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aming effects of the entertainment media on viewers' opinion on homosexuality : attribution, emotions, and values

        Zhang, Liho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논쟁적 성격의 사회 이슈를 다루는 엔터테인먼트 미디어가 해당 이슈에 대한 수용자의 의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특히 동성애 이슈를 담고 있는 드라마와 영화의 프레임 효과를 “귀인”과 “가치”의 측면에서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틀짓기 이론에 기초하여 엔테테인먼트 미디어의 서사적 프레임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두 차례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중국에 있는 산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10월 78일부터 29일까지 2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두 가지 유형의 서사적 프레임(귀인 프레임과 가치 프레임)은 동성애 이슈에 대한 수용자의 의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 프레임의 효과와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한 첫 번째 실험[통제가능성(controllability) vs. 통제불가능성(uncontrollability)]을 통해 예상했던 바와 마찬가지로 귀인 프레임이 동성애의 원인에 대한 수용자의 해석, 즉 책임귀인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인 프레임은 수용자의 정서에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통제 가능한 상황을 강조한 프레임에 노출된 집단들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보다 더 높은 수준의 분노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정 정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인 프레임이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매개 효과와 관련해서는, 예상했던 바와 달리 정서에 대한 책임귀인의 매개 역할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분노’라는 정서의 경험은 귀인 프레임과 동성애에 대한 수용자의 의견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제 가능한 상황을 강조한 프레임에 노출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분노를 경험하며, 이 정서는 동성애에 대한 낮은 지지로 이어졌다. 둘째, 가치 프레임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 두 번째 실험에서도 예상했던 결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서사적 프레임에서 함축적으로 강조된 가치와 관련된 신념들이 더 중요하게 수용되었으며, 이러한 신념의 중요도는 동성애에 대한 수용자들의 의견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가족의 가치를 강조한 프레임에 노출된 집단은 개인주의적 가치를 강조한 프레임에 노출된 집단에 비해 가족 관련 신념을 중시했으며, 이는 동성애에 대한 지지를 개인적, 사회적 수준 모두에서 증진시켰다. 개인주의적 가치 프레임에 노출된 집단은 개인주의적 신념을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동성애에 대한 더 높은 사회적 지지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함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서사적 프레임 효과의 두 가지 주요한 메커니즘, 즉 귀인-정서-의견과 가치-신념의 중요도-의견은 동성애 이슈를 넘어서 논쟁적인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성애 이슈에 관한 가치 프레임 연구에 대해서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기존 연구들은 전통적 도덕 가치와 근대적 평등 가치와 같은 상반된 프레임 효과에 주로 주목해 온 반면, 본 연구는 동성애에 대해 유사한 관점을 제시하는 미디어 프레임들이 어떻게 상이한 가치를 함축하며 이에 따라 수용자의 의견에 미묘한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를 탐색했기 때문이다. 주제어: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서사적 프레임, 동성애, 귀인 프레임, 가치 프레임, 정서, 신념 중요도, 동성애 의견 This thesis investigated how entertainment media that deals with controversial social issues generates distinct opinion on these issues among its audiences and through which mechanisms narrative framing effect occurs. The present research particularly attended to homosexuality-themed entertainment programs and examined the framing effects in terms of “attribution” and “value”. Under the theoretical basis of framing studie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uncover the narrative framing effects in this study. 300 Chinese students from Shan Xi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over the course of two days from 28th to 29th October to finish the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sult, two narrative frames were found producing profound impacts on audiences’ opinion toward homosexuality. Specific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regarding the attribution (controllability) framing effect analyzed in experiment 1 (controllability vs. uncontrollability), as predicted, the attribution frame significantly affected viewers’ causal attribution towards homosexuality. The attribution frame also partially affected viewers’ emotions. To be more specific, viewers who watched a movie that portrayed homosexuality as something controllable experienced stronger anger toward homosexual people, but no meaningful difference existed for sympathy between two experiment groups. As for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attribution frame and viewers’ opinion, unlike what was expected, the ways of interpreting the causes of homosexuality did not significantly play as a mediator, while the aroused anger, however, meaning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frame and viewers’ opinion. In other words, viewers exposed to a program which portrayed homosexuality as a kind of ‘controllable’ sexuality expressed stronger anger, which led to less support for homosexual people. Secondly, result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for experiment 2 as well, which was targe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lue frame. In particular, beliefs related to certain values that were indicated in narrative program were given priorities respectively in both experiment conditions,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ose beliefs in turn significantly affected viewers’ opinion on homosexuality; that is, compared to viewers exposed to an individualism value frame, viewers exposed to a family-value frame considered family value related beliefs more important, and this further increased their endorsements for homosexuality both on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Viewers exposed to an individualism value frame put more weights on the individualism-value related beliefs, and this finally resulted in viewers’ support increment toward homosexuality only on the social level. The findings provided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Two main framing mechanisms of entertainment narratives regarding controversial social issues, that is, ‘attribution (controllability) frames-emotions-opinion’ and ‘value-belief importance-opinion’ could be widely applied beyond present issue of homosexuality. Furthermore, this study initiated a new research domain in the study of value framing effect regarding homosexuality. Distinct from prior studies which mainly focused on the opposite value framing effects between traditional morality value and modern equality value, the current research concentrated on arguing how a largely similar perspective on a controversial social issue could be contextualized with different values, as well as how these value frames generated subtly different effects on viewers’ opinions. Keywords: entertainment media, narrative frames, homosexuality, attribution frames, value frames, causal attribution, emotions, value-related belief importance, opinion on homosexuality

      • Understanding Design Process from a Perspective of Framing: Exploring the Concept of Frames for Designing

        Sung, Hye Rin Hongik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939

        The journey of progressing this study was not possible without all my bright friends and incredible professors at IDAS, Hongik University. Though the journey rather brought a seemed endless cycle of agony-frustration-eureka-enthusiasm, at the end of every day I could be full of excitement for the following steps because of these people. Thank you. My supervising professor Dr. Ken Nah, who has been always inspiring with his insights, is the definite first person I would like to acknowledge. I could keep on track while I have been consistently shifting my frames, thanks to his interest and keen advices. I owe Dr. Junhong Park an enormous gratitude for all those discussions and guidance. This journey has been startlingly fun because of his serious knowledge with wrong humour. And my indescribably beautiful friend Seoyoung Kim, who is always there inspiring and considerate, has kept me in eagerness by sharing unexpected perspectives throughout the course of this research. I feel that it is not enough to express my gratefulness and affection in words, but I only dream of the near day when we could unfold our curiosity together for it to be interwoven wonderfully. I would like to acknowledge Soojung Jun and all my fellow researchers at IDTC lab in Hongik University, for them to exchange invaluable feedbacks. And every one of my research mates from IDAS, especially the residents at room #504, gave me a lot of intriguing points of view which helped me to push my study, I appreciate all immensely. Also, I owe the team from Beyond Design Inc. a huge gratitude for such great inspirations and insights, particularly, Michael Prince for his encouragement and support. And my outstandingly thoughtful and explorative friend Holly Prouty, I would love to thank her for continuously inspiring my mindset and being supportive and attentive from another continent regardless of the distance. Finally, I owe the biggest thankfulness to my adorable family, especially my parents, I would not have come this far without their endless love and support. Seoul, July 2017 Hyerin Sung p.8.oft-Systmes guide to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the process of reaching goals, challenging situations and arrive at satAbstract Design, as a problem-solving process, has been recognised to be thoroughly human-centred. Since the initial move aimed for a major shift from design artefacts to people, the discipline has been progressing forward by developing diverse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increasing complexity in our world and society is an unprecedented case. Regarding these matters, this study began with two prime questions: 1) when design claims to be the appropriate discipline for human-centred problem solving, why so? 2) how can designers enhance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people, in response to the slogan ‘designing for people’? H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 design in terms of understanding people and dealing with various perspectives, by exploring the concept of frames which is known to be fundamentally related to how we perceive the world differently. The study was implemented in two directions: reviewing literature on both design and frames to extract the essentials for synthesis and analysing a case study to understand design process from a perspective of framing. As a result, design process was reinterpreted with a scope of designers’ framing actions in handling various perspectives and a guidebook was designed to inform designers on useful aspects about the notion of frames. 문제해결 프로세스로서의 디자인은 지금껏, 사람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아왔다. 디자인 인공물 자체에 맞춰져 있던 초점을 디자인을 사용하는 사람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도와 움직임 이래, 디자인 학문은 다양한 접근법과 방법론들을 전개하며 발전해왔다. 한 편으론, 전례 없이 빠르게 복잡해지고 있는 사회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두 가지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1) 디자인 분야가 사람 중심의 문제해결에 적합한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어떤 면에서 그러한가? 2) 어떻게 하면 디자이너들이 ‘사람을 위해 디자인 한다’는 슬로건에 대응하여, 사람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을까?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개개인이 세상을 각기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는 현상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프레임’이라는 개념의 탐구를 통하여, 사람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시각들을 다뤄야하는 디자인 분야의 발전 방향과 기회의 탐색에 있다. 연구의 방향은 두 가지로 나뉘었다. 첫째로는, 디자인과 프레임에 대한 개별적 문헌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분야에 유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개념 관련 요소들을 검토하고 종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로는, 사례연구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프레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디자이너들이 사람들의 다양한 시각을 다루는 과정에서 행하는 ‘프레이밍’ 활동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 프로세스를 재해석하였고, 문헌 연구 등을 바탕으로 추출된 ‘프레임’ 관련 유용 개념 및 핵심 사항 등을 디자이너에게 전달하기 위한 안내 소책자를 디자인하였다.

      • 환경재난 보도 프레임 연구 : 한⋅중 신문의 미세먼지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조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37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미세먼지 보도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출 발했다. 미세먼지는 지금 전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한·중 양국이 공통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가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면서 미세먼지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닌 인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환경재난으로 봐야 한다. 이에 따라 한·중 양국 신문보도를 통해 한국과 중국에 미세먼지가 어떻게 발현하고 있으며 양국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를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미세먼지 발생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크게 한·중 양국 미세 먼지 관련 기사의 보도특성, 한·중 양국 미세먼지 보도의 차이, 한·중 양국 미세먼지 보 도의 주요 정보원별 프레임 유형 등 3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한 국의 <조선일보>, <한겨레>, <부산일보>, <경인일보>, <한라일보>와 중국의 <인민일 보>, <중국청년보>, <북경만보>, <신민만보>, <하북일보>로 총 10개 신문을 선정하였 다. 본 연구의 연구 기간은 200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로 설정하였으 며 기사유형, 정보원, 프레임 등의 유목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신문의 기사유형의 경우 스트레이트 기사 위주로 나타났다. 하지만 2시기에 들어가면서 스트레이트 기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시기보다 감소하였고 단신기사의 건수는 1시기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의 경우 정부관련 정보원 이 많이 등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전문가 등 지식인 관련 정보원이 많이 나 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두 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난 프레 임 유형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과 '발생현황 프레임'이었다. 이어서 발생원인 프레임, 경제 프레임, 미세먼지 위험/피해 프레임 등의 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 신문의 기사유형의 경우 두시기에 보도 건수의 차이가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은 2013년 이전에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1시기의 기사유형 중 스트레이트 기사가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였고, 2시기에 들어가면서 스트레이트 기사의 건수가 많이 나타났지만 해설/기획 기사의 건 수가 1시기보다 대폭 증가하였으며 스트레이트 기사와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정보원의 유형을 보면 1시기에 등장한 정보원은 정부관련 정보원 위주로 나타났으며 2 시기에도 주요 등장한 정보원 유형이 1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국 신문의 프레임 유형을 분석한 결과, 1시기의 주요 프레임 유형은 발생현황 프레임으로 확인되었으며 2시기에 들어가면서 발생현황 프레임이 많이 나타났지만 다른 프레임 유 형도 1시기보다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중 양국 전체 신문이 보도한 미세먼지 관련 기사를 비교한 결과는 중국의 해설/기획 기사의 건수가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 중에 사설이 없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중 양국 신문의 정보원을 보면 중국 신문 중에 환경부, 일 반 시민, 학자 등 정보원이 많이 등장하였으며, 한국 신문 중에 정부 기타 부문, 기업인 /기업, 학술 단체 등 정보원들이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한·중 신문의 프레임 유 형은 주요 프레임 유형 간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 신문 중에 발생현 황 프레임은 전체 프레임 유형 중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중국 신문의 경우 발생원인 프레임과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의 건수는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났다. 넷째, 한·중 중앙지 신문의 보도 기사를 비교한 결과 1시기에 한국 중앙지 신문의 기 사 건수가 중국 신문보다 많았다. 모든 기사 유형에서는 한국 신문이 많이 나타난 것으 로 확인되었으나 전체 기사 유형을 보면 한·중 중앙지 신문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중 중앙지 신문의 정보원 유형을 비교한 결과, 양국 신문이 모두 정부 관련 정보원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 중에 1시기에 해당하는 중국 중앙지 신문의 건수가 많지 않아 한국 중앙지 신문보다 정보원 유형이 단일화 된 것을 확인하였다. 2 시기의 경우에는 양국 중앙지 신문에 정부 관련 정보원이 공통적으로 많이 등장하였지 만 한국 신문은 사회단체가 더 많이 등장하였고 중국 신문은 일반 시민이 더 많이 나 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국 신문의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는 1시기에 정부대응 정책 프레임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 중은 미세먼지 대응 제품/홍보/기술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신문은 경제 프레임, 국제 미세먼지 위기 프레임 등 유형이 더 많이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한·중 지방지 신문을 비교한 결과는 한국 신문이 주로 스트레이트 기사 위주 로 보도하였지만 중국 신문은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해설/기획 기사가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정보원의 경우에는 한국 신문 중에 정부 기타 부문, 기업인/기업, 학술 단체 등 정보원 유형들이 많이 등장한 반면, 중국 신문의 경우 환경부, 일반 시민, 의료 전문가 기상청 등의 정보원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한·중 지방지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한국 신문 중에 미세먼지 대응 제품/홍보/기술 프레임, 경제 프레임 등 유형이 중국 신문보 다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은 발생원인 프레임, 책임 프레임이 한국 신문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한·중 신문의 주 정보원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한 결과는 환경부와 관련 한 프레임 유형을 보면 한국 신문보다 중국 신문 중에 발생원인 프레임이 더 많이 나 타났다. 한국 신문 중에 발생현황 프레임과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 더 많이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 신문 중에 등장한 기업인/기업 정보원이 중국 신문보다 많이 등장한 것이었기 때문에 관련 프레임 유형도 중국 신문보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국 신문 중에 등장한 정보원 유형도 다양하였지만 모든 정보원이 관련한 주요 프레임 유 형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한·중 중앙지 신문의 주 정보원과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 과, 한국 신문은 기업인/기업 정보원이 경제 프레임 기사에 자주 등장하였지만, 중국 신문 중에 기업인/기업과 관련한 프레임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많 이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 신문과 한국 신문의 공통점으로 모든 프레임에서 가장 많이 연관성이 있는 정보원은 정부 기타 부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 신문의 '정부 중심 적' 보도의 특성이 한국 신문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여덟째, 한·중 양국 지방지 신문의 주 정보원과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한·중 신문 중에 등장한 정부 기타 부문과 관련 한 프레임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과 발생원인 프레임, 경제 프레임 등 유형으로 확인 되었다. 이외에 중국 신문은 책임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 다. 그리고 한국 신문은 미세먼지 위험/피해 프레임의 경우 정보원이 없는 기사가 많았 지만, 중국 신문은 환경 전문가가 정보원으로 많이 등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중앙지와 지방지가 보도한 미세먼지 관련 기사를 분석하여 한·중 양 국 신문이 미세먼지 같은 환경재난을 보도할 때 어떤 차이성이 있는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15년 동안 보도한 기사를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해 분석 유목 중에 정보원과 프레임을 주·부로 분류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전에 시 도되지 않았던 한·중 미세먼지 등의 환경재난 관련 비교연구의 부족을 개선하였으며 중 요한 참고자료가 됐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하는 바는 미세먼지 등 전 지구적 환경문제는 각 국가들 간에 대립이 아닌 공동적으로 대응 협력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originates from an interest in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ir reports on particulate matter (PM). Particulate matter is now a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 and both South Korea and China pay attention to the issue. Meanwhile,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signated PM 2.5 as a first-class carcinogen, particulate matter should be viewed as an environmental disaster that can present threats to human life, not just an environmental problem.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particulate matter arises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how both countries respond to i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report characteristics of PM-related article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difference of PM report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frame type by main sources of PM reports from South Korea and China were established as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In addition, the <Chosun Ilbo>, <Hankyoreh>, <Busan Ilbo>, <Gyeongin Ilbo> and <Halla Ilbo> of South Korea, and the <People’s Daily>, <China Youth Daily>, <Beijing Evening News>, <Xinmin Evening News> and <Hebei Daily> of China were set as research targets. The research period of this study ranged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19, and the types of category (such as article types, information sources and fra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rticle types in Korean newspapers, straight articles were dominant. However, towards the second period, the proportion of straight articles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brief news articles increased further from the first period. In the case of information sour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was the highest in Korean newspapers, followed by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intellectuals, such as expert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frames found that the most common frame types in both periods were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 and occurrence status frame, followed by the occurrence cause frame, economic frame, and PM risk/damage frames. Second, the article types of Chinese newspaper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ports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uggests that China was rarely interested in particulate matter before 2013. In the first period, straight articl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Towards the second period, the number of commentary/planning article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straight articles was not larg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were most dominant in the first period, and the dominant information sources that appeared in the second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irst perio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frame types of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the main frame type of the first period was the occurrence status frame, and the number of other frame types increased from the first period although the occurrence status frame was still dominant towards the second period. Third, a comparison of PM-related articles i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mmentary/planning articles in Chinese newspapers was higher than that in Korean newspapers, and there were no editorials among Chinese newspap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formation source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eneral citizens and scholars recorded a high percentage in Chinese newspapers, whereas information sources from the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businessmen/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constituted a large percentage in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main frame typ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The occurrence status fram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otal frame types in Korean newspapers, but the number of occurrence cause and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was higher in Chines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Four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reports of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in the first period, the number of articles in metropolitan newspapers was higher in South Korea than in China.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n all article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Regarding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were dominant in both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Meanwhile, it was found that as there were not many metropolitan newspapers in China during the first period,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was further unified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newspapers of South Korea. In the second period, many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appeared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of both countries. However, more social groups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whereas more general citizen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frames of papers in both countries confirmed that in the first period, many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a smaller number of PM response product/promotion/technology frames, while Korean newspapers showed a larger number of economy and international PM-related risk fames in comparison. Fif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confirmed that the Korean newspaper reports were mainly on straight articles, but Chinese newspapers had more commentary/planning articles than straight articles. Meanwhile, more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businessmen/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appeared as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newspapers, while such information sources as the Ministry ofEnvironment, general citizens, medical experts and meteorological office most commonly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e comparison of frames in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revealed that a higher number of PM response product/promotion/technology frames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whereas there was a larger number of occurrence cause and responsibility frames in Chinese newspapers. Six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of frame types related to main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in relation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re occurrence cause frames were found in Chinese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Meanwhile, more occurrence status and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among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since there were more information sources such as businessmen/ 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Korean newspapers than in Chinese newspapers, the related frame types were also more diverse in Korean newspapers. However, although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hat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were diverse, the main frame type related to all information sources was identified as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 Seventh, the frame types related to the main information sources of metropolitan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follows. In Korean newspapers, such information sources as businessmen/corporations frequently appeared in economic frame articles. However, even in articles related to businessmen/corporations among Chinese newspapers, mor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than in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the most relevant information source in all frames was found to be government, except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a common poi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centered' reports in Chinese newspapers were not found in Korean newspapers. Eighth, there was a difference in frame types related to the main formation sources of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First of all, the frames related to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that appeared in Korean and Chinesenewspapers included the government response frame, occurrence cause frame and economic frame. Next, more responsibility frame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case of PM risk /damage frames, there were many articles without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newspapers, but many environmental expert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as information source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in reporting environmental disas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M-related articles in both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With respect to articles reported for 15 years, information sources and frames were classified as the main and sub-categories of analysis using a sampling method to derive objective results. In situations where there were few attempts to conduct comparative studies related to environmental disas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because it can serve as important reference data for future research on environmental disaster reports in South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e implication of research results is tha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particulate matter, should be addressed through cooperation among countries, not confrontation between countries.

      • 한미관계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 분석 : 노무현 정권 시기의 신문 사설을 중심으로

        정미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21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had dealt with many issues related to Korea-U.S. relations for last 5 years. This present study analyzes the media's ideological inclinations and the propagation of hegemony and how the media, specifically the editorials, shows these features through the function of news fram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tool to compare and foresee how the media depicts Korea-U.S. relations of the President Lee Myung Bak's new administration in the future.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 of the media coverage of Korea-U.S. relations, content-analysis is conducted. [RQ 1] How are the Korea-U.S. relations editorials distributed during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differences of frames that the two newspapers produce. To be specific, 'thematic structures' by van Dijk is used to analysis. [RQ 2]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ewspapers' framing on the main issues? [RQ 2-1] What are the news frames drawn by thematic structures? [RQ 2-2]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news frames between the two newspapers? Lastly, this study focuses on Entman's frame devices that make the frames salient. [RQ 3]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news frame devices between the newspapers?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ist, the socially accepted idea that <Hangyore> is extremely progressive and <Chosun> is extremely conservative is cleary proved. The difference, however, is while <Hangyore> shows its progressiveness all the time, <Chosun> shows less intensity up to the issues or time. Second, <Hangyore> regards the US a competitor to defeat for the nation's interest based on the national autonomy. On the other hand, <Chosun> frames that Korea-U.S. relations should be kept not only as the allies but a mutual-assistance structure. Third, it is found that each frame device functions according to the newspaper's ideology making the frames salient. Lastly, the South Korea-U.S. alliance issue outstands to show the each newspaper's consistent tone.This study tried to derive as many frames as possible through the inductive frame analysis in order to overcome the existing dichotomous ideologies. However, the result implies that Korea-U.S. relations is just one of the great themes to represent the press's ideology and interest. In other words, the certain ideology the press has is led by the hegemonical competition and it affects on the news coverage consistently and continually. When it comes to Korea-U.S. relations, the media should overcome the exclusive ideas and oversimplification. It is essential that the media takes an objective view on the issues of Korea-U.S. relations, and more importantly the media should anticipate the future and gain an insight into the reality. 지난 노무현 정권은 미군기지이전문제,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문제, 북핵문제, 한미FTA등 그 동안 발생한 많은 한미관계에 관한 사건들로 인해 언론이 한미관계를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 그 명암을 더욱 확실히 그려 볼 수 있는 기회였다. 본 연구는 국내 언론의 정파성과 이념, 그리고 언론의 헤게모니 전파 기능에 관하여 논의함과 동시에 이를 언론이 프레이밍이라는 기능을 통하여 어떻게 표출하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되짚어보는 기회가 되고자 한다. 특히 앞으로 펼쳐질 이명박 정부의 대미(對美) 정책과 한미관계를 지난 정권과 비교하여 언론이 어떻게 그려낼 것인지를 내다보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난 노무현 정권 5년 기간의 한미관계에 관한 언론 사설을 전반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 1]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노무현 정권의 5년 기간 한미관계에 관련한 사설은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가? 또한 지난 정권의 5년 동안 발생한 많은 한미관계 관련 이슈 중 비중이 큰 핵심 사안을 세 개 뽑아내어, 핵심 사안에 대한 언론사별 프레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분석은 반다이크의 주제구조요소를 분석의 틀로 삼았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 2]는 다음과 같다.[연구문제 2] 신문사에 따라 핵심 사안에 대한 프레임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1] 주제구조 요소(행위자, 행위(대상), 행위방식, 배경, 결과)를 통해 도출된 뉴스 프레임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2] 신문사에 따라 프레임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신문사별로 제시된 프레임의 역할을 분석한다. 즉, 해당 사설이 문제정의/ 원인분석/ 도덕적 평가/ 해결책제시/의 역할을 통해서 어떻게 프레임을 더욱 현저하게 만들며,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한 [연구문제 3]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3] 신문사에 따라 핵심 사안에 대한 프레임 역할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겨레는 진보의 극단이며, 조선은 보수의 극단이라는 기존의 통념이 여전히 사설 속에서 증명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종일관 진보의 극단성을 보인 한겨레와는 달리, 조선은 사안이나 시기에 따라 보수성이 옅어지기도 하였으며, 비교적 고른 관점을 보인 흔적이 발견되었다. 둘째, 언론의 프레이밍에 있어서 한겨레는 기본적으로 한미관계에 있어 국가의 자주에 기반 하여 미국을 국가이익의 추구를 위해 타진해나가야 할 경쟁국으로 보고 대등한 입장으로 프레이밍한 반면, 조선은 한미관계를 기존의 동맹국으로서의 우방관계를 유지해야 할 뿐 아니라, 대북관계와 한미FTA에 있어서도 여전히 함께해야 할 공조국으로 프레이밍하였다. 셋째, 각 사안에 대한 프레임의 역할 장치 역시 언론사에 따른 이념적 성향에 맞추어 주요 프레임을 더욱 현저하게 만드는 기제로써 양극단에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한미동맹 사안은 그 빈도수나 프레임 유형에서의 현저함이나 역할의 다양성, 그리고 장치에 이르기까지 언론사에 따라서 다른 이슈들에 비해 일괄적으로 뚜렷한 논지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본 연구는 귀납적 프레임 분석을 통해서 기존의 이분법 적인 이념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난 다양한 프레임을 도출해보고자 시도하였다. 하지만 연구결과는 한미관계는 결국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와 이해관계를 대변하기 위한 하나의 주요 테마일 뿐인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즉 언론이 자신들의 특정 이데올로기를 이끌어 갈 수 있는 헤게모니의 투쟁은 지속적이고 일관적으로 뉴스 보도에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제 언론은 한미관계에 있어서 보수와 진보, 친미와 반미와 같이 지나친 폐쇄성과 단순성을 극복해야 한다. 한미관계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나아가 더욱 중요한 것은 그 미래를 내다 보고 현상을 통찰 할 수 있는 언론의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 9.11 테러사건에 대한 보도 성향과 보도 프레임에 대한 분석

        이정옥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20

        지난 9월 11일 발생한 미국 테러 사건은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급속히 세계 각국으로 보도되었고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테러 당일 날 국내 방송사의 뉴스는 충돌과, 붕괴, 화염 속 건물, 건물 안의 사람들을 보여주면서 테러 상황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후 부시의 담화를 기점으로 보복전쟁, 테러 응징의 단어가 자주 등장하면서 전쟁 가능성이 점차 보도되기 시작했다. 테러 사건에 대한 국내 뉴스 보도는 지난 걸프전과 마찬가지로 CNN 등 외신에 대한 지나친 의존, 상업주의적 보도 성향으로 비판을 받았다. 이처럼 정보원의 편중과 상업주의적 보도 성향은 뉴스 프레임에 대한 왜곡 문제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 정보 유통 질서의 관점에서 국제적 사건 보도에 있어 정보원의 편중과 상업주의적 보도 성향 그리고 뉴스 프레임과 어떻게 맞물려 현실을 재구성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공영방송인 KBS와 MBC 9시 뉴스를 분석하고 국내뉴스에 대한 비교 평가를 위해 프랑스의 F2 방송 뉴스를 선정하였다. 보도 주제, 화면의 구성과 내용, 주요 행위자 등을 살펴봄으로써 정보원의 사용 양상과 상업주의적 보도양상을 살펴보고 그러한 보도 양상에서 나타난 미국과 이슬람에 대한 뉴스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정보원의 사용 양상 분석 결과, 화면 구성의 측면에서는 국내 방송사들은 외신의존도가 높고 특히 CG의 활용양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테러 사건의 국제 뉴스 중심 보도 성향으로 인해 자체 취재가 부족하고 외신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프랑스 방송의 경우 테러 사건 이후 국내 반응은 물론 중시하면서, 미국의 상황과 반응을 직접 취재하고, 그 외 국가의 반응도 함께 취재보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자료 화면의 배제나 기자, 특파원의 직접 등 장과 현장 취재라는 화면의 형식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화면의 내용적 측면에서 정보원의 활용 양상은 국내 방송사와 프랑스 방송의 경우 공히 미국 화면이 각각 KBS - 55, MBC- 34, F2 - 44로 나타나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하지만 F2의 경우 국내 화면이 12건으로 나타나 KBS - 6나 MBC - 7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국내 방송사는 15일 이후 아프간 화면 비율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아프간 화면의 증가는 전쟁 가능성 보도와 맞물려 아프간의 전투 준비 상황과 피난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국가별 다양성과 균형 있는 국가 보도라고 파악하기는 힘들다. 프랑스 방송의 경우 미국의 비율이 높긴 하지만 시민들 인터뷰나 현지의 분위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국내 방송의 테러 장면의 과도한 편중과는 확연히 비교가 되는 부분이었다. 주요 행위 는 미국 행위자가 전체 방송사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프랑스의 경우 국내 행위자의 빈도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미국 행위자에 전적으로 편중된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F2는 미국 행위자 중 시민 중심의 행위자 보도를 하고 있으나 국내 방송사의 경우 국가수뇌와 지도급 인사를 주로 다루고 있어 미국 편중 현상과 더불어 국가 의제 편중의 현상을 알 수 있었다 상업주의적 보도양상과 관련하여 뉴스의 주제의 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방송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제는 테러 사건 자체 와 전쟁 즉, 테러 사건 당시 충돌장면과 붕괴 장면이나 전쟁 가능성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하지만 그에 반해 프랑스 F2의 경우 테러 사건에 대한 국내의 상황과 반응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의 제의 측면에서 주제를 살펴보면 국내 방송사들은 국가적 의제를 중요시하여 테러 사건의 정치적 경제적 국제적 측면에 치중하는 반면 프랑스 뉴스는 시민적 의제를 더 많이 다루고 있었다. 화면의 구성을 보면 F2와 비교해서 국내 방송사들은 CG를 과다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G와 같은 화면 효과를 사용하는 것은 보도의 내용과 상관없이 시청자의 눈을 자극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화면 구성의 측면에서 상업주의적 보도양상을 지적할 수 있다. 상황별 화면의 내용을 보면 국내 방송사는 테러장면에 대한 것이 압도적이고 전투 장면이 잦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었으나 프랑스의 경우 시민들 화면이 중시되고 있었고 테러 장면은 상대적으로 낮고 전투 장면은 매우 낮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었다. 국내 언론의 상업주의적 보도 양상은 테러 사건 자체 와 전쟁 주제의 높은 빈도와 화면내용 상에도 테러 장면과 전쟁 장면의 높은 빈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CG와 같은 화면 효과의 과도한 사용에서도 상업적 보도양상은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업주의적 보도양상은 시청률 경쟁과 국제 뉴스를 비롯한 취재 보도 관행, 그리고 국제 전문 기자의 양성과 활용 미비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과 이슬람에 대한 프레임 분석결과, F2 뉴스의 경우 미국에 대한 프레임 유형은 미국의 대응 과 미국의 단결, 애국심 프레임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 미국에 대한 프레임은 긍정적 경향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뉴스의 경우 F2보다 좀더 분명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미국 관련 보도의 경우 평화수호 와 단결·애국심 프레임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 지극히 호의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이슬람에 대한 보도의 경우 과격주의, 반미주의 프레임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여기서 국내 보도의 문제는 이슬람과 빈 라덴, 아프간을 구분하지 않고 보도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빈 라덴과 아프간을 보도함에 있어 이슬람 원리주의자 라는 용어와 함께 사용되고 있어서 이슬람 전체에 대한 이미지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보다시피 국내 방송의 국제적 사건 보도는 여전히 내용적인 면이나 형식적인 면에서 외신 의존도가 높으며 국가적 의제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자국의 시각이나 상황을 거의 염두에 두지 않는 보도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정보원의 편중 양상으로 외신의 프레임이 그대로 국내 시청자에게 전달되는 무의식적인 프레이밍 과정이 개입되는 부분도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테러 장면을 반복적으로 노출시키거나 전쟁 관련 화면을 내보내는 등의 행태를 통해서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화면 중심의 보도로 인해 상업주의적 전략에 매몰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원의 편중과 상업주의적 양상은 미국에 대한 호의적 프레임을 형성하고 반대로 이슬람에 대한 부정적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국제적 사건 보도에 있어 여전히 국내 뉴스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는 내부의 보도 시스템에 기인한 바 크다할 것이다. 따라서 전문 기자의 양성과 분석 해설보도 확충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꾀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terrorism which occurred on September 11 in the United States was rapidly reported throughout the world, shock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day of terrorism,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focused on the terrorism itself, while showing to the audience such disastrous scenes as collision, collapse, buildings in flame and even people in the buildings. Later, beginning from President Bush's announcement, such words as retaliatory war or revenge on the terrorism emerged frequently, and thereafter, possibility of a war began to be reported. The coverage of the terrorism by domestic news reports was critized much, as in the case of Gulf War, for its excessive dependence on CNN and other foreign correspondences as well as for its commercialism tendency. Such a high dependency on outside information sources and commercialism tendency may well be related with the problem of distorted news frame.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how the reality regarding international incidents is reconstructed with biased information sources, commercialism tendency and distorted news frame in view of the distribution order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To this end, domestic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KBS and MBC prime-time new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in reference to the French F2 broadcasting news. Moreover, themes of news, composition and contents of screens and main actors were examined to review uses of the information sources and commercialism tendency, and thereby, the news frames for the United States and Islam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s of information sources, it was found that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rely more on foreign correspondences, particularly CG.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does not much cover the international incidents for themselves, depending highly on foreign correspondences. In contrast, the French F2 broadcasting company was concerned more about domestic people's responses after the terrorism attack, while covering the situation and responses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nations for themselves. Such a phenomenon was peculiar in terms of few file screens, frequent presences of reporters and correspondents and spot coverage.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screen contents, both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and French counterpart used the US screens most: KBS - 55, MBC- 34 and F2 - 44. However, F2 featured 12 domestic screen files, compared with 6 files of KBS and 7 files of MBC. After September 15,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increasingly featured the Afghan screen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a war, Afghan's preparation for the war and their people's evacuation. Such a coverage may not be well-balanced. Although the French broadcasting, featured the American situation more, they also focused on interviews with people and spot atmosphere, which is clearly comparable to our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biased coverage of the terrorism. The main actors who appeared most frequently in common were the US actors. However, F2 featured their domestic actors frequently, not much biased towards the American actors. Moreover, while F2 covered the American citizens primarily, our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covered head of the state and other political leaders being biased towards the US actors and agendas. In view of the news themes in relation with the commercialism, the most frequent themes presented by the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were 'terrorism itself' and 'war', namely scenes of collision and collapse and possibility of war. In contrast, French F2 put emphasis on domstic and foreign situations and responses. In terms of new agendas,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emphasized national agendas, handling the terrorism incident as political, economic and international issue, while the French counterpart dealth more with civil agendas. In terms of screen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used CG excessively. Since CG is used to stimulate audience's visual sense regardless of the contents covered, it may well contribute to the commercialism coverag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screen contents,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featured the scenes of terrorism overwhelmingly, while showing the scenes of combat more often. However, the French F2 reflected their citizens' responses, showing less scenes of terrorism and least scenes of combat. The commercialism tendency of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could be confirmed through frequent comments on 'terrorism itself' and 'theme of war' together with frequent featuring of the scenes thereof. And the commercialism tendency could also be conspicuous in view of excessive use of the screen effects such as CG. Such a commercialism coverage tendency may be explained in relation with such problems as competition for audience, practices of covering international news, and poor system of fostering or using professional international repor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ames for America and Islam, it was found that F2's frames for America were dictated by "Amerca's reaction" and "America's solidarity and patriotism", which seems to have been some positive.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frames were more conspicuous than F2's. Our frames were "peace-keeping' and 'solidarity and patriotism' primarily for America, which indicates our favoritism of America. However, in case of the frame for Islam, such frames as 'extremity, anti-American sentiment' were highly frequent, creating a negative image of the Islam world. Moreover,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did not distinguish Islam from Bin Laden or Afghanistan. Furthermore, our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used the term 'Islam fundamentalists' when reporting about Bin Laden and Afghanistan, affecting our people's perception of the Islam world. As discussed above, in both terms of contents and forms, our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coverage of the international incidents still relies more on foreign correspondences, focusing on the national agendas and ignoring objective approaches to the nations concerned. Moreover, as the information sources are biased, the frames of the foreign correspondence are delivered intact to domestic audience, and in this course, the foreign frames are unconsciously used. In addition, more stimulative and violent scenes of terrorism or war are broadcast without being filtered, which suggests that our domestic broadcasting practices are dictated by commercialism. Due to such biased information sources and prevalent commercialism, the frames for America cannot but be positive, while those for Islam be negative. Regarding the coverage of international incidents,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still have such problems, many of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the inside reporting system.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olve such problems by fostering the professional reporters and expanding the news commentaries.

      • PERFORMANC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STEEL SPECIAL MOMENT FRAMES FOR SEISMIC LOADS

        이기학 University of Illinois 2000 해외박사

        RANK : 2907

        Following the January 17, 1994 Northridge, California Earthquake, investigations showed that more than 150 steel moment resisting buildings experienced beam-to-column fractures. Even though no structural collapse was reported after the Northridge earthquake, classified as a moderate earthquake, the significant economic loss due to the damage and service disruption resulted in a concern of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s for steel moment frame buildings. As part of Performance Prediction and Evaluation Team of the FEMA/SAC Steel Project, this study focused on performance prediction and evaluation for new, existing, and damaged steel moment frame buildings. Several classes of post-Northridge buildings,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ypical buildings designed by the 1997 NEHRP provisions and constructed using pre-qualified ductile connections, were developed considering different heights, locations, and soil types. Then, the frame analysis models were made including the effect of post-Northridge ductile connection, panel zone deformation and interior gravity frames. The 1973 UBC, 1985 UBC and 1994 UBC provisions were selected for the pre-Northridge 3-, Sand 20-story buildings in Los Angeles and Seattle and designed for wind and seismic loads. A total of 15 pre-Northridge buildings,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ypical buildings based on year of construction and brittle pre-Northridge connections, were designed considering different height, locations and year of construction. Then, the frame analysis models were made including the effect of post- and pre-Northridge connection, panel zone deformation and interior gravity frames. The seismic demands and capacities were calculated using each set of 20 SAC ground motions representing 2/50 and 50/50 hazard levels. Using the drift demands and capacities, the performance prediction and evaluation procedure based on the reliability framework for SMRF buildings is presented. The randomness and uncertainty associated with predicting the capacity and demand are explicitly accounted for this method. Confidence levels that existing buildings will exceed the pre-defined performance level against different hazard level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Collapse Prevention (CP) and Immediate Occupancy (IO) performance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