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influence of previous experience of learning a typologically similar second language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as a third language

        조재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892

        In this study the author conducted an experimental test of adult third language (L3) acquisition whose results provide concrete and clear evidence to shed new light on a small, although significant, piece of the L3 acquisition puzzle.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previously formulated theories. Previous researchers have offered two competing theories of L3 acquisition. The first is the second language (L2) transfer hypothesis, where the L2 blocks L1 transfer at the syntactic level (also known as ‘L2 status factor’; Williams and Hammarberg, 1998; Bardel and Falk, 2007, Rothman and Cabrelli Amaro, 2010), and the second is the Cumulative Enhancement Model (CEM; Flynn, Foley and Vinnitskaya, 2004), which proposes positive selective transfer from all previous linguistic 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models are caused by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L2 and L3 acquisition, namely that while there is only one source of transfer ? which is L1 ? in the process of L2 acquisition, there is more than one linguistic system available for transfer in L3 acquisition. In fact, adult L3 acquisition is not simply another version of adult L2 acquisition. The existence of two different and already-acquired linguistic systems in the process of L3 acquisition makes this experience genuinely unique and extremely intriguing. Research question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whether L1 or L2 has a privileged role in L3 acquisition as to multilingual syntactic transfer, and what factor triggers selective transfer between the two systems, L1 and L2; (2) what particular categories or areas of the syntactic knowledge in Korean as a third language were acquired most and least easily by those with previous experience in Japanese as a first or second language?; (3) if age factor, that is the ages at which the learners acquired previous languages, matters with respect to syntactic transfer in L3 acquisition, and lastly, (4) whether syntactic transfer is limited only to the initial state of L3 acquisition or if it can continue to affect the process until advanced (or ultimate) attainment of the target language. The current study reports data from three experimental groups: (Group A) L1 English / L2 Korean; (Group B) L1 English / L2 Japanese / L3 Korean; (Group C) L1 Japanese / L2 English / L3 Korean All subjects were tested on their knowledge of 6 different types of syntactic categories (10 subcategories) of Korean by the elicited imitation methodology (Lust, Chien and Flynn, 1987; Lust, Flynn and Foley, 1996) with Korean sentences of varying types. In addition to this primary experiment, a follow-up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collect the subjects’ linguistic background and sociolinguistic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 Cumulative Enhancement Model. That is, there appears to be no privileged role for L1 or L2 on the syntactic acquisition of L3. The scores of elicited imitation data of various Korean sentences produced by Group B and Group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s produced by Group A. However,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fluence from L1 Japanese or L2 Japanese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was found. As to the different syntactic categories examined in the test, it appeared that knowledge about Subj, DO, OPost, Gen, Prog, and Perf in L3 Korean were acquired most easily by those with previous experience in L1 Japanese, and the category of Opost by that with previous experience in L2 Japanese. Lastly, although the author did not have enough data to convincingly differentiate the case of early learners from that of late learners of L2 Japanese due to the low number of subjects belonging to Group B, results did clearly indicate that syntactic transfer is a limited phenomenon only at the initial (elementary) or intermediate states of L3 acquisition (with an interesting difference between them).

      • 제2언어 학습 경험이 제3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효과 연구

        진황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873

        국 문 요 약 제2언어 학습 경험이 제3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효과 연구 제3언어(Third language: L3, 이하 L3으로 대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주로 두 가지 대립된 L3 습득 이론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L2(Second language: L2, 이하 L2로 대체) 전이 가설이다. 즉, 학습자의 L2가 통사적 차원에서 L1의 전이를 차단한다. 두 번째는 누적 강화 모델(CEM)이다. 즉, 학습자는 L3을 배울 때 이전에 배운 모든 언어 지식에서 L3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을 선택적으로 전이한다. 이 두 이론의 차이는 L2 습득과 L3 습득의 차이에서 나온다. L3 습득은 L2 습득과 달리 두 가지 언어 시스템을 전이할 수 있다. 그러나 L2 습득은 한 가지 언어 시스템만 전이할 수 있다. L3 습득 연구에서 제시된 두 가지 주요 관점 중에서 어떤 관점이 L3 습득 과정에 더 부합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성인 L3 습득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L3을 습득할 때 L1 혹은 L2는 통사 지식 전이 과정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가? (2)중국어가 L1이거나 중국어를 L2로 배운 학습자는 L3으로서의 한국어의 통사 지식을 습득할 때 습득하기 가장 쉬운 통사 지식의 종류가 무엇인가? 습득하기 가장 어려운 통사 지식의 종류가 무엇인가? (3) 통사 지식 전이는 L3 습득의 초반에 국한된 것인가 아니면 L3 습득의 전 과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연구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세 개의 실험 집단에서 나왔다. L1 L2 L3 집단(영한) English Korean 집단(영중한) English Chinese Korean 집단(중영한) Chinese English Korean 본 연구는 통사 지식 검정 실험지를 통해서 모든 실험 대상자가 4가지 통사 범주(총 7가지 하위 범주)에 대한 인지 상황을 테스트하였다. 연구 결과는 누적 강화 모델의 예측 결과와 일치한다. 다시 말해, L3을 습득할 때 학습자는 L1이나 L2에서 L3 습득에 도움이 되는 통사 지식을 선택적으로 전이한다. 집단(영중한)과 집단(중영한)의 득점이 모두 집단(영한)보다 현저히 높았지만 L1 중국어 학습 경험과 L2 중국어 학습 경험이 L3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히 다르지 않았다. 그리고 테스트에서 살펴본 통사 범주 중 L1 중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피험자들은 한국어를 L3으로 습득할 때 관계화된 명사가 관형절의 주어인 통사 범주, 관계화된 명사가 관형절의 목적어인 통사 범주, 관계화된 명사가 관형절의 부사어인 통사 범주, 의문사 통사 범주의 지식을 가장 쉽게 습득할 수 있었다. L2 중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피험자들은 한국어를 L3으로 습득할 때 관계화된 명사가 관형절의 주어인 통사 범주, 관계화된 명사가 관형절의 목적어인 통사 범주, 의문사 통사 범주의 지식을 가장 쉽게 습득할 수 있었다. 아울러 최종 연구결과는 통사 전이가 L3습득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통사 전이는 고급 단계보다 특히 L3 습득의 초급 또는 중급 단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교사는 중국어가 모국어이거나 L2로 배운 경험이 있는 한국어 학습자를 가르칠 때 학생의 이해도를 향상시켜 수업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습득하기 쉽지 않은 통사 범주(관계화된 명사가 관형절의 부사어인 통사 범주와 관계화된 명사가 관형절의 관형어인 통사 범주)에서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더 합리적인 교안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본고의 연구 결과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을 통해서 일반적인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맞춤형 한국어 교육 방안을 탐구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샘플 숫자가 적다는 점과 문장 번역의 오류 판단을 특정 문법 항목만을 기준으로 했다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향후 더 많은 샘플을 가지고 더 종합적인 평가 방식으로 진행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핵심어: L3 습득,통사 지식 전이,L2 전이 가설, 누적 강화 모델,언어유형론, 전핵언어, 후액언어 ABSTRACT The Influence of Second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as a Third Language Huangjie Chen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In the current L3 acquisition study, researchers have mainly suggested two conflicting L3 acquisition theories. The first one is the L2 status factor hypothesis that the learner's L2 blocks the syntactic transition from L1. And the second one is the cumulative enhancement model (CEM) that learners selectively transfer knowledge contributing learning L3 from all previously learned language knowledge when learning L3.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hypotheses com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L2 acquisition and L3 acquisition. Unlike L2 acquisition, L3 acquisition can transfer two language systems that are L1 and L2. However, L2 acquisition can transfer only L1 system. In order to verify which of the two main hypotheses presented in the L3 acquisition study is more suitable for the L3 acquisition proces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adult L3 acquisi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en acquiring L3, does L1 or L2 play a special role in the syntactic knowledge transfer process? (2)What kind of syntactic knowledge is easiest for learners who have learned Chinese as L1 or L2 to acquire when learning korean syntactic knowledge as L3? And What is the most difficult type of syntactic knowledge to acquire? (3) Is syntactic knowledge transfer limited to the beginning of L3 acquisition or can it continuously affect the entire process of L3 acquisition? The study data came from three experimental groups as shown below. L1 L2 L3 Group(EK) English Korean Group(ECK) English Chinese Korean Group(CEK) Chinese English Korean This study tested the cognitive situation of all subjects in four syntactic categories (a total of seven subcategories) through syntactic knowledge test paper. The study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results of the Cumulative Enhancement Model. In other words, when acquiring L3, L1 or L2 does not play a special rol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syntactic knowledge. Both Group(ECK) and Group(CEK)'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EK), but the effect of L1 Chinese learning experience and L2 Chinese learning experience on L3 Korean acquisi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among the syntactic categories examined in the test, testees with L1 Chinese learning experience can most easily acquire the syntactic knowledge of Subj, DO, OPost, and Wh of L3 Korean. Testees with L2 Chinese learning experience can most easily acquire the syntactic knowledge of Subj, Do, and Wh of L3 Korean. In addition, the final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yntactic transfer affects the entire process of L3 acquisition. Especially syntactic transfer has a greater impact on the initial or intermediate stage of L3 acquisition than the final state. Key words: L3 acquisition,L2,L1,syntactic transfer,L2 status factor, cumulative enhancement model,linguistic typology, head-initial language, head-final language

      • f vs θ

        Sayeed, Oliv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oQuest Dissertations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862

        The labiodental fricative f and interdental fricative θ have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both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θ is rarer than f typologically (UPSID), θ has more variable acoustic cues than f (McGuire and Babel, 2012), θ is more confusable for f than f is for θ (Miller and Nicely, 1955), θ > f is common diachronically while f > θ is rare or unattested (Honeybone, 2016), and θ is synchronically more volatile across dialects than f (Kjellmer, 1995). But why?The dissertation has six chapters. In chapter 1, we lay out the basic facts about f and θ: their synchronic typology (1.1), their production and perception (1.2), their diachronic behaviour (1.3), and their acquisition (1.4).In chapter 2, we consider two possible explanations for a bias in favour of f and against θ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learner (2.1). One is formal markedness (Trubetzkoy, 1939), encoded as an analytic bias (Moreton, 2008); and one is a channel bias, in line with Evolutionary Phonology (Blevins, 2004). We present a series of artificial language learning experiments aimed at distinguishing the two explanations with a sociolinguistic task combined with a perception test (2.2).In chapter 3, we investigate the mechanism behind channel bias, specifically the asymmetry in confusability between f and θ. First, we run an experiment testing the perception of f and θ by speakers of English and Greek (3.1). Second, we propose the asymmetric overlap hypothesis: that the two fricatives differ in their variance in acoustic space, so θ overlaps with f more than f overlaps with θ (3.2). We discu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symmetric overlap hypothesis and the results of the English-Greek perception experiment, and directions for testing a relationship between acoustic variance and asymmetric misperception.The second half of the dissertation discusses a series of mathematical and computational models to explore how a theory of misperception by individual listeners can scale up into a theory about typology. In Chapter 4, we investigate how misperception of individual tokens can lead to the existence of new I-languages in which all lexical items undergo the same change, following the Neogrammarian hypothesis. We conclude that a theory deriving Neogrammarian regularity from features of the human perceptual system is the most plausible candidate (4.5), and discuss how to incorporate observed cases of lexical diffusion into a theory of phonetically regular misperception (4.6).In Chapter 5, we discuss the incrementation of a change through a speech community stratified by age (5.1), and present a computational model of incrementation in a simulated model population (5.2), showing how the existence of individual new I-languages can lead to a whole community undergoing a sound change.Finally, Chapter 6 lays out a model of phonological typology as a discrete-time stochastic process of random sound changes acting on an inventory of phonemes (6.1). We find that the model derives a relationship between crosslinguistic and within-language frequency (6.2) and offers a diachronic explanation for the clustering of different kinds of 'markedness' discussed in Chapter 2 (6.3). We finish by discussing the assumptions of the model (6.4) and the wider history of the typological distribution of f and θ (6.5). .

      •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

        피키오니 클라우디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57

        본 연구는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지시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및 화용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두 언어의 지시어 체계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다수 의미론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에서 다루었는데 본고에서는 조금 더 넓은 시각으로 형태론적, 통사론적 관점도 포함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두 언어의 지시어를 대응하는 연구가 아직까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두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지시어 체계를 유형론적으로 어떤 위치를 갖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는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와 다르다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문의 새로운 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지를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Diessel(1999) 연구 바탕으로 세계 언어의 지시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 그, 저'와 ‘questo, quello’의 지시어 어간, 지시어의 굴절적인 성격, 지시 접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지시어 어간에 관하여 지시 대명사, 지시 한정사, 지시 부사를 살펴보았고 각 언어의 변이형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이, 그, 저’와 이탈리아어 ‘questo, quello’를 비교하였다. 이 장에서 지시어의 범주적 지위, 장소 화시어 그리고 정체 확인 지시어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 의미론적 관점에서 두 언어의 지시어의 화시적 속성과 질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언어의 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각 언어의 지시 한정사의 우측 첫 요소와 어떤 공기 결합을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 화용론적 관점에서 외부 참조와 문맥 참고를 지시어를 통해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현장 지시어, 문맥 지시어와 인지적 지시어를 다루었다. 제7장에서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aim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s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monstatrives of the two languages from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eanwhile this paper, in a slightly sense, includes also morphological and synctactic perspectives. Moreover there is yet no study that compare the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 systems, so this one would be helpful for learners of both languages. In chapter 1 have been presented the two languages systems from a broader typological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rast system presents in Korean demonstratives is different from that of Italian. Also, new point of view has been introduc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and was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ives ​​based on the study of Diessel(1999). Chapter 3 compares and analyzes the stem, the inflectional nature and clitics of Korean demonstratives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stem, pronouns, determiners and adverbs were examined, and were also examinated the variants of the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4 compares Korean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In this chapter were analized the categorical status of demonstratives, place deictics and and identifiers. Chapter 5, has been analized the deictic and qualitative features of demonstratives from the semantic perspective. Also, through the spoken corpus has been analized the words “co-occurence” with the determiner of each language. Chapter 6,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has been analized the exophoric, anaphoric, discourse deictic and recognitional use of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7 summarizes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Questa ricerca è volta ad analizzare le differenze e similitudini tra i dimostrativi coreani e italiani da un punto di vista linguistico tipologico. Lo scopo di questo studio è di comparare 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l punto di vista morfologico, sintattico, semantico e pragmatico. La maggior parte degli studi passati si sono focalizzati sull’aspetto semantico e pragmatico, questa ricerca vuole ampliare il campo coprendo anche gli aspetti morfologici e sintattici. Inoltre non essendoci ancora studi che comparino i dimostrativi coreani con quelli italiani, questo vuole presentarsi come un aiuto per coloro che apprendono le due lingue. Nel capitolo 1 sono stati presentati i sistemi de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 un vasto punto di vista tipologico. Inoltre è stato accennato al fatto che il sistema contrastivo presente nei dimostrativi coreani è diverso da quello italiano. E’ stato inoltre presentato il metodo di ricerca. Nel capitolo 2 sono state esaminate le caratteristiche dei dimostrativi in varie lingue, seguendo lo studio condotto da Diessel(1999). Nel capitolo 3, da un punto di vista morfologico, sono state comparate radici(stem), il carattere inflessivo e i clitici nelle due lingue. Per quanto riguarda le radici sono stati esaminati i pronomi, gli aggettivi dimostrativi e gli avverbi di luogo. Inoltre sono state prese in esame anche le varianti. Nel capitolo 4 sono stati comparati i dimostrativi coreani ‘이, 그, 저' e italiani 'questo, quello' da un punto di vista sintattico. In questo capitolo sono stati trattati gli status categoriali dei dimostrativi la deissi spaziale e gli identificativi. Nel capitolo 5 è sono state analizzate le caratteristiche deittiche e qualitative dei dimostrativi da un punto di vista semantico. Inoltre, tramite il corpus orale di ogni lingua è stata analizzata la ‘co-occorrenza’ semantica di parole con i dimostrativi. Nel capitolo 6 sono stati anallizati gli usi exoforici, anaforici, la deissi testuale e l’uso “recognitivo” dei dimostrativi. Nel capitolo 7 è stato riassunto il contenuto della ricerca.

      • Vergleichende Analyse der Satzgliedstellung im Deutschen, Ungarischen und Koreanischen

        박수영 In Kommission bei O. Harrassowitz 1987 해외박사

        RANK : 2590

        언어학에서 어순은 통사 부문의 주요 범주로서, 20세기 중반 특히 유형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어순 연구의 방법은 개별 언어의 기술 뿐만 아니라, 둘 또는 그 이상의 언어를 비교하는 것으로, 유형학적 관점에서는 모든 언어에 적용할 수 있는 통 사 범주로서, 일반적으로 주어(S) 술어(V) 목적어(O)를 설정하고, 이로 부터 VSO-형, SVO-형, SOV형등의 개념을 기준으로 세계 언어를 분류하려는 시도였다. 주어, 동사, 목적어 등 통사 범주는 전통문법에서 유래한 것이며, 이들 어순의 유형은 엄격한 문법 성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 통사범주는 서로 다른 형태구조와 격체계를 갖는 언어들에는 적합하지 못하며, 또한 어순이 문법성에 기초하지 않는 자유 어순(free wo rd order)을 갖는 언어들이 있기 때문에 위의 어순 유형도 극히 추상적 개념으로 어순 에 따른 언어 분류에 적합한 기준이 못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비교 분석되는 세 언어인 헝가리어, 독일어, 한국어는 유형적으로 특징적인 차이를 뚜렷이 나타내고 있지만, 어순에 있어서 항가리어는 자유 어순인 반면, 독일어와 한국어는 어순이 문 법적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된 유형은 분류의 기준으로 부적합한 언어 들이다. 본 논문은 세 언어의 비교를 위한 적합한 범주를 찾기 위해 통사범주로서 문 장성분(Satzglied) 이론을 발전시키고, 이들을 특정한 표준 문장이 아닌, 실제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그 적합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편적 어순 유형을 찾아내려는 시도이다. 문장성분(Satzglied)은 이동실험과 대치실험에 의해 규정되며, 문장에서의 기능에 따라 다음의 세 범주로 구분된다 : 다른 성분들에 대해 술어와 문장의 기본 형 식을 이루는 주격의 주어(S)와 문장의 핵으로서 구체적 개념을 주어와 결합시키는 술 어(P), 그리고 문장의 기본 형식에 첨가된 모든 다른 성분들인 확대어(E)가 있다. 문 장성분의 순서는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관찰되는데, 위의 세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로 서 모든 의미적·화용적 조건이 동일하며, 분석은 문장성분의 형식적-문법적 요인, 즉 그 형식과 수에 따라 분석된다. 분석의 결과는 통계적 처리에 의해 어순의 여러 가능 성 가운데,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유형을 기본 어순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유형적 비교 의 기준으로 세 언어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주어는 문장에서 확대어에 대해 특별한 위치, 즉 첫째 자리에 나타나기 때문에 술어와 확대어 사이의 위치관계만 이 문제가 된다. 즉 술어의 어느쪽으로 확대어가 나열되는가에 따라 1. 술어의 오른쪽 2. 술어의 왼쪽 3. 술어의 양쪽 방향의 순서로 구분된다. 결론으로서, 독일어의 기본 어순에서는 모든 확대어가 술어의 오른쪽으로 나열되는 1 유형을 나타내고, 한국에서 는 모든 확대어가 술어의 왼쪽으로 나열되는 2의 유형이며, 마지막으로 항가리어는 확 대어가 술어의 양쪽방향으로 나열되는 3의 유형에 속한다.

      • 한국어 명사적 표현의 현저성 정도에 대한 연구 : 한ㆍ중 대조를 중심으로

        장회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588

        본 연구는 언어목록유형론(Linguistic Inventory Typology, 言語目錄類型論)의 시각에서 한국어 명사적 표현의 현저성(mightiness, 顯著性) 정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명사의 본래 역할은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개체를 가리키는 것이지만 한국어의 명사적 표현은 움직임이나 상태, 성질을 나타내는 언어 환경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동사나 형용사가 담당하는 의미 영역까지 명사적 표현이 확장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확장성은 명사적 표현의 ‘현저성’이라고 한다. 명사적 표현이 움직임이나 상태, 성질을 나타내는 의미 영역으로 확장되어 쓰이는 현상은 많은 언어에서 발견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영어에서 ‘He is good at swimming.’뿐만 아니라 ‘He is a good swimmer.’라고도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한국어에서는 ‘그는 수영을 잘한다.’라고만 표현하는 현상 등을 예로 들면서 한국어를 비롯한 동양 언어보다 영어를 비롯한 서양 언어들에서 명사의 활동 영역이 더 넓다고 지적하고 전자를 ‘동사 중심 언어’, 후자는 ‘명사 중심 언어’라고 보았다. 이는 세계의 많은 언어들을 대상으로 해서 관찰된 결과이고 이에 대해서는 언어유형론적으로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한편으로는 세계의 많은 언어들을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인 만큼, 같은 부류로 간주하는 언어들 간의 세부적인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일종의 거친 분류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동사 중심 언어’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두 언어의 차이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명사적 표현의 확장이 어느 정도 허용되는지, 명사적 표현의 확장에 있어서 두 언어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나는 올해 8월에 중국에 돌아가려고 계획하고 있다.’를 대신하여 ‘나는 올해 8월에 중국에 돌아갈 계획이다.’라고 표현하거나, ‘말이 통하지 않으니 유감스럽군.’을 대신하여 ‘말이 통하지 않으니 유감이군.’을 사용하거나, ‘난 지금 밥 먹고 있어.’를 대신하여 ‘난 지금 밥 먹는 중이야.’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인의 일상 회화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명사적 표현이 중국어의 명사적 표현에 비해서 형용사나 동사가 담당하는 의미 영역으로 확장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한국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이나 상태, 성질을 나타내는 의미 영역으로 확장되어 쓰이는 명사적 표현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① 명사(형)로 종결되는 구문, ② ‘명사+하다/되다/실질 동사’ 구조에서 동사가 앞뒤 문맥이나 발화 상황에 의하여 생략되는 구문, ③ ‘(의존)명사+이다’ 구문이 그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에서 명사(형)로 종결되는 문장들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한국어 명사(형)의 문장 구성력을 보인다. 한국어에서 명사(형)가 홀로 이루는 문장은 주로 소형발화와 제목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텍스트적 등가인 중국어의 문장과 대조하면서 한국어 명사(형)의 문장구성력이 중국어의 명사(구)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명사+하다/되다/실질 동사’ 구문에서 동사가 생략되는 구문의 사용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한국어 문장에서 서술어의 결여에 대한 허용도가 중국어에서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의존)명사+이다’ 구문이 움직임이나 상태(성질)를 나타내는 의미 영역으로 확장되어 쓰이는 양상을 살펴본다.

      • (Implicit) Argument Introduction, Voice and Causatives

        Akkus, Faruk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Penn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575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implicit arguments in various voice constructions, such as active and passive voice, applicatives, causatives and impersonals, using mainly Sason Arabic (SA) and Turkish as empirical starting points.I add to the typology of null arguments, further demonstrating that they do not form a homogeneous category (e.g. Williams 1985; Rizzi 1986; Bhatt and Pancheva 2017; Landau 2010). My investigation reveals (at least) four types of implicit arguments in languages under investigation in terms of their semantic properties and syntactic visibility: (i) an existentially closed passive agent, (ii) a full DP, (iii) a free variable, and (iv) an impersonal pronoun.Establishing a distinction in Turkish between two constructions with identical morphology, i.e., passive and impersonal, I show that the implicit agent of passive is unprojected, whereas the null impersonal pronoun is fully projected. I also demonstrate that purported ‘passives of passives’ in Turkish are in fact impersonals of passives, and passives cannot iterate. This follows from an analysis of passive as a subtype of Voice, the head that introduces the external θ-role (following Legate 2014). I compare the null impersonal with the overt impersonal insan ‘human’ in Turkish, indicating that they exhibit distinct behavior. I also provide a syntactic analysis of the passive that confirms and captures the generalization that passive cannot iterate (Perlmutter and Postal 1977).The approach to passive adopted in the dissertation predicts that an active-passive-like alternation should be available to other functional categories, such as ApplP or CauseeP. Accordingly, I investigate several morphological and periphrastic causative constructions from SA and Turkish, arguing that this prediction is borne out. While all the causatives embed a second VoiceP, the behavior of this VoiceP varies across causative constructions: some are like the canonical, agentive VoiceP, whereas the behavior of others warrants identifying them as distinct categories, specifically VoicecauseeP or CauseeP.Furthermore, the investigation of ‘make’ causatives in SA reveals that the embedded agent may be present (i) as a free variable on thematic, active Voice head (a la Heim 1982) without needing a specifier or (ii) as a full DP, which is separated from its licensor by a phase domain and needs to A-move to be (Case)-licen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