the data between 1998 and 2019. Every policy which entailed budget could be found on the budget proposal. 1,704 administrative ethics policies are sorted out from these budget proposal. These policies are managed by 18 government ministries including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Supreme Court which are in charge of constituent policie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administrative ethics,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such as the Weberian bureaucracy model (WB),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 (NPA), the New Public Management (NPM), and the New Public Service (NPS) are introduced. These theories are reinterpreted as the WB type ethics, the NPA type ethics, the NPM type ethics, and the NPS type ethics. The WB type ethics policy is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ethics which stresses management of public officials’ moral behavior consistent with procedures controlled by rules and regulations. The NPM type is defined as an approach closely related to managing and controlling of efficiency. The NPA type is linked wit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 of an individual or a homogenous group. The NPS type underlines political rights of the people or a community. The total number of ethics policies has been drastically increased among Kim Dae-jung and Rho Moo-hyun administration, and the number maintained until Moon Jae-in administration. Kim Dae-jung administration had to manage aftermath of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Kim Dae-jung government needed to take steps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social minorities while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economy. Moreover, it was necessary to carry out democracy different from the former administration. This means that several types of administrative ethics policies must be enforced at the same time. In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e increase in administrative ethics policies became more prominent. The Roh Moo-hyun government tried to overcome authoritarianism, and on the other hand, it also introduced NPM reform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The WB type policy showed a gradual but steady increase, and the NPA type policies were decreasing and increasing repeatedly, but the overall trend was increasing. The NPM type policy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which can be seen as an effort to manage and control efficiency while emphasizing efficiency. The NPS type policy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but have decreased i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overall budget for administrative ethics policy has been on the rise for 22 year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is that the budget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 has greatly increased, but it has fallen sharply in 2009 and returned to the level of year 2003. Year 2009 was the time whe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submitted their last budget proposal. The compensation for victims related to human rights and democratization was active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but in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t has been reduced, thus the fact affected the overall budget size. I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 budget size gradually increased, and in Moon Jae-in administration it is rising to the level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in Roh Moo-hyn administration was that the budget size of the NPA type drastically increased and that the budget size of the NPM type also increased. The budget for the NPS type was gradually increasing. In order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budget size of administrative ethics that is related to the third research question, the factors of accountability, political factors, administrative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we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case of including the president's inaugural year and the case of not including it were both analyzed using the pooled OLS model and the fixed effect model, respectively. There were mixed results in both cases,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sign of the coefficient. The variables that have consistently meaningful effects were the president’s approval rating (-), the administrative factor (+), the political factor (+), and the economic factor (+). This implies that, in order to improve administrative ethics, various situational variables surrounding the policy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focusing on one variable. In order for the administrative ethics policy to be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hat the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possessed by the government should be sufficiently secured, and political checks are also important.   Fourth, the factors that make public officials choose different types rather than the WB type were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stics regression. The department budget most consistently made the government select a different type than the WB type. Furthermore, the larger the department budgets, the more the NPA type, the NPM type and the NPS type are selected. In other words, Among the types other than the WB type, the larger the budgets, the more tendency to focus on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with the less the budgets, the more the policy centered on the political rights of citizens and community. However, the larger the individual policy budget, there wa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hoosing the WB type than the NPM policy. In other words, when a large budget is put into ethics policies, it tends to stresses public officials ethical behavior that complies rules and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public officials in the ministries that is responsible for the policy increased, the WB type was more to be selected than the NPA type and the NPS typ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ntended to show that administrative ethics considering civil society can be a subject of research beyond public service ethics that mainly focuses on individual conduct. Second, this study discussed the administrative ethics, which had been studied at a philosophical and normative level, at a level of realistic policy. Third, the research tried to confirm how administrative ethics, which is important in public administration, changed in each period, by identifying administrative ethics not from a legal or institutional point of view, but from an individual policy perspective. Fourth, the analysis focused on the budget which could be regarded as an intention of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administrative ethics policy and the practical endeavor. Fifth, the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what the contents of accountability and obligation are. 본 논문은 행정윤리를 구성하는 내용이 무엇이고, 행정윤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는 어떠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노력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첫째, “행정윤리의 내용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둘째, “정책 수와 예산규모로 보았을 때 정부는 시기별로 어떠한 내용의 행정윤리를 제고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는가?”, 셋째, “행정윤리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산출을 행정윤리 정책으로 보았을 때 그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기존에 강조되어 왔던 공직자에 관한 윤리 외의 다른 행정윤리 정책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강조된 공직윤리가 반드시 행정윤리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견지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행정윤리의 초점을 공직윤리에 둔다면, 부패하지 않은 청렴한 공직자에 의해 수립·집행 되는 정책은 윤리적일 것이라는 다소 강한 가정을 하게 된다. 그러나 행정윤리는 다면적인 특징을 가지며, 조직 내에서 윤리적으로 평가받는 공직자가 반드시 윤리적인 정책을 집행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은 이미 지적된 바 있다. 국가의 권위와 공직의 정당성은 시민으로부터 기인하기 때문에 공직윤리의 위반은 시민의 신뢰를 저버린다는 점에서 공직윤리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과연 한국의 행정이 윤리적인 행정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공직자 개인의 윤리적인 행동 뿐만이 아니라 정부조직과 대시민의 관점에서 윤리적인 정부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행정윤리에 관한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행정이론을 적용하였다. 행정윤리는 행정에 관한 응용 규범윤리학으로 볼 수 있으므로, 행정이론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행정이론으로 베버형 관료제, 신행정론,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신공공서비스론이 고려되었다. 이 중에서 베버형 관료제는 공직자의 윤리적 행동에 초점을 두는 시각으로 정당한 절차를 강조하는 기존의 입장과 일치한다. 나머지 신행정론,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신공공서비스론은 헹정윤리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행정윤리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신행정론은 개인 또는 동질적 집단의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및 사회적 형평을 강조하는 입장이고, 신공공관리론은 효율성에 대한 통제와 관리에 중점을 두는 시각이며, 신공공서비스론은 공동체의 정치적 권리와 시민역량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을 정교화 하기 위하여 대상부문 차원과 대상행위자 차원으로 나누었다. 대상부문 차원은 개인·동질적 집단과 조직·공동체로 구성하였으며, 대상부문은 국가와 시민사회로 구성하였다. 각각 베버관료제형, 신행정론형, 신공공관리론형, 신공공서비스론형으로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의 행정윤리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을 행정윤리 정책으로 정의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정부가 실질적 집행의도를 가지고 예산을 투입하는 예산사업을 중심으로 1998년부터 2019년까지 행정윤리 정책의 수와 예산규모를 측정하였다. 예산사업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회에 제출하는 예산사업설명서를 바탕으로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예산이 투입되는 모든 사업 중에서 위에서 이론적으로 제시한 베버관료제형, 신행정론형, 신공공관리론형, 신공공서비스론형에 적합한 1,704개의 예산사업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결과 구성정책을 담당하는 부처에서 행정윤리 정책을 수립 및 집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998년부터 2019년까지 22년간의 전반적인 추세를 볼 때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증대된 행정윤리 정책 수가 현재까지 유사하게 이어져 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대중 정부는 한국 경제의 경쟁력을 제고하면서도 서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조치를 취해야 했으며, 전 정권과는 차원이 다른 민주주의를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이는 여러 유형의 행정윤리 정책을 동시에 집행해야 했음을 의미한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행정윤리 정책의 증가세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는 권위주의를 타파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한편으로는 행정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신공공관리론적 개혁도 함께 나타났다. 행정윤리 정책 유형별로 보았을 때 정책 수는 베버관료제형 행정윤리 정책은 완만하지만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고, 신행정론형 정책은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였나 전반적으로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신공공관리론적 행정윤리 정책은 노무현 정부 때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효율성을 강조하는 한편으로 효율성을 관리 및 통제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신공공서비스론적 개혁은 김대중 정부에서부터 꾸준히 증가하다가 이명박 정부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행정윤리 정책 예산규모는 전반적으로 22년간 증가 추세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노무현 정부에서 예산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명박 정부에서 예산을 작성한 2009년에 급격히 감소하여, 노무현 정부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다는 점이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인권과 민주화와 관련된 피해자 보상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 축소되었다는 부분이 전체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박근혜 정부에서 예산규모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문재인 정부에서 크게 증가하면서 노무현 정부 수준에 이르는 중에 있다. 유형별로 신행정론형 이 노무현 정부에서 크게 증가하였다는 특징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 때 신공공관리론형 윤리 정책의 예산규모 또한 증가했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신공공서비스론형 윤리 정책의 예산은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행정윤리 관련 정책 예산규모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책임성 요인, 정치적 요인, 행정적 요인,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대통령의 취임연도를 분석에 포함시킨 경우와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를 각각 합동 OLS 모형과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가지 경우에서 혼재된 결과가 나타났는데 계수의 부호가 바뀌는 경우는 없었다. 일관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책임성 요인인 대통령 지지율(-), 행정적 요인인 부처 공무원 수(+), 정치적 요인인 민주주의의 공고화 여부(+), 경제적 요인인 재정수지(+)였다. 이는 행정윤리의 제고를 위해서는 한 가지에 집중적 노력을 기울이기 보다는 정책을 둘러싼 여러 가지 상황적 변수를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행정윤리 정책이 수립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인력과 자원이 충분히 확보될 필요가 있으며, 정치적 견제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네 번째로 기존의 공직윤리에 초점을 둔 베버관료제형 행정윤리 정책에 비해 다른 행정윤리 정책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을 다항선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부처예산이 가장 일관되게 베버관료제형 보다 다른 유형을 선택하게 하였다. 그리고 계수로 확인했을 때 부처예산이 클수록 신공공관리론형, 신행정론형, 신공공서비스론형 순서로 선택하게 하였다. 즉 부처예산이 클수록 조직효율성에 대한 통제와 관리에 치중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부처예산이 적을수록 시민과 공동체의 정치적 권리에 중심을 둔 정책을 수립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별 정책예산이 클수록 신공공관리론형 정책보다는 베버관료제형 정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즉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여전히 공직윤리에 초점을 둔 정책을 선택한다는 의미가 된다. 한편, 정책을 담당하는 부처의 공무원 수가 많을수록 신공공관리론형과 신공공서비스론형에 비해 베버관료제형 정책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였다.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논의의 중심이 된 공직자 통제 중심의 행정윤리를 넘어서서 시민사회를 고려한 행정윤리 또한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둘째, 다소 철학적·규범적 수준에서 연구되어왔던 행정윤리를 현실 정책수준에서 확인하여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셋째, 행정윤리를 법적·제도적 관점이 아니라, 개별 정책적 관점에서 확인하여, 행정에서 중요시하고 있는 행정윤리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넷째, 예산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행정윤리 관련 정책에 관한 정부의 구체적인 의도와 실질적인 노력의 투입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기존의 책임성을 구성하는 설명책임과 의무 중 의무의 내용이 무엇인지 행정이론을 토대로 하여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 Identifying Distinct Sub-groups of English Reading Ability among Korean EFL 6th Graders and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English Learning Backgrounds Us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김은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3641

        Improving English language skills, including reading abilities, is significant concern and burden for young learner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disparity i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t an early age is a social issue that is closely related to income inequality within households. Overcoming such gaps in English proficiency among learners in schools poses a challenging task. Currently, it is repor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 proficiency between students who are new to English education in the third grade and students who have learned English early through private tutoring or other methods. Despite the heterogeneity in public education,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heterogeneity of groups based on empirical studies on this, and some studies on this have focused on screening underdevelope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eterogeneity of sixth graders of a Korean elementary school in the EFL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groups, and the learning background of learners who create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imarily deals with the English reading ability of sixth graders in South Korea study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pecifically, the study is interested in how the sixth graders are differentiated in their L2 reading ability, focusing on their L2 reading ability profiles and what soci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predict their L2 reading profiles. The present study formulated the following objectives:First, it aims to examine distinct sub groups of six-grade EFL learners based on their L2 reading profil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Second, it aims to draw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se distinct subgroups. Third, it also examines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L2 reading profiles and English learning backgrounds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598 6th graders from seven schools in mid-and low-income neighborhood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cross five regions. The study identified five constructs to measure students' L2-literacy components and reading comprehension structure: (1) L2 decoding, (2) L2 oral fluency, (3) L2 vocabulary knowledge, (4) L2 syntactic knowledge, and (5) L2 reading comprehension. Among these, L2 decoding aimed to measure learners' overall word reading ability and included two indicators: L2 non-word reading and L2 word reading. Consequently, a total of six indicators were established: L2 non-word reading, L2 word reading, L2 passage reading, L2 vocabulary knowledge, L2 grammar knowledge, and L2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yields various outcome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reading research. The student groups within real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were found to be divers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mpirically identified. Specifically, the study highlights the challenges faced by students with below-average English reading abilities. For highly skilled learners, reading fluency emerged as a crucial sub-skill, while poor readers exhibited inadequate decoding abilities, negatively impacting their overall reading proficiency. By examining significant predictors for each classified group, the study identifies specific areas on which students should focus to enhance their English achievement. Regarding experiences with English educa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early English education had limited influence on English proficiency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Rather, learning experiences during elementary school demonstrated more substantial outcomes compared to pre-formal English education experience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literacy experiences and the potential benefits of initiating reading instruction at a young age to foster optimal language development and reading skills. Additionally, the result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targeted learning at the beginning of public education, which offers a more cost-effective approach. EFL 학습자들에게 영어 언어 기술, 특히 읽기 능력의 향상은 중요한 관심사이며 부담이다. 특히, 어린 시절의 영어 언어 능력의 격차는 가정 내 소득 불평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나 학교에서 학습하는 학습자들 사이의 영어 능력 격차를 극복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현재, 3학년에서 영어 교육을 처음 받는 학생들과 학원이나 과외 등을 통해 일찍 영어를 배운 학생들 간에 언어 능력의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공립 교육에서의 학생들간 집단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경험적인 연구에 기반한 연구는 극히 적은 편이며 그 마저도 학습 부진아들의 선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외국어로서의 영어 환경에서의 그룹 간의 이질성 그리고 분류된 그룹의 특성 및 이러한 특성을 형성하는 학습자들의 학습 배경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주로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공부하는 한국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L2(제2 언어) 읽기 능력에 대해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6학년생들이 L2 읽기 능력에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특히 L2 읽기 능력 프로파일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고, 이러한 L2 읽기 프로파일과 사회적 교육적 배경이 어떤 예측 관계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L2 읽기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6학년 EFL 학습자들의 잠재적 그룹을 구분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잠재적 그룹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셋째, L2 읽기 프로파일과 영어 학습 배경 사이의 예측 관계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총 598명의 6학년 학생들이 중·저소득 지역에 위치한 7개 학교에서 선정되어 참가자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국 5개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특성을 대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제2언어(L2) 문해 능력 요소와 읽기 이해 구조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1) L2 해독력, (2) L2 구어 유창성, (3) L2 어휘 지식, (4) L2 구문 지식, 그리고 (5) L2 읽기 이해력. 이 중 L2 해독력은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단어 해독 능력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L2 비단어 읽기와 L2 단어 읽기 두 가지 지표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L2 비단어 읽기, L2 단어 읽기, L2 지문 읽기, L2 어휘 지식, L2 문법 지식, 그리고 L2 읽기 이해력의 총 여섯 가지 지표가 설정되었다. 본 연구는 EFL 독해 연구에 다양한 결과와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첫째 실제 한국 초등학교 교실 내 학생 그룹은 다양성을 나타내며, 그 특성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어 읽기 능력이 평균 이하인 학생들이 직면하는 어려움과 그에 대한 유형과 읽기 세부기술에 관한 프로파일 패턴을 파악하였다. 높은 능력을 갖춘 학습자들에게는 읽기 유창성이 중요한 하위 기술로 부각되었으며, 반면 가장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결핍된 해독 능력이 전반적인 읽기 세부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 요인을 검토함으로써, 학생들이 영어 읽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집중해야 할 구체적인 영역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의 영어 교육 경험과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 결과, 초등학교 상급 학년에서 초기 영어 교육은 영어 능력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초등학교 시기의 학습 경험은 사전 형식의 영어 교육 경험과 비교하여 더욱 실질적인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외국어의 읽기 능력 향상이 발달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에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입증하며 가정에서의 영어 읽기 교육을 위한 지원도 중요한 요소임을 입증하였다.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Preferences for Rice: Locally Produced versus the Imported in the Ga East Municipality of the Greater Accra Region of Ghana

        이렌키 엠마뉴엘 아마노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3626

        Rice is an important staple cereal for many households in Ghana and per capita consumption has shown steady increase over the period. The per capita consumption between 1985 and 2015 is estimated to have increased from 12.7 kg/year to 32 kg/year (SRID, MOFA, 2015). Increased consumption of rice has been linked to rapid urbanization and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Both locally produced and imported rice are sold on the same market in rural and urban areas. Consumers want the choices of food commodities that their levels of income, lifestyles, and media exposure make them aware and possible. Preferences of consumers are not static but rather dynamic. Consumers’ preference keep changing. In light of these, this study therefore specifically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preference for rice: the locally produced versus the imported, in the Ga East Municipal, Greater Accra Region, Ghana. Well-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terview 300 rice consumers who were sampled across the municipality. Descriptive statistics was employed to analyz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consumer knowledge and also buying behavior of consumers. Factor analysis is used for dimensionality reduction to extract the factors (quality attributes) that influence consumers buying decisions in buying ric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socio-economic factors and also factor attributes from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buying decisions and preferences for rice. From the study results, three (3) groups of respondents who consume rice showed up: those who consumed only local rice, those who consumed only imported rice and those who consumed both combinations of local and imported rice. Also, age, marital status, level of income as well as level of education of respondents were the major socio-economic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umers’ preference for rice. Again, rice related attributes that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preference for rice were packaging quality, swelling capacity, stickiness of grains after cooking, percent brokenness of grains, availability on the market, price and degree of whiteness. Similarly, other attributes such as texture, cleanness from foreign material and tast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preference for rice. Categorically looking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these factors indeed shows their influence on decision making and preference for rice in the municipality. There must be a need therefore for stakeholders to bring to bear improvement in the area of local rice production and also along the rice post-harvest chain. The beneficiaries will be local rice producers as well as rice consumers in the municipality and region at large. 쌀은 가나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주식이다. 1인당 쌀 소비량은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가나인의 1인당 쌀 소비량은 1985년부터 2015년 사이에 12.7kg/year에서 32kg/year로 증가했다(SRID, MOFA, 2015). 쌀 소비량 증가는 급격한 도시화와 식품 소비 패턴의 변화와 관계가 깊다. 국내에서 생산된 쌀과 수입된 쌀은 모두 시골과 도시의 동일한 시장에서 판매가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그들의 소득, 생활양식 그리고 미디어 정보에 따라 알려져 있고 구입 가능한 식품의 선택권을 가질 수 있길 원한다. 소비자의 선호도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런 배경 하에 특별히 쌀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했다: 가나의 아크라 광역 지역의 Ga East 지자체에서 현지 생산된 쌀과 수입된 쌀의 비교. 잘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지방 자치 단체에서 표본 조사하여 선정된 300 명의 쌀 소비자를 인터뷰했다. 소비자의 사회 경제적 특성, 소비자의 지식 및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 통계학이 사용되었다. 쌀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품질 속성)을 식별하기 위한 차원 축소를 위해 요인 분석이 사용되었다. 사회 경제적 요인과 쌀 관련 속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항식 기호 논리학 회귀 모형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소비자의 쌀 구매 결정과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 쌀을 소비하는 응답자가 세 그룹으로 나타났는데, 그 세 그룹은 현지 쌀만 소비하는 사람, 수입 쌀만 소비하는 사람, 현지 쌀과 수입 쌀을 함께 사용하는 사람이다. 또한 응답자의 연령, 결혼 여부, 소득 수준 및 교육 수준은 쌀 소비자의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 경제적 요인이었다. 또한, 쌀의 소비자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쌀 관련 속성은 포장 품질, 팽창 능력, 요리 후 곡물의 점착성, 곡물 파손률, 시장 가용성, 가격 및 백색의 수준이었다. 이와 유사하게, 질감, 이물질로부터 청결함 및 맛과 같은 다른 특성도 쌀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요인들의 중요성 수준을 범주별로 살펴보면, 실제로 지방 자치 단체의 쌀에 대한 의사 결정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해 관계자들이 현지 쌀 생산 분야와 쌀 수확 이후 과정에 개선을 가져와야 할 필요가 있다. 수혜자는 지자체와 광역 지역에 있는 쌀 소비자뿐만 아니라 현지 쌀 생산자가 될 것이다.

      • 노인의 나눔행동 선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다양한 자본 유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홍달성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3625

        인구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 노인은 사회기여 분야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사회기여 분야의 대표적인 활동인 나눔행동에 대한 노인의 참여는 다른 연령집단 못지않게 왕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연령별 개인 기부 총량 추계에서 노인집단의 기부 총액이 가장 많았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하지만 노인의 나눔행동에 주목하여 진행한 국내의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나눔행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노인의 나눔행동 선택에 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학문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노인을 우리 사회의 기여부문에 있어서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노인집단이 갖는 특수성을 이해하는 것을 돕고자 한다. 또한 노인의 나눔행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다양한 자본 유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살펴봄을 통해 노인의 나눔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서울시에서 매년 실시하는 ‘2018 서울서베이’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가구원용 설문에 응답한 총 42,991명의 응답자 중 60세 이상 노인 12,476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모형에 있어서 종속변수는 총 네 가지 범주형 변수(나눔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 기부만 참여하는 집단, 자원봉사활동만 참여하는 집단, 기부와 자원봉사활동 모두 참여하는 집단)로 구분되므로, 각각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 있어서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나눔행동 선택 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우선 나눔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7,675명(61.5%), 기부에만 참여하는 경우가 3,769명(30.2%), 자원봉사활동에만 참여하는 경우가 242명(1.94%), 기부와 자원봉사활동에 모두 참여하는 경우가 789명(6.3%)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눔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각각의 집단을 비교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준거집단에 비해 기부만 참여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경제적 자본(+), 인적자본(+), 문화적 자본(+), 심리적 자본[행복지수(+)], 연령(+), 개인의 정치적 성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에만 참여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경제적 자본(+), 사회적 자본[신뢰(+), 공정성(+)], 문화적 자본[문화시설 방문횟수(+), 종교유무(+)], 배우자 유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부와 자원봉사활동에 모두 참여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경제적 자본(+),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신뢰(+)], 문화적 자본(+), 성별(+),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나눔행동 선택에 대한 자본 유형의 영향력을 보다 포괄적으로 확인하여 학문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 기존의 해외연구 결과 및 국내연구 결과와의 차이를 통해 나눔행동 참여에 대한 국내 노인이 갖는 특수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점, 노인의 나눔행동 연구에 있어서 자원봉사활동에 치중되었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후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나눔행동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된 경제적 자본, 문화적 자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주관적 성향 요인들을 고려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계획을 세울 필요성을 강조했다. With the issue of aging populations troubling societies around the world, elderly individuals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esource in philanthropic activities. In fact, when it comes to engaging in philanthropic activities giving back to one’s society, participation levels among the elderly are much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age group. According to a report from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the greatest amount of total estimated personal donations in 2017 came from elderly communities. Despite this important role of the elderly in philanthropic activities, there is still a lack of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such acts by this social group. This study, as an extension of research on philanthropic activities among the elderly, aims to provide academic basic data on the impact of affecting the decision of individuals to engage in different philanthropic activities and give back to their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demonstrate the elderly population is an important source of philanthropic activities, but also indicat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s age group in the Republic of Korea. Furthermore, by exploring from various capitalist perspectives that impact the decis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to give back to their society, this study provides crucial, fundamental data for promoting such actions among this population gro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from the annual Seoul Survey, from the year 2018. From the 42,991 total household memb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experimental group was narrowed down to 12,476 elderly individuals aged 60 or older. As for the research model,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e study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no philanthropic activities, philanthropic activities through donations only, philanthropic activities through volunteer work only, and philanthropic activities through both donations and volunteer work. For each of these variable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reviewing the distribution of philanthropic activities by type, 7,675 individuals (61.5%) did not engage in any philanthropic activities, 3,769 (30.2%) in donations, 242 (1.94%) in volunteer work, and 789 (6.3%) in both donations and volunteer work. Second, using the group that did not engage in any philanthropic activities as the reference group,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s was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economic capital (+), human capital (+), cultural capital (+), psychological capital [happiness index (+)], age (+), and political party affiliation (+) were the distinct variables that significantlyimpacted one’s probability of being part of the group that engaged in donations. Next, economic capital (+), social capital [trust (+), fairness (+)], cultural capital [number of times having visited cultural facilities (+), religiousness (+)], marital status (-), were the distinct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mpacted one’s probability of being part of the group that engaged in volunteer work. Finally, economic capital (+), human capital (+), social capital [trust (+)], cultural capital (+), gender (+), and attitude toward vulnerable or disadvantaged groups in society (+) were the distinct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mpacted one’s probability of being part of the group that engaged in both donations and volunteer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academic basic data comprehensively identifying the impact of various types of capital in the engagement of the elderly in philanthropic activities, outl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s elderly population in the philanthropic activities by comparing differences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overseas other domestic studies, and supplement existing studies on the engagement of the elderly in philanthropic activities, which were mainly focused on volunteer work.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need to design more structured and future studies to consider in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sociodemographic factors, subjective preferences, and other factors that have been shown to impact the engagement of the elderly in social contribution.

      • 서울시 저층주거지 내 주택개량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주택소유자의 소유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3624

        2010년 전후로 주거지의 전면철거 및 재개발방식에 대한 문제의식과 그에 대한 대안으로 점진적인 주거환경정비방식이 제도화되고 시행된 지 어느덧 10년이 흘러가고 있다. 여전히 서울에는 재개발을 통한 고층 아파트단지가 계속 들어서고 있고, 단독주택 위주의 저층주거지는 급격한 노후화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기존 저층주거지 개선을 위한 사업에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서 점진적인 주거환경정비방식이 아직 아파트단지 재개발 위주의 장비방식을 대체하기에는 이르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진적인 주거환경정비과정에서의 효율적인 개량 유도를 위해 민간 입장에서 주택의 개량을 결정지을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하는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주택의 개량은 필지 단위에서 개인의 선택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주택소유자의 관점에서 개량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국내에서는 주택개량과 관련된 연구가 적었고, 특히 주택소유자의 관점에서 주택개량을 살펴본 연구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해당 관점에서의 여러 요인을 재해석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은 통계적인 방법인 ANOVA, 카이제곱검정, 그리고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이다. 연구의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 주택 관련 이론과 국내·외 선행연구, 그리고 연구의 대상이 될 주거환경관리사업의 개념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3장에서 전체적인 분석의 틀과 연구 가설을 형성하였고, 틀에 따라 분석에 사용할 방법론과 자료를 구축하였다. 소유자 특성, 필지 특성, 주택 특성, 지역 특성, 그리고 도시계획 특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변수를 구축하였다. 4장에서는 ANOVA와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개량유형별 소유자 특성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다항로짓모형을 통해 주택개량의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함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NOVA 분석 결과, 개량이 발생하지 않은 주택의 필지와 비교했을 때 신축과 증·개축 이하의 개량행위가 발생한 필지 모두 주택소유자의 평균 나이가 적었고, 평균 소유기간은 짧았다. 이후 주택의 개량유형별 주택소유자의 실거주 여부의 분포의 차이를 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진행하였는데, 분석 결과 분포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주택소유자를 실거주자와 비거주자로 구분한 후, 각각에 대해 다항로짓모형을 적용하여 주택개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실거주자 집단에서는 개량을 하지 않을 확률 대비 신축을 선택할 확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이(-), 소유기간(-), 필지 형상, 보정된 지가상승비율(+), 개량이전 주택유형, 지역노후도(-)로 나타났다. 반면, 개량을 하지 않을 확률 대비 증·개축 이하를 선택할 확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필지 형상, 보정된 지가상승비율(+), 주택 노후도(-), 그리고 지역 노후도(-)이다. 비거주자 집단에서는 미변화 대비 신축을 선택할 확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택소유자의 소유기간(-), 필지 형상, 보정된 지가상승비율(+), 지역 노후도(-), 용도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변화 대비 증·개축 이하를 선택할 확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택소유자의 나이(-), 필지 면적(-), 보정된 지가상승비율(+), 지역 노후도(-)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주택소유자의 실거주 여부별로 각각 각각 주택의 신축이나 개량을 선탁할 확률에 작용하는 요인이 달랐고, 공통으로 작용하는 요인의 경우 그 크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주택의 정비방식에 있어서 종전의 철거재개발방식의 대안으로 대두된 점진적인 주거환경정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본 연구는 정비사업의 민간부문에서 핵심이 되는 주택개량에 대한 실증연구로서, 그리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의 주택개량 관련 연구가 소유자 관점에서 논의되었던 적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둘째, 주택의 소유자 유형별로 주택개량의 결정요인이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밝혀내고 정량화 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 주택소유자의 주택개량 행태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주택개량의 주체로서 주민을 바라보고 세부적인 관점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주택개량 관련 연구에서 다각도로 접근하고자 하는 시범적 연구로서, 주택개량 관련 후속 연구를 진행할 때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주택소유자의 주택 소유 유형에 따른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반영하여, 추후 주거환경관리사업에서 주민의 자발적인 주택개량을 유도하는 정책 수립 시 참고할 만한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lmos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ystem of gradual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institutionalized and implem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complete demolition and redevelopment of residential areas in South Korea. Despite the efforts, there are still numerous amount of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being newly constructed, whereas low-rise housings areas that were formed around a similar time are now facing deterioration at the same time.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 has been putting in a considerable amount of budget in low-rise housing regeneration programs to promote individual housing improvements, but its effect is being questioned nowadays. Some suggest that in Korea, which had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than other countries, gradual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is not yet an efficient way of restoring housing services compared to high-rise apartment reconstructions. Nevertheless,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determine housing improvement in the scope of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induce efficient housing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progressive residential environment maintenance. This study began with a problem-conscious mind against this background. What factors affect the choice of individual housing improvement? With some literature review to develop the question into a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few studies in Korea that examined housing impr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housing owners. Thus,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several factors affecting housing improvement choices from the perspectiv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to achieve such objectives are statistical methods of ANOVA, chi-square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ogres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In chapter 2, a literature review was done regarding housing theori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In chapter 3, the overall frame of analysis and research hypothesis derive from the literature review were formed. and the methodology and data to be used for the analysis we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The variables include homeowner characteristics, parcel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neighbor characteristics, and urban planning regulation characteristics. In chapter 4, the difference of homeowner characteristics by improvement type was verified through ANOVA and chi-square test. Also, factors affecting housing improvement have been identified wit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chapter 5, the research conclusion was made by discuss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ay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the ANOVA, the average age of homeowners of both newly constructed home and repaired home were lower than that of homeowners with no change.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verifi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distribution between occupancy status and improvement types. For further analysis, homeowners were divided by occupancy type – owner-occupied or absentee-occupi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applied to each group in order to apprehend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 improvement. As a result,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choosing new construction among owner-occupiers were age(-), period of occupancy(-), parcel form, adjusted land price increase rate(+), housing type before improvement, and regional level of deterioration(-). On the other hand,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choosing partial repair among the same group were parcel form, adjusted land price increase rate(+), house deterioration(-), and regional level of deterioration(-).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choosing new construction among absent-occupiers were period of ownership(-), parcel form, adjusted land price increase rate(+), regional level of deterioration(-), and zoning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choosing partial repair were age(-), parcel area(-), adjusted land price increase rate(+), and regional level of deterioration(+). To sum up, factors affecting new construction or partial repair were different between the owner-occupier group and absent-occupier group, factors in common had different degree of influence. Interpret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ior studies in that there are few studies regarding housing improvement in Korea. As discussed above, it is necessary to have a multifaceted approach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housing improvement at this time.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e different factors affecting housing improvement by home occupancy type and quantified the magnitude of each influence. The discussed results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homeowners and tried to explain the factors in accordance. Until now, there were few studies discussing housing impr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omeowners. This study is a demonstrative one trying to approach from various perspectives regarding housing improvement, and the study may be utilized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es regarding the topic. This study also increased the comprehension of the determinants affecting housing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occupancy status of homeowners. The results will enable future applications in establishing housing policies that aim to induce individual housing improvements in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 areas.

      •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preference for rice in the North West Region of Cameroon

        BOBAH Brillant SISANG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3613

        Cameroon is a rice import dependent country, fueled by population and urbanization growth. As agricultures becomes more market–oriented so too are consumers’ preference changing. Therefore,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preference for rice in Cameroon with a case study of Mezam and Ngoketunjia Divisions of the North West Regions. With the used of well-structured questionnaires, 300 rice consumers were sampled across the major market areas of the division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socio-economics factors the influence consumer behavior or preference while factor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were used to identify the rice quality or market attributes that had an influence on consumers’ decisions. The study revealed that rice consumers were in three categories, those who ate only local rice, and those who ate only imported rice and a category for those who ate both combinations of local and imported rice. The major socio-economic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consumers’ preference were income level, educational levels and working status of rice household consumers. The rice quality or market related attributes with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preference were taste, aroma, texture and degree of whiteness of the grains after milling. Market attributes like origin and availability of rice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which influences consumer preference. Grouping these factors into two groups identifies the production or rice quality factors to have a general significant influence on rice consumption in the region. There is therefore need to improve on the production and post-harvest chain. This will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competiveness of local rice in the Region. 카메룬은 인구증가와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쌀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가이다. 농업이 시장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호 역시 달라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특히 카메룬에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Mezam와 Ngoketunjia Divisions of the North West Regions라는 사례연구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주요 시장 지역들에 걸쳐 300명의 쌀 소비자들을 조사하였다. 사회 경제적 요소들, 유도된 소비자 행동이나 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항식 기호 논리학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쌀의 질이나 시장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쌀 소비자들이 3가지 부류로 나타나는 것을 보인다. 첫 번째는, 오직 지역 쌀만 먹는 소비자부류, 두 번째는 오직 수입된 쌀만 먹는 소비자부류 그리고 세 번째는 지역 쌀과 수입 쌀을 먹는 소비자부류이다. 소비자 선호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경제적 요소는 가계 쌀 소비자의 소득 수준, 교육 수준, 직업 지위였다.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쌀의 질은 맛, 향, 질감, 제분한 후 낟알의 흰 정도였고, 시장 속성에 관해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쌀의 출처와 구입 가능성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2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때, 생산성과 쌀의 질에 관한 차원은 카메룬의 쌀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과 가치사슬에 대한 향상이 필요하다. 이것은 카메룬의 지역 쌀의 경쟁력과 질을 크게 높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