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change of maximum bite force after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for treating masseteric hypertrophy

        김성택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박사

        RANK : 233308

        교근에의 보툴리눔 A형 독소(BTX-A) 주사는 교근 비대 환자에 대한 비침습적인 치료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에 의한 근육의 위축은 필연적인 교합력의 변화를 동반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근비대의 치료를 위한 BTX-A 주사 후 최대 교합력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교근비대를 나타내는 총 7명의 환자가 실험대상으로 참여하였으며, 편측 교근 당 25U씩 총 50U의 BTX-A를 양측 하악각 부위의 최대 풍융부에 2개에서 5개의 자입점을 통하여 분할 주입하였다. 교합력을 측정하는 기구로 계수형 전압계(digital multimeter)와 교합력변환기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와 하악 제1대구치간의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였으며, 주입 전, 주입 후 2주, 4주, 8주 및 12주 경과 후에 측정하였다.주입 전과 주입 후 2주, 4주, 8주 경과 후의 최대 교합력은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주입 후 12주 경과 후에는 술전과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연구 결과, 교근비대 치료를 위한 BTX-A 주입 후, 최대 교합력은 유의할만한 감소를 보이지만, 약 12주에 걸쳐 점차 회복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A botulinum toxin type A (BTX-A) injection into the masseter muscle has been used as a noninvasive treatment for masseteric hypertrophy. However, muscle atrophy inevitably causes a change of bite for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in the maximum bite force after a BTX-A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masseteric hypertrophy. Seven patients who had presented for treatment of masseteric hypertroph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nty-five units of BTX-A was injected into each masseter muscle, 50units in total, at two to five points at the prominent portions of the mandibular angle. The bite-force measurement apparatus included a digital multimeter and a bite-force transducer. The maximum bite force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molars was measured before injection and at 2, 4, 8 and 12 weeks after the injection.The difference in maximum bite force between the preinjection and 2-, 4-, 8-week postinjection time poi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uch difference between the preinjection and 12-week postinjection values(p<0.05).The maximum bite force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injection of BTX-A for the treatment of masseteric hypertrophy. However, it gradually recovered by 12 weeks.

      • Comparison masticatory function between two different types of implant supported prostheses and complete denture for fully edentulous patient

        이재훈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박사

        RANK : 233241

        For over three decades and since the preliminary studies on osseointegration, dental implants have been used extensively for the rehabilitation of completely and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Dental implant treatment provides many benefits including oral function improvement and greater patient satisfaction. The improvement arising from the dental implant’s objective function appears to depend on the particular type of implant support used with the denture. The early form of implant prosthesis for the complete edentulous patient was a fixed-detachable hybrid prostheses developed by Zarb. It consisted of attaching the denture teeth with a heat-polymerized acrylic resin to a cast metal substructure. More recently, a metal ceramic fixed partial denture type of implant prosthesis is frequently used. It is reported that the number and positioning of implants have an influence on the force transfer and subsequent stress distribution around implants. Nevertheless, a quantitative comparison has not been made between the type of implant prosthesis used with different materials.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masticatory performance, bite force and impact of two different type of implant-stabilized prosthese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a GOHAI complete denture, validated oral-specific health status measures, the sieving method, and the Prescale Dental System.From the years 1999 to 2006, a total of 30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in a single arch were selected from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d Implant Clinic in Seoul, S. Korea.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f 10 each.Group I was restored with fixed-detachable hybrid prostheses with resin teeth. Group II had fixed dentures with porcelain teeth while Group III had a complete denture.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ental implants compared to a conventional denture in GOHAI comparison. Overall, implant prostheses showed a higher masticatory performance (S50) and maximum bite force compared with conventional dentures (p< 0.05). The numbers of implant and material of implant prostheses does not appear to impact patient satisfaction, masticatory performance or bite force. 치과영역에서 임플란트는 초기 연구 이후 삼십 년 이상 계속해서 부분 및 전체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구강 기능 및 환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제공 하고 있다. 연구에 의하면 기존의 의치보다 적은 불만, 보다 높은 만족도, 구강 기능 시 편안함을 가져다 주었다. 이러한 장점은 보철물의 종류에 의해 그 정도가 나누어 질 수 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물은 고정성과 가철성 그리고 사용된 치아의 종류가 레진인가 도재인가에 따라 나누어 질 수 있겠다. 무치악 환자에 사용한 임플란트 보철물의 초기 형태는 hybrid 형태의 보철물이고 최근에는 전악 보철물이 분리된 단위로 수복됨에 따라서 도재 금관 계속 가공의치가 새로운 선택적 치료 방법으로 상용되고 있다. 후자의 경우는 대개 분리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8개의 임플란트가 요구되며 전자의 경우는 6개의 임플란트가 하나의 구조물에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임프란트의 수와 위치가 교합압의 분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보고 되었다. 이러한 임플란트 수와 재료등의 차이에서 오는 보철물간의 정량적인 비교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악 무치악을 두 개의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로 수복한 환자를 선택하여 객관적으로 검증된 GOHAI로 만족감을, 각각의 조각들의 총 부피의 50%를 거를 수 있는 체의 크기를(S50) 계산하여 저작 효율을 그리고 Prescale 2(Fuji Fil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최대 교합력을 각각 분석하여 각 보철물간에 저작 효율을 기존 총의치와 함께 비교하여 보았다.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의 보철과 및 임플란트 클리닉을 내원한 환자 중 총 30명의 무치악 환자를 연구를 위해 선정하였다. 각 집단 I, II, III에 10명씩의 환자들은 1999년에서 2006년까지 골 유착성 임플란트로 지지된 레진 치아를 갖는 hybrid 형태의 보철물과 도재 치아로 수복된 고정성 가공의치 그리고 총의치로 수복된 환자들을 선정 하였다. 모든 보철물은 연구의 형평성을 위하여 자연치와 대합 되고 있었다. 세 그룹에서 측정된 모든 데이터는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론적으로 실험에서 사용한 서로 다른 임플란트 보철물에서 각각 기존 총의치보다 만족도, 저작효율과 최대 교합력에서 통계적학적으로 유의차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수와 재료가 다른 종류의 두 임플란트 보철물 간에는 통계적 유의 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 Changes in masticatory performance during the retention period following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

        이송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박사

        RANK : 232985

        Orthodontic treatment is the process of acquiring an optimal occlusion by modifying the initial malocclusion through space closure after extraction or space gain without extraction using various techniques. The functional benefits of modifying the occlusion while treating malocclusion remain controversial due to the lack of long-term studies evaluating the outcomes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is study aimed was (1) to evaluate change in masticatory performance (MP) during retention period after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 in adult patients and compare it with the MP in the participants with normal occlusion by measuring the mixing ability (MA) using a two-color chewing gum and (2) to evaluate whether extraction affects the MP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dult patients who had completed orthodontic fixed appliance treatment comprised the non-extraction group (mean age 25.33±5.26) and extraction group (mean age 29.14±7.00), and those with normal occlusion(mean age 28.3±6.57) comprised the control group. Mixing ability (MA), maximum bite force (MBF), and occlusal contact area (OCA)were recorded one week after debonding the fixed appliance, the day when the wrap-around retainer was delivered (T0), 1-month post-treatment(T1), 6 months post-treatment(T2), 1-year post-treatment(T3). MA were measured with two-color chewing gum MA test using ViewGum software, and MBF and OCA were measured using Dental Prescale II system. The results are follows 1. The MA immediately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observed in normal occlusion group but showed a time-dependent gradual increase during 1-year retention period (P<0.01). 2.The MA at 1-month post-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P>0.05), but the MBF and OCA at 1-year post-treatmen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P<0.01). 3. The MA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MBF and OCA (P<0.05).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A between the non-extraction group and extraction group (P>0.05). In conclusion, the MP immediately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s was lower than that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but increased gradually over time during the retention period and improved to levels similar to those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at 1-month post-treatment. Further, extraction did not affect the MP after orthodontic trea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ViewGum-software를 이용한 두가지 색깔 껌의 혼합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발치, 비발치 교정치료 후 유지기간 1년동안에 시간에 따르는 저작효율의 변화를 정상교합과 비교 평가하는 것과 동시에 발치가 교정치료 후 저작효율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실험군은 총 32명의 고정성교정장치를 이용하여 교정치료를 끝낸 환자들 중 비발치군 18명(남, 여 각각 9명씩, 평균나이: 25.33±5.26)과 발치군 14명(남, 여 각각 7명씩, 평균나이: 29.14±7.00)으로 나누고 대조군으로는 정상교합군 20명(남, 여 각각 10명씩, 평균나이: 28.3±6.57)으로 구성하였다. 저작효율은 두가지 색상의 껌을 씹은 후 스캔한 이미지를 ViewGum-software를 이용하여 혼합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최대교합력과 교합면적은 압력감지필름 시스템I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 제거 1주일 후 가철성 유지장치를 장착하는 날과 그 후 1개월, 6개월, 1년이 되는 시기에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치료 직후 교정치료군의 혼합능력은 정상교합군보다 낮은 값을 보이지만 유지기간 1년동안에 시간에 따르는 증가를 보여주었다 (P<0.01). 2. 교정치료군의 혼합능력은 교정치료 1개월 후 정상교합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교정치료 1년 후 교정치료군의 최대교합력과 교합면적은 정상교합군보다 여전히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P<0.01). 3. 교정치료 후 혼합능력은 최대교합력, 교합면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P<0.05). 4. 발치군과 비발치군의 혼합능력을 비교한 결과 어느 시기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하여 교정치료 후 1년간의 유지기간 동안에 교합력과 교합면적은 정상교합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저작효율은 치료 1개월 후 정상교합과 비슷한 수준으로 개선되며 더욱이 발치는 교정치료 후 저작효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