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olescents' conceptions of parental authority : developmental changes and associations with adolescent outcomes

        정윤주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00 해외박사

        RANK : 2943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부모 권위 관념 (부모 권위의 정당성에 대한 관념과 부모가 정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는 의무감)에 관한 세 가지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과제로 청소년기 부모 권위 관념의 발달 양상을 고찰하였으며, 둘째, 청소년의 부모 권위 관념이 부모의 양육 방식과 청소년 발달 특성간의 관계를 중재하는지를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부모 권위 관념이 비행또래와 어울리는 행동과 문제 행동간의 관계를 중재하는 지를 고찰하였다. 횡단적으로 수집한 데이터 두 세트와 장기 종단적으로 수집한 데이터 한 세트, 총 세 세트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첫째 횡단 데이타는 중학생(6, 7, 8학년) 398명으로부터 수집하였고, 다른 횡단 데이타는 고등학생(9, 10, 11, 12 학년) 121명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종단 데이타는 7학년생 147명을 3년간 추적 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설문지에 응답하고 면접조사에도 응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만을 사용하였다. 횡단 데이타 분석 결과, 청소년의 부모 권위 정당성에 대한 관념은 나이가 들수록 희박하며, 부모가 정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는 의무감도 나이가 들수록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령에 따른 차이는 이 연구에 포함되었던 청소년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나타났다. 장기 종단 데이타 분석 결과, 청소년의 부모 권위 정당성에 대한 관념이 7학년에서 8학년 사이에는 감소하는 반면, 8학년에서 9학년 사이에는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 부모가 정한 규칙에 대한 의무감은 7학년에서 8학년 사이에는 감소하였으나 8학년에서 9학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7학년에서 8학년 사이에 나타난 변화는 청소년의 생활 영역별로 달랐다. 부모 권위 정당성에 대한 관념은 안전과 관련된 영역(prudential domain)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친구 관계 영역, 그리고 사적 영역(personal domain)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다. 부모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의무감은 안전과 관련된 영역에서만 변화했는데, 이 변화는 증가했다. 청소년의 부모 권위 정당성에 대한 관념이 부모의 양육 방식과 청소년 발달간의 관계를 중재(moderate)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의 청소년 자녀 감독과 청소년 문제 행동간의 관계가 청소년들이 부모 권위 정당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부모의 학업에 대한 관여와 청소년 학업 성취도간의 관계는 청소년의 부모 권위 관념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행 또래와 어울리는 행동과 청소년 문제 행동간의 관계는 부모 권위 관념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Effects of Body Image Distortion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 The Relevance of Smartphone Use

        김재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Background: Recent research suggests a growing interest in body image among adolescents. However, like “Pro-ana”, distorted body image that threatens the health of adolescents is becoming a critical issue. Body image can be considered a crucial factor affecting adolescent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KYRBS), the depression rate among adolescen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adults. Depression experienced in adolescence is a crucial mental health concern that can interfere with development. Therefore,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requires detailed attention. In addition, in Korean adolescents, the smartphone penetration rate is remarkably high. Smartphones use needs careful evaluation as a factor that influences adolescent mental health.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e effect of body image on mental health, or studied the effect or mediating effect on some variables.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use (time/type) on adolescent body image distortion and depression. Also, the socio-culturally idealized body type standards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ody image distortion according to gender. Method: the ‘2017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KYRBS)’, which investigated the questions on the services mainly used when using smartphones, was used. According to ‘2007 Growth Cha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40,503 normal-weight adolescents who were defined as normal weight finally use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the Rao-scott χ²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Result of the study, 54.7% of subjects distorted their body shape. In the case of ‘Overestimate',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and in the case of ‘Underestimate',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Result of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body image distortion (‘Underestimate’ and ‘Overestimate’) and depression in male students, and a correlation between ‘Overestimate’ and depression in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use, the odds ratio increased with increased smartphone usage time among adolesc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dditive interaction as a result of RERI. Odds ratio increased in males ‘Underestimate', ‘Overestimate’ group, and females ‘Overestimate' group, who mainly use ‘Chatting or Messenger'. Also, the odds ratio increased in female ‘Overestimate’ who mainly using ‘Movie or Music’ and ‘SNS or Community’. Conclusion: Mental health problems caused by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body image distortion among adolescents have become unavoidable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body image distortion as a public health problem. To solve these issues, it requires active participation at home, school, and corporate levels and a holistic approach. First, the social pressure of an ‘ideal body image’ by recognizing overweight or obesity as a cosmetic problem rather than a disease should be discourag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elp adolescents develop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body through ‘Self-Body Positive Campaign’ (#Bopo). Also, to prevent depression in adolescence, it is necessary to include programs to improve body image distortion in the adolescent depression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operated by Wee Center. Through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risk of depression increased with increased time spent on smartphone us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efforts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Developing various activities for adolescent’ social networking and entertainment can minimize smartphone use in schools. At home, parental guidance and counseling should enable adolescents to find a way to control smartphone use. If necessary, it may be helpful to set the smartphone usage time using an application. In addition, we should boost participation in R.E.S.T (problem recognition, state check, suggest alternatives, connect), a guideline for preven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ctive intervention using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Center’ may help adolescents at high-risk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At the corporate level,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such as self-filtering work, are necessary for areas (such as negative SNS activities(ex. #Pro-ana)) that can directly affect adolescent physical and mental health. Background: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신체이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프로아나(pro-ana)와 같은 청소년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왜곡된 신체이미지가 문제 되고 있다. 신체이미지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생각 할 수 있다.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우울감 경험률은 성인의 우울감 경험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우울은 발달과정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주요 정신건강 문제이므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보다 세밀한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우 스마트폰 보급률이 상당히 높은데, 스마트폰 사용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상호작용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기에 주의 깊게 살펴봐야 되는 부분이다. 기존 연구들은 단순히 신체이미지 왜곡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거나, 일부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 혹은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있다. 하지만, 신체이미지 왜곡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시간/유형)의 조절효과를 보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사회문화적으로 이상화된 체형 기준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 성별에 따른 신체이미지 왜곡의 특성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Method: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중 스마트폰 주 사용 관련 문항을 조사한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0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성별/연령별 체질량지수를 참고하여 정상체중 청소년 40,503명을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별에 따라 데이터를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Rao-scott χ² test와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연구 결과 대상자의 54.7%가 자신의 신체이미지를 왜곡하고 있었다. ‘과체중왜곡’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저체중왜곡’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에서 신체이미지 왜곡과(‘저체중왜곡’, ‘과체중왜곡’) 우울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과체중왜곡’과 우울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신체이미지 왜곡군에서 우울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나 RERI결과 additive interaction은 확인되지 않았다. ‘Chatting or Messenger’를 주로 사용하는 남학생(‘저체중왜곡’, ‘과체중왜곡’)과 여학생(‘과체중왜곡’)에서 우울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ovie or Music’, ‘SNS or Community’를 주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여학생 ‘과체중왜곡’에서 우울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onclusion: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신체이미지 왜곡으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는 피할 수 없는 사회 문제가 되었으며, 신체이미지 왜곡을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 학교, 기업 차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전체론적인 접근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먼저, 과체중이나 비만을 질병이 아닌 미용 문제로 인식하여 ‘Ideal body image’를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변경해야 하며, 자기 몸 긍정주의 캠페인(#Bopo) 등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있도록 하는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Wee센터 등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우울 예방 중재 프로그램에서 신체이미지 왜곡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와 기존 연구들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우울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의 social network와 오락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정에서는 부모와의 대화와 지도를 통해 청소년 스스로 자신만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방법을 찾아 지켜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필요 시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한 스마트폰 사용 시간 설정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가이드라인인 R.E.S.T의 참여를 확대하고, ‘스마트 쉼 센터’를 활용한 적극적인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업 차원에서는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SNS 활동(ex. #프로아나족, #먹토)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자체적인 필터링 작업과 같은 규제와 제한이 필요하다.

      • 청소년 문제 행동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부모의 보고 내용 차이에 관련된 청소년의 정신병리

        이소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2

        Introduction: The necessity of multiple informants in diagnostic evalu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s repeatedly stressed in child psychiatric clinical work and research. When discrepancies are considerable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reports o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symptoms of adolescen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o interpret these discrepancies.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dis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reports on mental symptoms of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dolescents’ psychopathology influence parents’ account of the mental problems of their adolescents compared to what the adolescents themselves report. Method: 876 high school students in Masan city participated in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test(AMPQ). Among the students who were tested, selected eighty five adolescents(whose scores were above the cut-point) and their par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Korean-youth self report(K-YSR), Korean-child/adolescent behavior check list(K-CBCL) and symptom check list-90-revised(SCL-90-R). Resul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in adolescence emerged as a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K-YSR-K-CBCL discrepancy on internalizing symptoms, explaining 36% of the variance. With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decreased levels of somatization, adolescents tended to report more internalizing problems compared to their parents. For the discrepancy on externalizing problems,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When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in adolescents was increased, there were more disagreement in reports of parent’ and adolescents’. Conclusions: The psychopathologies in adolescents such as depression, somatization and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may be useful to consider when interpreting informant discrepancy concerning the mental problems of adolescents.

      •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과 의복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문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2

        본 연구는 오늘날 구매력이 급속하게 향상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의류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부모로부터 어느 정도의 독립적인 구매결정력이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러한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에 따라서 그들의 의복소비행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마케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족의사소통, 의복관심, 인구통계적 특성과 구매 영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형화 된 가족의사소통과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본다. 둘째,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과 의복쇼핑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구매 영향력 집단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서 중 ·고등학교의 수가 가장 많은 지역에 위치한 학교를 선정하여 중학생 1, 2, 3학년과 고등학생 1학년을 중심으로 660부를 배부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 57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산분석, Duncan Test, 희귀분석, 빈도분석, χ^(2)-test를 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가족의사소통은 개방적 의사소통과 통제적 의사소통의 2 요인이 추출되었고, 두 요인을 통하여 합의형, 다원형, 보호형, 방임형의 네 가지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이 크고 작음에 따라 집단을 부모의 영향력이 큰 부모 의존형과 청소년 자신의 영향력이 큰 독립형으로 구분하였다. 전체적으로 독립형이 부모 의존형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구매 영향력 측정 문항에서 청소년은 구입한 옷의 색상과 스타일을 결정할 때 가장 큰 구매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청소년의 의복쇼핑성향의 하위차원으로 쾌락적 쇼핑성향, 상표증시 성향, 경제적 쇼핑성향, 편의적 쇼핑성향의 네 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알아본 결과, 학년, 한달 용돈, 의복관심이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과 정적인 관계를, 통제적 의사소통은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성별로 나누어 분석을 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한달 용돈, 의복관심이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남학생만 성적에서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여학생의 경우, 전체의 결과와 동일하였으며, 특히 통제적 의사소통은 성별로 구분하였을 때, 여학생만이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선행변수들 중 의복관심이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에 가장 큰 영항을 미쳤다. 다섯째, 가족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구매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합의형, 다원형, 보호형, 방임형의 네 가지 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구매 영향력 집단에 따른 인구통계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부모 의존형은 남학생,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많았고, 독립형은 여학생, 고등학교 1학년이 많았으며 한달 용돈이 부모 의존형에 비하여 높았다. 일곱째, 구매 영향력과 쇼핑성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쾌락적 쇼핑성향, 상표중시 쇼핑성향, 경제적 쇼핑성향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고, 편의적 쇼핑성향과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여덟째, 구매 영향력 집단에 따라 의복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 독립형의 경우, 유행 추구 동기와 마케팅적 자극에 의한 의복구매동기가 부모 의존형에 비해 높았고, 전체적으로 청소년은 필요에 의한 동기가 가장 높았다. 정보원에서 독립형은 친구의 조언을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부모 의존형은 부모의 조언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평가기준에서는 두 집단 모두 자신에게 어울림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특히, 독립형은 부모의존형에 비하여 친구들로부터의 인정과 같은 심리적 요소와 상표명을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생각하였다. 독립형은 의복 구매시 현금으로 지불하는 경우가 많았고, 친구와 주로 동행하며 의복을 구입하는 빈도가 부모 의존형에 비하여 많았다. 반면, 부모 의존형의 경우 부모와 주로 동행하며, 독립형 보다 신용카드 및 기타 지불방법으로 지불하는 경우가 많고, 의복구입빈도는 독립형에 낮았다. 의복구매장소는 두 집단 모두 백화점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립형의 경우 부모 의존형보다 도매상가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아홉째, 본 연구에서 언급된 모든 변수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purchasing power of adolescents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and it is important for consumer researchers to understand adolescents and how they cope in the world of consump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ntext of the family. The genera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world of adolescents by focusing on their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and how these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ir purchasing influe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about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Second, to classify the consumer types by their influence when purchasing clothing. Third, to identify the relation of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and were distributed to four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576 questionnai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packag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ova, Duncan test, t-test and χ^(2)-test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year, month allowance, clothing interest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effected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got higher when school year, month allowance, clothing interest was high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is low. Analyzing by gender, only male students' purchase influence differed according to school grade. Second, female students had more purchase influence than male students and Kangbuk students' purchase influence were higher than Kangnam student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among four-fold typology of family communication. Fourth, analyzing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and shopping orientation, as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increases, recreational, brand important and 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increase while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decrease. Fifth, as for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High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group has high clothing interest and considered their friends advise and internet a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Acceptance by others and brand name was considered as important clothing elements. They tend to shop clothing more often and spend more money on clothing than low purchase influence group and they usually goes shopping with their friends. For low adolescents' purchase influence group, they have low clothing interest and their parents usually make purchase decision for them. They consider parents' advise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and they usually purchased clothing with their parents at the department store. The consumption habits and skills acquired during adolescence may carry over into later periods of a person's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purchasing power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임정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94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Parenting Inventory and identify specific Korean parenting behaviors in order to explain differences in adolescent developmental outcomes from a multiple-informant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8 fathers, 221 mothers and 891 adolescents in 8 middle schools and 7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Kyunggi-do. 382 adolescents were participated in scale development, and 198 fathers, 221 mothers and 509 adolescents were participated in scale validation. The Korean Parenting Inventor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assess paternal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Gurney(1988)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Scale developed by Conrad and Hedin(1981) were used to assess adolescent developmental outcome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es, explanatory factor analyses, F-tests, paired samples t-tes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 testing all hypotheses, .05 was used as a significant level in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our common factors of Korean parenting perceived by adolescents were distrust, lessons, respect and attention. Gener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notation of paternal behaviors and maternal behaviors on distrust and lesson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onnotation of paternal behaviors and maternal behaviors on respect and attention. Specifically, paternal respect was based on rationale, and maternal respect was based on acceptance. Besides, paternal attention was oriented to monitoring, and maternal attention was oriented to car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ernal distrust, maternal distrust, lessons and respect in terms of adolescents' grade and gender. On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ed more maternal distrust in parenting than high school students did. Moreover, boys reported more parental distrust in parenting than girls did, while girls reported more maternal lessons and respect in parenting than boys did.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Korean parenting between parents and their adolescents. Generally, parents reported more distrust, respect, lessons and attention in parenting than their adolescents did. In addition, there were weak though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in perceptions on Korean parenting between parents and their adolescents. 4.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parenting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adolescent developmental outcomes (i.e. self-esteem and social responsibility). Specifically, adolescents' self-esteem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al distrust, yet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ternal respect, maternal attention and lessons. Furthermore, adolescents' social responsi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al lessons and attention, and paternal respect,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ternal distrus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arenting perceived by parents and their adolescents' developmental outcomes (i.e. self-esteem and social responsibility). 5. Korean parenting perceived by adolescents explained adolescent developmental outcomes. That is to say, maternal attention, paternal distrust and paternal attention explained 18% of adolescents' self-esteem. In addition, maternal lessons and attention, and paternal distrust and lessons explained 25% of adolescents' social responsibility. The results presented here provide initial support for the validity of the Korean Parenting Inventor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이혼가정청소년을 위한 해결중심집단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이미애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1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가정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서 이혼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8주간의 학교중심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유사실험설계 방법을 활용하여 그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표적요인인 심리사회적 적응은 청소년들의 우울감, 불안,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력, 부모이혼에 대한 지각 수준에 대해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D여자 중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이혼가정청소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의사가 있는 7명은 실험집단에 배정하고 프로그램에 참석하지 않은 학생 7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분석을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비모수통계방법인 Wilcoxon 부호-서열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검증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우울감, 사전-사후점수를 Wilcoxon 부호-서열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우울감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불안감 사전-사후점수를 Willcoxon 부호-서열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불안감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기각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점수를 Willcoxon 부호-서열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기각되었다. 넷째, 실험집단의 학교생활적응력 사전-사후점수를 Wilcoxon 부호-서열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다섯째, 실험집단의 부모이혼에 대한 지각 사전-사후점수를 Wilcoxon 부호-서열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부모이혼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이혼가정 청소년들의 정서적 적응과 학교생활 적응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이혼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혼가정 청소년의 부모이혼 경과기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부모이혼 후 청소년의 초기적응과 후기 적응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될 필요가 있다. 부모이혼 자녀들은 초기와 후기에 겪는 심리적 적응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부모이혼 경과기간에 따른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른 차별성 있는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에 대한 구조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은 짧은 시간 내에 고유한 개입과정과 기법들을 단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이혼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학교생활을 유도해야 한다. 이혼가정 청소년이 자신의 목표를 정확하게 수립하고 구체적으로 실현 가능한 세부적인 행동목표를 설정하고 변화를 유지 확대시키기 위해서 사회복지사는 해결중심 기법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과 지속적인 재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는 여자 중학교 1학년 7명을 대상으로 8회기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혼가정 청소년에 대한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성별과 다양한 연령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인 연구들이 실시 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in order to help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improve psychosocia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at a school setting for 8 weeks and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with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target factors, the psychosocial adaptation, were measured in terms of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adaptation at school, and perception of parent's divorce.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of the D Girls' Middle School. Seven girl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even girl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was evaluated by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of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analyzed with using Mann-Whitney U test. The study hypotheses were tested by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method.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Wilcoxon Signed-Rank tests showed that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us, the hypothesis explaining that the group program would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was supported. Seco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lso revealed that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scores of school adapt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s result shows that the group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the improvement of school adaptation among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Thir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showed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itive perception on parent's divor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 explains that the group program supported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to perceive positively their parent's divorce. However, the solution-focused program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levels of anxiety and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In sum, the study results present that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could improve depression, school adapta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n parent's divorce of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may be some suggestio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olution-focused program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in relation to psychosoical adaptation of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First, the solution-focused program needs to be implemented in two different periods -early adaptation and later adaptation- based on the time of parent's divorce because adolescents might have different emotional conditions in early and later adaptation after parent's divorce. Second, the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is required to have more systematic intervention strategies. The group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effectively in a short time with its own techniques to increase adolescents' psychosocial adaptation at school and home. Additionally, social workers need to receive professional training for the solution-focused program and to be retrained to help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enhance psychosocial development. Thir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even girls of the first grade at a middle school.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tervent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be applied for boys and different age groups of each gender from divorced families.

      •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자립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정혜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941

        본 연구는 미성년 시기에 자립준비도 없이 아동양육시설에서 중도퇴소하여 경제적, 사회적, 심리·정서적 자립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력 단절 중도퇴소 청소년의 자립 경험과 이들의 자립지원서비스 욕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과 서비스 실천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자치구에서 임의표집 한 아동양육시설에서 지난 5년 동안 무단가출로 중도퇴소한 청소년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6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2∼4회 심층 면접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자립 경험은 ‘돌아가고 싶지 않은 어린 시절’, ‘어려움은 첩첩산중’, ‘뼈저린 후회’, ‘미운 오리새끼의 꿈’, ‘중도퇴소 청소년도 정부의 자립지원이 필요해요’등 5개의 상위주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11개의 범주와 37개의 하위범주로 묘사될 수 있었다. 첫 번째 상위주제인 ‘돌아가고 싶지 않은 어린 시절’에서는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시설 부적응과 가출 경험으로 ‘견디기 어려운 규칙과 폭력 그리고 불쾌한 편견’, ‘자유에 대한 갈망, 가출’ 2개의 범주가 제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의 얼굴도 모른 채 시설에 입소하여 견디기 어려운 획일화된 규칙과 선배들의 폭력, 시설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편견 등으로 시설 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하여 방황하며 사고를 치고 시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켜 치료시설로 전원이 되지만 시설보다 더 엄격한 규칙과 외출이 어려워 감옥같이 답답하게 느껴졌던 전원시설에서의 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자유에 대한 갈망으로 미성년 시기에 가출을 하여 중도퇴소자의 삶을 살아가게 되었다. 두 번째 상위주제인 ‘어려움은 첩첩산중’에서는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자립 경험으로 ‘위태로운 홀로서기’, ‘경제적 위해 환경에 노출된 중도퇴소 청소년들’, ‘자립준비도 없이 시작한 불안정한 사회생활’, ‘정서적 자립은 밑바닥’등 4개의 범주가 제시되었다. ‘위태로운 홀로서기’에서 연구 참여자인 연구 참여자들은 가족도 사회적 지지기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아동복지법 제38조 규정에 따라 퇴소 청소년들에게 지원되고 있는 정부의 자립지원서비스 지원 대상에서조차 제외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들은 정부나 사회에서 관심조차 없고, 돌봄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는 소외계층으로 부모도 사회적 지지기반도 없는 이들의 자립생활은 외롭고 위태로운 홀로서기였다. 모든 것을 혼자 해결해야 하고 본인이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잘 모르겠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모든 게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위해 환경에 노출된 중도퇴소 청소년들’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중도퇴소 후 당장 잘 곳도 돈도 없어 심각한 생활고를 겪게 되고, 미성년 시기에 가출을 하여 도박과 대포폰 판매 등 경제적 위험에 빠지게 되며 결국 대부 업체 빚까지 쓰게 되어 경제적으로 위태로운 상황에 처하게 되고, 중이염으로 빨리 수술을 하지 않으면 귀가 안 들리게 되는데도 수술비가 없어 수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은 자립 초기인 미성년 시기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나 주거 지원을 받을 수 있었음에도 법률정보를 알지 못해 혜택을 받지 못하고 험난한 사회생활과 경제적,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립준비도 없이 시작한 불안정한 사회생활’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중도퇴소 후 폭력으로 구치소 생활도 경험하였고 자포자기의 삶을 살기도 했다. 학력 단절로 아르바이트 인생을 살아가게 되고, 안정된 직업을 갖기 위한 직업훈련은 생활 유지가 되지 않아 포기하게 되었으며, 금전관리를 하지 못해 사기도 당하고 돈을 모아도 노는데 다 쓰게 되어 빈곤의 악순환이 지속되었다. 그런데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와 연락이 안 되지만 시설에 단 한 번도 찾아오지 않았던 부모를 찾고 싶지 않다고 하였으며, 오히려 시설 선후배와 친구들이 또 다른 가족으로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또한 시설은 가출해서 나온 거라 다시 찾아가기가 어렵고, 중도퇴소 후 시설에서 전혀 해준 게 없었다고 하며 시설과의 소원한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정서적 자립은 밑바닥’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중도퇴소 후 원룸이나 기숙사에서 혼자 생활하며 장시간의 아르바이트로 친구나 선배들도 자주 만나지 못하여 늘 외롭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중도퇴소 전에는 시설 부적응으로, 중도퇴소 후에는 경제적, 심리·사회적 자립의 어려움으로 이들은 단 한 번도 행복한 적이 없었고, 삶의 만족도는 최악이라고 표현하였다. 세 번째 상위주제인 ‘뼈저린 후회’에서는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시설 생활에 대한 후회의 경험으로 ‘시설 생활에 대한 뒤늦은 후회와 아쉬움’1개의 범주가 제시되었다. 중도퇴소 청소년들은 시설 생활에 적응하기 힘들었고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지만 시설을 나와서 자립생활을 경험해 보니 시설 생활에서 가장 후회되는 것은 많은 걸 지원해줄 때 열심히 배우지 않고 흘려보낸 것이다. 현재는 직업훈련을 받고 싶어도 생활 유지가 어려워 교육을 받을 수 없는 형편이므로 후회와 아쉬움만 남았고, 또한 시설에서 걱정해 주고 아껴주던 사람들의 충고도 무시하고 아무 생각 없이 행동했는데 그때 들었던 조언들이 다 맞고 이제는 공감이 간다고 하며 뒤늦은 후회를 하였다. 네 번째 상위주제인 ‘미운 오리새끼의 꿈’에서는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미래를 향한 자립의 꿈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미래를 향한 날갯짓’1개의 범주가 제시되었다. 아동양육시설에서 가출한 중도퇴소 청소년들은 시설에서 규칙을 어기고 지역사회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학교에서도 다른 학생들에게 피해를 주는 달갑지 않은 미운 오리새끼이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시설에서도 학교나 지역사회에서도 제재와 처벌의 대상이었던 중도퇴소 청소년들도 이제는 철이 들어 뒤늦은 후회를 하며 자립의 어려움 속에서도 힘든 자립생활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도 짜고 나름대로 미래에 대한 꿈도 꾸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계획도 세워보지만 정부의 자립지원도 없이 학력도 기술도 없는 이들의 노력만으로는 빈곤의 악순환만 지속될 뿐이었다. 다섯 번째 상위주제인 ‘중도퇴소 청소년도 정부의 자립지원이 필요해요’에서는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자립지원서비스 욕구로 ‘경제적 빈곤 탈출을 위한 서비스’, ‘자립 훈련과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외로움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서비스’로 3개의 범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중도퇴소 청소년들은 경제적, 사회적,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아동복지법 제38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8조 규정에 의한 자립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어 현재는 자립지원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지만 언젠가 아동복지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이들에게도 자립지원서비스가 제공되기를 희망하며 이들의 자립지원서비스 욕구는 ‘중도퇴소 청소년도 정부의 자립지원이 필요해요’로 드러났다.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들이 원하는‘경제적 빈곤 탈출을 위한 서비스’는 ‘안정된 집’, ‘일자리 제공’,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지원’, ‘자립정착금 지원’, ‘의료비 지원’등 5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중도퇴소 청소년들이 자립 초기에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잘 곳과 일자리였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은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전셋집이나 임대주택 등의 주거 지원과 일할 수 있는 직장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특히 부모가 없이 자립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도퇴소 청소년들에게 근로능력과 상관없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혜택과 의료비가 지원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아동복지법 제38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8조 규정에 따라 퇴소 청소년들에게 지급되고 있는 자립정착금을 중도퇴소 청소년들에게도 지원해주면 자립생활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하였다.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들이 원하는 ‘자립 훈련과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는 ‘직업훈련’, ‘무료 법률상담 및 생활상담’, ‘자립 정보 제공’, ‘금전체험 프로그램’ 등 4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을 갖기 위한 직업훈련과 자립생활에 문제가 있을 때 의논할 수 있는 무료 법률상담이나 생활상담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시설과 연락을 끊어 자립 정보를 몰라 국가에서 지원하는 직업훈련 등의 혜택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자립 정보를 아동자립지원단과 동사무소가 연동하여 동사무소를 방문하는 중도퇴소 또는 퇴소 청소년에게 알려주면 좋겠다고 하였다. 또한 중도퇴소 후 생활하면서 금전관리가 안 되어 힘들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퇴소 전에 금전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들이 원하는 ‘외로움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서비스’는 ‘심리상담서비스’, ‘문화바우처서비스’, ‘중도퇴소 청소년 자조모임’ 등 3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외롭고 힘들 때 심리상담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돈이 없어 여행을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이들이 자립의 어려움으로 힘들 때 여행이나 취미생활을 할 수 있도록 문화바우처서비스를 지원해주기를 원했고, 또한 시설 중도퇴소 또는 퇴소 청소년들이 함께 활동하면서 자립 정보도 공유하고 서로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자조모임을 만들면 좋겠다고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력 단절 중도퇴소 청소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bring to light the experiences of independent living and the desire for services to support of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s, who have given up schooling without appropriate preparation and are consequently undergoing difficulties with financial,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dependen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service strategies to support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se adolescents. This study used a random sampling method to select a residential home located in a Seoul district; it then targeted three adolescents discharged early from the residential home early and without prior consent in the past five year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two or four times from April 2016 to October 2017. The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s of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 can be divided into five main topics: ‘the childhood that they never wish to revisit’, ‘one difficulty after another’, ‘bitter regret’, ‘the dream of an ugly duckling’, and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s nee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independent living’. The top categories can be further described by examining the details of 11 supporting categories and 37 subcategories. For to the first topic ‘the childhood that they never wish to revisit’, the study identified two categories concerning maladjustment at the facility and the runaway experience of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 ‘unbearable rules, violence, and unpleasant prejudice’ and ‘yearning for freedom; runaway’. The study participants entered the residential home at an early age with no memories of their parents. They could not adjust to the home due to its strict rules, bullying from older adolescents, and social prejudice toward orphans. Eventually, they wandered and caused problems not only at the residential home but also in the local community and schools. They were transferred to a treatment facility, but the rules there were even stricter than those at the residential homes, which made them feel imprisoned. Because of their yearning for freedom, they ran away from the facility and began to live their lives as runaway adolescents, leaving the residential home early. With regard to the second topic ‘one difficulty after another’, the study identified four categories concerning the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 of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 ‘precarious independence’, ‘early discharged adolescents exposed to a hazardous economic environment’, ‘unstable work life that began without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and ‘zero emotional independence’. As for ‘precarious independence’,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not only had no familial or social support but also no eligibility for the government support for independent living provided by Article 38 of the Child Welfare Act, which was available for those adolescents who stayed at the residential home into adulthood; runaways are a marginalized group neglected by both the government and society. For adolescents without any parental or social support, to live independently means a risky and lonely act of standing on their own feet. This study showed that they had to do everything for themselves, did not know what they really wanted, and were not certain how to live their lives. As for ‘early discharged adolescents exposed to a hazardous economic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underwent serious hardships after leaving the residential home, having no money or place to sleep. They also ran into financially driven misdeeds such as gambling or selling burner phones and ended up owing debts to money lenders. Even when there was an urgent medical need such as a middle ear infection that could lead to hearing loss if a surgical operation were not performed timely, surgery was not an option because there was no money for it. Although they were eligible to receive monthly subsidies and housing fees under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ir independent living, they did not know about it and thus did not try to benefit from the program; they suffered finan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legal knowledge. As for ‘unstable work life that began without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had been to holding cells due to violence and lived as if they had given up on their lives. Because they had dropped out of school, they could only work part time. Job training for stable full-time jobs did not provide enough money for their daily living, so they gave that up as well. They could not manage their money well, and occasionally fell victim to fraud or squandered their money on entertainment, which continued to feed the vicious cycle of poverty. In the meantime, the participants had no contact with family members and did not wish to look for their parents, who had never visited them at the residential home. Instead, they relied on other orphans from the residential home as family; unfortunately, the residential home they had left without consent was not easy to revisit because of their status as runaways. Besides, they indicated their disdain for the facility, saying that the residential home has done nothing for them since they had left. As for ‘zero emotional independence’,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lived by themselves in one-room studios or dormitories, suffered fro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lonelines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worked long hours and rarely saw their friends. Moreover, they expressed that their life satisfaction was extremely low and that they had never felt happy—before or after leaving the residential home—because of their maladjustment at the residential home and the financi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in independent living. With regard to the third topic ‘bitter regret’, the study identified one category pertaining to the experience of regret experience of regret of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 about life of the residential home: ‘belated remorse and regret about the life at residential home’. Although the adolescents discharged early from the residential home had experienced difficulty adjusting to the facility and did not wish to go back, what they regretted most was having wasted their time by not putting any effort into learning while the facility was providing support. Their current situations did not allow them to take job training even if they wanted to because they could not make ends meet. This left them with feelings of regret and remorse. In addition, they also regretted having acted foolishly without thinking and not listening to the advice of people who cared about them; they acknowledged that those people’s advice had proved to be correct and they could understand it now. With regard to the fourth topic ‘the dream of an ugly duckling’ the study identified one category pertaining to the dream of independent living of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 and the efforts to fulfil this dream: ‘flapping the wings toward the future’. Adolescents who ran away from a residential home felt as though they had been treated as unwanted ugly ducklings who broke the rules at residential homes, caused problems in the community, and become a negative influence on other students. Sadly, their efforts alone, with no education or technical skills, were not enough to break the vicious cycle of poverty without governmental support, even if such adolescents—who used to be the target of control and discipline in residential homes, schools, and communities—did come to the realization later in life and tr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independent living by coming up with strategies, dreaming about the future, and making plans to achieve their dreams. With regard to the fifth topic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s nee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independent living’, the study identified three categories describing the desire for services to support of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 ‘Services for economic poverty escape’, ‘Services to provide self-reliance training and independence information’, ‘Services for loneliness and stress relief’. This study discovered that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s suffer financial,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but are not receiving any support for independent living as they are excluded from the beneficiary list of the support program established by Article 38 of the Child Welfare Act. The anticipation that the law will change someday and proper support will be provided to them manifested itself in the topic “adolescents early discharged from residential homes nee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independent living”. The types of ‘Services for economic poverty escape’ desired by the adolescents discharged early from the residential home fell into five sub-categories: ‘stable housing’, ‘employment’, ‘eligibility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ettlement fund’, and ‘medical fund’. The greatest difficulty that adolescents discharged from the residential home experienced in the early stage of independent living included finding housing and employment; thus, the study participants voiced their need for the support for stable housing such as deposit-based housing or rental housing in addition to a workplace. In particularly, those adolescents who did not have parents and experienced difficulty becoming financially independent wished for eligibility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medical funds regardless of their ability to work. They also mentioned that it would be helpful if settlement funds, which are currently only available for the adolescents who left residential homes pursuant to Article 38 of the Child Welfare Act, c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discharged early from residential homes. The types of ‘Services to provide self-reliance training and independence information’ desired by adolescents discharged early from residential homes fell into in four categories: ‘job training’, ‘free legal consultation and life counseling’, ‘information for independent living’, and ‘financial management experience program’. The study participants mentioned that they needed free legal consultation and life counseling in times of difficulties with job training or independent living. In addition, they expressed their wish that information on financial independence would be provided to the former residents of residential homes who visit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conjunction with Independent Support Group for Children; currently they cannot receive any government benefits such as job training since they disconnected themselves from the residential homes without prior consent. In addi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hardship due to mismanagement of their financial resources, they also suggested a financial management experience program before leaving residential homes. The types of ‘Services for loneliness and stress relief’ desired by the adolescents discharged early from residential homes can be sorted into three sub-categories: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cultural voucher services’, and ‘support group for former residents of residential homes’. The study participants mentioned that they needed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when they felt lonely and troubled. For those who had never traveled because of a lack of money, they wanted cultural voucher services so that they could enjoy hobbies or traveling. They also suggested a support group for former residents of residential homes so that they could share information and encourage one another.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specific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ssisting early discharged adolescents with independent living.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The influence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on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i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ies in mongolia :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mothers and peers

        Buyadaa, Naranbulag Sungkyunkwan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941

        본 연구는 한 부모와 두 부모 가정의 모 우울과 청소년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모의 애착 및 또래 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최근 10년 동안 몽골의 사회·문화적 변화는 가족 구조에 영향을 미쳐 이혼가정과 한 부모 가정이 증가 하고 있으며 특히 편모의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가 어머니와 자녀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모의 우울 증상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모의 우울 증상과 청소년 문제행동 간의 관계 에서 모의 애착 및 또래애착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몽골 수도인 올란바타르에 위치한 종합학교에 재학 중인 7, 8, 9학년 청소년 305명과 그들의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동의서에 서명하고, 몽골판 백(Beck) 우울 질문지, 문제행동 자기보고식 질문지 (YSR), 부모애착 및 또래 애착 질문지(short form) (IPPA-45)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 부모와 두 부모 가정에서 청소년 문제행동, 모와의 애착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두 부모 가정보다 한 부모 가정의 청소년들이 외재화, 내재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았다. 모의 우울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의 우울 증상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모의 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특히, 모의 우울증상이 모와의 애착으로 가는 경로와 모와의 애착이 또래 애착으로 가는 경로에서 한 부모와 두 부모 가정의 경로 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 정신적 고통 모형의 관점에서 논의 할 수 있으며 모와 청소년의 정신건강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mothers and peers in Mongolia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ies. In the past decade, cultural and social changes in Mongolia have affected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divorce rate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 number of single parents, especially mother-headed families are increasing markedly. These social changes can negatively affect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and adolesc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mental health on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and the role of attachment to mothers and peers betwe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Total of 305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dolescents were in 7th, 8th, and 9th grad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located in Ulaanbaatar, the capital of Mongolia. All study participants signed consent forms and completed questionnaire packets including Mongolian version of the BDI-II, YSR, and IPPA-45.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and attachment relationship to mothers by marital status; Level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were higher in single-parent families than in two-parent families. And, adolescents in two-parent families reported higher in attachment to mother than those in two-parent families. In additio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adolescent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The mediation effect of attachment to moth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behavioral problems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ies in pathways from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to attachment to mother, and from attachment to mother to pee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family distress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of adolescents’and mothers’mental health was also suggested.

      • 발달장애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장애 형제자매로 인한 생활 스트레스(daily hassles)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선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1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은 장애형제로 인해 일반 청소년과는 다른 다양한 심리·정서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원인과 경로를 바탕으로 한 차별적인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관련 연구 분야에서 도외시되었던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인 ‘스마트폰 중독’에 주목하였으며, 이를‘장애가족’내 부모-자녀 관계라는 하나의 체계 안에서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장애형제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요인을 검증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에 대한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인천의 발달장애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청소년 중 만 11세 이상 19세 이하의 비장애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단계 양적연구에서는 발달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청소년 37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단계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비장애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양적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질적 자료수집은 2019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연구대상 접촉이 용이한 유관기관(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협의회, 장애인부모협회, 지역사회 재활시설, 일반학교 및 특수학교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양적연구 단계에서는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Bootstrapping을 진행하였다. 질적연구 단계에서는 사례분석 방법을 통해 양적 연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적법성 및 윤리적 검토를 하기 위해 IRB 승인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가정 내 비장애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의 수준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의 고위험군인 ‘중독집단’의 경우 14.0%로, 같은 척도로 조사된 일반청소년의 ‘중독집단’비율인 4.8%에 비해 약 3배 정도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장애 가정 내 비장애 청소년과 부모와의 관계는 평균 2.30(최소값 0, 최대값 4)으로 일반 청소년 가정의 평균 2.34(최소값 0, 최대값 4)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역기능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특히 아버지와의 관계는 더욱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도 많은 수의 청소년들이 어린 나이 때부터 부모가 자신보다 장애형제에게 몰두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부모가 차별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에 대해 서운함과 분개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 청소년들은 장애형제로 인한 생활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참여 청소년들은 장애형제로 인해 속상함, 불쾌함, 부끄러움, 상처 등 다양한 부정적 감정과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적·질적 연구결과에서 동일하게 비장애 청소년이 느끼는 장애형제에 대한 스트레스는 비교적 사회와 타인으로부터 오는 시선과 평가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장애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는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양적연구 검증과정에서 뿐 아니라 질적연구 결과에서도 비장애 청소년이 부모로부터 소외되고 방치될 경우, 이들은 무료함과 심리적 긴장감을 느끼는데 이때 비교적 접근이 쉬운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몰입하고 집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형제로 인한 생활 스트레스는 부모-자녀 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여섯째, 질적 연구를 통해 비장애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중독의 보호요인으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부모와의 시간 공유, 유사한 경험을 지닌 또래 및 형제와의 지지체계 등이 확인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고위험군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비장애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정부와 민간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형제에 대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비장애청소년을 위한 온오프라인 상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비장애청소년들의 자조모임 활성화를 통해 이들의 건강한 정서발달 및 문제행동 완화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실효성있는 장애 인식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비장애청소년들이 느끼는 장애형제에 대한 일상스트레스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Adolesc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face with a variety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ris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dolescents without such sibling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m with special interventions based on specific causes and pathways. This study focused on smartphone addiction, a problematic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has long been neglected in this field. It is tried to identify specific causes within a system of parent-children rel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more specific implications by verifying mediating factors of daily hassles for disabled siblings, which have not been addressed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role of daily hassles as a mediating factor.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on-disabled teenagers aged between 11 and 19 years ol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o have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rst phase of quantitative study, a self-report type survey was conducted on 373 non-disabled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n the second phas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3 non-disabled adolesc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to November 2018, centered on relevant institutions (Disability Welfare Center, Council of Social Welfare, Korea Oranization for Parents of The Disabled,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Gener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etc.).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stag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stage, an in-depth analysis was attempted on the area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by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received IRB approval for the legitimacy and ethical review of the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of non-disabled adolescents was very seriou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14.0% of such adolescents fell in the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addiction, which i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e 4.8% ratio of the general adolescent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sabled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was relatively more dysfunctional compared to general adolescent familie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was worse. In the qualitative study, it was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adolescents were already aware that their parents were more involved with their disabled siblings, and they felt resentful and angry about discriminatory parenting attitud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non-disabled adolescents had higher daily stress due to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 majority of participating adolesc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uffering from various negative emotions and stresses such as anger, unpleasantness, shyness, and heart sore due to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the stress that they had were found to be highly related with the discriminative gaze and evaluation from society and others. Fourth, parent-child relationship of non-disabled adolescents was directly reflected in smartphone addiction.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y were overly immersed and obsessed with smartphones which they are relatively accessible, when they were alienated and neglected by their parents. Fifth, the daily stress caused by the siblings with disabilities was verified as a mediator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Sixth,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sharing time with parents, and support system of peers and siblings who had similar experiences as protection factors for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non-disabled adolescents. Based on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made. First, active suppor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is required,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high risk groups are needed. Second, active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re needed to improv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non-disabled adolescents with disabled sibling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ctivate various support programs online and offline for non-disabled adolescents to alleviate stress due to the siblings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and to resolve problem behaviors by activating self-help groups for non-disabled adolescents. Fifth, efforts should be made to alleviate the daily stress due the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rough effective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s.

      • Challenges and adjustment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ree theories

        Park, Jisu Sungkyunkwan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941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often have foreign-born mothers due to intercultural marriages and are exposed to more than two cultures in families. In such an environment, adolescents commonly face challenges such as language barriers within families and a deficiency of social resources. This dissertation applied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school adjustments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dissertation conducted three empirical studies usi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Chapter 2 explored the link between trajectories of Korean proficiency and ethnic language proficiency and multiple domains of adjustment. Results of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revealed three latent trajectories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ethnic language proficiency: primarily Korean group (76.71%), limited bilingual group (21.79%), and deteriorating Korean group (1.60%). Regression models showed that adolescents who belong to the primarily Korean group were more likely to have better adjustment than adolescents who belong to the limited bilingual group and the deteriorating Korean group. In Chapter 3, the effects of the linguistic acculturation gap between adolescent and their foreign parents and parental support on adolescent adjustment outcomes were examined. Three developmental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high proficiency group (35.77%), acculturation gap group (44.75%), and moderate proficiency group (19.49%). Results of multicategorical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adolescents who belong to the high proficiency group were more likely to have better adjustment outcomes than adolescents who belong to the acculturation gap group and moderate proficiency group, and parental support mediated in the link between the profiles of acculturation gap and adjustment. Chapter 4 tested bidirectional relations between soci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cross-lagged analysis suggested that higher levels of social capital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although there were som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capital. Family social capital predic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from fourth to eighth grade among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effect of peer social capital was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entering junior high school. The path from teacher social capital to academic achievement was only significant in the first two waves. The cross-lagged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in all types of social capital. The dissertation applied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to investigate the link between challenges and adjustment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using longitudinal research designs. Findings suggested that adjustment problems may result from difficulties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 for a long period. The dissertation discussed practice and policy for various types of adjustment problems experienced by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empirical evidence. 한국 다문화청소년은 한 가정 내 두 가지 문화에 노출되어 가정 내 언어적 장벽을 마주하는 어려움과 사회적 자원 형성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고, 이는 곧 다문화청소년의 다양한 적응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적응의 관계를 이론적 접근을 통해 이해하고 종단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다문화청소년패널(MAPS)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세가지 이론적 틀을 가진 경험적 연구로 구성하였다. 2장에서는 acculturation strategies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유창성과 외국인 부모 나라의 언어 유창성 발달 궤적을 살펴보았다. MAPS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한 결과, 주로 한국어 집단, 제한된 이중언어 집단, 한국어 악화 집단 등 3개의 잠재 집단이 도출되었다.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주로 한국어 집단에 비해 제한된 이중언어 집단은 심리적 적응과 학교적응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한국어 악화 집단은 행동적 적응과 학교 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MAPS의 1-6차년도 자료와 acculturation-gap distress model을 활용하였다. 다문화청소년과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유창성 수준의 차이가 부모 지지를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잠재계층성장 분석 결과에서 높은 유창성 집단, 동화 차이 집단, 중도 유창성 집단 등 3개의 발달 궤적을 확인하였다. 외국인 부모-자녀 간 동화 차이가 적고 한국어를 유창하게 하는 집단에 속하는 청소년일수록 부모 지지를 매개하여 높은 적응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4장에서는 social capital theory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의 가족, 또래,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취를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시에, 학업적 성공이 강조되는 한국 사회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성취가 사회적 자본을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결과, 가족 자원만이 유일하게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학업성취를 예측하고 있었다. 이와 반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성취는 가족, 또래, 교사의 사회적 자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다문화청소년의 적응을 이해하고자 기존 이민사회에서 정립된 이론들을 차용하였으며 종단적 검증을 통해 장기적인 정책 마련에 경험적 결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적응에 한국어 유창성, 외국인 부모 나라의 언어 유창성,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유창성, 가족 간 지지적 관계, 학업 성취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