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품제조업의 WMS 성과 검증에 따른 확장성에 대한 요인 설계

        김태환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기업들은 고객의 효율성 추구에 대처 할 수 있는 기업 내부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개선 업무들을 위한 시스템 도입 등을 진행 시키고 있다. 특히 제품생산의 다품종 소량화와 이에 따른 물류보관 비용의 증가 등 물류관리 합리화를 위한 필요성이 재기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의 해결을 위한 일환으로 WMS를 도입한 물류현장 에서는 일반론적인 WMS의 도입으로 인한 여러 가지의 시행착오를 격고 있다. 그중 식품 제조업에서의 물류 창고관리는 식품제조업의 특성상 창고관리의 몇 가지 공통된 문제점 및 주요 이슈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식품제조업체의 WMS의 도입 사례를 분석하여 운영상의 문제점 등의 설문자료를 SPSS 15.0(ver.)과 Amos 7.0(ver.)을 이용하여 분석 하고, 구체적으로 적용된 변수 및 요인에 대한 인식정도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요인들간의 상관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척도의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분석은 Cronbach's 계수를 이용한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요인들의 확인적 요인분석 및 연구모형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도출 되었다. 첫째, WMS 활용성에 대한 개선으로 시스템의 도입 적용 시 사전에 주요한 이슈 등을 분석하여 적용하고, WMS의 적용 후 실제 활용에 대한 문제점 등을 피드백 하여 점차 활용성에 대한 효율화를 기하여야 한다. 둘째, 표준 프로세스 적용에 대한 개선으로 현장에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근간으로 한 업무 규정의 연동을 위해 WMS와 타 시스템 간의 연계로 표준화된 프로세스의 일치성을 유지 하여야 한다. 셋째, Visibility 적용으로 가시성 확보를 위한 실시간 재고 및 입, 출고 정보 등을 원하는 시점에 언제든지 정보를 제공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설계되고 운영 될 수 있어야 하겠다. 넷째, 시스템의 확장성(Scalability)을 위해서는 최근의 IT기술 중 하나인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기술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시스템에 영향을 최소화 하며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WMS의 실제 적용 사례를 근간으로 하여 현실적인 문제에 접근하였으며, 원론적이고 개념적인 해결방안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안을 강구하여 향후 미래지향적인 SCM 차원의 WMS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Recently, most companies are introducing systems for job improvement to level up their availability which can meet customers' efficiency demand. Especially, smallamount production of many items is requiring logistics cost increase and efficient logistics management. Many logistics companies introduced WMS to solve the problems, but there have been many trial and errors. Especially, the management of food manufacturing company logistics warehouse has several common and key issues which are unique to the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WMS of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by using SPSS 15.0(ver.) and Amos 7.0(ver.) for survey data, performed Descriptive Analysis to understand variables and factors and also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level among the factors, and performed Factor Analysis to understand the validity of methods. For reliability analysis, we used Cronbach's index to measure internal consistency. We also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y using Amos to analyz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udy model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are obtained. First, to improve WMS use, key issues should be addressed proactively when introducing WMS, and there should be feedback for actual applications after the system is installed. This will improve efficiency of the system use. Second, to improve standard process use, the standard process between WMS and other systems should be consistent for seamless interoperation of job regulation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ird,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managed to be able to provide real-time stock,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for better visibility. Forth, the system should be scalable by using most recent IT technology such as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while minimizing effects to existing other systems. In this study, we reviewed practical issues for WMS application and provided future oriented SCM level WMS roles by developing detail and practical solutions, not theoretical and conceptual solutions.

      • WMS 출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우선순위 출하를 중심으로

        심호섭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기업들은 고객의 효율성 추구에 대처 할 수 있는 기업 내부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개선 업무들을 위한 시스템 도입 등을 진행 시키고 있다. 특히 소비자의 구매 성향 변화에 따른 영업환경 변화는 제품의 다품종 소량화로 이어졌으며 이에 따라 물류보관 비용 증가 등 물류관리 합리화를 위한 필요성이 재기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의 해결을 위한 일환으로 WMS를 도입한 물류현장에서는 일반론적인 WMS의 도입으로 인한 여러 가지의 시행착오를 격고 있다. 그중 의류산업에서의 물류 창고관리는 의류산업의 특성상 창고관리의 몇 가지 공통된 문제점 및 주요 이슈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의류산업(의류, 신발, 잡화 등)의 WMS 운영에 따른 WMS의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공통 요소를 분석하고 의류 산업 3PL특성에 맞는 WMS를 구축하여 운영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르는 문제점 및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기존 WMS 들의 기능적 특징 및 문제점을 선행 연구를 통해 분석 하였다. 의류 산업 물류 환경 및 물류 시스템을 분석 하여 유통 프로세스의 재고시점 차이가 발생하는 요인을 분석 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출하 시스템은 재고시점 차이가 발생할 때 주문 취소 결정 주도권이 WMS에 있었으며 이는 ERP의 출하 의도와 무관하게 출하되는 점이 분석되었다. 의류산업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물리적인 창고와 논리적인 창고로 분리되며 논리적인 창고들이 유통환경에 맞는 일종의 버퍼 역활을 담당하는 것이 분석되었다. 그러나 여러 논리창고에 속해 있는 상품들이 실제 물리 창고에 공존함으로써 물리창고 내 위치관리의 문제점들이 분석되었다. 의류산업의 물류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도출 하였다. 첫째, 의류 산업 물류에 적용되고 있는 출하시스템은 상위 계획 시스템인 ERP, RMS 출하계획에 부합하고 물류와 유통의 연계를 위해 우선 공급되어야 할 매장으로 공급하여 판매기회 증대에 기하여야 한다. 둘째, 유통 효율화를 위해 버퍼 역할을 하는 논리 창고들이 실제 물리 창고의 위치관리가 원활함으로써 유통과 물류가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표준 프로세스 적용에 대한 개선으로 현장에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근간으로 한 업무 규정의 연동을 위해 WMS와 타 시스템 간의 연계로 표준화된 프로세스의 일치성을 유지 하여야 한다. 넷째, 상위 계획 시스템인 ERP와 하위 실행 시스템인 WMS가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와 시스템 개선이 프로세스의 협업과 시스템의 협업이 동시에 최적화 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WMS의 실제 적용 사례를 근간으로 하여 현실적인 문제에 접근하였으며, 원론적이고 개념적인 해결방안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안을 강구하여 향후 미래지향적인 SCM 차원의 WMS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within enterprises to cope with customer's pursuit of efficiency, enterprises are introducing the system nowadays to perform various improvement works and others. Especially,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due to changes in purchasing tendency of customers led to multi-lot and small quantity production. Therefore, the necessity to rationalize the logistics management including increase in cost of warehouse and others have arose. At the site of logistics introduced of WMS as a solution to above problems, various trials and errors due to general introduction of WMS are in progress. There are several common problems and main issues unique to the warehouse management in apparel industry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on elements by examining the literature on WMS in regards to the performance of WMS in apparel industry (clothing, shoes, accessaries, and others), analyze the outcome of operation by constructing WMS that fulfills 3PL of apparel industry, and propose the plan for efficient operation and resolution of the problems that follows by. Function and problems of previous WMS was analyzed through preliminary studies. Also, analysis on factors that cause difference in the stocking period of distribution process was carried out by analyzing the logistics environment and system of apparel industry.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WMS takes initiative in determining the cancellation of order when there is difference in stocking period in previous loading system and it was loaded regardless of ERP's intention. In order to perform smooth distribution, there were physical and logical warehouse for apparel industry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logical warehouses were in charge of taking a role of buffer in regards to distribution environment. As the products in different logical warehouse co-exist in physical warehouse, however, there was a problem of locating the product within physical warehouse. As a result of analyzing logistics system of apparel industry, following improvement plans were established. First, the loading system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in apparel industry should follow the loading plan of super system ERP and RMS and assist the increase in sales by supplying products to stores with priority for the link between logistics and distribution. Second, physical warehouses that play a role of buffer for efficiency in distribution shall be able to locate the product in physical warehouse easily in order to establish organic link between logistics and distribution. Third, as a improvement on application of standard process, the consistency of standardized process shall be maintained with link between WMS and other systems in order for interworking of regulations based o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Fourth, in order for super planning system ERP and sub system WMS to operate as one, cooperation in process and system shall be optimized together with the improvements in process and system. This study approached the practical issues based on the actual application of WMS and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proposed the role of WMS in future-oriented SCM by pursuing the concrete and performable plan instead of theoretical and conceptual resolution.

      • 물류센터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른 물류업무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임만규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물류센터관리 시스템이 물류업무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제조업 기업인 D사의 물류운영에 대한 사례로 시스템의 도입 전과 후를 비교하고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변화되는 프로세스를 관찰하고 변화된 프로세스에 의해 물류의 성과가 기업의 이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This treatise is for a study on effectiveness for a logistics tasks By warehouse management system. As example of manufacturer 'D' company's logistics operation, we compared before and after case of accepting WMS and according to accepting WMS, we observed the process and researched that how much performance of logistics company influence profit by changed process.

      • WMS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예측모델 데이터 가시화 방안 연구

        권태정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91

        최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지도위에 제공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국외의 경우 구글맵, 오픈스트리트맵, 빙맵등이 있고, 국내의 경우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브이월드맵 등이 GIS 기술의 한 부분인 WMS(Web Map Service)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선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WMS 기술을 기반으로 해양예측모델 정보인 벡터장(Vector field)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조류 흐름도 와 스트림라인(Streamline)의 표출 방안 알고리즘 연구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가시화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조류 흐름도 표출과 스트림라인 표출 알고리즘과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 비교를 하여, 기존의 기술 보다 2배 이상 빠른 표출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트림라인의 동적인 흐름의가시화 및 자료 수집 자동화 연구가 남아 있다.

      • 제조기업의 통합 WMS(창고관리시스템) 구축 방법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승예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89

        This treatise is for a study on how to introduce WMS1) and its effectiveness for a company who has to construct integrated system by introducing the case of “H” company. In case of Group enterprise who has to construct integrated system, it is required for them to set up many types of customization on each business unit and their products. If there is no deep consideration when constructing this customization, it results in failed project with extremely long time of period and high expense. “H” company introduced solution package, however, it failed in the end and waste almost one year with high expenses. This failure stimulates them to develop their own united WMS which could satisfy each manufacturing group successfully.In order to develop united system, it requires environmental analysis and constructed method and this treatise verified it based on analyzing MOT2). According to standard business process, it presents designed model for the information system, WMS introduction status per each stage and the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 according to each sub system. Further, by analyzing the aspect of MOT, it also provides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its effectiveness based on background and how to design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 and its solution.As a simple introduction, by analyzing business process on each plant, it puts the standard to make various products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for basic process, it applies integrated standard process for each plant. After introducing basic system as per stated in the above, we can use equal process and also present simple additional design method by changing their setup for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by each plant. Rather than adding separated program that are used by each plant, it makes integrated module and reinforces the function of setup to apply all plants together. Further, the transaction which can’t be processed by setup, it allows to develop each module, and eliminates duplicated program completel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siderable aspects, basic system and the method as a guide book for the manufacturers who have multiple plants and are eager to introduce WMS as united system. 본 논문은 통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제조그룹에서 WMS1) 를 도입하기 위한 구축방법과 구축효과에 대하여 H기업의 사례를 들어 연구하였다. 통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그룹사의 경우, Customization 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때 깊이 있는 분석과 신중한 판단을 하지 않으면 프로젝트의 실패를 맞게 되어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허비할 수 있다.H社에서는 솔루션 패키지를 도입했다가 실패하여 1년이라는 시간과 그에 따른 비용을 허비하였다. 그러나 문제점을 인식하여 자체 개발을 하게 되었는데, 제조그룹에 맞는 기능들을 충족시키는 통합적인 WMS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통합적인 시스템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환경 분석과 구축 방법론을 통한 표준화 작업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MOT2) 관점의 분석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즉, 업무프로세스 표준화에 따른 정보시스템 설계 모형 및 단계별 WMS 도입 수준, 그리고 각 Sub System 정보처리 방법론에 대하여 제시한 후, MOT 관점의 분석을 통하여 환경적 분석과 연구환경의 배경에 따른 효과분석, 그리고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점을 가지고 시스템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설계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각 공장을 대상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다양한 제품군과 다양한 Business Process의 특성들을 포함하는 모형에 대한 기준을 세웠고, 기본적인 업무 Process에 대하여는 표준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대상 사업장 전체에 공통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이와 같이 WMS의 기본적인 기능들을 설계한 후, 각 공장 별로 특수하게 관리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프로시저를 동일하게 쓰되 Setup만을 달리하여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각 공장 별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추가하지 않고 공통된 모듈로 설계한 후, 여러 공장 및 사업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Setup 기능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Setup으로 처리되지 않는 Transaction들은 개별적으로 모듈화하여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상의 중복성을 철저히 배제하였다.이 연구의 목적은 여러 제품군과 여러 사업장이 존재하는 제조기업에서 기업통합시스템으로 WMS를 구축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및 시스템 구축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제조기업의 통합 WMS시스템 구축에 대한 활용서로 사용 되어지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WMS 모형에 의한 홍수위별 범람구역의 변화분석

        이주남 公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775

        자연 재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홍수에 의한 하천의 범람인데, 최근에 발생하는 자연 재해의 형태는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 홍수에 의한 범람구역을 설정한 홍수범람도를 작성하는 등 수공학 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이 접목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WMS 모델은 강우-유출해석에 요구되는 수문모델링을 위한 포괄적인 그래픽 사용자환경(GUI)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이며, 특히 GIS에 구축되어 있거나 저장되어 있는 유역의 지형자료를 수문해석에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계되어 있고, 여러 가지 수문모형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각각의 모듈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을 생성하고, GIS 기반의 지형도, 토양도 및 토지 이용도를 이용하여 WMS 6.1 모델로 홍수위별 홍수범람도를 작성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양화천 유역의 제1지류로서 모델적용을 위한 항공사진측량 자료가 있는 매류천과 안금천, 대신천 유역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유역내의 실제 홍수범람자료를 조사하였고, Arc-view를 이용하여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이용도, 토양도의 GIS D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기초로 WMS에서 Import하여 유역경계 및 하천망을 추출한 다음 홍수범람 지역을 설정하여 각각의 빈도별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모형을 사용한 피해 예상 지역과 실제 홍수위로 인한 피해지역이 거의 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20년 빈도 홍수위에서 1000년 빈도 홍수위로의 증가로 인한 침수면적의 증가율은 매류천이 가장 작았고, 안금천이 가장 컸다. 이것은 평균하상경사와 하천의 형태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0년 빈도 홍수위에서 1000년 빈도 홍수위의 증가율을 보면 매류천은 8%, 안금천은 11%, 대신천은 9.6%의 증가를 보였다. 평균 하상경사는 매류천이 0.0045이고 안금천은 0.0107 대신천은 0.0060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해상도 DEM이 제외지 및 하천 제방의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못 하였던 점을 개선하여 저해상도 DEM과 항공사진 측량자료인 고해상도 DEM을 합성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였다. 이 결과는 대상유역의 홍수발생시 홍수예경보 및 재해발생시 대피장소의 결정과 시설물 관리업무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수피해의 판단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deluge is the severest disaster of the natural phenomen- on, which is frequently occurring by whether changes and becoming more bigger and bigger. Recently, there have been active studies on GIS (Geogra- phic Information System) connecting with water resources engineering to predict a flood. The mapping of floodplain boundaries is the primary use of GIS and the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Among these technologies, WMS is a program providing comprehensiv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to hydrologic modeling of rainfall-runoff analysis. Especially, geographic data constructed or stored in GIS can be effectively linked and maximally utilized to hydrologic analysis. It also has several modules, which can be used for connecting operation of hydrologic mode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the map of floodplain boundaries with flood level differences by over- lapping topographical map, soil map and land use map of GIS base after developing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The research areas for model application is the Maelyu, Angeum and Daeshin stream basins, which are the main tributaries of Yanghwa stream basin and have data of air photographical survey. First of all, the practical flood inundation data is inves- tigated on the area and developed GIS DB of Digital Elevat- ion Model, land use map and soil map through Arc-view. On the basis of the data, watershed boundary and stream network are extracted by importing WMS and used to select flood inundation areas. Through the process, a flood inund- ation map is created in accordance with each frequency.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predicted damage area by the model was almost identified with real flood affected area.In addition, Maelyu stream showed the lowest growth rate of inundation size due to the increase from 20 year frequency flood level to 1000 year, while Angeum stream showed the highest. It is concluded that the reason is the average slopes of river bed and the shapes of stream. When it comes to the growth rate from 20 year frequency flood level to 1000 year, Angeum shows 11% increase, followed by Daeshin with 9.6% and Maelyu with 8%. The average slopes of river bed were 0.0107 in Angeum, 0.0060 in Daeshin and 0.0045 in Maelyu. The existing low spatial resolution DEM had problems, which did not considered effects of fore land and streaml. In this study, a more credible flood inundation map was created by mixing low spatial resolution DEM and high spatial resolution DEM(data of air photographical survey) through improving the problem. It can be used not only as basic data for flood forecast and alarm, determination of shelter sites in the case of flood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concerned, but also as evaluation criterion of flood damage.

      • WMS HEC-1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경년 수문변화 분석

        이준우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759

        According the modern society's industralization, natural environment related to hydrological are rapidly changing. To take stable acquisition of water resources and to prevent the natural disaster, the more accurate hydrological informations are strongly required. For the upper mentioned reason, this study aims to extract the basin data which are essential for the watershed analysis by using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RS(Remote Sensing) and to assess hydrological impact by long-term land cover change. Land cover change information of Gyeongan-Cheon Watershed was extracted using the multiple Landsat images of the same watershed. Multiple image date set is Landsat MSS ('80) and Landsat TM ('86, '90, '96, '00). We carried out pre-processing process. In addition, we performed land-use classification with MLC (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after improving the predictive accuracy of classification by filtering technique. Land cover was classified into 9 classes such as water, urban, fallow, swamp, meadow, forest, paddy, upland, and etc. At the stage of classification, ground truth data, topographic maps were used to select the training site and statistical data of that time were compared with the classification result to prove the accuracy. As a result, urban has been increased ('80:1.4% → '90:3.4%→ '00:7.0%) and forest area decreased ('80:70.6% → '90:74.1%→ '00:64.5%) as we estimated. Assessment of Hydrological Impact by Long-term Land Cover Change used HEC-1 Model included in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Basin data are calculated using the producted DEM and WMS, and CN(Curve Number) are evaluated from the soil map and land cover maps. The parameters of HEC-1 were extracted by using the WMS. The parameters extracted from watershed were applied to HEC-1, and then were optimized by the observed recorded data and rainfall data. To calculate the effective rainfall, CN value of SCS are used. Clack, Snyder and SCS method are selected respectively to drive unit hydrograph. As a result, SCS method are suitable to Gyeongan-Cheon watershed. The result of simulation HEC-1, due to the increase of urban area and meadow, SCS curve number increased 9.8 and Peak flow 455 ㎥/sec increased.

      • 物流센터管理시스템(WMS)의 活用이 物流業務成果에 미치는 影響

        신재천 大田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758

        오늘날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해 온 반면 사회간접자본시설의 부족과 3D업종에 속하는 물류부문은 전반적이 인력부족 현상을 맞게 되었다. 그리고 컴퓨터, 정보통신기술 등과 같은 각종 첨단 기기들의 연결이 가능해지면서 물류센터관리시스템(WMS)의 구축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많은 기업들은 이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고, 구축하고 있는 기업들 중에서도 활용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본적인 물류기술 및 기능별 활용수준이 낮았다. 또한, 조직내부 · 고객 · 공급자간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공급망 관리(SCM)상에서 WMS 구축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기본적인 모델은 독립변수인 WMS의 활용수준과 물류프로세스 연계가 종속변수인 물류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규명하는 모델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3월 2일에서 4월 3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물류 부서가 있는 국내 10개 기업의 사용자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이들 모두에게 보내진 설문지 120부중 88매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80매를 분석대상 자료로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타당성 ·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물류 프로세스 연계는 물류업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물류비용 절감 측면에서는 공급자 및 내부조직연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고객서비스 향상 측면에서는 내부조직 및 공급자연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WMS 활용수준이 물류업무 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재고관리시스템, 출고관리시스템, 실적관리시스템이 물류비용 절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재고관리시스템과 입고관리시스템이 고객서비스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결과 현재의 기업들은 WMS를 운영하고 있으나 기능별 활용수준이 낮고 각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조직내부와 고객 그리고 공급자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시스템 기기들이 도입 초기단계이거나 기능별 정착단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물류합리화를 위해 기업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독립적으로 물류 각 기능별로 구축된 시스템보다는 전사적인 차원에서 기능간 연계가 이루어지는 통합적인 WMS 구축되어야 하고, 이러한 통합적 관점에서 또한 공급망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하여 물류운영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구매비용 · 수송비용 · 재고 및 센터관리 비용간의 상충관계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망 네트워크상의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상호협조를 통하여 최종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공급망상의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While the national economy has rapidly grown, both insufficience in indirect capital facilities of society and attempt to avoid having a logistical job as one of the so-called dirty, difficult and dangerous jobs have resulted in the leak of labor in the logistical industry. A variety of the state-of-the-art equipment, such as a computer system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lso have made it necessary to establish a warehouse management system. In spite of needs for these equipments, many domestic companies have not found any proper methods. Even the companies, however, which have already established the system, have not had a satisfactory logistical technology available to maximize its utilization performance and functional utilization levels. In addition, their linkage between the intra-company, customers and suppliers has not been established well, so that it has been required to build up an integrated warehouse management system to effectively supply chain manage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etting up hypothes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arehouse management system's functional utilization levels and the linkage between logistical process on the logistical performance. The important analytical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ogistical performance was partially influenced by the linkage between logistical process, the supplier and intra-company linkage had a effect on the reduction of logistical costs, and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ervice was influenced by the intra-company and supplier linkage.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functional utilization level of the warehouse management system had a partial effect on the logistical performance, that the reduction of logistical costs was influenced by the stock management system, shipment management system and report management system. And that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ervice was influenced by the management system of stock and receipt functions. According to this research, it can be founded that nowadays enterprises are operating warehouse management system, but activity level for each function is low and they are operating each system independently, and the connection among the inside of the organizations, customers and suppliers is not carried out well. And also, It can be decided that system machinery and tools of general enterprise are introduction early level or located in the fix level for each function. To strengthen the enterprise competitiveness for logistics reasonableness, combinational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several functions in organizational dimensions than system that is constructed for logistics each function, should be constructed Independently in point of the mid and long term,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hould be also accomplished in these combinational point. Through this on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logistics management can be improved, and mutual relationship among the purchasing cost, transportation cost, inventory cost and center management cost can be solved smoothly. Through the close co-relationship of the partners of supply chain network, service that is served to uplifted and logistics cost of supply chain can be reduced.

      • UML을 활용한 WMS 설계 및 구축에 관한 연구

        이범기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757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WMS by using UML. Although the recent industry dramatically developed, a supporting infrastructure is defective and not properly taking advantage of it. Especially, the transportation of Korea is about two times compared to Japan or USA and this point cause a problem for a business op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WMS which has the function offering information to efficiently operate warehouse a solution to this problem. WMS has functions controling goods, offering information to customers and also making use of efficient space. UML was used to analysis, design and realize for the development of WMS, moreover, it will be utilized for efficient maintenance and repair, too.

      • 반도체 제조기업의 물류특성 및 Warehouse Management System 구축 효과에 관한 연구

        김요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753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류부문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이유와 물류정보시스템 및 Warehouse Management System(WMS)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반도체 제조기업의 물류특성과 기존 창고재고관리 시스템의 문제점, 대안으로서의 WMS의 구축 필요성 및 구축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생산, 영업 등의 기존 분야에서 원가절감의 한계에 봉착한 지금 물류비 감축은 기업 경쟁력 강화의 마지막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기업물류와 국가물류가 모두 아직 열악한 실정에 있다. 또한 Global 경쟁과 e-Business의 확산으로 세계 경제 환경이 변화하고 있고 고객의 힘이 커짐에 따라 서비스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것도 물류분야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요인이다. 물류합리화의 핵심은 효율적 물류정보 시스템의 구축이며, 물류정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고객서비스의 향상, 전체 물류비의 절감 및 경영 전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재고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물류센터의 통합 및 재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물류정보 시스템의 여러 Sub System 가운데서도 특히 WMS가 부각되고 있다. WMS는 기존의 창고관리 시스템을 대체하는 확장된 개념으로서, 재고관리와 창고관리 기능에 정보 분석 기능과 물류센터 통합관리 기능까지 추가 되 있다. 최근에는 ERP, SCM 등의 기본 기능으로 자리 잡으면서 그 도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반도체 제조업은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대규모 투자가 발생하며 우리나라 GDP의 3.4%, 전체 수출의 약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업종이다. 또한, 물류분야도 타 분야와 차별되는 특성을 많이 갖고 있다. 초소형이지만 크기에 비해 가격이 높은 제품을 다루면서도 대량생산, 대량판매가 이루어진다는 것이 타 업종의 물류관리와 다른 점이다. 또한 Lot Tracking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Customer별 재고관리가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물량을 항공운송을 통해 해외로 수출하기 때문에 물류비의 부담을 많이 받으며, 물류센터가 전 세계에 산재해 있어 통합적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창고관리재고관리 시스템은 그 시설이 노후화되어 있고 최근에 구축된 ERP나 SCM 등의 타 정보 시스템과의 연계도 원활하지 않아 점차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반도체 업종과 같이 구조적으로 재고부담을 갖고 있고 물류센터가 산재해 있는 업종에는 WMS 구축이 필수적이다. 기 구축 사례에서 보더라도 WMS는 다양한 정성적, 정량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logistics in semiconductor industry and examines the role of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MS) as a key subsystem of Logistics Information System(LIS). Throughout this study, we assert that the main reduction of logistics cost is due to the execution of efficien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by which most of manufacturing companies can also achieve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ervice. Among the various sub systems of LIS, WMS needs to be payed attention. WMS is the extended concept of the existing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basic component of ERPSCM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dustry has characteristics of mass production, mass order, and mass delivery while semiconductor products are very small and expensive. In view of semiconductor logistics, Lot Tracking is very important to trace and monitor the quality and quantity of products in every location over the world. Products are usually delivered by airplane among many distribution centers and manufacturing sites over the world. Accordingly the logistics cost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increase every year. In this situation,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WMS with up-to-date information technology rapidly grows and this study measures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WMS in various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