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유봉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3963

        이 연구의 목적은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창의적 사고력 증진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실험을 통해 구명하는 것이다. 그 목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약식 및 종합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이 브레인스토밍 기법들이 얼마만큼 창의적 사고력 증진의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약식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종합적인 기법과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인들의 증진 효과 면에서는 어떤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지 실험을 통하여 구명한다. 앞에서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집단 훈련을 받은 대상자들이 집단 훈련을 받지 않은 대상자들 보다 창의적 사고력의 증진을 보일 것이다. <가설 2> 종합적인 기법으로 집단 훈련을 받은 대상자들은 약식 기법만으로 집단 훈련을 받은 대상자들보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면에서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날 것이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의 증진을 가져온다는 선행 연구들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편의표집 하여 서울 시내 H대학교 공과대학 1학년 중 3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 집단은 실험 방법에 따라 둘로 나누어 제1실험집단은 약식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제2 실험집단은 종합적인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실험 사전·사후에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언어 및 도형)를 실시하여 두 기법을 비교·분석하여 효과의 차이를 구명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 수는 실험집단 100명과 통제집단 50명을 합하여 총150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미국에서 개발된 Torrance 채점 규준표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집단 간의 유사성 검증을 위하여 표준 점수를 계산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의 창의적 사고력 점수 차이는 t test를 통하여 실험 효과를 검증하였고 실험군에 따른 집단별 창의적 사고력 변화 비교를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들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레인스토밍 기법의 실험 전·후에 대한 효과 검증을 위해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사전·사후 검사(언어 및 도형)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의 점수는 사전 검사 보다 사후 검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사후검사에서 점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실험집단에서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면에서 창의적 사고력 사전·사후 평균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언어와 도형검사에서 실험집단 둘 다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많은 창의적 사고력 증진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제2 실험집단에서는 유창성, 융통성 및 독창성 면에서 더 높게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정교성 면에서는 실험 처치에 대한 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집단 훈련을 받은 대상자들이 그렇지 않은 대상자들 보다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보여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브레인스토밍 기법의 전체적인 이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하여야만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더 큰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 분명해 졌다. 제1 실험집단과 같이 약식 기법으로만 훈련을 받는 것보다는 제2 실험집단과 같이 종합적인 브레인스토밍으로 적극적인 훈련을 받고 활용하여야만 창의적 사고력 하위 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증진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집단 훈련을 받은 대상자들은 그렇지 않은 대상자들 보다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가져온다. 둘째, 종합적인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훈련을 받은 대상자들은 약식 기법으로만 훈련을 받은 대상자들 보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및 독창성 면에서 증진을 가져온다. 그러나 두 기법 모두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정교성의 증진은 가져오지 않는다. 앞에서의 결론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의 지속적인 연구에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브레인스토밍 기법의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남·여 성 비례·집단·연령에 따른 다양성과 균형을 갖춘 대상들에 대한 실험 연구가 요망된다. 둘째, 창의적 사고력 채점 및 자료 분석 도구는 미국인을 대상으로 창안된 도구이어서 국가 간 사고방식 및 문화 인종간의 차이가 있는 문화권, 특히 동양문화권의 특성들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그대로 번역하여 활용하는 것은 부적절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현실과 연령 발달 수준에 맞는, 그리고 포괄적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진단할 수 있는 다른 채점 및 분석 도구의 창안과 개발이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xperimentally whether the brainstorming method would enhance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intended to study how much the brainstorming methods would enhance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implementing both methods i.e., the streamlined method and the integrated brainstorming method, to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Second, the author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grated brainstorming method and the streamlined brainstorming methods in terms of their effects on sub factors for 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order to achieve above mentioned purpose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Hypothesis 1> Those who were trained in the brainstorming method will show greater 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than in those who were not. <Hypothesis 2> Those who were trained by the integrated brainstorming method will achieve higher scores for sub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than those who were trained by the streamlined brainstorming method. In order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which wer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evious study indicating that brainstorming method brings creative thinking ability enhance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3 classes of engineering division of H. University in Seoul at convenience sampling. The students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the first group instructed under the streamlined brainstorming method and the second group under the integrated brainstorming method. The author intended to measure differen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between the two methods by applying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Verbal and Figura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took place. The total number of experimental subjects were 150, consisting of 10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0 in control group. The standard scores were calculated so as to verify the similarities among the groups by using Torrance Normative Data, which was developed in the US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effects of brainstorming experiment a 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score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bo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Also,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among groups in creative thinking ability change according to experimental groups. Through these research procedure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showed a sequential increase i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ing the experiment but no change in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orrance Tests of Creative T hinking (Verbal and Figura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showed greater creative thinking enhancement in both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sub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Particularly, in the 2nd experimental group creative thinking score was increased more in the aspects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However, no effect was observed regarding the aspect of elab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thinking ability enhancement occurs more in those who were trained by brainstorming method than in those who were not.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more effect can be brought in creative thinking ability enhancement when the learners properly understand the whole theory of brainstorming method and utilize it effectively. For the enhancement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s sub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it seems that active training in and utilization of the integrated brainstorming method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streamlined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First, more creative thinking ability enhancement was observed in those who were trained by brainstorming method than in those who were not. Second, the integrated brainstorming method was obser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streamlined method in terms of enhancing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s sub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However, neither the streamlined nor the integrated method brought enhancement of elaboration as a sub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For the sake of further study some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basis of above mentioned conclusions. First, For the continued study of brainstorming method the experimental study of experimental groups which have diversity and balance in the mal e~ female sex ratio group age is needed. Second, since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scoring and the data analysis tools were invented for a US-based environment, certain cultural biases or shortcomings may have been reflected. In particular, the test may not have been ideally suited for an Asian population. A more appropriate analytical tool should be developed which would enable us to adequately assess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a Korean population.

      • Implementing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in an EFL classroom and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 focusing on digital storytelling

        김필애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3963

        Present study explored how L2 pre-service teachers engaged in the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in an EFL college children’s literature classroom, whether implementing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which was enacted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was effective to the development of the EFL pre-service teachers’ writ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nd how they perceived of the implementation of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in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employing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with multiple data resources such as pre- and post- test results, interviews, classroom documents, and course review surve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e pedagogical benefits in the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approach in the L2 classroo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English Stories and Creative Literacy,” which the teacher-researcher taught for one semester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In the expl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2 pre-service teachers’ engagement in the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in the EFL classroom using children’s literature, four themes emerged. First, the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classroom provided the learn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expand their notion of literacy. The notion of literacy was extended from the language skills development to the critical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guistic sign with other sign systems such as the visual images in a variety of multimodal texts toward meaning-making.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visual literacy, the teacher’s questioning strategy based on the four resources model (Anstey, 2008; Luke & Freebody, 1990; 1999) was found to be a very useful pedagogical strategy. In doing so, a variety of genres in children’s literature such as the postmodern picturebook, fairy tale parody, advertisement and film were used as the useful pedagogical resources. Second, L2 pre-service teachers utilized multiple signs as resources in their meaning making in their multimodal writing. In undertaking multimodal writing tasks, such as digital storytelling, they actively and purposefully integrated visual images, sounds or other multimodal design elements into the voice-over narration or into the written text as the cultural affordances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became the designers of meaning (Kress, 2003). Third,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classroom allowed L2 pre-service teachers to challenge the author’s positioning of the reader through creating an alternative multimodal text, becoming resistant and creative writers. In particular, students’ capability as the resistant readers was demonstrated in their reinterpretation of gender, which was represented in their digital story retelling. They also became creative writers by engaging in a variety of critical literacy strategies and transmediat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multimodal writings. Finally, EFL pre-service teachers could have the opportunity to engage in both traditional literacy and new literacy in the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classroom, which was enacted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tasks, including making a book trailer and digital story retelling. In the investigation on the pedagogical effect of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on the L2 pre-service teachers’ writing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ir writing ability was improved at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The findings attested the fact that critical multimodal approach to literacy learning can facilitate both traditional literacy and new literacy (Anstey, 2002; Lenters & Winters, 2013). In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implementing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activities on L2 pre-service teachers’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in particular, divergent thinking development,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found to be enhanc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 argued that participants’ creative thinking was facilitated with the aid of a varie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perspective-taking, switching strategy, transmediation that were employed in the digital story making processes. In the inquiry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n their engagement in the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activities in association with their creativity,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nd critical literacy development, most of them showed positive responses. The L2 pre-service teachers contended that thinking about a story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using switching strategy in creating scripts helped them generate ideas and think about the story creatively from a critical stance. They also reported that collaborative sharing of ideas and transmediation enacted by digital storytelling served as the facilitator to fostering their reading comprehension, writing ability, and creativity. Through the findings, current study argued that critical multimodal literacy can be a very effective pedagogical approach to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FL context for preparing L2 learners to become competent communicators in the ever changing social milieu with critical and creative mind.

      •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유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3946

        창의적 사고력은 개인의 창의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로 창의적 산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반이 된다. 창의적 사고력은 아이디어를 양적으로 많이 생성해내는 동시에 질적인 차원에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학습자가 이러한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할 때, 과제 자체가 지니는 복잡성 및 사고의 어려움으로 인해 작업기억에 인지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재 학교교육과정은 창의융합인재의 양성을 교육의 주요 목표로 삼아 학습자는 교과통합수업 등을 통해 학업과 창의적 수행을 병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는데, 이는 창의적 사고 활동을 할 때 인지부하의 가능성을 높인다. 인지과부하는 창의적 사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선행연구에서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할 때 인지과부하를 완충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교수설계, 학습전략 등 외재적 인지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창의적 사고로 발생하는 인지부하를 줄일 수 있는데, 다양한 창의적 사고 활동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온 마인드맵을 인지부하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마인드맵 지원 유형은 학습자에게 마인드맵 양식(tepmplate)을 부여하여 빈칸을 채워나가는 형태인 구조화된 마인드맵(mind-map template), 학습자가 주도하여 완성하는 기존의 마인드맵 형태인 비구조화된 마인드맵(classic mind-map)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고, 저)이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마인드맵 지원 유형 간 효과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본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창의적 사고력 과제 수행 시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고, 저)을 조작하여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따라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지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중학교 3학년 학생 150명이 참여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고, 저) 수준과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나누어진 6개 처치 집단 중 한 개의 집단에 무선 배정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사전 설문으로 창의적 자기효능감, 인지양식 등에 응답하였고, 본 과제 수행 전 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집단은 마인드맵 기법 훈련을 받았으며 마인드맵 없음 집단은 혁신에 관한 스크립트를 청취하였다. 이어서 인지부하 수준을 고, 저로 조작하여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 검사 과제를 두 차례에 걸쳐 수행하였다. 창의적 사고력 과제는 한국형 타당화된 창의적 사고력 검사도구인 i+3C 글로벌 재능 진단검사의 창의적 사고 검사 부분이며, 1차-아이디어생성력 영역, 2차-원격연합력 영역으로 구성되었다(이선영 외, 2018).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1차 과제인 i+3C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 아이디어생성력 과제에서는 창의적 사고력 점수에 대해 인지부하와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2차 과제인 원격엽합력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연합력 점수에서는 인지부하가 높을 때 구조화, 비구조화된 마인드맵 집단이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지부하가 낮을 때 비구조화된 마인드맵 집단이 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부하가 높은 상황에서는 마인드맵(구조화, 비구조화)이, 인지부하가 낮은 상황에서는 구조화된 마인드맵이 창의적 사고력에 혜택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인드맵을 사용이 선행지식과 새로운 주제와의 관계를 외현화하여 인출을 유도한 것이 인지부하를 줄이고, 더 필수적인 정보에 집중하도록 이끌어 창의적 사고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인지부하가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인(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한 결과, 원격연합력 1 유창성, 독창성 점수에서 인지부하와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부하가 높을 때 유창성 점수는 구조화 집단이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독창성 점수는 구조화 집단이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지부하가 낮을 때 유창성, 독창성 점수는 비구조화 집단이 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부하가 높게 부과되는 상황에서 구조화된 마인드맵이 마인드맵 기법 활용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인지부하를 감소시켜 유리하고, 인지부하가 낮게 부과될 때는 규칙, 규율, 위계화 등과 같은 구조화된 방식이 창의성 발현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실제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하는 교육 현장에서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에 따라 학습자에게 마인드맵 지원 유형을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1차 과제인 아이디어생성력 영역보다 2차 과제인 원격연합력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선행 지식을 인출하여 조합하는 것이 중요한 영역에서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an important indicator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serve as the basis for producing creative products. Creative thinking 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generate many ideas quantitatively while choosing new, useful ideas on a qualitative level. When learners perform these creative thinking tasks, the complexity and the difficulty of thinking of the task itself tend to cause cognitive loads in their work memories. Also,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uses the training of creative talent as the main goal of education and learners are required to combine academic and creative performance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classes,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overload when engaging in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Since cognitive overload is supported by prior research by negatively affecting creative thinking, measures are needed to buffer cognitive and overload when carrying out creative thinking tasks. In particular, the cognitive load generated by creative thinking can be reduced by using methods such as teaching design and learning strategy,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examined mind-map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oad, which have been used as a way to increase various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The type of mind-map support can be divided into structured mind-map, which fills the blanks by giving the learner a mind map form and classified mind map, which is an existing mind map form led by the learner. However, based on the lack of prior research by directl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differences between mind-map support types (structural, unstructured, and no mind-map) that cognitive load levels (high, low) on working memor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Furthermore, we wanted to explore how differently influences fluency, sophistication, and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e thinking. 15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six treatment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load (high, low) level and type of mind map support(structured, unstructured, no mind-map). Research participants responded to creative self-efficiency, cognitive styles by pre-surveying,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mind-map groups trained in mind-map techniques before performing the creative thinking task and the no mind-map group listened to scripts on innovation. The cognitive load level was operated low vs. high right before performing two creative thinking ability tests according to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structured, unstructured, and no mind map). The creative thinking tasks are part of the creative thinking test of the i+3C Global Talent Test, a Korean validated creative thinking inspection tool, consisting of the idea generation area and the remote-association area(Lee et al., 2018).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mind-map support showed that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working memory on creative thinking powe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In particular,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est idea generation task of i+3C show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cognitive load and mind-map support types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score, and that they were significant for the second task-remote association. In remote association scores,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mind-map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 no mind-map group when cognitive loads were high and the unstructured mind-map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tructured, no mind-map groups when cognitive loads were low. This means that mind maps(structured, unstructured) can benefit from high cognitive load conditions and structured mind-maps can benefit creative thinking power in low cognitive load conditions. That is, we suggest that using mind-maps to extrapolate prior knowledge from new topics to reduce cognitive load and increase the flexibility of creative thinking by focusing on more essenti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the creative thinking sub-factors (creativity, sophistication, originality) depends on the type of mind-map support(structured, unstructured and no mind-map), and the interaction of cognitive load and mind-map support types in remote association 1 fluency and originality scores is significant. When cognitive load is high, the fluency score i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unstructured, no mind-map group, and the originality score is higher than the unstructured, no mind-map group. On the other hand, when cognitive load is low, the scores of fluency and original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structured groups with no mind-map. This suggests that structured mind-maps are advantageous in the conditions where cognitive loads are high, reducing the unnecessary cognitive load required to utilize mind map techniques and that structured methods such as rules, discipline, and hierarchicalization can interfere with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when cognitive load is low.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lored way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by discriminately applying mind-map support types to learners according to cognitive load levels imposed on their working memories training sites performing real-world creative thinking tasks. It is also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we explore the different effects of mind-map support types in areas where collecting and combining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given that significant results have been found in the remote association area, rather than in the area of idea generation.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 수업을 위한 비주얼씽킹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고성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3882

        본 연구는 비주얼씽킹을 활용하여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비주얼씽킹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주얼씽킹을 활용한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수업 프로그램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에서는 내재적 동기, 개방성, 자율성 등 모든 영역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향상된 이유로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학습 내용을 스스로 그림으로 정리하였고, 서로가 정리한 내용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각자의 의견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였으며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조직한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전체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나 하위 영역인 이해, 확산, 비판, 동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수업 프로그램은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켰다. 하위 영역에서는 모둠별로 학생들이 정리한 내용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협동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program using visual thinking and applied it to analyze th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e results of the program using visual thinking to sixth-grade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program using visual think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ixth graders’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n the sub-elem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intrinsic motivation, openness, and autonomy. We inferr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has increased because they worked on learning in an acceptable atmosphere by organizing the contents the topic through drawing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sharing each other's drawing outcomes, they acknowledged each other's opinions and openly accepted others' opinions. And Autonomy was improved in the process of learners planning and organizing their own learning.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diffusion, criticism, and motivation in the sub-elements, although 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the total score of thei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scientific attitude. Cooperatio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discussing what they organized on their own. Therefore, the program using visual thinking learning strategies demonstrates that the approach might be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 Promoting Design Creativity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권재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3871

        .Design creativity is an rarely studied topic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but its importance has often been recognized by many researcher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he first was qualitative study and the second was quantitative. These studies examine the causal mechanisms among the five variables: analogical thinking ability, self-confidence, perceptive length of experience, team culture, and design creativit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indicate that analogical thinking ability is an antecedent of design creativity and that self-confidence is a full mediator between analogical thinking ability and design creativity. The results also show that perceptive length of experience and team culture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지은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3611

        유아교육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전공자의 학습요구 및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하며, 타당성 및 적절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단계를 거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근거로 구체적인 구성 체계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1.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는 어떠한가? 1)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연구 대상의 요구는 무엇인가? 2)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3)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할 것인가? 4)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조직되는가? 5)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후 어떤 변화가 있는가? 5-1)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업자기효능감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2)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의적 사고력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3)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업가 정신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4)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업의지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5)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을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ADDIE 모형과 델파이를 기반으로 한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치고, 실행단계에서의 지속적인 평가 및 피드백이 이루어졌으며, 단계마다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분석단계에서는 선행연구, 요구조사, 학습자 및 환경분석이 이루어지고, 설계단계에서는 목표 및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내용이 설계되었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 계획안 개발, 프로그램 실행단계에서는 창업탐색 및 창업실전 프로 그램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단계에서는 창업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력, 창업가 정신, 창업 의지,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단계에서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력, 창업가 정신, 창업의지는 수강 전보다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은 변형된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설계 측면, 유아교육과 창업교육 개발 측면, 발전하는 유아교육 전공 학생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측면으로 논의점이 제시되었고, 교수자 및 학습자의 측면으로 논의하였다. 학술적 발전을 위한 제언으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과정의 재설계와 교과, 비교과, 동아리에서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방법의 다각적 접근을 시도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해 제언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a start-up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age of designing a program by analyzing the learning needs and contents of learning of 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ecuting it based on it, and evaluating its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Based on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start-up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based on a specific structu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 program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Delphi was developed to develop a start-up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ach stage, it was developed as a research method to verify its appropriateness through expert consultation. In the analysis stage of start-up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prior research, needs investigation, learner and environment analysis were conducted, and in the design stage, goals and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contents were designed, and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plan development were in the development stage. In the program execution stage, the start-up search and start-up practice programs were applied. Finally, in the evaluation stage, the entrepreneurial efficacy, creative thinking ability, entrepreneurship spirit,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the results increased,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also a satisfactory evaluation. As for the program, discussion poin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program design based on the modified ADDIE mode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f develop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nd discussed in the light of instructors and learners. As a suggestion for academic development, research is needed to redesign the curriculum for start-up education programs and to access various start-up education programs in subjects, comparisons, and clubs, and a multilateral

      • 초등과학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단원의 비주얼씽킹과 영상 만들기 프로그램 적용 효과

        강윤종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3609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과 교육과정의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단원과 관련한 비주얼씽킹과 영상 만들기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1차시로 비주얼씽킹을 활용하여 해당 차시의 내용을 스스로 확인한 후 정리하며 지식을 재구성하고, 자신들이 만든 비주얼씽킹 자료를 활용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J도 J시 A초등학교 5학년 1개 반 30명의 학생들을 실험 집단으로 설정하여 적용하고, 비교 집단으로 같은 학교의 또 다른 5학년 1개 반 29명의 학생들을 설정하여 기존 교육과정의 교과서 중심 수업을 했다. 적용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에 창의적 문제해결력, 과학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학습 동기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와 참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과학적 태도와 관련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비주얼씽킹과 영상 만들기를 활용한 수업 자료 및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초등학교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developed a program using visual thinking strategies and videomak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Diverse Living Things and Our Lives’ unit of the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e program is designed to use visual thinking in atotal of 11 sessions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session, organize them, andreconstruct knowledge, and to produce and present videos using visual thinkingmaterials they created.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30 fifth 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inJ-province as an experimental group. Meanwhile 29 students from another fifth-gradeclass in the same school as a comparative group were involved in textbook-orientedclasses based on the existing curriculum.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application program,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and scientific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in advance and after the lessons and theresults were analyzed. In addition, a class perception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the percep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bout the class to which theprogram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reativeproblem-solving skills and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35 -improvement, and the experimental group’s satisfacti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classes were also high.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scientific attitud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develop and supply various class materials and programs using visual thinking andvideo making in the future and apply them to elementary schools

      •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를 활용한 창의·융합 사고역량 음악교수·학습 방안

        송기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3594

        본 논문은 뮤지컬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융합 사고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음악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인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시된 여섯 가지 역량들 중 학습자들의 창의·융합 사고역량을 성장시킬 수 있도록 음악과 사회 융합을 바탕으로 개사 활동 수업을 제시하고자 한다. 뮤지컬 수업은 인문학적 소양을 비롯하여 학습자들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때문에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음악 교육 장르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뮤지컬은 고전적인 종류부터 대중적인 요소를 띠는 종류들까지 학습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스펙트럼이 매우 넓은 장르이다. 2020년 이후 공연예술계는 COVID-19로 직격탄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뮤지컬 시장 객석 점유율은 타 공연장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계속해서 뮤지컬 시장은 회복세를 보인다. 이에 따라 뮤지컬을 활용한 학습자들의 창의·융합 사고역량 함양을 본 연구의 핵심 과제로 선정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음악 교과와 타 교과 융합 교육의 이해, 뮤지컬의 이해를 비롯하여 본 연구에 활용한 프랑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의 이해에 대해 탐구하였다. 뮤지컬 역사는 미국의 브로드웨이를 중심으로 1920년대부터 20세기까지 발전해왔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브로드웨이를 넘어 유럽까지 뮤지컬 시장 영역이 확대되었다. 그 결과, 국내 시장에서도 유럽권 라이센스 뮤지컬 작품들을 통해 다양한 공연의 다양성을 즐길 수 있다. 특히, 프랑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프랑스 뿐 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이며 대중들에게 익숙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작품의 특징과는 다른 차별화된 요소들을 가진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교육적으로 뮤지컬의 다양성을 학습하기에 부합하는 사례임을 시사한다. 융합교육의 이해에서는 첫 번째로, 창의성에 대한 정의와 함께 창의·융합이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서술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뮤지컬 음악 수업의 필요성과 다빈치 사고의 특성에 대한 7가지 원칙으로 구성된 창의·융합수업으로 넘어간다. 이 논문에 기술된 수업 지도안은 7가지 원칙에 따라 총 4차시로 짜여져 있다. 연구를 마무리하며, 창의·융합 뮤지컬 학습을 기반으로 한 본 연구가 음악 교육에 긍정적 효과를 일으키고, 나아가 뮤지컬 교육 지도 지침의 기반이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 마케터 창의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정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3594

        급변하는 세계경제와 한치 앞을 예측하기 힘든 경영환경에서 창의성은 예전부터 주목의 대상이었고,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창의성은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마케팅 분야에서 창의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고 창의성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본 연구에서는 마케터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배경지식, 비유적 사고능력, 자신감, 감성으로 이루어진 마케터의 개인적 특성이 마케터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팀 문화와 팀 임파워먼트와 같은 환경/맥락적 특성이 마케터의 개인적 특성이 마케터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파악했다.실증 분석 결과 마케터의 개인적 특성변수 중 배경지식과 비유적 사고능력은 마케터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감성과 자신감의 마케터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해 각 변수가 마케터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기각하였다. 또한 팀 문화와 팀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도 확인하려고 하였으나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