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 on optimal radio resources allocation algorithm for MIMO-OFDMA systems

        김성연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32444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IMO-OFDMA 기술은 높은 하향링크 채널용량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데이터 스트림간 간섭에 따라, MIMO-OFMDA 시스템을 분석하고, 채널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다중 사용자를 위한 MIMO-OFDMA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첫째, 모든 사용자가 특이해 분해를 사용하여 기지국에 피드백 정보를 보낸다는 가정 아래, 스트림간의 간섭량에 따른 MIMO-OFDMA시스템의 최적성을 증명하였다. 스트림간의 간섭이 없을 때,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부반송파를 공유하는 방법, 즉 하나의 부반송파에서 다중 사용자를 위한 MIMO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채널 용량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방법이다. 반면에, 스트림간의 간섭이 존재할 때, 채널 이득이 가장 큰 사용자를 선택하여 부반송파를 할당하는, 단일 사용자를 위한 MIMO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채널 용량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방법이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는, 스트림간의 간섭량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채널 용량 최대화를 위해서는 간섭량에 따라 MIMO-OFDMA 시스템이 단일 또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구조로 변화되어야 한다.이러한 상호 변동을 위한 동작점에서의 간섭량은 수신 신호 대 잡음 비와 선택된 사용자의 채널 이득의 합과 곱으로 표현된다.둘째, 앞의 연구에 기반하여, 공간과 주파수, 각각에서의 자원을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할당하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MIMO-OFDMA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공간 축에서 기저 벡터 선택을 통해 공간상관도가 큰 사용자를 분리하여 그룹화하고, 동시에 공간상관도가 큰 각 그룹 안의 사용자들에게는 주파수 축에서 부반송파를 할당함으로써, 공간상관도가 큰 환경에서조차 상당한 정도의 채널 용량을 증가시킨다. 뿐만 아니라,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공간상관도에 상관없이 하나의 부반송파에 다중 사용자를 위한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수치 해석 결과를 통해 기존에 알려져 있는 MIMO-OFDMA시스템을 위한 단일 또는 다중 사용자에 관한 연구에서 보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가진 시스템이 간섭량에 상관없이 더 증가된 채널 용량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MIMO-OFDMA) is promising technique for achieving high downlink capacities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rom this point of view, in this dissertation, MIMO-OFDMA systems are analyzed with respect to Inter-stream Interference (ISI). Based on previous works, jointly optimized resources allocation algorithm for multiuser MIMO-OFDMA systems is proposed to maximize capacity.First, under the assumption that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is available to all users, the optimality of MIMO-OFDMA systems was proved according to ISI. Without ISI, sharing a subcarrier with multiple users, that is, employing mutiuser MIMO scheme on each subcarrier is optimal solution to maximize capacity. On the other hand, with ISI, on each specific subcarrier, it is optimal solution that there is only one user for transmission and the user has highest channel gain. However, in practical channel environment, the ISI is varied instantaneously. Thus, the optimal region of MIMO-OFDMA systems exists with respect to ISI. The ISI on operating point is derived from the received SNR, the addition and multiplication of the selected user’s channel gain.Second, based on previous works, a joint optimization algorithm for allocating space and frequency resources is proposed for multiuser MIMO-OFDMA systems. This algorithm has considerable capacity enhancement even in highly correlated channel environment. By letting users select basis vector, this algorithm classifies users in spatial domain. At the same time, subcarriers are allocated to the users in the same group in frequency domain. Hence, the proposed algorithm is able to multiplex several users on a subcarrier independent of the transmit correlation.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capacity is improved,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ed single user or multiuser scheme applied to MIMO-OFDMA system.

      •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MIMO-OFDMA 시스템의 성능 개선 기법

        홍정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51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MO-OFDMA (Multi Input Multi 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based on V-BLAST (Vertical-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and ST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using an user selection algorithm in Uplink real-time transmission. In the proposed system, to increase multi-user diversity performance, we apply to QRD (QR Decomposition) and IUS (Incremental User Selection) methods for user selection. In addition, we apply to UVT (User VoTing) and CVT (Combination VoTing) methods for sub-carrier grouping for reduction of OFDM resource overhead. Finally, we evaluate BER (Bit Error Rate) performance in channel existing spatial correlation and consider STTD transmission using a weight vector for eliminating transmission antenna correlation. Simulation results reveal that the optimal QRD algorithm achieves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sub-optimal IUS algorithm, but between two algorithms performance disappears in case that the number of selected user reduce and multi-user diversity gain increase in case that the number of total user increase but we confirm performance converge in special case. Furthermore we confirm improvement according to user selection algorithm and additional improve- ment according to elimination of transmission antenna correlation in channel existing spatial correlation. 본 논문에서는 상향링크 환경에서 사용자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V-BLAST (Vertical-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와 ST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전송 기반의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MIMO-OFDM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구조를 제시하였다. 먼저,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증대를 위해 사용자 선택을 위한 QRD (QR Decomposition) 및 IUS (Incremental User Select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또한 OFDM 자원 할당 오버헤드 감소를 위한 부채널 그룹화를 위해 UVT (User VoTing) 및 CVT (Combination VoTing) 방식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송수신 안테나 상관이 존재하는 채널에서의 BER (Bit Error Rate) 성능을 평가하고 송신 안테나 상관 제거를 위해 가중치 행렬을 이용한 STTD 전송을 고려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높은 복잡도를 요구하는 최적의 QRD 알고리즘이 비교적 간단한 준최적 IUS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이나, 선택 사용자 수가 감소할수록 두 알고리즘간 성능 차이는 거의 없어지며, 전체 사용자 수가 증가할수록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이 증대되나 특정 시점에서 수렴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테나 상관도가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자 선택 알고리즘에 의한 성능 개선을 확인하였고, 송신 상관 제거 기법에 의해 추가로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A) downlink dynamic channel allocation with reduced feedback information for OFDMA systems

        송종호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5 국내석사

        RANK : 232347

        IEEE802.16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는 wireless broadband network에 대하여 중요한 다중 접속 기술로 주목되고 있다. OFDMA 본질적인 구조는 wireless network 의 multiuser diver-sity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802.16a OFDMA시스템에서 Adaptive Antenna System (AAS) 이용하여 user 로 부터의 feedback 정보를 최소화하여 uplink 의 overhead를 줄이고, 아울러 downlink 에 대하여 dynamic channel allocation 기법을 이용 시스템 성능을 크게 개선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802.16a OFDMA 시스템은 AAS를 이용할 경우 연속된 48개의 반송파들로 32 개의 부 채널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AS 이용 시 user 의 채널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부 채널을 할당함으로 multiuser diversity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중 안테나를 고려하게 됨으로 시스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multiuser diversity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user 의 모든 32 개의 부 채널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많은 feedback 정보가 필요하여 uplink 의 overhead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reduced feedback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인접 부 채널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것으로 가장 좋은 부 채널 주변의 부 채널도 유사한 채널 gain 을 갖게 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reduced feedback 기법을 이용 하향링크에 대하여 모든 user 에게 좋은 부 채널이 할당될 수 있도록 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algorithm을 제한한다. 기지국 에서는 user 로 부터의 re-duced feedback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 채널에 가장 큰 수신 SNR을 갖는 user를 선택하고 적당한 modulation level을 결정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reduced feedback 기법과 downlink 에 대한 dynamic channel allocation algorithm을 802.16a OFDMA 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또한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OFDMA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시스템 성능을 비교하였다.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Reduced Feedback 기법과 Dy-namic Channel Allocation Algorithm 은 feedback 양과 spectral efficiency 관점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has emerged as one of the prime multiple access schemes for wireless broadband network. The intrinsic structure of OFDMA allows one to efficiently exploit the so-called multiuser diversity in wireless network. The 802.16a OFDMA system can ex-ploit adaptively more than one antenna to improve the coverage and system ca-pacity that is called the Adaptive Antenna System (AAS). In this case, the sub-channels are consisted of contiguous subcarriers. Thus we can obtain the effect of multiuser diversity to improve the throughput, using the AAS and dynamic channel allocation.To exploit multiuser diversity, the base-station should know the channel in-formation of all subchannels for all users before transmission block. However, this requires a large amount of feedback overhead, which leads to waste of up-link resour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o use the reduction algorithm of channel feedback inform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fre-quency correlation between subchannels. To extend OFDMA with the adaptive modulation to multiuser frequency selective fading environments, we also pro-pose to use the downlink scheduling which allow the base-station to allocate the given subchannel to the user with the strongest SNR at this subchannel and de-cide proper modulation level using the reduced feedback information. Further, we apply the proposed algorithm to 802.16a based Single-Input Single-Output (SISO) an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Finally, we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an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spectral efficiency in SISO and MIMO-OFDMA systems.

      • MIMO-OFDMA 시스템에서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 극대화를 위한 중계기 기반 자원 할당 기법

        손영수 아주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MIMO-OFDMA 시스템 환경에서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을 극대화하기 위한 중계기 기반의 자원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의 체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는 단계, 피드백받은 사용자들의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모든 사용자의 DoF를 계산하는 단계, 모든 사용자에 대한 DoF와 SNR 값을 바탕으로 각 사용자 별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선택된 사용자에게 자원을 할당해주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지국이 중계기의 안테나를 가상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셀 내 모든 사용자들에게 최대 DoF을 제공해줄 수 있다. 제안하는 무선 자원 할당 기법은 사용자의 DoF와 SNR 값을 이용해 실제로 전송 가능한 비트 수를 고려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중계기는 셀 내 사용자들에게 추가적인 데이터 경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낮은 SNR 값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더 좋은 SNR 값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셀 내 사용들에게 보다 높은 형평성을 제공할 수 있다. WiBro 시스템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사용자의 DoF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의 기법보다 시스템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셀 내 모든 사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형평성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 Implementation of IEEE 802.16e based MIMO-OFDMA systems using fixed-point DSP

        유병욱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32299

        This thesis deals with the implementation issues on a base stationand a subscriber station of IEEE 802.16e based multiple-inputmultiple-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ystems, which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ying the fixedand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We propose theefficient fixed-point algorithm by analyzing the minimum requiredinput bits and obtain similar performance to floating-pointcomputation. Moreover we check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proposed algorithm using ADSP-TS201S TigerSHARC DSP processor andits simulator, Visual DSP++ 4.0.Among the various subcarrier allocation methods, we considerdownlink partial usage of subchannel and uplink partial usage ofsubchannel which are the mandatory subcarrier allocation anddownlink full usage of subchannel which is proposed from the firstIEEE 802.16 standard to recent version. To implement multipleantenna techniques including a spatial multiplexing and a transmitdiversity scheme, we utilize the zero-forcing detector and theK-BEST detector as the spatial multiplexing scheme, and space-timeblock code and space-frequency block code detector as the transmitdiversity scheme with the pilot-based channel estimator.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BER and channel estimationperformance of the proposed fixed-point computation is similar tothose of floating-point computation. The computational complexitiesof each detector and channel estimator are presented. Moreover, thenumber of minimum input bits required in each receiver block is 12bits. 본 논문에서는 고정 환경과 이동 환경에서의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국제 표준인 IEEE 802.16e 표준에 기반한 MIMO-OFDMA 시스템의 기지국 및단말의 구현을 다룬다. 부동 소수점 연산과 유사한 성능을 얻는 효율적인고정 소수점 연산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최소 입력 비트수를 분석한다.게다가 Analog Device사의 ADSP-TS201S TigerSHARC DSP 프로세서와시뮬레이터인 Visual DSP++ 4.0을 이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연산량을측정한다.다양한 부반송파 할당 방법중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필수 방식인하향링크 PUSC와 상향링크 PUSC, 그리고 초창기 IEEE 802.16 규격부터현재까지 제안되어온 하향링크 FUSC, 세 가지 방법에 대하여 고려한다.공간 다중화 기법과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기술을 위하여 공간 다중화 기법 수신기로써 zero-forcing 수신기와maximum likelihood 기반의 K-BEST 수신기를, 송신 다이버시티기법으로써 하향링크에서의 space-time block code 수신기와상향링크에서의 space-frequency block code 수신기를 구현하고 각각의수신기에 파일럿 기반 채널 추정기법을 적용하였다.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고정 소수점 연산의 채널 추정 성능과 비트오차확률 성능이 부동 소수점 연산에서의 성능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그리고 각각의 수신 블럭에 요구되는 최소 입력 비트수는 12비트임을확인하였다고 각각의 연산량도 제시하였다.

      • Self organization and resource management schemes in dens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강민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박사

        RANK : 232263

        In this dissertation, the self organization and the resourcemanagement in the dens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here theuser density is very high, are considered. Firstly, the resourcemanagement in the dens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stem using arandom beamforming (R-BF) is considered. As the efficient resourcemanagement in the dense MIMO-OFDMA systems, partial feedback schemesare analyzed and optimized. For partial feedback schemes, thepartial channel quality indicator feedback (PCQI) schemes and thepartial channel quality rank indicator feedback (PCQRI) schemes areconsidered. For these schemes, we first derive the effectivedownlink spectral efficiencies (EDSE) by considering the requireduplink resource for feedback together over block fading channels.Then, by using the analysis, the amount of feedback overhead peruser is optimized to maximize the EDSE according to the system andchannel parameters. From the analysis and numerical examples, weshow that the PCQRI scheme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CQIscheme unless the channel rapidly varies due to its feedbackefficiency, and the proposed adaptive control of the feedbackoverhead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practical systems, such as3GPP LTE, in practical scenarios.Also, in this dissertation, a self organizing network (SON) schemein the dens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s where alarge number of access points (APs) and users of multiple serviceproviders (SPs) can coexist in a relatively small area is proposed,by which the key media access control (MAC) parameters such astransmit power, carrier sense threshold, and contention window sizeof an SP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etwork environments tomaximize its areal spectral efficiency with the full coveragesupport so that the SP can provide its users with the mobile servicebeyond a target quality of experience (QoE). We first suggest theprotocol stack in the APs having functionalities required for theeffective MAC parameter control in the dense competitive WLANsystems, such as required information measurement and report, MACcontention for a unified frame structure, and synchronous CSMA.Then, we perform the analytical investigation for the effect of theMAC parameters on the performance in the dense WLAN systems, andafter showing that the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phenomenoncomes from the fact that not only the spatial reuse of an SP cannotbe reached even to the square of its AP density portion in thenetwork, but also the collision probability increases exponentiallywith the other SPs' AP density portions, we suggest a MAC parameter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the proposed analysis to maximize anSP's areal spectral efficiency.

      • Performance enhancement of quantized precoding techniques for MIMO wireless system

        최밝음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7 국내석사

        RANK : 231995

        A quantized precoding system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MIMO systems, whichobtains diversity and array gain with limited feedback information. However, althoughexisting quantized precoding systems bring multiuser diversity gain in multiuser environments,it can not obtain multiuser diversity gain sufficiently at the cost of its feedbackoverhead. In this thesis, we propose two methods of quantized precoding schemes forthe system capacity enhancement: vector code grouping and statistical subcarrier powerallocation.This thesis contains a new feedback criterion for the enhancement of the multiuserdiversity gain. We convert unitary matrix codes to different vector code groups whichare known to both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have high correlations between vectorcodes in a same group, to improve the trade-off efficiency between feedback overheadand multiuser diversity gain. This thesis also contains novel methodologies to enhancethe system capacity increasing raise the worst channel capacity of the subcarrier withinthe group band in multicarrier system. By exploiting statistical property of the quantizedprecoder in multicarrier system, we can allocate subcarrier power by statistical patternto equalize the statistical capacity of the subcarriers within the same band.We perform various experiments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by varying the numberof users, antenna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of spatial correlation. The proposedalgorithms are analyzed numerically and show perspective experimental results.Simulation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the remarkable improvementfrom the viewpoint of the bit error rate and capacity performance and the feedback overhead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hemes. 적은 피드백만으로 다중화와어레이 이득을 동시에 가져가는 양자화된 전처리기 시스템은 가장 주목받는 MIMO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화 전처리 시스템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두가지 방법,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부반송파 파워 할당과 코드북 그룹화를 제안한다.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다중화 이득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피드백 기법을 제안한다. 코드북 내 벡터 코드들 간의 상관도를 이용하여 기존의 매트릭스 코드북은 피대백의 양과 사용자 다중화 이득의트레이드 오프를 개선한 새로운 코드북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같은 그룹 밴드 주파수내의 가장 낮은 채널 용량을 가진 부반송파의 용량을 올려줌으로써시스템의 용량을 높여주는 매트릭스 타입의 양자화 전처리기를 제안한다. 양자화 전처리 시스템의 그룹 밴드내 채널 용량의 통계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부반송파 파워할당을 할 수 있고, 이는 같은 그룹 밴드 내의 부반송파들의 채널 용량을 평균화한다.제안된 알고리즘에 기반한 다양한 실험을, 사용자의 수, 안테나 형태 그리고 공간 상관 영향에 대해 수행한다. 합리적인 분석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은 더 나은 결고를 보여준다.실험은 제안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용량과 피드백 부담의 관점에서 기존기법에 비해 눈에 뛰는 개선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제안 기법은 다음 세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erformance analysis and optimization for OFSDMA systems with partial feedback information

        강민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231964

        We consider an OFSDMA system using a random beamforming, in which each user reports only the CQIs of selected subchannels so that only partial feedback information is available at the transmitter. For this case, we propose fixed and selective partial CQRI feedback schemes. Closed form expressions on the downlink capacity and its asymptotic behavior of the proposed schemes are derived as well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partial CQI feedback schemes. Also, it is found that the optimum feedback overhead can be determined from the system and channel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of users, the number of subchannels, the average SNR, and the time and frequency selectivity of the channel, to maximize the overall spectral efficiency. Two important findings through the asymptotic analysis and numerical examples in this thesis are i) the optimal asymptotic growth rate of O(log log K) can be achieved with bounded feedback overhead per subchannel and ii) the asymptotic analysis is quite well matched to the exact analysis when the system scale is not small so that the overall spectral efficiency optimization using simple asymptotic equations can be exploited in a practical system. 본 논문에서는 랜덤 빔포밍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및 공간적 분할 다중 접속 방식(OFSDMA)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일부 부채널들만의 채널 품질 정보(CQI)를 궤환하여 기지국이 하향 링크 채널에 대한 한정된 정보만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의 시스템 성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경우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고정적 및 선택적 부분 채널 품질 순위 정보(CQRI) 궤환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부분 채널 품질 정보 궤환 기법과 함께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들의 하향 링크 채널 용량과 그것의 점근적 성능의 정확한 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주파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궤환량은 사용자 수, 부채널 수, 평균 신호 대 잡음비, 그리고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성 등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하향 링크 채널 용량의 점근적 성능 분석 및 관련 실험 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중요한 결론을 이끌어 내었다. 첫 번째는 부채널당 한정된 궤환 정보량만을 이용하여 최적의 점근적 하향 링크 채널 용량 증가율 (O(log log K))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시스템의 규모가 작지 않을 경우 본 논문에서 유도한 하향 링크 채널 용량과 그 점근적 성능의 차이가 크지 않아, 실제 시스템에서 간단한 점근적 특성의 공식을 사용하여 주파수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