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스팅 인삼 분말을 이용한 커피 및 차류 제품 개발 연구

        김선유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4

        인삼은 대부분 홍삼으로 1차 가공되며 농축액, 캡슐, 분말 등의 2차 가공품으로 소비된다. 수삼은 홍삼 대비 다양하지 못한 제품 형태와 쓴맛으로 인해 소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삼의 활용도 증진을 위해 맞춤형 가공기술 및 이를 활용한 일반 식품을 개발하여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삼의 건조, 로스팅, 분말화, 그리고 제품개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삼을 열풍과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건조를 하여 이의 특성을 평가, 건삼을 유동층 impingement 열풍 로스팅하여 물리화학적, 형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산업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건삼과 로스팅 처리된 인삼은 조분쇄와 저온초미쇄분쇄를 통해 분말화되었으며 이의 물리화학적, 흐름성, 인스턴트 특성, 그리고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인삼 농축액을 활용한 인삼 콜드브루 커피와 최종 로스팅 처리된 인삼 분말들을 활용한 인삼 캡슐커피와 차를 개발하여 이의 이화학적, 관능특성, 그리고 소비자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과열수증기의 열전달 속도가 열풍보다 빠르기에 과열수증기를 처리한 인삼의 건조 속도가 더 빠를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건조 장비에서 두 가지 열 매개체가 동등한 유량과 속도 조건 설정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열증기를 처리한 인삼의 표면 구조가 더 매끈하였으며 더 노르스름한 색을 띤 것을 확인하였다. 로스팅 처리된 인삼은 건삼보다 부피가 팽창하였으며 기공 구조의 형성으로 인한 추출 수율과 산성다당체 함량, terpene류 향기 성분 증가, 그리고 구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pyrazine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초미쇄분말은 조분쇄분말과 비교한 결과, 열변성 없이 10 ㎛의 입자크기와 구형의 입자 형태를 가지며 벌크밀도, 탭밀도 그리고 흐름성이 감소하였으며 습윤성, 용해성, 분산성, 입안에서의 느낌이 증가 되었다. 로스팅 처리된 분말은 건삼 분말보다 인삼 향미와 전반적인 기호도가 증가 되었으며 이를 제품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인삼 농축액을 활용한 콜드 브루 커피와 로스팅 인삼 분말을 활용한 인삼 캡슐커피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가 각각 5점 척도 중 4.0 (약간좋다), 7점 척도 중 5.0 (약간좋다) 이었다. 4가지 인삼 분말을 활용한 인삼 캡슐차의 관능평가 결과, 로스팅 분말을 활용한 차의 모든 관능특성이 건삼보다 우수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동층 impingement 로스팅은 추출 수율과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이며 분말화를 통해 분말 원료를 확보하여 일반 식품으로서 기호성과 음용하기 간편한 커피와 차의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ingement drying characteristics of fresh ginseng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powder treated with roasting, and to develop ginseng product for convenient coffee and tea with roasted ginseng powder. Chapter Ⅲ was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profile, moisture contents, color and microstructure of ginseng dried by hot air (HA) and superheated steam (SHS). Impingement dry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raw ginseng cubes, using HA and SHS at 140, 160 and 180℃. Drying rates of ginseng dried by SHS were lower than those dried by HA and the higher temperature, the shorter the drying time. Ginseng dried by SHS was more glossy and dense, because no granule remain on the surface, and more redness. The objective of Chapter Ⅳ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asting and superfine grinding technolog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seng. The bulk density, expansion volume, SEM image, extraction yield, flavor compounds and acidic polysaccharide of dried and roasted ginseng were investigated.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EM image, color, ginsenoside, flowability, instant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powder were investigated. Roasted ginseng increased extraction yield and acidic polysaccharide, and detected pyrazine compound. Volume of roasted ginseng was expanded about 1.23 times. Compared with coarse particles, the superfine particles of ginseng powder were decreased bulk density, tapped density and flowability, whereas wettability, dispersibility, solubility and mouthfeel were increased. Roasted ginseng powder received the higher preference scores in ginseng aroma,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Chapter Ⅴ was investigated to develop ginseng coffee and tea for convenient ginseng product with roasted ginse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coffee and tea were evaluated. Roasted ginseng coffee and tea received the higher preference scores in all sensory properties. Through this study, roasted ginseng powder will be applied to food materials such as food flavoring,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usage of ginseng.

      • 열풍건조를 이용한 전도성 금속 잉크의 건조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李起千 建國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83119

        인쇄 기계의 발달은 고속과 에너지 절감에 목표를 두고 발전해 가고 있다. 더욱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양의 인쇄를 하고 비용을 절감하기위해서는 건조장치의 발전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는 건조 요소들을 찾아내고 이를 실험하여 최소의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결점 없는 건조장치의 개발을 위해 Friedman and Mueller의 논문을 비롯한 Nevin and Ball등의 많은 논문을 리서치하여 연구, 실험하였다. 물질전달에 의한 건조량은 F(Q, ΔT, L)의 함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Q=풍량, ΔT=온도 차, L=노즐에서 표면까지의 거리) Q, ΔT, L을 변경하면서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 하였다. 각각의 실험결과(건조물이 물인 경우는 증발량, 메탈릭 잉크의 경우는 저항)를 정리하여 비교 대상이 되는 결과들을 그래프로 비교분석하였다. Impinging slot jet nozzle is usually used in the hot air drying system.. One of the possibilities to enhance the drying capability is to increase turbulence of the drying agent flow. In this field, a lot of researchers have been concentrated to study heat transfer rather than drying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results of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flow rate, geometry of nozzle on the drying rate are discussed. The results show that influence of temperature variation is lower than that of air flow rate.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arget plate is less affected in the low flow rate (less than Re=10000)than those in the high flow rate (more than Re=10000) One of the key processes to manufacture the electronic printing with metallic ink is a drying and curing process. This paper presents the optimal drying and curing conditions with the specific silver metallic ink made by Parelec Inc. In advance, the hot ait system is studied experimentally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s - the gap between substrate and end tip of nozzle and the shape of nozzle. Under above conditions,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emperature, speed and air flow rat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printed antenna is used to evaluate the optimal conditions. A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is found out that the curing conditions are above 150℃ and above 180 seconds of heating time to get a suitabl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