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공적 자의식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서예진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공적 자의식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에 따라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통합적 모델로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공적 자의식, 소외에 대한 두려움,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과 SNS중독경향성을 측정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 소외에 대한 두려움,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변인들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공적 자의식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의 수준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증가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공적 자의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공적 자의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으며, 공적 자의식 및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가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의 정도에 따라 관계가 달라지는 것을 밝혔다. 이는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기인한 SNS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해서 대화 중 스마트폰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부모 및 교사의 올바른 교육과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불안정성인애착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인관계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금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Social Network Service(SNS) is becoming a new social space online for modern people. Most people use SNS with good experiences, but in recent years, negative problems have emerged by SNS (Andreassen, 2015, Kuss & Griffiths, 2017). To prevent negative problem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ich determinants influence 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personal and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and explore methods that can prevent and alleviate SNS addiction tendency.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NS addiction tendency of adults, which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is study explores the antecedent factors and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is study sets unstable adult Insecure attachment, depression, and fear of missing out (FoMO) as antecedent factors for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m based on structural pathways. Second, this study discovers factor that can alleviate SNS addiction tendency and empir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preceding factors and SNS addiction tendency.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research model, a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were conducted for SNS users from August 8, 2023 to August 12, 2023. A total of 352 copies were collected, and 35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careless responding. This study used SPSS 24.0 and Smart PLS 4.0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the normality verification proce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and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Then this study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hypothe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dditionally teste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voidance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but it did not affect FoMO and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anxiety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FoMO, but did not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depressive symptoms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imilarly, people with high FoMO level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SNS addiction. Fourth, interpersonal Orient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ly between FoMO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he field by showing structurally how unstable adult insecure Attachment is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this study expand the extension of the existing research model by presenting a moderating effect that reduces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considering that the rece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iddle-aged people using SNS, this study conducted timely data collection and provide research implications. Fourth,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s, businesses, and education institution and counseling institution need to come up with policies and countermeasure to adult insecure Attachment, depression, and FoMO. Fifth, this study emphasized counseling treatment and prevention measures that can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confirming that interpersonal problems are the main stressors experienced by many adults. Keywords: SNS Addiction Tendency, adult insecure Attachment, Interpersonal Orientation, Depression, Fear of Missing Out (FoMO) 불안정성인애착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인관계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금숙 프로젝트경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현대인들에게 SNS는 온라인상의 새로운 사회적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SNS를 좋은 경험으로 시작하고 활동하지만, 최근 들어 부정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그 문제의 파급력은 사회 의 중요한 집단문화에 영향을 미쳐 온라인상에서 문제가 되는 참여에 압 도적인 지지와 과도한 관심을 경험하게 된다(Andreassen, 2015, Kuss & Griffiths, 2017). 문제가 있는 SNS의 사용을 방지하려면 어떤 결정 요인 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대해 보다 깊은 이해를 돕 고,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대인관계적, 정서적, 특성의 다중요인 을 동시에 살펴봄으로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예방 및 완화시킬 수 있 는 개입방법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구체 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성인들의 SNS중독경향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관련된 선행요인들을 살펴보고 구조적 관계에 대하여 확인해 보고자 한다.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불안정성인애착,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문제를 파악하 여 구조적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선행요인의 영향과 중요성을 인식한다. 둘째, SNS중독경향성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을 발굴하고, SNS중독경향 성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과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3년 8월 8일부터 2023년 8월 12일까지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52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0부를 분석대상으로 활 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과 Smart PLS 4.0을 활용하였고, 정규 성 검증과정을 거친 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한 후 변수 간 관계성을 파악하였 다. 또한, 가설경로의 유의성과 적합성을 검증하였고, 조절 효과와 매개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회피애착의 경우, 우울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FoMO와 SNS중독경향성에서는 영향을 주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의 경우 우울과 FoMO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SNS중독경향성에서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우울 증상은 과도한 SNS 사용과 관련이 있으며, 마찬가지 로 FoMO 수준이 높은 사람은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 째,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에 효과를 낮추는 조절 변수로서 대인관계지향성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FoMO에서만 유의 미하게 SNS중독경향성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이 SNS중독경향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구조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해당 분야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둘째, 대인관계 이슈와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는 가운데 SNS중 독경향성을 높이는 원인을 감소시키는 조절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기존 연구모형의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최근 중장년층의 SNS 이용 비 율이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시의적절한 연구 데이터 수집과 연구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라 관계성 욕구의 결핍은 지속적으로 관계 보상의 에너지를 작동시켜 애착과 우울, FoMO를 발생시키므로 이러한 역기능 변인을 선순환 시킬 수 있는 보상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연구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과 아울러 정부, 기업. 교육 및 상담기관 등 애착과 우울, FoMO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과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대인관계 문제가 많은 성인들이 경험하는 주요 스트레스 원인임을 확인함으로써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상 담치료 및 예방에 대한 대책을 사회적 측면을 살펴볼 필요성을 더욱 강 조한다. 주요어: SNS중독경향성, 불안정성인애착, 대인관계지향성,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

      •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오윤경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SNS사용과 심리사회적 기제들과의 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심리사회적 기제들이 SNS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SNS중독경향성과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사용자와 SNS비사용자로 나누어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살펴보고, 또한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만족, 사회적 지지와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SNS사용자들 중 중독경향성 점수가 높은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에서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SNS사용자와 비사용자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사회적지지 중 친구지지에서만 나타났다. 또한 SNS중독경향성은 외로움, 우울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인관계 하위요인 중 만족감은 SNS중독경향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SNS중독경향성이 높을수록 외로움과 우울이 높고, 대인관계에서의 만족감은 낮다는 결과이다. 그리고 SNS중독경향성 점수 수준에 따른 집단 비교에서도 SNS중독경향성 점수가 높은 상위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외로움과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결과는 SNS사용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기제를 이해함으로서 국내에 아직 연구되어지지 않은 SNS과다사용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향후 다차원적인 SNS중독척도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상담 장면에서도 SNS중독이 심리적으로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이해 및 외로움, 우울과 관련된 SNS중독 상담의 초기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300 adults, on factors, such as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classifying them into two groups of SNS users and non-SNS users, as to whether the surveyed use SNS or not. This thesis did so in an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NS-users and non-SNS users i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and to study whether SNS addiction tendency has the correlations with such factors, and namely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such factors. The analytic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there has bee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NS and non-SNS users in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noting but the support of friend among the subordinate concepts of social support, has showed the difference. Also, the results disclose that SNS addiction tendency has the positive relations with loneliness and depression, while, SNS addiction tendency has the negative 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subfactors of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becomes, the higher loneliness and depression becomes, but, the lower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comes. The discussion on these analytic results proves that SNS-overusing SNS addiction tendency is relatively similar with what’s called psychological mechanism to be analyzed through internet addiction. This can offer the research data valid and useful in developing the scale of SNSaddiction and can counsel and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overused SNS on psychological state, when SNS addiction emerges as a social issue. In addition, it is deemed that such research discussion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rimary intervention on the counseling on SNS addiction, as to ‘loneliness’ and ‘depression’.

      • 대학생의 사회연결망과 SNS(Social Network Service)중독경향성의 관계

        최다희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tion tendency and social network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For this, the researcher understood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and interactive social network of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SNS addition tendency and influence of doer’s position on SNS addition tendency. At this moment, social network means ‘online relationship with friends(online network)’ and ‘offline relationship with friends that is direct face-to-face meeting(offline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NS). Targeting 167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er delivered and withdrew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person after a survey during a month from October 1 2015 to October 30 2015. With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degree and centrality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NetMiner 4.0 Social Network Program. The research find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ch network of online and offline networks in social network has an average of 4 friends. In addition, social capital(person, information, influence) of offline network is rich, there is many social butterflies in offline network, and a doer of offline network plays a large go-between role in comparison with online network, so the influence to control information flow is far-reaching. In addition, accessibility and expansivenes s of social capital are easy. Second,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is lower than advanced studies using same measuring instrument. Unlike advanced studies that addiction-risk of female students is higher than addiction-risk of male students, this study considers that male students are more than female students in sex ratio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ipative group. Third, social network has a meaningful impact on SNS addiction tendency. That is, out degree, out power centrality, out closeness centrality, and node betweenness centrality are meaningful predictors in online network, so if there are few ac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capital is rich, there are many social butterflies, accessibility and expansiveness of social capital are easy, and the influence on flow of social capital as a role of intermediary and bridge is low, SNS addiction tendency heightens. Out closeness centrality is a meaningful predictor in offline network, so the easier accessibility and expansiveness of social capital, the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is result, social network has the meaningful predictive power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especially, out closeness centrality of social network has the high influence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explanation power of measuring variables of social network about SNS addiction tendency is high in online network using SNS as a tool. This study considered that SNS is positive because of convenient communication and expansion of social capital-aspect human network, but SNS addiction problem is empirically proved. Existing domestic studies related to SNS addiction focused on search according to media characteristics and causal relationship with psycho-social factors consider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but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try to access SNS addiction tendency by considering social network resources of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and to use not individual attribute data but relationship attribute data about measuring measures of network ‘relationship’. The research finding will contribute to expansion of SNS addiction study by attempting the domain existing SNS addiction study did not access in a scientific aspect, and will offer practical mental health services to university students and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suggest policy directional nature of youth welfare support by deducting protection factors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resources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network in an aspect of site application.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이론을 근거로 대학생의 사회연결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구조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사회연결망의 특징을 파악하고 SNS중독경향성과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행위자의 위치(Position)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때, 사회연결망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온라인상에서의 친구관계(온라인연결망)’와 ‘직접 면대면 만남인 오프라인상에서의 친구관계(오프라인연결망)’를 의미한다. 대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1개월 간, 자기기입식으로 구성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자가 직접 전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NetMiner 4.0의 사회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결정도와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연결망에서 온라인연결망과 오프라인연결망의 각 연결망 내 평균 친구 수는 4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프라인연결망은 온라인연결망에 비해 사회적자본(사람, 정보, 영향력)이 풍부하고 마당발이 많으며 행위자의 중재 역할이 커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자본의 접근성과 확산성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들에 비해 SNS중독경향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중독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참여집단의 대학생 성비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은 점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사회연결망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연결망에서는 외향연결정도, 외향파워중심성, 외향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유의미한 예측변수로 나타나 활동성 있는 친구관계가 적을수록, 자본이 풍부하고 마당발이 많을수록, 사회적자본의 접근성과 확산성이 용이할수록, 중개자나 다리역할로 사회적자본의 흐름에 영향력이 적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연결망에서는 외향근접중심성이 유의미한 예측변수로 나타나 사회적자본의 접근성과 확산성이 용이할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연결망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예측력이 있있다. 특히, 온라인연결망에서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연결망의 측정변수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연결망의 외향근접중심성 변수가 SNS중독경향성에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NS가 편리한 소통과 사회적가치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SNS 중독문제가 실증적으로 증명되었다는 점을 본 연구는 반영한다. 기존의 SNS중독 관련 국내 연구들이 SNS이용 및 중독에 대한 탐색적 연구, 측정도구 연구, 중독증상과 심리․사회행동 변인과의 관계 연구 위주였다면,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의 사회연결망의 자원을 고려하여 SNS중독경향성 접근을 시도하였고 ‘관계’라는 연결망의 측정변수에 대해 개별속성데이터가 아닌 관계속성데이터를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 측면에서 기존 SNS중독 연구에서 접근하지 않았던 영역을 시도함으로써 SNS중독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현장적용적 측면에서는 대학생의 사회연결망 자원과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보호요인을 도출하여 대학생들에게 실천적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청년복지지원의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 불안과 외로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건물시설 관리원을 대상으로

        이미영 서울사이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건물시설 관리원을 대상으로 사회적 불안과 외로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회적 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적 수행불안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남녀 성인 30대부터 60대의 SNS를 사용하는 건물시설 관리 직장인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건물시설 관리원의 평균 연령은 53.1세로 주로 중장년층이었으며, 이들은 사회와 가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시기로서 이들의 SNS 사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성인을 이해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적 수행불안 그리고 외로움의 상관분석 결과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사회적 수행불안 및 외로움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사회적 수행불안 그리고 외로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회적 수행불안은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외로움은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사회적 수행불안 및 외로움의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인의 SNS 중독 예방에 관련된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

        조량재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신경증, SNS중독경향성,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경증은 SNS중독경향성과 정적상관을,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은 SNS중독경향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존감은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존감 안정성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를 동시에 검증한 결과,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은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neurosis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in that relationship. For this, it conducted surveys using neurosis, SNS addiction tendency,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s on 300 university student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alyses of correlations among neurosis, self-esteem, stability of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showed that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after conducting simple regression to observe the effects of neurosis on SNS addiction tendency, it was found that neurosis partially explains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after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ut stability of self-esteem did not show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Fourth, after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simultaneously,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moderated the effects of neurosis on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20대의 자기애성향, 대인관계지향성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20대를 대상으로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 이용률이 가장 높은 20 대 2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 (NPDS), 내현적 자기애 척도 (CNS), 대인관계 지향성 척도 (FIRO-B), SNS 중독 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SNS 중독 경향성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의 각 변인들의 하위 요인과 함께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 SNS 중독 경향성은 각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외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과장된 자기지각, 자기중심성이,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과민이, 대인관계지향성의 하위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통제 욕구가 SNS 중독 경향성과 가장 큰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 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SNS 중독 경향성의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하위 요인 별 로는 착취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지향성은 SNS 중독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외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인 웅대성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 요인인 소속 욕구, 통제 욕구, 정서 욕구가 SNS 중독 경향성의 하위 요인 중 가상세계지향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나타난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광주광역시 지역의 20 대 남녀로 한정 되어 있어 지역적 특성이나 문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후속 연구는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 하여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SNS 이용률이 가장 많은 2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지만 다른 연령층에서도 SNS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SNS 중독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바탕으로 실시하여서 변인을 측정함에 있어 제한점이 있다. 설문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상태, 반응 묵인과 일탈,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보다 타당도 높은 방법들을 사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살펴본 변인들 외에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을 SNS 중독 경향성과 연관 지어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성과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 성인애착이 스마트폰 및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김보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dependent, independent) in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anxiety, avoidant),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ECR-R),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KIIP-SC), th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s and th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to a sample of 376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anxiety, avoidant)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dependent, independent),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interpersonal problems(dependent, independent) affected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interpersonal problems(dependent, independent)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anxiety, avoidant) on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nxiety attachment could influenc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hich is mediated by dependent and independent interpersonal problems. Besides the avoidant attachment could affect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hich is mediated by independent interpersonal problems. But in this study, both type of attachment can influence addiction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and process of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discusses about the limitations.

      • 20대 성인의 인정욕구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한선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6

        20대의 SNS 중독경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정욕구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 및 대인관계문제, 그리고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파악해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성인의 인정욕구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인관계문제가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대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인정욕구 척도,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은 총 354명으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Statistics21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정욕구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의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정적인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정욕구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는 정적인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정욕구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인관계문제의 이중매개는 정적인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 성인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담 장면에서 인정욕구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 및 대인관계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order to reduce the tendency of SNS addiction in people in their 20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approval, Fear of Missing Out, interpersonal problems,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impact Fear of Missing Out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approval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people in the 20s,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random sampling of people in their 20s, and the measurement tools used measures of need for approval sacle, Fear of Missing Out scal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KIIP), and SNS addiction tendency. A total of 354 people were subject to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using the SPSS Statistics21 and PROCESS Macro program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4 people, and SPSS Statistics21 and PROCESS Macro programs were used to verify the intermediate effectiveness. The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approval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Fear of Missing Out showed paritally positive mediating effec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approval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partially positive mediating effec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approval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Fear of Missing Out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positive full du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and counseling scenes to reduce SNS addiction tendency in adults in their 20s require interventions to address the Fear of Missing Out, need for approv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cused as well as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이은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다시 말하자면 내현적 자기애라는 심리적 특성을 가진 대학생들이 SNS중독에 쉽게 빠진다고 가정하며 이러한 SNS중독경향성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요인으로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대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성별)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SNS중독경향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SNS중독경향성 간 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3.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SNS중독경향성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4.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CERS), SNS중독경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총 546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그 중 부적합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451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SNS중독경향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 SNS중독경향성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 그리고 SNS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SNS중독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과민/취약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착취/자기중심성, 인정욕구/거대 자기 환상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하지 않은 영향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거나 예방을 돕기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을 시도할 때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돕기 위한 접근으로 내현적 자기애라는 성격적 변인을 고려하여 부적응적 정서를 낮출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해야 하겠다. 셋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관련하여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을 시도할 때 개인의 내현적 자기애 전체의 성향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각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고려한 접근이 요구되며, 부적응적 정서 조절의 경우에도 타인비난과 파국화에 초점을 맞춘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넷째, 개인의 SNS중독경향성을 돕기 위해서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수정할 수 있는 인지치료적 개입을 할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SNS중독경향성과 관련된 성차 연구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대부분이고,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같은 매개변인으로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드문 가운데,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한 가지 차원인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대학생, 내현적 자기애, SNS중독경향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