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nhancing complementarity between the IFIs and the regional initiatives for tax reform : with a particular reference to African and Latin American context

        조서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879

        The significance of effective taxation has grown for developing countries in times of global economic downturn, as it not only facilitates capacity building of the state, but also enables stable domestic resource mobilization. Nevertheless, the lack of capacity in carrying out adequate reform in taxation by developing countries themselves calls for external assistance. Among multilateral agencies supporting tax reform,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FIs) have long been known to lead waves of structural reform through expertise and market-oriented policies. At the same time, more recently, together with the growing influence exerted by emerging economies of the South amidst actors of development cooperation, regional tax initiativ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South-South and triangular cooperation have also been contributing to assisting reforms of tax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by promoting practices reflecting the aspect of knowledge sharing and mutual assistance. Hence, based on the theory of framing and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this paper has attempted to seek how the two salient multilateral frames under the discourse of supporting tax reform, represented by the IFIs and the regional tax bodies of Africa and Latin America, can complement each other for enhanced effectiveness in assistance, preventing unnecessary contestation and fragmentation. Having analyzed according to the main functions of tax reform assistance which are knowledge transfer and implementation, in general it is found that the pattern of assistance by the IFIs consisted in providing high-cost technical expertise, whereas the regional initiatives had tendency to concentrate on sharing knowledge and experience among member countries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low-cost. While less complementarity between the frames was shown in terms of knowledge transfer due to similar activities promoting regional partnership and capacity building, more complementarity was found concerning the implementing aspect of tax reform, attributing to the difference resulting from the IFIs’ standardized assistance and diversified assistance by the regional institutions. Consequently, in order to induce more effectiveness in assisting tax reform,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 two frames to enhance complementarity as well as development of platforms encompassing actors at both international and regional levels for promoting cooperation in resolving tax-related issues can be suggested.

      • 한국의 이중노동시장과 복지·생산제도들의 이중 동형화

        박성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617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적 특성에 기인한 분절노동시장 논의를 자본주의 다양성 논의와 함께 확장하여, 단일 국가 내에 복수의 제도적 조정성향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중으로 존재하는 제도적 동형화 수준을 고려한 실효적인 정책 결정의 지평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는 대기업 및 정규직 고용을 중심으로 형성된 제도가 주변부를 포괄하지 않음으로 인해 나타난 ‘이중구조의 암묵적 제도화’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을 기업규모와 고용형태 기준 20개로 분리한 뒤 이를 노동자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 과정은 국가비교연구에서의 분석틀을 우리나라 단일 국가에 적용하기 위한 과정으로,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20개의 노동자 집단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제도 조정점수와 제도적 동형화 지수를 측정하였다. 이후 측정값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단일 국가 내에 조정성향이 어떻게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사관계제도, 근로자관련제도, 사회보장제도 각각의 영역에서 모두 분절구조가 나타났다. 노사관계제도는 ‘대규모기업 정규직과 그 나머지’로, 근로자관련제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사회보장제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소규모기업 비정규직’으로 군집하여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① 대규모기업 정규직, ② 중·소규모기업 정규직 ③ 대·중규모기업 비정규직 ④ 소규모기업 비정규직 등 4개의 분절구조가 나타났다. 정규직 내에서도 기업규모가 작으면 비정규직과 동일한 군집을 형성하거나, 비정규직 내에서도 기업규모가 큰 경우 정규직에, 작은 경우 더욱 구분되는 군집을 형성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고전적 이중노동시장론과 현대적 이중노동시장론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규직 집단에서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비정규직 집단에서는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제도적 동형화의 정도가 상승하는 ‘이중 동형화’가 확인되었다. 상대적 관점에서는 우리나라를 이루고 있는 생산제도·복지제도는 대규모기업 정규직에게 가장 높은 친화성을 갖고 있고, 소규모기업 비정규직에게 가장 잘 배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절대적 관점에서는 동형화의 정도 자체가 중간수준에 형성되어, 시장적 조정이나 비시장적 조정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모호한 조정성향(mixed)을 확인하였다. 정책적 제언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모호한 조정에 속하는 국가의 경우, 세분화된 계층 간 연대에 따른 계급갈등이 주된 특징으로 묘사된다. 따라서 각 제도 영역에서 기업과 고용형태를 초월하는 노동조합, 연대임금 및 임금평준화, 권리적 측면에서 접근한 사회보험 전폭적 가입확대 조정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생산체제론, 복지체제론 등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다양성 논의의 이론적 틀에 이중구조 논의를 결합하는 형태로 시도되었다. 이는 이중구조에서 기인하는 ‘평균과 대표성의 함정’을 극복하고, 일국의 분절된 노동시장 각각을 자본주의 국가 비교연구의 틀에 활용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ands the discussion of the segmented labor market due to the du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bor market along with the discussion of Varieties of Capitalism, revealing that multiple institutional coordinations exist within a single country. This aims to find an effective policy decisions considering the dualized institutional coherence that exists. The labor market dualization of Korea can be defined as a process of "implicit institutional dualism" caused by the institutions formed only around large firms and full-time employment not covering the other areas. For analysis, the labor market in Korea was divided into 20 categories based on the size of the firm and the type of employment. This process was designed to apply the framework of the comparative research to a single country,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Later,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alyzing how coordination tendencies are forming clusters. First, segmentation structures appeared in each institutional area. The Labor Relationship was "regular workers and the rest of them," the Employment was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d the Social Security was "regular workers, non-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t small firms." In total, four segment structures were found, including regular workers at large firms, regular workers at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rregular workers at large and medium-sized firms, and irregular workers at small and medium-sized firms. Second, "dualized institutional coherence" was confirmed, in which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rm in the regular workers group, the smaller the size of the firm in the non-regular workers group, the higher the degree of institutional coherence. From a relative perspectiv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institutions and welfare institutions in Korea have the highest affinity for regular workers at large firms and are best excluded from non-regular workers at small firms. From an absolute perspective, the degree of institutional coherence itself was formed at an ambiguous mixed-coordination. For countries belonging to ambiguous and mixed coordination, class conflicts are described as the main characteristic. Consequently, coordination that transcend firms and employment types are required. union membership, which covers even workers of special employment types, beyond-business solidarity wages and wage equalization, and full coverage based social insurance support are suggested. This study was attempted in the form of combining labor market dualization discussions in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Varieties of Capitalism discussions. This is meaningful that it overcame the "traps of average and representation" resulting from the dualized labor market and presented the basis for using each fragmented labor markets in a comparative study framework of capitalism

      • An Empirical Study on the Expansion of Varieties of Capitalism : The Role of State in Economic growth and Innovation

        김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84

        The state promotes particular industries and distributes resources for economic growth and innovation through various means. Many states have implemented national economic policies or even intervened directly in the market to achieve policy goals. This trend is especially pronounced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development of existing capitalist structures has been poor and long-term relationships have not been establish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tate market interventions on economic growth and innovation, this study adopts the framework of the Varieties of Capitalism (VoC) by Hall & Soskice (2001). VoC has broadened prevalent perceptions of market mechanisms, despite criticism that it underestimates the role of the state. Although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r the role of the state within the VoC framework, there have been few quantitative analyses of macroeconomic indicators within the expanded VoC framework. Therefore, the first section of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state-permeated capitalism and captures the dynamics of factors constituting VoC based on recent data. The clustering results for indicators of state involvement in the market clearly show that there is a third type of market economy influenced by the stat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tate-permeated Market Economy (SME). An analysis of dynamic stability confirmed that market interventions by the state noticeably increase in certain periods, such as global economic crises, even in the developed countries or liberalized market economies. In the expanded framework of VoC, state involve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long-term economic growth, and it creates synergy when combined with corporate governance or labor relations, even in developed count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two factors (corporate governance and labor protection) is positive and significant in the long term, contrary to prior studies, such as Hall & Soskice (2001). In the next section, various indicators of innovation are consider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in the long term in the expanded framework of VoC. Hall & Soskice’s (2001) claims provide a background for explaining the institutional benefits of specific types of innovation.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their claims, but the issue remains controversial because the definition of radical innovation is unclear and the topic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us, a comprehensive review is conducted of various indicators presented in previous research for radical innovation. Patent analysis (from the invention perspective) and trade analysis (from the production perspective) are conducted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The assump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technology field and industry correspon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type of innovation is also scrutinized. The results of patent analysis support Hall & Soskice’s (2001) claims, while those of trade analysis show conflicting results. The state involvement in the market is generally shown to have a negatively significant on innovation. Moreover, these findings clearly show that unlike neo-liberalism, various capitalist systems have their own advantages for innovation and could contribute to each country’s innovation strategy. Consequently,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and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government’s dilemma”—a concept previously articulated in the literature, according to which government-centered economic or political centralization is effective on economic growth but has a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are expected to overcome the existing criticism of Hall & Soskice’s (2001) and propose a new framework to reflect the real economy, but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state’s role in advancing two national goals: economic growth and innovation. 오늘 날, 국가는 경제성장과 혁신을 위해 특정 산업을 육성하거나 자원을 분배하는 등 다양한 수단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은 공공재와 같은 성격을 갖기 때문에 보조금이나 세제혜택으로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창출하여 시장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정책적 노력에 대한 분석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제도적인 차원에서 국가가 보다 강력하게 산업정책을 추진하며 경제성장과 혁신을 도모하는 경우에 대한 포괄적인 시장 환경 비교 분석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장과 혁신을 모두 포함하는 경제 제도(자본주의 유형)의 틀에서 본 국가 비교 연구를 통해 국가의 시장 개입이 경제성장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2001년 제안된 Hall & Soskice의 자본주의 다양성론은 기존 신자유주의 중심의 경제 인식에서 벗어나 시장을 이해하는 폭을 넓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장경제체계에서 국가의 역할이 과소평가 되었다는 비판이 존재하며 서구 선진국을 대상으로 한 정적인 이론이라는 지적 역시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다. 현실경제에서는 시장에 미치는 국가의 영향력이 클 뿐만 아니라 오늘 날에도 여러 국가에서 국가 주도의 경제∙혁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기존 자본주의 구조적 제도 발달이 미흡하고 자본가와 노동가 사이의 장기적인 관계가 구축되지 못한 개발도상국의 경우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존 자본주의 다양성론의 이분법적 구조, 즉 시장중심 자본주의와 조정중심 자본주의의 구조를 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현실 경제 내에 존재하는 국가를 기업과 노동자에 이어 또 하나의 참여자로 상정하고 틀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국가의 시장개입과 관련한 사회경제 지표를 포함한 군집분석에서 실제 자본주의 유형이 기존 이분 구조에서 어떻게 분화하는지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OECD와 BRIC(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을 포함한 29개국의 지표에서 기존 시장중심 자본주의와 조정중심 자본주의 뿐 아니라 제 3의 유형인 국가중심 자본주의(State-permeated Market Economy)의 유형이 분명하게 포착되었다. 더불어, 동적 안정성 검증과정에서 개별 국가의 제도적 변화가 자본주의 유형의 변화로 이어짐을 확인함과 동시에 글로벌 경제위기와 같은 외생적 요인이 발생할 경우 경제선진국, 심지어 시장중심 자본주의 유형의 국가에서도 국가의 시장개입이 눈에 띄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국가의 시장개입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뚜렷하게 유의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1인당 국민소득이 낮은 국가 뿐만 아니라 경제 선진국에서도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냈기에 국가의 역할이 경제성장의 과도기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자본 유동성과 노동보호, 국가의 시장개입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본주의 유형에서 노동보호는 경제성장과 비선형적 관계 (역-U자형)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노동보호가 경제성장에 매우 중요하지만, 과도한 노동보호가 복지 부담 혹은 기업의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여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Hall & Soskice (2001)의 혁신 주장에서는 시장중심 자본주의 환경은 급진적 혁신 (Radical innovation)에, 조정중심 자본주의 환경은 점진적 혁신 (Incremental innovation)에 비교 우위를 갖는다고 주장한 바 있다. 국가의 시장 개입 지표까지 고려할 경우, 국가 중심 자본주의 유형이 비교우위를 갖는 혁신 유형에 대해 확인하고 국가의 시장 개입이 궁극적으로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다양한 혁신 지표를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급진적 혁신의 의미에 대해 비교 검토한 결과, 발명 관점의 혁신 지표인 특허 분석과 생산 관점의 혁신 지표인 무역 분석에서의 결과가 상이했으며, 어떠한 지표로 혁신을 대리하느냐에 따라 기존 주장에 대한 검증 결과 역시 달라짐을 확인했다. 특허의 질적 지표를 활용한 분석에서 대체적으로 Hall & Soskice (2001)의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무역비교우위지수를 활용한 분석에서는 오히려 노동보호가 급진적 혁신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 주장을 반박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정 기술분야 혹은 산업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모든 분석 결과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분석에서 국가의 시장개입은 장기적으로 혁신에 부정적이었다. 본 실증분석 결과는 정부를 중심으로 한 경제 집중화가 경제성장에 있어서는 유효하지만 혁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과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본주의 다양성론의 기존 비판을 극복하고 현실경제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틀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과 혁신이라는 두 가지 국가적 목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가의 역할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