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 of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on serum creatinine in patients undergoing partial nephrectom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정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58

        Background: Acute kidney injury (AKI) may develop during partial nephrectomy due to ischemic reperfusion injury induced by renal artery clamping or surgical insult. The effect of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RIPC) on reducing the renal injury after partial nephrectomy has not been evaluated in terms of urinary biomarkers. Methods: Eighty-one patients undergoing partial nephr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IPC or control group. RIPC protocol consisted of four cycles of 5-minute inflation and deflation of a blood pressure cuff to 250 mmHg. Serum creatinine levels were compared at the following time points: preoperative baseline, immediate postoperative, on the first and third days after surgery, and two weeks after surgery. The incidence of acute kidney injury, other surgical complication rate and urinary biomarkers including urine creatinine, microalbumin, β-2 microglobulin and N-acetyl- beta-D-glucosaminidase were compared. Split renal function measured by renal scan were compared up to 18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um creatinine level of the first postoperative day (median [interquartile range] 0.87 mg/dL [0.72-1.03] in the RIPC group vs. 0.92 mg/dL [0.71-1.12] in the control group, p=0.728), neither at any other time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cute kidney injury (n=5, 12.2% in the RIPC group vs. n=7, 17.5% in the control group, p=0.502). The other secondary outcomes including urinary biomark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Conclusions: RIPC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toperative serum creatinine level of the first postoperative day. We coul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rinary biomarkers and clinical outcomes. However, further larger randomized trials are required because our study is not sufficiently powered for secondary outcomes. 배경: 부분신장절제술을 받는 환자에서 신동맥을 클램핑하거나 손상되어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 허혈성 전 조건화를 시키는 것이 부분신장절제술을 받는 환자에서 신손상을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81명의 환자들을 무작위배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에서는 5분간 혈압계를 250 mmHg 까지 부풀렸다가 공기를 빼는 방법으로 4차례 실시하였다. 수술 전, 후, 수술 후 1일, 3일, 2주째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급성 신부전 발생률, 수술 합병증, 그리고 비뇨기 바이오 마커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와 급성 신손상 발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 외의 비뇨기 바이오 마커들도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원격 허혈성 전 조건화를 시키는 것은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비뇨기 바이오 마커 뿐 아니라 임상적 결과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검정력을 높이기 위해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rotec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against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without blocking chemotherapeutic efficacy in animal models

        Kim, Jisu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588

        Cisplatin (CDDP)은 광범위한 고형 종양들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화학 요법제 이다. 하지만, 많은 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장 손상 (AKI)에 의해 임상적 사용이 제한된다.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Cisplatin 유도성 AKI에 대한 성공적으로 보호하는 치료법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Dendropanax morbifera (DM)의 Cisplatin 유도 성 AKI에 대한 신장 보호 효과를 조사하고 cisplatin 화학 요법 동안 효과적으로 표적화 될 수 있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실험 디자인에서 5일간 실험을 하였으며, 4 마리의 수컷 Sprague-Dawley 쥐 그룹; Control; Cisplatin (6 mg / kg, i.p.); DM (25 mg / kg, p.o.) 과 복합군으로 DM (25 mg / kg, p.o.)을 Cisplatin 주사 2 시간 전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isplatin의 투여로 신장의 정상 조직 학적 구조 변화와 함께 체중 감소, 혈액 요소 질소 (BUN) 및 크레아티닌 증가와 TNF- α, IL-1β, IL-6, IL-10 를 포함한 염증 유발 사이토 카인 수준이 감소되었다. SBP1, KIM-1, NGAL 및 TIMP-1과 같은 단백질 기반 신 독성 생체 표지 물질의 요로 배설 또한 Cisplatin 군에서 증가하였다. 반대로, DM은 신장 손상 생체 표지 물질 (BUN, 크레아티닌 및 KIM-1, NGAL 및 SBP1)의 현저한 감소로 명백한 Cisplatin 유도 신장 독성을 유의하게 보호했다. DM 치료는 내인성 항산화제 활성 (SOD 및 Catalase)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장에서 Cisplatin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DM 치료는 또한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특히, DM의 보호 효과는 조직 병리학적 검사에서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며, DM 처리로 인한 신장은 Cisplatin에 의해 유발된 근위 세뇨관에서의 심한 신장 손상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종양 이종 이식 모델에서 DM은 형질 전환된 대장암 세포에 Cisplatin 매개 항암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isplatin의 화학 요법 활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Cisplatin 유도성 AKI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결과는 Cisplatin에 의한 신 독성에서 DM의 보호적인 역할을 보여주며 Cisplatin에 기초한 암 치료 중에 renoprotective agent에 사용되는 신뢰할 수 있는 전략이다. Cisplatin (CDDP) is generally used chemotherapeutic material for treatment of various solid tumors. However, its clinical use is limited by occurs acute kidney injury (AKI) in many patients. Despite intensive research, there is no successful protective therapy against CDDP-induced AKI.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monstrate renoprotec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DM) on CDDP-induced AKI and which can be effectively targeted during CDDP chemotherapy. In the experimental design, four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Control (vehicle); CDDP (6 mg/kg, i.p.); DM (25 mg/kg, oral) for 5 days; and DM (25 mg/kg, oral) 2 h before CDDP injection. In the present research, injection of CDDP decreased body weight, but increased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including TNF- α, IL-1β, IL-6, IL-10 along with alteration in normal histological architecture of kidney. Urinary nephrotoxicity biomarkers like selenium-binding protein 1 (SBP1),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also increased in the CDDP-treated group. On the contrary, DM significantly protected CDDP-induced nephrotoxicity which was evident by significant reduction of renal injury biomarkers (BUN, creatinine, and KIM-1, NGAL, and SBP1). DM treatment markedly reduced CDDP-induced oxidative stress in kidney by activating endogenous antioxidants activities (SOD and catalase). Further, DM treatment also reduced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particular, protective effect of DM was clearly observed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herein, kidneys from DM treatment markedly reduced CDDP-induced severe kidney damages in the proximal tubules. In tumor xenograft model, DM did not affect CDDP-mediated anticancer activity in transfected colon cancer cells, but enhanced the chemotherapeutic activity of CDDP as well as exhibited protective effects on CDDP-induced AKI. These results demonstrate protective effects of DM in CDDP-induced nephrotoxicity and suggest as a reliable strategy used for renoprotective agent during CDDP-based cancer therapy.

      • Differential somatic mutation rate in recurrent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유성현 전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71

        Purpose: The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is widely used in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MIBC), but limited use in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NMIBC) due to significant heterogeneity and high cancer-specific survival.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enomic information of NMIBC and identify somatic molecular alteration associated with tumor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3 patients with NMIBC who underwent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were enrolled. This study performed NGS using oncomine panel on tumor specimen and blood sample corresponding to each specimen. The somatic mutation results were analyzed by pairwise comparison and logistic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currence of bladder tumor within 1 year. Results: : The median incidence of genetic variation in 43 tumor samples was 56 variations per sample, and high tumor mutation burden (TMB) was associated with tumor recurrence. (median variation 33 vs. 64, p=0.023) The most mutated gene was adipose tissue macrophages (ATM) (79%), neurofibromatosis-1 (NF1) (79%), and neurogenic locus notch homolog protein 1 (NOTCH1) (79%). In multivariable analysis, mut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odds ratio [OR], 9.95; 95% confidence interval [CI], 1.40-70.96, p=0.022) and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TERT) (OR, 7.92; 95% CI, 1.22-51.51, p=0.030) were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bladder tumor within 1 yea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high TMB, EGFR mutation and TERT mutation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umor recurrence of NMIBC. In addition, somatic mutation in EGFR and TERT could be a useful prognostic biomarker in NMIBC. 목적: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은 근육 침윤성 방광암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에서는 상당한 이질성과 높은 암 특이적 생존율로 인해 사용이 현저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의 게놈 정보를 평가하고 종양 재발과 관련된 체세포 분자 변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방광암에 대해 경요도적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 총 43명이 등록되었다. 종양 표본과 각 표본에 해당하는 혈액 표본에 대해 oncomine 패널을 사용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고, 돌연변이 결과는 1년 이내 방광 종양의 재발 여부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43개의 종양 샘플에서 유전적 변이 발생수의 중앙값은 샘플당 56개의 변이였으며 높은 돌연변이 빈도는 종양 재발과 관련이 있었다. (유전적 변이 발생 중앙값;33 대 64, p=0.023) 가장 많이 돌연변이된 유전자는 adipose tissue macrophages (ATM) (79%), neurofibromatosis-1 (NF1) (79%), and neurogenic locus notch homolog protein 1 (NOTCH1) (79%) 순이었으며, 1년 이내 방광암 재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EGFR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비교위험도=9.95; 95% 신뢰구간 1.40-70.96, p=0.022)과 TERT (텔로머라제 역전사효소) (비교위험도=7.92; 95% 신뢰구간 1.22-51.51, p=0.030) 돌연변이가 종양 재발과 관련된 유의한 인자였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높은 돌연변이 빈도, EGFR 돌연변이, TERT 돌연변이가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의 종양 재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EGFR 돌연변이와 TERT 돌연변이가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에서 유용한 예후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