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대학 사이버강의를 중심으로

        朴太洙 韓國外國語大學校 世界經營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에는 일반대학 사이버강의를 대상으로 학습자인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교의 고객인 학생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학습만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연구결과는 사이버강의를 계획 또는 운영하고 있는 교수자 그리고 관련 행정실무자에게 필요한 지침이나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e-Learning기반 초등 영어 수준별 과제(task) 구성의 적용 및 효과

        조혜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9

        최근 e-Learning과 같은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학습자 개개인의 흥미와 특성을 고려한 기회의 장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또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시키면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 중심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심화·보충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e-Learning기반 수준별 과제를 구안하고 과제 중심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여 학습자들이 영어 수업에 보다 더 활발하게 참여하게 하고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준별 과제는 어떤 것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질성 검사를 거친 부산시 소재 J초등학교 5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쳐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준별 학습과 과제 수행형 학습에 대한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해 초등영어 과제의 유형과 과제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즉, 과제 복잡도, 과제 조건, 언어적 복잡도를 고려하여 e-Learning기반 수준별 과제를 구성하였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 5학년 교과서에 근거하여 e-Learning기반 과제 중심 수준별 수업을 전개해 나갈 수 있도록 차시를 재구성하고, 각 차시에서 구성한 과제를 활용하여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수준별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들의 정의적, 인지적 영역의 검사지로 양적 분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교사의 면담 및 학생 소감문 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기반 과제 중심 수준별 수업은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인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자기주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과제들을 e-Learning과 연계하여 수준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키고 영어 학습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e-Learning기반 과제 중심 수준별 수업은 학습자들의 인지적 영역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와 함께 자기 평가나 질문지를 통해 실제 영어 사용 기회 및 언어 기능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e-Learning기반 과제 중심 수준별 수업을 통한 교사 면담 및 학생 소감문 분석, 교사 일화 기록지등의 질적 분석 결과 학생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제시해 주어 수준이 서로 다른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성취 정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e-Learning기반 과제 중심 수준별 수업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과제를 적절하게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하고 과제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인들에 대한 연구와 우리나라 초등학교 상황에 알맞은 e-Learning 기반 과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e-Learning 활용 만족도 연구 : 울산지역 고등학교 중심으로

        김용섭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Internet, which has altered the aspects of our lives so markedly, has also brought big changes to the education industry, with e-Learning as an education medium. In spite of its short history, e-Learning has developed rapidly with development of the computer technology. As the government commenced the EBS lecturing system on February 17 as a core strategy of e-Learning in order to save the cost of private lessons, peoples' interest in e-Learning has increas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 will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future inevitable expansion of e-Learning after looking into the e-Learning application satisfaction issue.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are the students in high schools who are spending so much money on private lessons. I have conducted research into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recognizing and utilizing the e-Learning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I have survey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 with the level of classifications by gender and school year in high school. First, I surveyed the IT system infrastructure to operate e-Learning and also students' ability to use computers. I examined how much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e-Learning is, according to their ability levels. Second, I examined students' general knowledge of making use of the Internet as a tool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e-Learning. Third, I looked into students' general awareness of e-Learning and its purpose in education and how they are satisfied with it. Fourth, I examined their satisfaction with e-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s how they can use it. Fifth, I looked into how they were satisfied with e-Learning according to the rate scale in each questionnaire. The abov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265 students of two boys' high schools and the girls' high schools. I used of EXCEL, SPSS statistics program to process data. To summarize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mor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computers and the internet,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e-Learning. Students usually use computers for games and entertainment on the Internet. The students who use computers for games and entertainment only are not satisfied with e-Learning very much. Even though it has still not been proved that teaching with the use of computers is efficient for improving student grades, most students have become interested in learning with computers. When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internet and spend more time using computers, they become more satisfied with e-Learning. My research indicates that half of the students of the surveyed group used the internet for over 5 days each week. Even though they do not use e-Learning very much, two-thirds of them realized that they really do need e-Learning. They think that e-Learning has the merit of being easy to access for learning whenever they want. Also, they feel that they can control how much they want to study and when they will study with e-Learning. To support our public education system, I believe that we really need to introduce e-Learning - not just for the temporary expedient of sav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cost of private lessons. To keep students attracted to e-Learning, its material must be interesting. Also, it is vital that students are able to have so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ccess to e-Learning teachers such as e-mail or telephone, when they need to ask questions. This study serv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cupuncture(AP) at palpebral acupoints on serum gastrin concentration. Twenty-three clinically healthy mongrel dogs, range 1 to 4 years and 3 to 15 kilogra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n-acupoint group (n=5) and Stomach/Spleen region group(n=6) stimulated around both orbit by palpebral AP. In addition, 12 mongrel dogs were used for comparison between AP at palpebral acupoints and body AP.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L21 by body AP group (n=6) and Stomach/Spleen region group(n=6) stimulated around both orbits by palpebral AP. Serum gastri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0, 30, 60 and 120 minutes after treatment in both non-acupoint and Stomach/Spleen region groups. A significant decreases in serum gastrin level was detected at 30 min after palpebral AP when compared with that of non-acupoint group(p<0.05). Serum gastrin concentration with palpebral AP at Stomach/Spleen region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60 min(p<0.05) and 120 min(p<0.01) compared with that of the AP at BL21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 at palpebral acupoints on the change of gastric contraction, 24 clinically healthy mongrel dogs, range 1 to 4 years and 3 to 15 kilogra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garding feeding condition; non-acupoint group(n=6) and Stomach/Spleen region group(n=6) were stimulated by palpebral AP. In addition, 12 dogs were fasted for 24 hour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non-acupoint group(n=6) and Stomach/Speen region group(n=6) was stimulated by palpebral AP. The change in frequency of gastric contraction was measured via abdominal ultrasound before, 0, 30, 60 and 120 minutes after AP at palpebral acupoi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at 30 min(p<0.05), 60 min(p<0.05) and 120 min(p<0.01) in the Stomach/Speen region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non-acupoint group in feeding condition.

      • e-learning 사이트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interface 사용성 연구 : 국내 S사 포토샵과정 학습창의 interface 중심으로

        이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21세기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정보의 양과 급변하는 사회,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인터넷 1등 국가로 검증될 만큼 인터넷이 일반화되어 있고, 첨단 정보통신 공학의 발달은 교육대상, 시간, 장소, 교육 방법 면에서 일대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특히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각자의 능력과 특성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교육환경을 가능하게 해 줌으로써 열린 교육 환경, 평생학습 사회의 실현을 앞당겨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초, 중, 고교생을 위주로 한 학교 수업과 연관된 웹사이트는 물론 성인의 재교육을 위한 웹사이트가 다양하게 생겨나고 있지만 많은 학습자들은 아직까지 집합교육보다 e-learning을 통한 학습에 대한 불편함과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 이는 e-learning 의 학습이 집합 교육에 비해 아직 익숙하지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학습내용이 학습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의 인터페이스의 불편함도 있기 때문이다. 집합교육에서의 대면학습만큼, 웹사이트상의 정보설계와 사용자중심 인터페이스의 구현은 학습자에게 학습의 효과를 올리는 주요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고, 학습효과를 높이고 해당 웹사이트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비중 있는 요소가 될 것이다. 웹사이트 및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인터넷을 통한 교육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e-learning 사이트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고, e-learning 사이트에 학습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온라인 교육 사이트를 웹사이트의 교육 컨텐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e-learning 사이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존의 일반 사이트에서 벗어나 폭 넓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무료서비스로서의 인식이 자리잡은 현재의 위치에서 가장 앞서 유료화라는 큰 걸림돌을 넘어서고 있기에 사용자 만족차원에서의 사이트 사용성 점검이 대두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재교육과 평생교육이 점차 일반화로 인식되어가면서 e-learning 사이트를 통한 학습은 점점 일반화되어 가고있기에 사용성 활성화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e-learning 사이트의 학습창들은 많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효과 증대를 위한 온라인 교육 웹사이트 학습 창 디자인을 모색하기 위하여 사용자 조사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안을 도출하고, 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e-learning 사이트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얻어지는 개선 방안은 앞으로 e-learning 사이트를 구축, 운영하려는 개발자에게 일종의 체크리스트의 역할과, e-learning사이트의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학습창 인터페이스 사용성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e-learning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creasing information by geometric progressio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new technology development is changing our daily life in the 21st century. Moreover in Korea, the Internet has prevailed and the newest development has brought innovation through cutting edge information technology in its education target, place, time, and method. Especially, technology development based on networks can make learners choose their own study time and place, which can make ope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ifetime education possible. The number of modern people who study on the web is increasing rapidly. There has been increase of websites related to school subjects and also adult education. But it's true that many learners feel uncomfortable about e-learning because they're not familiar with it and there are also inconvenient interfaces. Information architecture and interface for users can be a major facto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in education and they can also be important factors to make profits. There is keen competition in the e-learning industry by explosion of websites and for users and not only educational contents but also design studies for convenient interfaces a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Furthermore there are attempts to offer wide and various contents. Pay(charge) service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obstacles to succeed in business, which is being fixed gradually. That is why it is time to examine interfaces for user satisfaction. Especially, re-education and lifetime educations have been gradually generalized and user interface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subject, however many e-learning websites still struggle with the problems they have with i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on online educational websites and find out how to resolve them for searching effective interface design. A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lso improve interface usability with evaluation data on Korean e-learning websites. I hope the proposal of this study will not only be checklists for e-learning website developers and managers but also be a guideline on interface design for e-learning websites that try to offer effective usability through interface usability researches.

      • E-learning 평가 시스템 및 제반 서비스에 관한 연구

        박복련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9

        정부는 사교육비를 줄이는 특단의 대책으로 EBS 수능 강의를 2004년 4월 1일부터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 통신망과 멀티미디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환경이 급속하게 학교와 가정에 확대되어 앞으로의 교육은 전통적인 교육과는 달리 컴퓨터 통신을 이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e-Learning교육이 본격화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e-Learning 교육 시스템을 살펴보면 각종 멀티미디어 자원을 이용한 교육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아직 e-Learning 학습 평가 영역은 적절한 평가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시스템은 기존 원격교육의 학습평가 시스템에서 미흡한 개인별·소속별·도단위별·전국단위별 성취도를 제공하고, 평가 결과를 제반 서비스(메일, 문자메세지, 모바일)를 통해 다양하게 전달하여 e-Learning 학습 평가 중에서도 특히 EBS수능 청취의 성취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손쉽게 측정 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The government has started the broadcasting lecture of EBS for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since April of 2004, which is a special alternative for reducing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As computer environment at school spreads in a short time, which i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ultimedia technology, "e-Learning" will be expanded, in which teachers and learners are separated in time and space and they can study whenever and anywhere by using computer communication. However, the test area of e-Learning is not presented in an appropriate test instrument. This system will show learners’ accomplishments in a person, organization, province, and nation unit, which is not fully satisfied in the present test system of "e-Learning." This study will show a test system that measures accomplishment in listening of EBS for Scholastic Ability Test that teachers can test easily by sending general and various services (e-mail, message, and mobile etc.).

      • e-Learning 사이버 가정학습의 실태 및 효과에 대한 연구

        임채현 창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investigations and analyses in this study included: how students think about e-learning at home using their computer(recognition)? how much e-learning at home had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s? does e-learning cyber study has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e-learning classes and the classes in school in terms of achievement? and, how students are content with it? For those, the study had three step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at the first step showed a little bit lower contention with and use of e-learning at home, while they showed a higher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and higher achievement. At the second step, a group A of observed students showed more significant outcome than a group A of compared students, in terms of achievement and contention. And, at the third step, a group B of observed students, who got e-learning had higher performance on average by 10 points than a group of compared students who didn't get e-learning, an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rm between each group was significant. However, the improvement on achievement in a group B of observed students which was estimated by the rates of participation in e-learning at home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tudents who experience with e-learning are higher achievement than the students who don't experience, reflecting significant effect of the class of which I am in charge. On the other hand, except for recognition and achievement, use and contention weren'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in order to reduce the cost for private education and protect the students who are isolated from having access to more qualitative education, which are a motto of e-learning, e-learning cyber study is expected to have a new alternative. And in this paper, we are suggest 6 measures to improve this alternative.

      • e-Learning에서 學習者의 學習行動과 學業成就度와의 關係 : 韓國産業人力公團의 成人敎育 프로그램 學習參與者를 中心으로

        김시태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사회환경 변화와 함께 시도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e-Learning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최신 정보와 기술을 실시간에 전 세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하"공단"이라한다)에서 학습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시범적으로 실시 중인 사이버교육훈련 학습자 관리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습형태, 학습소요시간, 학습시간대, 토론방참여도, 반복학습정도,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분석하여 원격교육훈련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공단과 e-Learning 실시기관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03년 3월 3일부터 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제작 전문가과정의 멀티미디어 개론과목과 소비자 전문상담사 과정의 소비자와 시장과목에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이버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311명의 학습자중 응답자는 120명으로 응답회수율은 38.5%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측정도구는 연구대상 2개 과목의 교수자 즉 사이버강사에게 수업시간에 다루어진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문항을 작성케 하여 사이버에 서 평가한 성적을 활용하였고, 학습형태, 학습시간대, 반복학습정도, 학습만족도는 설문도구에 의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습소요시간, 토론방참여도는 학습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자료를 SPSS 10.0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형태, 학습소요시간, 학습시간대, 토론방참여도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반복학습정도와 학습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을 중심으로 한 e-Learning은 운영자, 교수자, 학습매체로 하여금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시켜 자주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참여토록 할 수 있다면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단의 e-Learning 사례에 국한하여 분석되었기 때문에 교수변인, 학습자변인, 그리고 과목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상황과 과목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한 유사연구들이 향후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In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regard, e-learning based on utilization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network is drawing attention in that most updated information and technology can be provided to learners from all over the world on real time by surpassing time and space restric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adult learners attending a pilot cybe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which is currently run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HRD Korea). Various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learners, learning type, duration, time-frame,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frequency of repetition, satisfaction level etc.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results are project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institutions including HRD Korea that are involved in distance learning and cyber education. For this study, two courses (①An overview on multi-media and ②consumers and market), which have been started from March 3, 2003 were selected. Targeting 311 participants of the two courses, a cyber opinion poll was conducted. Out of 311 participants, only 38.5%(120 persons) has responded ending up with a low collection rate. To gaug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est results based on cyber evaluation by instructors of the two courses were utilized. A cyber questionnaire was sent in order to get information on learning method, duration, frequency of repetition and satisfaction level.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learning duration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were based on database for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and ANOVA techniques by utilizing the SPSS 10.0 Windows program. This study has sho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character of population sociology of learners did not take significant valu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was proved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socio-demograp hic features has a slight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Tha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duration, learning time-frame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was significant. Thirdly, it was shown that frequency of repetitive learning and satisfaction level did not affec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e-learning for adult learners is foreseen to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provided that system operators, instructors and learning aids can motivat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on their own. Lastly, as this study was focused on e-learning case of HRD Korea, variants in instructors, learners and courses can generate different results. Therefore, it seems unreasonable to generalize this study result. All in all, it is deemed necessary that similar works should be continuously done to make this study more feasible and significant.

      • 블랜디드 러닝을 통한 e-Learning이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종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emergence of e-learning has created a change of focu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Now, the focus is a self-learning initiative, which disregards time and space. Today, e-learning is in the education system's spotlight. However, there is a disconnect between the e-learning teachers goals and those of learners. E-learning research looks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blended learning, a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styles complement each other and help keep tuition reasonable. This research on the blended learning paradigm seeks to maximize the learning experiences for a variety of levels, as well as determine the optimal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The first research done on the effect of e-learning when paired with offline learning, this study only scratches the surface of the topic. The participants were 200 students at a women's vocational high school. Although 199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15 had to be excluded, thus 18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output. The output were processed in SPSS 12.0. Each of the survey questions were entered into SPSS 12.0 to calculate validity and reliability factors, an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verif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blended learning, a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E-learn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learning styles, upholds our principle objective of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learning. Traditional classroom learning should be paired with e-learning, where professors upload course content onto the web. In such a way, the self-learning initiative will be successful. Further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learning should be conducted. Moreover, e-learning equipment and the introduction of this paradigm at other schools should be made constantly. e-Learning의 등장으로 교육적 패러다임은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전환되고 있다. 오늘날 이러닝은 최적의 교육 시스템으로서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 교수·학습방법들이 천편일률적으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만을 강조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러닝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 운영이 필요하다. on-off 두 공간에서의 활동이 상호보완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질 때 보다 만족스러운 수업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혼합적인 패러다임 속에 등장한 블랜디드 러닝은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방법과 전달기제의 조합으로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려는 설계전략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랜디드 러닝을 통한 이러닝이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들을 설정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실업계 S여자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199부의 설문지를 회수했으며, 이중 설문 응답이 불성실한 15개를 제외하고 184개의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처리는 통계분석시스템인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러닝 서비스 현황은 빈도분석(빈도, 백분율)을 하였고, 각 설문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과 Cronbach Alpha 계수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모형 내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에 기반을 둔 분석 결과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편의성과 블랜디드 러닝에 제공한 컨텐츠의 품질, 다양한 매체의 풍부성, 강의 내용,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정도에 대한 내용과 학습자의 학습 효관간에 상관관계 있음을 보여 준다. 블랜디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가 거는 기대로 학습에 대한 만족이 증가되어 학습효과를 높여 준다는 결과가 나왔다. e-Learning에서 블랜디드 러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러닝 실행 주체의 역량을 강화하고 객관적인 여건을 정비하고 확충해야 한다. 또 전통적 교실학습에서 볼 수 있는 교수·학습자의 상호작용과 강의 내용이 웹상으로 올려진다면 자기주도적 학습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블랜디드 러닝으로 발전하려면 더욱 친숙한 이러닝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결국은 블랜디드 러닝을 통한 이러닝이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미치려면 이러닝 장비와 프로그램의 보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How Do Implementation Efforts Relate To Quality E-Learning: Examining Factors That Influence E-Learning Implementers in Fiji

        빌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e-learning succession model posits that the success of an e-learning initiative depends on the stages of e-learning system development: system design, system delivery and system outcome.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addressing these three stages but limited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specifically address issues on implementer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t factors that will influence e-learning implementers in developing a quality e-learning system. To that end, a cross sectional study with simple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in Fiji to examine these different factors. The survey questionnaire instrument based on Ability Motivation Opportunity (AMO) theory, Leadership and Quality of E-Learning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200 e-learning implementers. This sample consisted of 10 e-learning implementers from the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and 190 from Fiji National Univers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peculiarity and dispersion of the various factor drivers for e-Learning implementers.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se different factors. The intended outcome posited that the higher the ability, motivation, opportunity, the more this will influence quality e-learning implementation. It was also posited that Leadership will play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f the implementers and the quality of e-learning system. Findings from this research would add to the current literature and would be very valuable to academics and practitioners of e-learning.

      • E-learning을 활용한 히라가나·가타카나 지도법 제고 : 학습 사이트 분석을 중심으로

        박수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9

        외국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필요한 사항의 하나인 목표언어의 문자습득은 가장 최초로 이뤄지는 학습이다. 목표언어의 문자를 완벽하게 학습하지 않으면, 그 밖의 어휘, 문법, 담화, 문화, 문학 등으로 학습의 연계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일본어 문자학습은 교수자가 교재를 통하여 히라가나, 가타카나 문자를 제시하고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암기하는 방식이 일방적이었다. 결국 문자학습은 학습 개인의 몫이었다. 실제로 상당수의 학습자들이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암기 도중에 학습을 포기해버리는 경우도 다수 발생한다고 한다. 이러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어떠한 방법으로 가르치는가에 따라서 학습자들은 일본어 학습에 더욱 흥미를 느껴 중급·고급으로 학습이 진행되어 갈 수도 있는 반면, 어려움과 부담을 느껴 학습의 포기로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학습에 있어서 다양한 교구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E-learning을 활용한 수업이 기존 수업에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고에서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학습시에 E-learning을 활용한 수업에 필요한 콘텐츠인 학습 사이트를 분석해 교수자는 물론 학습자가 학습수준 및 관심도에 따라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학습에 필요한 사이트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 사이트는 국내, 일본, 영어권으로 분류하여 각 사이트의 내용 구성 및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 학습 사이트는 검색사이트에서 ‘일본어’, ‘일본어 공부’, ‘일본어 학습’, ‘히라가나’의 검색어로 검색된 국내 사이트를 선택하여, 그 중에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학습에 중점을 둔 사이트를 9개 선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일본 사이트는 검색 사이트에서 ‘일본어 교육’, ‘ひらがな’의 검색어로 검색된 사이트 중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학습에 중점을 둔 사이트를 5개 선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영어권 사이트는 www.sabotenweb.com에서 ‘Japanese language learning tolls on web’에서 ‘Kana’파트에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학습에 중점을 둔 사이트를 6개 선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교수방법과 학습요소에 따라서 재분류한 결과를 살펴보면 국내 사이트의 경우 E-learning을 활용한 여섯 가지 교수 방법 중 개인교수형에 속하는 사이트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일 한자문화권인 만큼 히라가나의 유래까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점은 영어권 사이트와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일본 사이트 분석 대상도 국내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개인교수형에 속하는데, 이는 대다수의 사이트가 유아용으로 제작된 코스웨어이기 때문이다. 유아용으로 제작된 만큼 유아에게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새로운 지식을 전달하기 위함을 알 수 있다. 영어권 사이트는 게임형에 속해 있는 사이트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한자문화권인 아닌 영어권 국가의 학습자들에게는 생소한 문자인 한자의 변환이 들어가 있는 유래와 같은 내용을 설명하기보다 는 게임을 통해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문자 자체를 익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학습요소인 문자설명, 음성제공, 필순, 발음의 특징, 유래 중 각각의 사이트가 어떠한 학습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각 국가별로 분류한 결과, 국내 사이트의 경우 모든 학습요소를 골고루 포함하고 있는 사이트가 대부분이었고, 일본 사이트의 경우 유아용 학습 사이트인 만큼 난해할 수 있는 문자설명이나 발음의 특징, 유래의 학습요소는 전혀 취하지 않고 있었다. 모국어 문자 습득이 목표인 만큼 음성과 필순에 중점을 두었다. 영어권 사이트의 경우 본고에서 제시한 학습요소에 전혀 포함되지 않는 사이트도 있었다. 이는 영어권 사이트가 게임형이나 반복연습형의 교수방법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이상의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는 학습자의 수준, 연령 및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학습 사이트를 선택하여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초기학습자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하게 일본어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Letter acquisition of target language as one of necessary mattersin learning foreign language is the learning carried out foremost. Incomplete learning of the letter of the target language makes it uneasy to link vocabulary,grammar,narrative,culture and literature. Thus,it is not overestimated to stress the weight of letter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diverse teaching materials to stop a learner from giving up Japanese learning with difficulty in the stage of letter study,for which this paper thinks E-learning based lesson an alternative to existing classes. To this extent,this article analyzed learners' site as a content necessary for the class using E-learning wot hiragana and gadagana, by which it accommodated teachers and learners to select necessary site in learning hiragana and gadagana according to learning level and concern. As for the learning site, the research brokedown the study site to home, Japan, and English zone and analyzed the content composition and feature of each site,and re-classified the analyzed results subject to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factor,with which the research strove to help beginner learners continue to study Japanese without losing interest through teacher taking into account learner's level, age and other factors, and selecting proper site and using it to les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