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교내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와 인성발달 수준과의 관계

        이현숙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46

        대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오랜 시간 노출되는 환경인 대학환경 속에서 참여하는 교내활동 참여도, 대학생들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인 외부활동 참여도, 일상생활 속에서 참여 가능한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2,3,4학년의 남녀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고 최종 317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변수인 교내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가 종속변수인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교내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그 하위요인 7개(긍정적 생활태도, 심미적 소양, 도덕적 판단력, 타인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용서와 관용,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세계시민정신)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활동 참여도는 심미적 소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세계시민정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타인에 대한 존중, 심미적 소양,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긍정적인 생활태도, 도덕적 판단력, 세계시민정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대학생들의 인성발달 수준과 관련 깊은 활동요소들이 이후 대학생의 인성발달을 위한 환경과 기회제공의 방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방법, 내용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out-of-class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undergraduate students from 33 universities based in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317 except 11 incomplet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However, the findings show that the degree of out-of-class activiti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In specific,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ree activities and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positive attitudes, pursuit of the common good, moral judgment, understanding and love for others, forgive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sense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a community member, and world citizenship)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class activit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while their out-of-class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only two sub-constructs: pursuit of the common good and world citizenship. Secon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the six sub-constructs except forgive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ors should develop students' class, out-of-class, and leisure activities tailored to the purpose and needs for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an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s many opportunities as possi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meeting their needs.

      •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과 대학몰입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4

        While Korea's higher education has experienced rapid quantitative expansion, the departure rate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University dropouts cause great losses at both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university level. Since university students have a high intention to departure when they are freshme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eventing freshmen students from dropping out of school. Researchers have identified several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departure and suggested solutions such as supporting a variety of out-of-class activities to prevent departur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empirically examining the effect of out-of-class activities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On top of that, institutional commitment is expect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out-of-class activities and the intention to departure. Given the situation, this study intend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out-of-class activities on intention to departure and a medi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commitment.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First, is ther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and a medi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commitment? Second, is ther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and a medi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commitment? Third, is ther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Extra-curricular program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and a medi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commitment? Fourth, is ther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Work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and a medi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commitment? In this study, data from the 7 th year(2011) and 8 th year(2012)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DI) 2005 were used. The research sample are 1,794 university students who entered university in 2011 and participated 7 th and 8 th survey of KEDI 2005.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four variable blocks: Student-faculty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Extra-curricular program, Work. The term ‘out-of-class activities’ was used to refer four activities. The mediator variable is institutional commitment which is consisted of belonging, university adaptation, university satisfaction and university re-selection. Dependent variable were set as the intention to transfer and the intention to voluntary withdrawal. For the research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First, Student-faculty interaction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a suppression effect between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the intention to departure. Seco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ha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the intention to departure. Third, Extra-curricular program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transfer.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no mediating effect. Fourth, Work had no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Institutional commitment had no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suggested as bellow: First, the opposite effect of Student-faculty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college students and students with a high intention to departur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tudent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the high level of institutional commitment lead to lower the intention departur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Extra-curricular program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transfer.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is phenomenon results from the characteristic of students who prepare for transfer. The results t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no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could be attributed to the limitation of survey items which can not measure the qualitative aspect of Extra-curricular participa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Work had no effect on institu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that Work had no effect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could be attributed to data which excluded an employee sample.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recommendations: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udent departure model that can adequately explain the departure process in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The new model could include variables such as Self-growth and the hierarchy or reputation of universities; (2)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to engage in Student-faculty interaction. Profess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with higher intention to departure to engage i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guide them to specialized organization in university; (3) Universities should support students to have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online environment as they have little chance to interact with students in offline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further studies required to use recent data which reflects current environment of universities, and to develop survey items to measure qualitative aspect of Extra-curricular participation, and to verify effects of Work on the intention to departure including an employee sample. 한국의 고등교육은 급격한 양적 팽창을 이룬 반면에, 학업중단자들은 지난 20년간 꾸준히 늘어났다. 대학생의 학업중단은 개인 차원과 대학 차원에서 큰 손실을 야기한다. 특히, 대학생들은 신입생일 때 학업중단 의도가 높기 때문에 신입생들의 학업중단을 방지하는 것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들은 학업중단의 영향요인을 규명했고 다양한 수업 외 활동의 지원을 학업중단 방지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대학몰입은 수업 외 활동과 학업중단 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가 있는지, 대학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수와의 교류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대학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는가? 둘째, 교우와의 교류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대학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대학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넷째, 근로 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대학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8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2011년 국내 4년제 일반 대학에 입학하고 7,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794명이었다. 독립변수는 교수와의 교류활동, 교우와의 교류활동, 비교과 프로그램, 근로 경험 총 네 가지이며 이들을 통칭할 때에는 ‘수업 외 활동’이라는 용어를 활용했다. 매개변수는 대학몰입이며 소속감,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 만족, 대학 재선택으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수는 학업중단 의도로 편입 의도와 자퇴 의도로 구성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와의 교류활동은 학업중단 의도를 높이는 직접효과와 대학몰입을 거쳐 학업중단 의도를 낮추는 부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몰입은 교수와의 교류활동과 학업중단 의도 간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우와의 교류활동은 대학몰입을 거쳐 학업중단 의도를 낮추는 부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몰입은 교우와의 교류활동과 학업중단 의도 간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은 편입 의도를 증가시키는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몰입은 비교과 프로그램과 학업중단 의도 간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 활동은 학업중단 의도에 직·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몰입은 근로 활동과 학업중단 의도 간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와의 교류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상반된 효과가 있는 것은 일반 대학생들과 학업중단 의도가 높은 학생들 간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우와의 교류활동이 증가할수록 대학몰입 수준이 고취되고, 높은 수준의 대학몰입은 학업중단 의도를 낮춘다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편입 의도가 증가하는 것은 편입 준비생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몰입과 자퇴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의 질적인 측면을 측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난 결과로 해석하였다. 넷째, 근로 활동은 향후 대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했으며 근로 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취업자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결과로 해석하였다. 위와 같이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대학 현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의 자기성장 욕구와 대학의 사회적 위계·평판 등의 변수들을 포함하여 국내 고등교육 체제의 학업중단 과정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학업중단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이 교수와의 교류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교수는 학업중단 의도가 높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우와의 교류활동을 장려하거나 학교 내 전문기관으로 안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대면 학습환경으로 교우와의 교류활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대학생들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교우와의 교류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학업중단에 관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은 다음과 같다. 최근의 대학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자료를 활용하고,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의 질적인 측면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취업자 표본을 포함하여 근로활동이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검증할 것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