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nservation genetics of the endangered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n East Asia

        이선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284

        상괭이(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는 대만,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 국지적으로 서식하는 소형 돌고래로 국내에서는 주로 서해와 남해 그리고 남동해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 최근 상괭이는 직접적인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오염 등으로 인해 개체군이 급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종인 상괭이의 보전에 기여하기 위해 동아시아 상괭이의 개체군 구조와 유전적 다양성 그리고 진화 역사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고래고기와 혼획으로 인해 상괭이에게 가해지는 위협 정도를 알기 위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고래고기의 종을 유전학적 종감별법으로 분석하였다. 상괭이의 유전적 다양성과 계통지리 분석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control region의 345bp를 이용하여 한국에서(서해, 남해, 제주) 얻어진 70개체의 상괭이 시료와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417개의 중국과 일본 개체를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괭이의 유전적 다양성은 다른 쇠돌고래에 비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 10개 지역 중 한국 서해 개체군과 중국 서해개체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체군 간의 유전적 거리는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군 간의 유전적 흐름은 한 세대 당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개체군 구조 결과는 깊은 서해와 남해의 수심이 상괭이에게 유전적 흐름의 장벽으로 작용하여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개체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네트워크와 계통수 분석에선 개체군 간 몇 개의 공통 하플로타입을 가진 것이 확인되었으며, 개체군 간의 고유한 하플로타입은 네트워크 가장자리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패턴은 최근의 개체군 분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mismatch distribution결과로 산출된 상괭이 개체군의 분화 시기는 홍적세 말기로 산출되었다. 상괭이는 제주도에 서식하고 있진 않지만 때에 따라서 해안가에 좌초된 개체가 발견되곤 한다. 본 연구에선 제주도 지역에서 좌초된 13개의 사체를 획득하였고 제주도 사체의 본 지역을 밝히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에서 획득한 시료와 함께 분석하였다. 유전적 다양성 분석과 해부학적 분석결과 제주도 상괭이는 겨울 시기 해류 변화에 의해 한 지역이 아닌 여러 지역의 개체군에서 제주도로 유입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체군 구조와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13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사용하여 중국, 한국, 제주도, 일본에서 수집한 111개체의 상괭이시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아시아 상괭이는 유전적으로 2개의 개체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uster 1은 한국과 중국 개체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모든 일본 개체는 Cluster 2에 속해 있었다. 중국과 한국 개체군의 세부 개체군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결과 역시 K=2로 확인되었다. 한반도와 중국 대륙은 해안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해를 공유하고 있는 상괭이의 주요 서식지이다. 서해의 서식지 특성으로 미루어보아, 일본, 중국, 한국 개체의 직접적인 유전적 흐름은 깊은 수심을 기피하는 상괭이의 서식지 선호도로 인해 제한되어 있지만 중국과 한국 개체군 사이에는 서해의 해안선을 따라 제한적인 유전적 흐름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국내 개체군 구조를 확인하기위해 지리적 위치가 명확한 시료를 토대로 국내 개체군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평도, 대청도, 신진도, 보령 4개 지역의 개체군 유전적 분화도와 개체군 구조 분석결과 국내 개체군은 일본과 중국이 여러 개의 분화되어 있는 개체군을 가지고 있는 것과 다르게 하나의 개체군으로 구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단일한 하나의 개체군은 한국 상괭이의 유전적 다양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요인으로 생각된다. IWC협약 이후 세계적으로 상업적 포경은 금지되었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혼획으로 잡힌 고래류에 대해선 매매가 허가되어 있다. 본 연구에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고래 고기의 실제적인 종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시장에서 밍크고래고기로 유통되는 54개의 고래고기를 입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고래고기 중 밍크고래는 52%, 참돌고래는 22%, 상괭이는 26%로 판명되었다. 참돌고래와 상괭이가 밍크고래 고기로 위장되어 판매되는 것은 국내 고래고기 시장에서의 밍크고래 고기 수요에 비해 혼획되는 밍크고래 고기의 양이 적은 것과 이로 인한 가격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한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상괭이는 낮은 유전적 다양성과 제한된 유전적 흐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반해 한국 상괭이는 높은 유전적 다양성과 큰 개체군 크기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보아 한국 상괭이는 동아시아 상괭이 개체군에게 유전적 다양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보전유전학적으로 중요한 원천개체군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한국의 상괭이 개체군 역시 혼획으로 인해 최근 급격한 개체군 감소가 보고되고 있어 한국 상괭이 개체군에 대한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정책 수립과 이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s a small cetacean that inhabits the coastal waters around Taiwan, East China, Korea, and Japan. In Korea, they occur mainly along west, south, and south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N. asiaeorientalis population sizes of China, Korea, and Japan have been rapidly declined due to increased anthropogenic effects, such as direct or incidental catch, bycatch, habitat degradation, and pollution and in particularly, the bycatch is considered the greatest threat for N. asiaeorientalis. In this study, to contribute conservation management planning for N. asiaeorientalis,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demographical history and genetic diversity of N. asiaeorientalis in the entire East Asia were assessed. In addition, species composition of whale meat in markets of South Korea was also investigated using molecular approach to grasp the effect of bycatch to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ography of N. asiaeorientali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comparisons of mtDNA control region DNA sequences (345bp) from 70 individuals in the Yellow Sea of Korea and Jeju Island with data for 417 individuals from previous studies, which covered populations of China and Japan. The values of genetic diversity for N. asiaeorientalis in East Asia were lower than those for other phocoenids. The two regional populations (Yellow Sea of Korea and Yellow Sea of China) had higher genetic variability than other regional populations in the East Asian waters. The estimates of fixation index values and gene flows was revealed significant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e regional populations in East Asia. The depth of the Yellow Sea and the Korea strait is considered as the barrier to gene flow among the populations and may have caused the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e geographically close habitats. The network and phylogenetic analyses illustrated that few common haplotypes were centrally located, and that most of the unique haplotypes were on the edges of the branches and the result supported a population expansion signature. In addition, the mismatch distribution also suggested an each population expansion in the late Pleistocene (40,000 – 130,000 YBP). N. asiaeorientalis does not inhabit the waters around Jeju Island, but stranded individuals are occasionally found on the island’s shores. In the study using mtDNA, carcasses from Jeju Island were regarded as individuals originating from different regions in accordance with morphology and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of the carcasses To examine the level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the amount of genetic variation of N. asiaeorientalis, 13 microsatellite loci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111 N. asiaeorientalis samples from four localities, Bohai Sea of China,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Jeju Island and Inland Sea of Japan. The FST values indicated significant genetic structure across the four sampling areas and Bayesian clustering analysis indicated K=2 based on highest posterior probability and ΔK. The STRUCTURE analysis only for Chinese and South Korean regional populations, ΔK suggested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populations of South Korea and China (K=2). Little gene flow along coastal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might be exist because Korean Peninsula and Chinese continent are connected by coastline and share the Yellow Sea. However, direct gene flow between Japanese and other regional populations are presumed to be difficult due to habitat preference of N. asiaeorientalis for shallow waters. Commercial whaling has been banned since the moratorium of th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implemented in 1986. The whale meats from bycatch can be distributed to the market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actual species composition of whale meats, 54 whale meat samples sold as common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at the restaurants and market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and documents about the cetacean bycatch of South Korea were gathered. The results of molecular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mitochondrial DNA sequences revealed existence of three species, common minke whale (52%), common dolphin (22%) and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26%). The cause of the disguised meat at the market was presumed to be financial value difference between baleen whales and toothed whales resulted from the imbalance of demand and supply of common minke whale meat. To prevent the illegal, unregulated and unreported (IUU) exploitation and illegal distribution of whale meat, establishment of genetic monitoring and genetic database system is urgently needed, which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both the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aptures and conservation of the cetaceans in Korean wa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opulations of N. asiaeorientalis are small and isolated with low genetic diversity. However, the Korean regional population has relatively high abundance and genetic diversity than other regional populations, so this population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source population for other East Asian water to avoid deterioration of genetic diversity. Considering the important positioning of N. asiaeorientalis population in Korean waters in maintaining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entire East Asian populations, and the declining status of the Korean population, special attention and effort are urgently required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N. asiaeorientalis

      • Endo-parasites and pathologic findings in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habiting in Korean seas

        김선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014

        상괭이(Neophocaena asiaeorientalis)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소형 쇠돌고래이다. 최근 그 개체수가 급감하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한국 바다는 현재 가장 많은 수의 상괭이가 서식하는 곳으로 최근 몇 년간 종 보전을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상괭이의 감염성 질병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상괭이의 기생충성 질병에 대한 분석을 위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 총 107마리의 상괭이를 부검하여 여러 장기의 내부기생충을 채집하였다. 이 기생충들을 기생 부위별로 나누어 형태학적,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총 8종의 선충 (Parurus asiaeorientalis, P. sunameri, Stenurus nanjingensis, Halocercus pingi, H. sunameri, H. taurica, Anisakis pegreffii and Crassicauda magna)과 6종의 흡충 (Nasitrema sunameri, N. spathulatum, N. dalli, Campula oblonga, Synthesium tursionis and S. nipponicum)과 한 종의 조충 (Diphyllobothrium fuhrmanni)이 동정되었다. 이 중 N. dalli와 S. nipponicum은 상괭이 감염의 첫 보고이다. 각 기생충의 유병률은 숙주의 체장, 즉 성장 단계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H. pingi와 Crassicauda를 제외한 모든 종이 먹이원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 남, 서해의 세 지역에 따른 유병률 차이 및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는 모든 종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P>0.05). 기생충 감염은 숙주의 건강 상태, 질병, 좌초 행동 및 더 나아가 집단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멸종 위기인 상괭이의 종 보전을 위해 기생충이 숙주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내부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병리적 병변이 발생한 조직에 대하여 육안 및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에서는 궤양, 미란, 출혈, 울혈, 색소 침착, 점막 비후, 박리, 경화, 천공과 과각화 및 위염 등의 다양한 증상이 발견되었다. 간에서는 육아종성 병변 및 담관 벽 비후가 주로 나타났으며, 유선에서는 결절 및 선충 감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피근종 소견이 보였다. 폐에 기생하는 선충은 석회화 결절, 울혈, 기종, 수종 등의 육안적 소견과 기관지 폐렴 및 다발성 기관지염 등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보였다. 이 중 Halocercus pingi는 어미로부터 수직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중감염되는 경우 신생 동물의 호흡을 방해해 생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종의 정확한 감염 기전을 밝히기 위해서는 태아에의 감염 또는 유즙 내 충란의 존재를 확인해야 한다. 기생충이 숙주에 미치는 병리적 영향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각 기생충의 정확한 생활사 규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바다에 서식하는 기생충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비교적 그 정보가 많은 아니사키스 종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계통지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해, 남해 및 서해의 세 해역에서 수집한 상괭이의 위에서 검출된 아니사키스는 모두 Anisakis pegreffii로 동정되었다. 각 해역별로 30마리씩, 총 90마리의 A. pegreffii 세 유전자 (ITS, rrnS 및 cox2) 시퀀스를 분석한 결과, 두 종류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rrnS, cox2)의 유전적 다양성은 높은 편이나 핵 유전자 (ITS)는 단 하나의 하플로타입을 나타내었다. 세 해역간의 집단 구조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양한 숙주를 가지는 아니사키스의 간접 생활사 및 세 해역을 분리할만한 지형적 장애물이 없는 지리적 특징이 아니사키스의 유전자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보다 정확한 요인 분석을 위해 아니사키스 속의 중간숙주인 어류, 두족류 및 종숙주인 다른 해양 포유류의 국내 아니사키스 감염 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 유전자 중 분화 정도가 가장 높은 미토콘드리아 cox2 유전자를 Genbank에 등록된 세계 여러 해역의 하플로타입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하플로타입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물리적 거리에 비례하는 유전적 거리와 panmixia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바다에 서식하는 상괭이의 내부기생충을 동정하고 숙주의 성장 단계, 성별 및 서식 해역에 따른 유병률을 조사하여 전체적인 감염 현황을 정리하였다. 상괭이의 위, 장, 간, 폐, 두개골 내 공간, 유선 및 근육 등 다양한 내부 장기에는 선충, 흡충 및 조충이 감염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기생충들은 성장 단계에 따라 식이성으로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몇 종의 기생충은 상괭이의 건강 상태에 위협이 되고 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상괭이의 종 보전을 위해 보다 광범위하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절실히 필요하다.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s a small porpoise distributed in East Asia from Taiwan to Japan. The largest number of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inhabit the Korean seas. Several studies were performed to aid the conservation of the species there. However, research on infectious diseases was not performed for this species in Korea. Therefore, parasitic infestations in this species were studied as the first step of research on infectious diseases in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captured in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are classified as an endangered species because the population has recently declined sharply in all the countries they inhabit,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bi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species which is the most numerous and common in Korean seas, using analyses of parasites as an ecological indicator. During five years (2016 - 2019), a total of 107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were dissected to examine parasitogenic diseases. The endo-parasites were collected from their organs and tissues during dissection. The collected parasit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llected orga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groups. Eight species of nematodes (Parurus asiaeorientalis, P. sunameri, Stenurus nanjingensis, Halocercus pingi, H. sunameri, H. taurica, Anisakis pegreffii and Crassicauda magna) and six species of trematodes (Nasitrema sunameri, N. spathulatum, N. dalli, Campula oblonga, Synthesium tursionis and S. nipponicum) and one cestode species (Diphyllobothrium fuhrmanni) were identified. Two trematodes, N. dalli and S. nipponicum, were first recorded from this porpoise species in this study. The parasite preval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otal body length of the host (in terms of growth stage), suggesting that the porpoise are infected with the parasites except H. pingi and C. magna, through taking food in the sea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the parasites and sea sector or host s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parasitic infections in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should be comprehensively surveyed to conserve more effectively this endangered species. The parasitic infections caused gross and pathological lesions in the stomach such as ulcer, erosion, hemorrhage, congestion, mottled macular pigmentation, mucosal hypertrophy, desquamation, solidification, perforation, hyperparakeratosis, and gastritis. In the liver, granuloma and hyperplasia of the bile duct wall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mammary glands, solid nodules and myoepithelioma were found. Lung nematodes were found provking the calcified nodules, congestions, emphysema and edema and also histopathological lesions such as bronchopneumonia and multifocal bronchitis. The lungworm, H. pingi was considered to be infected vertically from dam to fetus or calf. When heavily infected, it could be lethal to the neonates by disturbing breathing. To elucidate a mode of infection of this species, infection in fetus and/or existence of eggs in milk of the dam should be investigated. The complete life cycle of each parasite should be investigated for a more accurate examination of the pathological effect on the host species. Phylogenetic and phylogeographical analyses of Anisakis which has been intensively studied compared with other marine parasites were carried out. All nematodes from the stomachs of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inhabiting the three sea sectors of the Korean peninsula—the East sea, the Southern sea, and the Yellow sea—were identified as A. pegreffii. Three genes of 30 worms each from the sea, 90 worms in total were sequenced and analyzed. The mitochondrial genes were highly diverse, while the nuclear genes were conserved, showing only one haplotype in one gene. No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among the three sea sectors was found. The indirect life cycle of A. pegreffii which has various intermediate and definitive hosts was analyzed as the factors that facilitate gene flow of A. pegreffii.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Korean waters, which have no geographical barrier to separate the three seas were also could make high gene flow of A. pegreffii. A more accurate factor analyses would requir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infectious status of the genus Anisakis in other species, including fishes and cephalopods as intermediate hosts, and other final cetacean hosts. The most differentiated gene among the three genes, mitochondrial cox2 gene were compared with haplotypes from worldwide oceans registered in Genbank. The haplotypes of worldwide oceans including the Korean haplotypes from this study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Both of genetic distance related to geographical distance and panmixia of haplotypes were observed. Collectively, this study clarified infection status of the endo-parasites in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in Korean seas.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were infected with nematodes, trematodes and cestode in various internal organs. Most of the helminth species were found to infect to the hosts by preying related to growth stage. Several parasite species were found to be fatal to the health status of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s. More extensive, systematic and continuous monitoring are strongly needed for conservation of the species.

      • First Report of Gammaherpesvirus Skin Infection in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n Korea

        이성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80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s one of the endemic and dominant cetacean species in Korean seawater. However, the population of the species has been decreased sharply in for the last 10 years. Accordingly,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was included as Endangered in the red list of the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IUCN) in 2017. Despite the risk of extinction, pathological research of the porpoise has rarely been reported yet. To prevent population declines of the species, conservation medicine should be studied more for the health of wildlife, ecosystem, and human. In this study, I examined and detected a viral pathogen from infected skin of a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A carcass of femal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was stranded on the beach located at Jeju Island, South Korea. Twelve dermatitis lesions were spread on various sites of the body. The results of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kin lesions indicated moderately to markedly thickened epidermis with accentuated rete pegs, amorphous eosinophilic material in the vacuoles, eosinophilic intranuclear inclusion bodies in the epidermal cells, and marked infiltrates of predominantly mononuclear cells within the dermis. Extracted DNA from the skin lesions and mammary gland were amplified respectively with multiple primers of herpesvirus, papillomavirus, Lacazia loboi, and poxvirus to do rule out diagnosis. Consequently, gammaherpesvirus was detected in the molecular analysis. The viral sequence contains same parts with the partial DNA polymerase gene of Balaenoptera acutorostrata gammaherpesvirus 2, dwarf sperm whale gammaherpesvirus, and Blainville’s beaked whale gammaherpesvirus. Gammaherpesvirus has been usually reported as the pathogen of genital and oral mucosae infections in cetaceans, and the skin infection has been rarely reported.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gammaherpesvirus infection in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in the Republic of Korea. Besides,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required on the latent infection status of the herpesvirus in the narrow-ridged finless porpoise and the spread of the herpesvirus in the Korean sea. 상괭이는 한국의 토종 돌고래이자 한국 바다의 우점종으로 잘 알려진 고래이다. 그러나 최근 10년 동안 상괭이의 개체수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 상괭이는 2017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서 절멸 위기(Endangered)에 처한 동물로 등록되었다. 이러한 멸종 위기에도 불구하고, 상괭이의 병리학적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많지 않다. 상괭이의 개체수 감소를 넘어 야생동물, 인간, 생태계의 건강을 위해 상괭이 보존 의학이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상괭이의 피부병에서 바이러스성 질병체를 검출하고, 연구한 내용을 이번 논문을 통해 보고하고자 한다. 암컷 상괭이 사체 하나가 한국 제주도 구좌읍에 위치한 해안가에서 발견되었다. 이 상괭이의 전신에는 약 20여개의 피부병변 부위가 산재해 있었다. 해당 병변의 조직학적 검사 결과 상으로 현저하게 두꺼워진 상피와 길어진 망융선을 관찰할 수 있었고, 그 외에 다수의 액포 형성 및 액포 내 무정형 호산성 물질, 진피 세포 내 호산성 핵내 봉입체, 진피 내 무수히 많은 단핵세포의 침투 등이 특이적이었다. 조직 검사 결과 허피스바이러스, 파필로마바이러스, 라카지아 로보이, 폭스바이러스 등이 해당 피부병의 병인체로 의심되어 피부 병변부에서 DNA를 추출하고, 각 병인체의 프라이머들을 이용하여 DNA를 증폭하였으며, 배제진단 방식으로 진단하였다. 최종적으로 DNA 시퀀스 분석 결과 이 피부병변에서는 감마허피스바이러스의 DNA 중합효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해당 바이러스 DNA 시퀀스에는 상괭이와 같은 고래목에 속하는 밍크고래, 꼬마향고래, 혹부리고래에서 검출된 감마허피스바이러스와 동일한 시퀀스를 일부 갖고 있음을 PCR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감마허피스바이러스는 고래에서 주로 생식기 점막 또는 구강 점막에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체로 알려져 있고, 피부 병변을 일으킨다는 보고는 거의 없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상괭이에서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감마허피스바이러스를 최초로 보고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상괭이의 허피스바이러스 잠복감염 실태, 한국 바다의 허피스바이러스 전파 양상 등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