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anguage and Political Frames : based on George Lakoff's theory : 언어와 정치프레임 : 조지 레이코프의 이론을 바탕으로

        김용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조지 레이코프의 저술과 이론을 바탕으로 언어현상과 정치프레임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의 분석을 통해 정리된 아이디어를 미국과 한국의 실제 정치적, 경제적 분석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그러한 시도의 첫걸음으로서 언어학의 여러 이론 중 정치프레임 형성에 언어가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용이하게 해주는 인지언어학과 그 이론의 범주에 속한 갈래이론을 소개한다. 인지언어학은 종래의 언어학에 깊이 뿌리내린 객관주의 전통을 극복하려는 기본 바탕이론으로서 고찰된다. 또한 찰스 필모어(Charles Fillmore)의 틀 이론과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의 개념적 은유이론이 인지언어학이 구체적으로 언어와 정치프레임의 연관성을 밝히는데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는지가 논의된다. 일상의 언어현상은 정치적 프레임을 형성하거나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특정 정치프레임이 언어현상 형성에 일조한다. 따라서 특정 정치세력은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언어선점을 통한 프레임형성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것이 조지 레이코프의 분석이다. 또한 그러한 프레임형성은 역으로 특정 언어의 쓰임을 자극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언어-프레임-언어의 영향력 행사는 순환적이다. 레이코프의 정치프레임이론의 기본 바탕은 국가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있다. 그는 국가를 엄한 아버지로 보느냐 자애로운 부모로 보느냐에 따라 보수주의 정치성향과 진보주의 정치성향으로 나뉘게 된다고 분석한다. 이러한 국가개념에 바탕을 둔 정치성향은 특정 정치 사안에 대한 언어사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러한 언어의 사용은 특정 정치프레임형성을 강화한다. 언어가 정치프레임형성에 미치는 정치적 실례의 대표적인 것은 미국의 감세 논쟁이다. 레이코프는 감세를 세금구제(Tax Relief)라는 표현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세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도록 노력하는 보수주의 정치세력에 대항해서 단순한 감세(Tax Reduction)이라는 표현을 대중들에게 심지 못하고, 오히려 세금구제라는 용어를 받아써서 보수주의 정책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 진보주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언어의 사용이 정치프레임형성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언어와 정치프레임 이론이 한국의 정치현상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이기 위해 무상급식논쟁을 필모어와 레이코프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무상급식이라는 표현을 통해 보편주의 복지정책을 구현하려는 한국의 진보세력과 증세급식 또는 세금급식이라는 표현을 통해 반대의견을 관철하려는 보수주의 정치세력 사이의 논쟁의 중심에 특정 언어표현의 사용이 있음을 보여준다.

      • 사회적 갈등 사안에 대한 신문들의 프레임 설정과 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중심으로

        金鍾求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사회적 갈등 사안에 대한 신문들의 프레임 설정과 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갈등 사안에 대해 각 신문들이 각기 다른 프레임을 활용해 보도하고 있는 현상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문제를 중심으로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한국일보 등 국내 6개 종합일간지들의 2015년 10월 13일부터 같은 해 11월 12일까지 한 달 동안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관련 기사 728건을 대상으로 각 신문의 지배적인 논조를 분석하고 이들 신문이 채택한프레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조선, 중앙, 동아 등 보수 신문들은 주로 '좌편향 검정교과서 프레임'과 '올바른 국정 교과서 프레임'을 사용해 정부의 국정화 방침을 옹호했다. 반면에 한겨레, 경향, 한국은 '역사 후진론 프레임' '독재친일 미화 프레임' '역사교육 파행 프레임' '절차적 정당성 결여 프레임'을 활용해 국정화에 반대했다. 진보 신문들의 프레임이 보다 다양한 것은 국정화에 반대할 논리가 그만큼 풍부했다는 측면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용 분석에 이어 주요 종합일간지 전현직 편집국장과 논설실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뉴스 프레임이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탐색했다. 그 결과, 사회적 갈등 사안이 발생할 경우 신문사 내부의 활발한 토론이나 의견 교환이별로 없이 각 신문이 갖고 있는 철학과 이념에 따라 보도 방향이 곧바로 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조직의 사회화' 현상을 통해 각 신문의 구성원들이 같은 이념적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세대 간의 의견 차이, 논설위원실 내부의 의견 차이가 나타나는 신문도 있는데, 이런 현상은 중도 성향의 신문, 그리고 보수 신문 중에서도 이념적 성향이 덜한 신문에서 더 눈에 띄었다. 뉴스 프레임 설정 과정에서 외부 정치권력이나 독자층을 의식한다는 응답은 적었고, 있어도 강도가 미미했다. 각 신문이 자신들의 논조와 맞지 않는 사안을 의도적으로 외면한다는 지적을 인터뷰 대상자들은 대부분 시인하면서도 "다룰 가치가 없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A Study on the Framing Strategy of Social Conflicts and the Mechanism of Frame-building This study, focusing on the case of state-authored history textbook, investigates how newspapers use different frames to report social conflicts. The study analyzes 728 articles from 6 major daily newspapers from 2015/10/13 to 2015/11/12 to identify dominant tones of each newspaper and the frames they have selected regarding the state-authored history textbook. It turns out that conservative newspapers such as Chosun, Joongang, Dong-A advocated the government’s move for state-authored history textbooks. These newspapers used the “left-leaning government-approved textbook frame”, and “the correct state-authored history text book frame”. On the other hand, Hankyoreh, Kyunghyang, Hankookilbo used the “historical regression frame”, “glamorization of dictatorship and pro-Japanese activities frame”, and “crippling of history education frame”, “absence of procedural democracy frame” to oppose the government’s policy. The fact that the liberal newspapers have more various frames reflects that there had been ample logics to oppose state-authored history textbooks. In an interview with six former and present editor-in-chiefs and chief editorial writers,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 that creates news frame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each newspaper decides the news-reporting tendency according to its philosophy and ideology right away, without much active debates or exchange of opinions among writers. The reason for such phenomenon has been ascribed to members of each newspaper sharing the same ideological spectrums, through the ‘socialization of organization’. There were cases of newspapers that demonstrated different ideas among different generations and editorial writers. Such phenomen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centrist newspapers or conservative papers whose ideological tendency was less conspicuous. Not many responded that the newspaper is conscious of external political forces or readers in the process of setting news frames. The response tells that even if there were to be cases, the intensity of the influence was small. While the interviewees mostly conceded that each newspaper deliberately turns away from issues that do not fit the tone of their newspaper, they explained the reason of not reporting such issues as “unworthy of reporting”.

      • Frame의 양상과 적용에 관한 연구

        박화범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aspects of cognitive model, 'frame', which exist in our mind. This study is based on one of empirical semantics which is an approach to language that depends on our experience of the world and the way we perceive and conceptualiz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frame, one of the empirical semantics, introduced by Charles J. Fillmore, is a particular way of looking at word meanings, as well as a way of characterizing principle for assembling the meanings of elements in a text into total meaning of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frame semantics, words represent categorizations of experience and each of these categories underlies a motivating situation occurring against a background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order to understand any word, we have to understand what reason a speech community might have found for creating the category represented by the word. In frame semantics word focuses on the internal meaning involved in the sum of the people's experiences and the ground of social institution, practices, history rather than dictionary's meaning of formal semantics. But all the words are not framed in the same way. Each of word groups has different modes that are framed by given scenes, social practice, specific situation, history, etc. Second, the semantics of understanding, at the base of which is the concept of the interpretive frame, provides a general account of the relation between linguistic texts and the process and products of their interpretation. Compared to formal semantics which focuses on the judgement of truth, frame semantics intends to understand the text's context by means of reasoning and cognitive structure. In other words, formal semantics merely shows us a judgement of truth on sentences, but frame semantics gives much more information involved in context. In semantics of understanding which makes a critical use of interpretative frames, a text's context is guided by linguistically encoded categories which presuppose particular structured understanding of cultural institutions, beliefs about the world, shared experiences. That is done not by two-valued logic but by the intuitive judgement. A concrete example is the proposition for truth and negation with frame interaction. Through this way, we can find the possibility that a sentenc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several meanings in the context, besides the judgement of truth. Another definite example is the presupposition. The formal semantics does not accept the notion of the presupposition and tries to explain the phenomena through pragmatics or entailments. But the semantics of understanding gives a phenomena the proper explanation using the framing structure. In conclusion, the notion of frame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of words' meanings and text's context. And understanding of semantics based on the frame provide a natural program for examining lexical meaning,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semantic import of grammatical constructions, and for making sense of the process of text understanding. It makes all of these possible in a way which supports intuitively satisfying accounts of truth and presupposition.

      • Frame 개념을 적용한 사진 아카이브 계획 : 충무로 사진 거리를 활용하여

        김채원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서울시의 계획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 도봉구 창동에 국내 최초의 공공 사진 미술관이 계획되어지고 있다. 장소 선정에 있어서는 문화 환경이 다른 구에 비해 열악한 서울 동북권에 조성해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하였다고 한다. 좋은 취지라고 할 수 있지만, 미술관과 대상지가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으며, 보다 더 적합한 대상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서울의 여러 위치에 예술 공간을 조성해 문화 향유기회를 확대 한다는 의견은 다소 아쉬움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문화 향유 기회도 중요하지만, 대상에 맞는 장소선정을 함으로써, 보다 해당 구의 역사를 살리고, 기억하며 더 가능성 있는 제안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사진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에게 추억과 기억을 회상하게 하는데,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추억과 기억에 대해 가장 적합한 대상지인 충무로에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환경조성을 하는 것에 있어서 적절한 대상지 선정을 통하여 단순히 사진을 전시하는 공간이 아닌, 기존의 추억과 기억을 회상 할 수 있는 곳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 바이며, 그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고자 한다. 새롭게 선정 할 대상지의 기존의 추억과 기억, 그리고 회상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저장이라는 단어를 도출했고, 저장이라는 요소를 통해 아카이브를 도출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아카이브의 기능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대다수였기에, 보다 더 새로운 개념의 아카이브인 저장과 전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 Multiple Vectors based MEMC and a Deep CNN for Video Frame Interpolation

        Thang, Nguyen Va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943

        블록 기반 계층적 움직임 추정은 고화질의 보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배경 영역이 움직일 때, 작은 물체에 대한 움직임 추정 성능은 여전히 좋지 않다. 이는 maximum a posterior (MAP) 방식으로 이미지 피라미드의 최상위 레벨에서 down-sampling과 over-smoothing으로 인해 작은 물체의 움직임이 무시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미지 피라미드의 최하위 레벨에서 작은 물체의 움직임 벡터는 검출될 수 없어 보간 이미지에서 작은 물체는 종종 변형된 것처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물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2차 움직임 벡터 후보를 추가하여 작은 물체의 움직임 벡터를 보존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추가된 움직임 벡터 후보는 항상 이미지 피라미드의 최상위에서 최하위 레벨로 전파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의 보간 생성 프레임이 기존 MAP 기반 보간 방식으로 생성된 프레임보다 이미지 화질이 상당히 향상됨을 보여준다. 움직임 보상 프레임 보간에서, 이미지 내의 반복 패턴은 움직임 추정을 위한 정합 오차 탐색 시 다수의 유사 local minima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움직임 벡터 유도를 어렵게 한다. 본 논문은 반복 패턴에서의 움직임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반복 영역의 local한 특성과 global한 특성을 동시에 활용하는 semi-global한 접근을 시도한다. 움직임 벡터 후보의 히스토그램은 선거 기반 투표 시스템보다 신뢰할 수 있는 유권자 기반 투표 시스템 기반으로 형성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이전의 local한 접근법보다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와 주관적 화질 판단 관점에서 상당히 우수함을 보여준다. 비디오 프레임 보간 또는 움직임 보상 프레임율 상향 변환 (MC-FRUC)에서, 단방향 움직임 궤적에 따른 움직임 보상은 overlap과 hole 문제를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방향 움직임 보상 프레임 보간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먼저, 제안된 방법은 단방향 움직임 추정으로부터 얻어진 두 개의 단방향 움직임 영역(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양방향 움직임 벡터를 생성한다. 이는 전방 및 후방 움직임 벡터를 보간 프레임에 투영함으로써 수행된다. 보간된 블록에 여러 개의 투영된 블록이 있는 경우, 투영된 블록과 보간된 블록 사이의 거리를 확장하는 기준이 가중 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제안된다. Hole은 hole이 아닌 이웃 블록의 vector median filter를 기반으로 처리된다. 제안 방법은 기존의 MC-FRUC보다 성능이 우수하며, 블록 열화를 상당히 제거한다. 본 논문에서는 CNN을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 보간에 대해서도 다룬다. Optical flow 및 비디오 프레임 보간은 한 가지 문제가 다른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chicken-egg 문제로 간주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간 optical flow 를 계산하는 네트워크와 보간 프레임을 합성 하는 두 가지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하나의 네트워크 스택을 구조를 제안한다. The final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네트워크의 경우 첫 번째 네트워크의 출력인 보간 프레임 와 중간 optical flow based warped frames을 입력으로 받아서 프레임을 생성한다. 제안된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optical flow 계산을 위한 합성에 의한 분석법과 CNN 기반의 분석에 의한 합성법을 모두 이용하여 하나의 종합적인 framework로 결합하였다는 것이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기존의 두 가지 연구인 optical flow 기반 프레임 합성과 CNN 기반 합성 프레임 합성법을 처음 결합시킨 방식이다. 실험은 다양하고 복잡한 데이터 셋으로 이루어졌으며, 보간 프레임 quality 와 optical flow 계산 정확도 측면에서 기존의 state-of-art 방식에 비해 월등히 높은 성능을 보였다. 본 논문의 후 처리를 위한 심층 비디오 프레임 보간 네트워크는 코딩 효율 향상을 위해 최신 비디오 압축 표준인 HEVC/H.265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실험 결과는 제안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Block-based hierarchical motion estimations are widely used and are successful in generating high-quality interpolation. However, it still fails in the motion estimation of small objects when a background region moves in a different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motion of small objects is neglected by the down-sampling and over-smoothing operations at the top level of image pyramids in the maximum a posterior (MAP) method. Consequently, the motion vector of small objects cannot be detected at the bottom level, and therefore, the small objects often appear deformed in an interpolated frame. This thesis proposes a novel algorithm that preserves the motion vector of the small objects by adding a secondary motion vector candidate that represents the movement of the small objects. This additional candidate is always propag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layers of the image pyrami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termediate frame interpolated by the proposed algorithm significantly improves the visual quality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MAP-based frame interpolation. In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 a repetition pattern in an image makes it difficult to derive an accurate motion vector because multiple similar local minima exist in the search space of the matching cost for motion esti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motion estimation in a repetition region, this thesis attempts a semi-global approach that exploits both local and global characteristics of a repetition region. A histogram of the motion vector candidates is built by using a voter based voting system that is more reliable than an elector based voting system.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outperforms the previous local approach in term of both objective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and subjective visual quality. In video frame interpolation or motion-compensated frame rate up-conversion (MC-FRUC), motion compensation along unidirectional motion trajectories directly causes overlaps and holes issues. To solve these issues, this research presents a new algorithm for bidirectional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 Firstly,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bidirectional motion vectors from two unidirectional motion vector fields (forward and backward) obtained from the unidirectional motion estimations. It is done by projec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vectors into the interpolated frame. A comprehensive metric as an extension of the distance between a projected block and an interpolated block is proposed to compute weighted coefficients in the case when the interpolated block has multiple projected ones. Holes are filled based on vector median filter of non-hole available neighbor blocks.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existing MC-FRUC methods and removes block artifacts significantly. Video frame interpolation with a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s also investigated in this thesis. Optical flow and video frame interpolation are considered as a chicken-egg problem such that one problem affects the other and vice versa. This thesis presents a stack of networks that are trained to estimate intermediate optical flows from the very first intermediate synthesized frame and later the very end interpolated frame is generated by the second synthesis network that is fed by stacking the very first one and two learned intermediate optical flows based warped frames. The primary benefit is that it glues two problems into one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learns altogether by using both an analysis-by-synthesis technique for optical flow estimation and vice versa, CNN kernels based synthesis-by-analysis. The proposed network is the first attempt to bridge two branches of previous approaches, optical flow based synthesis and CNN kernels based synthesis into a comprehensive network. 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various challenging datasets, all showing that the proposed network outperforms the state-of-the-art methods with significant margins for video frame interpolation and the estimated optical flows are accurate for challenging movements. The proposed deep video frame interpolation network to post-processing is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the coding efficiency of the state-of-art video compress standard, HEVC/H.265 and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network.

      • Framing migrant issues in European media :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news frames in Slovak and Hungarian newspapers

        Barinakova Petra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In 2014, the first wave of migrants arrived at the coast of Greece. Later, more boats came to different countries of Europe, however, Greece suffered the most in terms of numbers of incoming migrants. Most of them were heading towards the north of Europe, to such countries as Germany or to Scandinavian region. As this crisis arose, the representatives of the European Union had to react. As a result, they concluded to help Italy and Greece with mandatory quotas for countries: each country on EU, based on their size and population, must take certain number of migrants into their care. Some countries approved and some others, such as Slovakia, Hungary, Poland and Czechia raised their voices against. Hungary faced the flow of migrant for almost a year. As the situation was getting more severe, the government decided to build a wall on the Southern borders. In 2018, Hungarian government passed a law officially called ‘Stop Soros’ which, simply said, “criminalizes any individual or group that offers to help an illegal immigrant claim asylum” (The Guardians, 2018). Moreover, the president of Hungary and his party has taken over majority of media outlets in the country, especially newspapers. Most of non-government and liberal media are oriented towards the Internet and due to financial issues, many of them have problems to survive. Slovakia has not admitted any law which is connected to the migrants yet. The country accepted to help Austria with accommodating, in total, more than 1200 migrants. As soon as Austria could handle the incoming number of migrants, they did not ask Slovakia for more help. As these countries experienced the migration crisis differently, this study focuses on the frames used in representative newspapers, two newspapers per country. One liberal and one conservative were chosen. The Slovak representative newspapers are SME (liberal) and Pravda (conservative), and Hungarian representative newspapers are Index (liberal) and Magyar Hírlap (conservative). This study, by using five frames‘ division (Semetko & Valkenburg, 2000) and Iyengar frames (1994), is trying to found out the usage of frames in articles, which deals with the migration issue in mentioned newspapers in the period between 2014 and 2019 with sample of articles from two different weeks per a year.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RQ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content and tone of articles? RQ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erms of using content frames (conflict frame, human interest frame, economic consequences frame, morality frame, and responsibility frame)? RQ 3: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erms of using Iyengar’s episodic and thematic frames? The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newspapers’ online database, and there are 323 articles in total. These articles were coded by three different coders. And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for getting Chi square, ANOVA and post hoc Scheffe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iberal and conservative newspapers in every type frame, Semetko and Valkenburg division of frames (2000) as well as Iyengar frames (1994). However, there was no proof of a strong significance between countries. The significance in responsibility and morality frames was the only difference detected among these countries’ two newspap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lovak and Hungarian studied newspapers did not differ in reporting migration issue. 2014년에 이주자의 첫 파도가 그리스 해안에 도착하였다. 나중에 더 많은 배가 유럽으로 들고 있었으니, 그리스는 많은 수의 이민자들로 인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나라였다. 대부분은 유럽 북부, 독일이나 스칸디나비아 국가들로 향하였다. 이 위기가 시작됐을 때 유럽연합의 대표는 반응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의무적인 이주자의 쿼터(quota)를 정합으로 이탈리아와 그리스 국가를 도와주겠다는 결론 내렸다. 유럽연합의 각 국가들은 그들의 면적과 인구에 근거하여 일정한 수의 이주자들을 책임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슬로바키아, 체코, 폴란드 및 헝가리는 이러한 할당량에 반대하였다. 그들은 위기의 남은 기간 동안 불법 이민자들의 입국을 거부하는 자들로 내세웠다. 헝가리와 달리 슬로바키아는 우크라이나 난민을 제외하여 영토를 건너는 이주민을 경험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신문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 나라의 신문 2편 (진보 1편, 보수 1편)이 뽑혔다. 슬로바키아 대표적인 신문은 SME(자유적인)와 프라브다(보수적인)이다. 헝가리 대표적인 신문은 인덱스(자유적인)와 Magyar Hírlap (보수적인)이다. 이 연구는 5 개의 프레임 구분 (Semetko & Valkenburg, 2000)과 아이옌가르의 프레임 (1994)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기사의 기간은 2014 년과 2019 년 사이로 설정되며 1 년에 2 주의 기사를 샘플로 삼았다. 따라서 제시된 연구 문제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기사의 내용과 색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2: 아이옌가르의 에피소드(episodic)와 주제 프레임 사용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콘텐츠 프레임(갈등 프레임, 인간 이익 프레임, 경제적 손실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 프레임)의 사용 측면에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기사들은 총 323개의 기사로 온라인 기록 보관소에서 검색되었다. 기사는 세 명의 코더에 의해 코딩되었다. 신문별도, 나라별도, 정치적 성향별도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분포(Chi squared distribution), 변량분석 (analysis of variance, ANOVA) 및 사후검증 (post hoc Scheffe test)를 IBM SPSS Statistics 25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는 모든 종류(이옌가르 프레임(1994년) 및 세메토와 발켄부르크의 프레임 분할, 2000년)의 프레임에서 진보적인 신문과 보수적인 신문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국가들 사이에 강한 의의는 증명되지 않았다. 책임과 도덕적 프레임의 중요성은 두 나라 신문이 발견한 유일한 차이였다.

      • 갈등 이슈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유형의 차이가 적대적 미디어 지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홍콩 시위 사건을 중심으로

        PIAO JINZ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적대적 미디어 지각과 프레임의 유형에 초점을 두어 일화적 프레임/주제적 프레임과 원인 프레임/결과 프레임으로 유형화된 미디어 프레임 내용 설계로 실험연구를 통해 수용자가 보도 내용의 프레임 유형 차이가 있는 미디어 내용을 노출하였을 때 적대적 미디어 지각의 차이, 그리고 이런 적대적 미디어 지각이 홍콩 사람들에 대한 대화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보면 첫째로 주제적 프레임 보도 내용이 일화적 프레임 보도 내용 보다 홍콩 미디어에 대해 더 높은 적대적 미디어 지각을 일으켰고 원인 프레임 보도 내용이 결과 프레임 보도 내용 보다 적대적 미디어 지각을 더 높게 일으켰다. 하지만 프레임 유형이 상호작용으로 나타났을 때 적대적 미디어 지각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분석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로 적대적 미디어 지각이 대화 개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레임 유형의 상호작용에서 적대적 미디어 지각을 매개하여 대화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의미하였다. 그리고 주제적 프레임이 일화적 프레임 보다 높은 적대적 미디어 지각을 일으킴에 따라 홍콩 시민들에 대한 대화 개방성이 낮게 나왔고 원인 프레임이 결과 프레임보다 더 높은 적대적 미디어 지각을 일으키므로 홍콩 시민들에 대한 대화 개방성이 낮게 나왔다. 본 연구는 유형화된 프레임 미디어 내용 설계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여 차이가 있는 미디어 프레임 유형의 언론보도 내용이 적대적 미디어 지각 효과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고 수용자가 기존 미디어 이용형태에서 프레임의 유형 차이가 있는 기타 미디어 내용에 대한 노출로 인한 미디어 지각, 특히 적대적 미디어 지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가 보기 드물어 본 연구는 기존 연구현황에 대해 어느 정도 보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적대적 미디어 지각 하에서 대륙 사람들이 홍콩 사람들에 대한 대화 개방성을 살펴보는 작업은 현재 대륙과 홍콩 양측 민중의 상황에 맞추어 현실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frame type, and media frame content design categorized into episodic frame/thematic frame and cause frame/result frame. When the contents were exposed, the differences between hostile media perceptions and the effects of these hostile media perceptions on the openness of dialogue to Hong Kong people were examined. As a result, first of all, thematic frame report content caused a higher hostile media perception of Hong Kong media than the episodicl frame report content, and the cause frame report content caused a higher hostile media perception than the result frame report content. However, the analysis of how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effect appear when the frame type appeared as an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hostile media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alogue openness. Lastly, in the frame-type interaction, the effect of mediating hostile media perception on dialogue openness was meaningless. And as thematic frame caused a higher hostile media perception than the episodic frame, the openness of dialogue to Hong Kong citizens was low, and the cause frame caused a higher hostile media perception than the resulting frame, resulting in low dialogue openness to Hong Kong citizen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with the design of the typed frame media content, and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the media coverage content of the different media frame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hostile media perception effect.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media perception, especially hostile media perception, due to exposure to other media contents with different types are rare, so this study will have some meaning to complement the existing research status. In addition, under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the work of examining the openness of the people of the continent to the Hong Kong people will give realistic mean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eople of both continents and Hong Kong.

      • Frame rate up-conversion using Median Filter and Motion Estimation with Occlusion Detection algorithm : Frame Rate Up Conversion using Median Filter and Motion Estimation with Occlusion Detection

        NGUYEN DANG NGOC HAI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thesis proposes a new motion-compensated frame rate up conversion (MCFRUC) method. The quality of motion vector based interpolated frame is predominantly dependent on the accuracy of the motion vectors (MVs). The proposed method is presented by combining the median filtering with motion vector field (MVF) occlusion detection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MVF. Firstly, The MCFRUC estimates initial MVs between successive frames by using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BMA). After refining MVs by using symmetric motion estimation with MVF occlusion detection,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an intermediate frame between the successive fram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 MCFRUC methods in terms of PSNR (Peak Signal to Noise Ratio) and subjectively quality in interpolated frames. The average gain of PSNR is approximately 0.34 dB in the various test sequences regardless of video resolutions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움직임 보상 프레임 속도 상향 변환(MCFRUC) 방법을 제안한다. 프레임레이트 향상 방법은 모션 벡터 예측으로 보간 된 프레임으로 모션 벡터(MV)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다. 제안하는 방법은 모션 벡터필드(MVF)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값 필터를 이용하여 향상된 MVF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즉, 움직임 보상 프레임 속도 상향 변환(MCFRUC)은 블록 매칭 알고리즘(BMA)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프레임 사이의 초기 MV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제안하는 방법은 MVF occlusion 검출 대칭 모션 추정을 사용하여 최적의 MV를 결정 한 후, 연속적인 프레임 사이의 중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객관적 화질 및 주관적 화실에서 다른 MCFRUC 방법보다 더 나은 성능의 보간 방법으로 프레임레이트 향상이 가능하다.

      •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 프레임에 대한 고등학교 교장·교감의 반응 :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최예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igh school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reacted cognitively and emotionally to the frames in report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admission results as well as how they expressed their responses to parents, students, and the pres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Reports on SNU admissions refer to straight or feature articles on the results from each high school. These scores are released at the beginning of a new year and reflect "data on high schools of successful candidat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of 10 high schools. Each of these represented the highest ranked schools of 2017. Included in these numbers were SNU admission performance and 8 high schools, which did not send a student to the university. Of those schools, each varied in type from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s to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to general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reflected that the majority (16) of the participants reacted negatively to the frames in reporting SNU admission results. In particular, 9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from 10 independent private, foreign language, and general high schools that recorded good results of SNU admission voice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reporting frames. More specifically, the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of independent private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were unhappy with the result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articles described their schools as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college entrance exams only, rather than highlighting the results. Meanwhile, those at general high schools said that they felt a sense of deprivation to see that the majority of the highest performing schools were independent private or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This was even in lieu of the point that they also recorded outstanding results. The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who did not send any of their students to SNU, understandably displayed negative reactions to the reporting frames. Despite these comments, all of them remained passive when it came to expressing their reactions to parents.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of independent private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with excellent results did not offer a clear explanation to the parents. This could be because there were those who neither complained about a slight decrease in the results nor promoted the fact that their schools were near the top in all the reports. As for the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of general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with no student accepted by SNU, most of them did not feel the need to explain about the reporting frames to the parents.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ctive in exhibiting their reactions to their students, believing they could control them. Thus, producing an active response could lead their schools to be featured in the reporting frames as outstanding performers. However, this often resulted in providing educational guidance more for students who were good enough to enter SNU. While the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expressed discontent with how the resul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dmission were framed in reporting, they did little to stop the press in their reporting. The same was observed among the participants regardless of high school type or the results of admission to SNU. They thought many parents looked forward to reading articles on SNU admission results and since the University itself will disclose the data anyway, efforts to ask the press not to cover the results would be unwarranted.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were dissatisfied with and their anxiety increased by the frames of reporting SNU admission results. Yet, they did not aggressively show their reactions to parents or the press, rather only to students whom they could control. This indicates if the press does not change how they deliver their reports,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may be subject to greater pressure. After all, the press possesses an implicit social responsibility when forming the correct reporting frame as it determines how the recipients recognize and respond to their own reality. This study examined recipients of the frames in reporting SNU admission results, which was rarely attempted by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it performed a qualitative analysis of responses of recipients, who were affected by the reporting frames while other papers were primarily focused on "text analysis" or "recipient effect analysis." By doing so, it made suggestions for the press on how to improve their reporting frames. 본 연구는 고교 교장·교감이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 프레임에 영향 받은 뒤 인지·감정적으로, 또 학부모·학생·언론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는 서울대가 연초에 공개하는 ‘합격자의 출신 고교별 현황 자료’를 반영해 고교별 서울대 진학 실적을 다룬 스트레이트 또는 기획 기사다.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 대상자를 2017학년도 서울대 진학 실적이 상위권인 고교 10곳과 없는 8곳의 교장·교감으로 정하고 소속 학교는 각각 자사고, 외고, 일반고를 두루 선택했다. 심층인터뷰 결과 교장·교감의 대부분(16명)이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 프레임에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서울대 진학 실적이 좋은 자사고, 외고, 일반고 10곳의 교장·교감 중 9명이 보도 프레임에 불만을 표했다. 자사고와 외고의 교장·교감은 학교의 서울대 진학 실적이 좋은 것으로 홍보되는 것보다 입시기관처럼 비춰지는 데 대한 불만이 많았다. 일반고 교장·교감은 서울대 진학 실적이 좋아도 보도 프레임에서 우수한 학교의 절대 다수가 자사고와 외고로 나오면서 느끼는 박탈감을 토로했다. 서울대 진학 실적이 없는 일반고의 교장·교감은 당연히 보도 프레임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장·교감은 학부모에 대해서는 소극적 반응을 보였다. 서울대 진학 실적이 높은 자사고와 외고의 교장·교감은 서울대 진학 실적이 조금 떨어진 데 대한 학부모의 항의에 적극 해명하거나 학교 실적이 높게 보도된 것을 홍보하지도 않았다. 서울대 진학 실적이 없는 일반고와 외고의 교장·교감은 학부모에게 보도 프레임에 대해 설명할 필요조차 못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반면 교장·교감은 학생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응했다. 학생은 학부모와 달리 자신이 통제할 수 있고, 적극 대응하면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 프레임에서 우수한 학교로 나올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서울대에 진학할 만한 학생 위주로만 진로 지도를 하는 문제로 이어지기도 했다. 교장·교감은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 프레임에 불만이 많지만 보도가 나오지 않도록 언론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다. 이는 소속 학교 종류나 서울대 진학 실적에 관계없이 동일했다.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가 나오는 걸 바라는 학부모가 많고, 서울대가 어차피 자료를 공개할 거라 언론에 보도하지 말라고 요구하는 게 무의미하다고 생각해서다. 결론적으로 고교 교장·교감은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 프레임에 불만을 느끼고 스트레스도 받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학생을 제외하고 학부모나 언론에 대해서는 보도 프레임에 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다. 이는 언론이 보도 프레임을 바꾸지 않으면 교장·교감의 감정적 스트레스가 더 커질 수 있음을 뜻한다. 언론은 수용자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결정짓는 보도 프레임을 올바르게 형성해야 할 사회적 책임도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찾아보기 어려운 서울대 진학 실적 보도 프레임에 대한 수용자 연구를 수행했다. 또 ‘텍스트 분석 연구’나 ‘수용자 효과 연구’ 중심이던 보통의 프레임 연구와 달리 보도 프레임에 영향 받은 수용자의 반응을 질적으로 분석했다. 언론이 참고할 만한 보도 프레임의 개선 방향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