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As, human mobility and joint knowledge creation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이정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940

        Mergers & Acquisitions (M&As) and human mobility are strategic management tools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capabilities in high-tech industries. Previous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s and innovative outputs exhibited mixed findings. They investigated aggregate knowledge creation through knowledge transfer between the acquiring firms and the targets at the firm level. However, they only focused on the organization viewing inter-organizational knowledge transfer and creation and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individuals who comprise the organization and have tacit knowledge. Meanwhile, studies on human mobility focused on the change in innovative output or knowledge transfer between organizations according to individual mobility. However, in these studies, there was no change in the on-going business of the focal firms before and after human mobility. Thus, they did not consider changes in organizational identities such as M&As after human mobility. By combining literatures on M&As and human mobility, this research not only investigates M&As at the individual level to complement the M&A literature, but also suggests the effects of human mobility on knowledge creation at the firm level. Furthermore, this research identifies mobile engineers’ knowledge creation after M&A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first empirical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antecedents on joint knowledge creation through human interaction among engineers in the acquirer and the target after M&A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relational and post-M&A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M&As experience of the acquir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int knowledge creation in a positive way, while that of the target has an effect in a negative way. This study claims that such significant opposite effects are caused by a difference in M&As experience, leading to a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learning accumulated in the two organizations, since the value of descriptive statistics is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M&As experience of the acquirer. In terms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results show that there is more joint knowledge creation when there is closer geographical proximity and greater technological similarity. In terms of post-M&As-relate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lso show that joint knowledge creation will decrease when a change in the target’s organizational identity occurs immediately after an M&A. This means that a rapid change in an organization leads to confusion and de-motivation among organization members and thus negatively affects joint knowledge creation. The second empirical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bile engineers between two companies before M&As on joint knowledge creation. We predicted that mobile engineers in the focal firms involved in M&As at the firm level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agents of joint knowledge creation since they experienced both organization routines involved in the M&A.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result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mobile engineers in two companies and joint knowledge creation. Nevertheless, the firm-level intellectual and relational assets that mobile engineers accumulated in their previous firms have positive impacts on joint knowledge creation. Among mobile engineers, there are two types of mobility direction: workers who moved from the acquirer to the target and vice versa. After analyz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different mobility direction, this study shows that both the number and the firm-level intellectual assets of mobile engineers from the acquiring firm to the target make greater contributions to joint knowledge creation compared to the number and firm-level intellectual assets of engineers who moved from the target to the acquirer. Nonetheles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ontribution made between firm-level relational assets with different mobility direction. This shows that relational assets are important in maintaining strong relationships and increasing joint knowledge creation regardless of mobility and mobility direction. The third empirical research is to investigate joint knowledge creation of individual-level mobile engineers who have existed before the M&A when there is change in an organization such as an M&A. We argued that, compared to those who moved from the target to the acquirer, mobile engineers who moved from the acquirer to the target lead to more increases in joint knowledge created by collaborating with other engineers at their previous organization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mobility direction and the intellectual and relational assets of mobile engineers hav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joint knowledge creation. It is shown that the mobility direction from the acquirer to the target creates greater interaction effects than the mobility direction from the target to the acquirer. Based on three empirical studies, this research strengthened the basis of studies on knowledge creation brought about by the cooperation of individual engineers from two organizations after an M&A. We could also show that mobile engineers in two organizations before an M&A play an important role of an agent or a channel in joint knowledge creation after the M&A and that the joint knowledge creation of mobile engineers are also affected by a change of organizational identity such as M&As.

      • Employee Mobility and Performance in Formula 1

        네데바 미르야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10

        Employee mobility has been studied at both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level – executive team, star performers, knowledge workers; in sports – coaches and players. Because this effect of the different types of employees is studied separately, this leaves one important question unanswered - Does the mobility of employees at different organizational layers affect performance equally? Using panel data from Formula 1 for the period 2014 – 2019, I invoke knowledge-based view and human and social capital arguments to compare the variance in the mobility effect between different employee groups in Formula 1 teams based on their functional roles and knowledge pools. The analysis is conducted using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ith fixed effects. In this study, I hypothesize that the influence of employee mobility varies across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layers and that this variance is largely dependent on the functional role of the employees. Additionally, I argue that the mobility of knowledge workers, such as engineers, has a stronger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than that of other employees. The findings are in line with the hypotheses, suggesting that the influence of employee mobility effect on performa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functional knowledge of the employees.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suggests that knowledge workers' mobility influences team performance the most. Interestingly, I find that mobility of team leadership, even though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leadership and performance. This study extends the theory to find that the value of workers is dependent also on the functional role they hold within the organization, not only their skills or firm-specific factors.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issue of functional diversity, which has not been extensively examined in the mobility literature. Keywords: employee mobility, performance, Formula 1, human capital, knowledge-based view, functional diversity Student Number: 2018-26238 직원 이동성은 개인 및 집단 수준(임원, 스타 수행자, 지식 근로자)에서 연구되었습니다. 스포츠에서 – 코치와 선수. 다양한 유형의 직원에 대한 이러한 효과는 별도로 연구되기 때문에 한 가지 중요한 질문에 답이 없습니다. 다른 조직 계층에 있는 직원의 이동성이 성과에 동등하게 영향을 줍니까? 2014년부터 2019년까지 Formula 1의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식 기반 관점과 인적 및 사회적 자본 주장을 불러와 기능적 역할과 지식 풀을 기반으로 Formula 1 팀의 다양한 직원 그룹 간의 이동성 효과의 차이를 비교합니다. 분석은 고정 효과가 있는 음의 이항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이 연구에서 나는 직원 이동성의 영향이 다른 조직 계층에 따라 다르며 이 차이가 직원의 기능적 역할에 크게 의존한다고 가정합니다. 또한 엔지니어와 같은 지식 근로자의 이동성은 다른 직원보다 팀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연구 결과는 가설과 일치하며, 직원 이동성 효과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직원의 기능적 지식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가장 중요한 발견은 지식 근로자의 이동성이 팀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흥미롭게도 나는 팀 리더십의 이동성이 성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확고한 리더십과 성과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는 이론을 확장하여 근로자의 가치가 근로자의 기술이나 회사 고유의 요인뿐만 아니라 조직 내에서 수행하는 기능적 역할에도 달려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는 이동성 문헌에서 광범위하게 조사되지 않은 기능적 다양성 문제를 조명합니다. 주요어: 직원 이동성, 성과, Formula 1, 인적 자본, 지식 기반 관점, 기능적 다양성 학 번: 2018-26238

      • Essays on scientific knowledge and inventor mobility

        신승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10

        본 학위논문은 과학지식의 확산과 발명가 이동의 관점에서 기술혁신과 지역 경제 성장을 연구한다. 세부적으로, 정부출연연구소의 발명에 대한 특허화가 과학 지식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발명가의 지리적 이동을 결정 짓는 요인, 발명가의 유입이 지역 혁신생태계와 창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는 세 가지 소 연구로 구성된다. 각 소 연구의 분석을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빅데이터 기법과 관찰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요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인과추론 기법을 개발 및 적용한다. 각 연구 질문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기술혁신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확장하고 경영적∙정책적 측면의 함의를 제시한다. 첫 번째 소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소의 과학자들의 발명을 특허화 하는 것이 정부출연연구소의 과학지식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기존의 정부출연연구소, 특허보호, 그리고 과학기술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문헌에 기반하여 정부출연연구소 내 과학발명에 대한 특허화가 과학지식 확산에 미칠 수 있는 양면적 영향에 대해 논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1986년부터 2013년까지 과학 저널에 게재된 전 미국 연방 정부출연연구소의 과학 발명 데이터를 수집한다. Coarsened Exact Matching 방식을 활용하여 관측가능한 특성이 유사한 과학 발명을 추리고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을 통해 발명 특허화의 영향을 비교분석 한다. 이를 통해, 정부출연연구소 과학자가 과학발명에 대해 특허화 하는 것이 같은 기술 분야에서의 혁신은 줄이는 반면 타 기술 분야에서의 혁신은 촉진하는 것을 보인다. 또, 이로 인해 증가하는 기술 혁신은 점진적 발명보다는 위험감수형 발명의 성격을 보이며, 높은 수준의 참신성을 가짐을 확인한다. 특히,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자들의 특허 등록은 지리적, 기술적으로 거리가 먼 발명가들의 발명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다. 나아가, 특허화의 영향은 해당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가 더 적은 사회적 연결성을 가질수록, 해당 과학 지식 분야가 산업에서 덜 익숙한 분야 일수록 더욱 강화되는 것을 확인한다. 첫 번째 소 연구을 통해 정부출연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직접 참여한 연구에 대해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정부출연연구소 지식의 확산과 활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이론적∙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또, 다양한 세부 특성 및 이질성에 대한 검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정책입안가들이 정부출연연구소의 특허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근거를 제시한다. 해당 소 연구의 결과는 정부출연연구소의 지식 확산을 위해 정부출연연구소 과학자들이 외부 기업과 보다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함을 제시한다. 나아가, 정부출연연구소 내부 과학지식의 확산을 촉진하는 유의한 제도적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정부출연연구소와 산업 내 기업 연구소가 함께 공생하고 상호 보완하는 구조를 만드는데 기여한다. 두 번째 소 연구에서는 발명가의 지역적 이동을 결정하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대해 연구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 1990년과 2010년 사이 미국 내에서 미국 특허를 출원한 발명가 55만여 명의 지리적 이동 내역을 추적하고, 미국 내 3천여개의 자치주(County)별 과거 인구 분포 정보를 수집한다. 변인 간 관계의 분석을 위해 고정효과 회귀분석을 활용한다. 먼저 인구 분포의 측면을 고려하여, 발명가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이전 지역에 과거 같은 성씨가 분포되어 있던 정도와 부정적인 관계를 가짐을 확인한다. 이와 같은 과거 성씨 분포의 영향은 발명 경험, 생산성, 질, 이전 이동 패턴, 주 활동 분야 등 발명가 개인 수준의 특성과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유의한 것을 확인한다. 추가적으로, 성씨의 영향을 조절하거나 영향이 유의하지 않도록 하는 개인적, 가족적, 제도적 요인을 검증한다. 또, 발명가의 성별에 따른 이질성 검증을 통해 성씨 분포의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점을 확인한다. 두 번째 소 연구를 통해 과거 성씨의 분포가 발명가들의 지리적 이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여러가지 다른 요인과의 상호 작용을 살펴본다. 이로써, 발명가의 유입 및 보존을 돕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와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개인 수준의 발명 관련 요인에 대해 과거 성씨 분포의 영향이 유의하게 변하지 않음을 보여 과거 성씨 분포를 활용한 발명가의 지리적 이동 추적의 범용성을 높인다. 해당 소 연구의 분석 결과는 과거 성씨 분포를 활용하여 Shift-share 도구 변수를 만드는데 대한 타당성을 높인다. 세 번째 소 연구에서는 발명가들의 유입이 해당 지역 내 벤처케피탈의 투자를 받는 신생기업의 창업, 성장 패턴, 그리고 투자 자본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 1987년부터 2007년 사이 벤처케피탈 투자를 받은 미국 전역의 창업기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인수합병, 기업공개, 투자유치 등 각 기업별 성장패턴에 대한 정보를 확보한다. 발명가 유입이 지역 창업생태계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미국 내 성씨의 과거 지역분포에 기반한 Shift-share 도구변수를 개발하고 활용한다. 이를 통해, 발명가들의 유입은 해당 지역 내 벤처케피탈의 투자를 받는 신생기업의 창업 수를 늘려주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유입되는 발명가들의 기술 분야와 같은 분야에서 신생기업의 창업이 늘어나며 다른 분야에서는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여, 발명가들의 유입에 따라 분야 간의 투자 이동이 일어나는 것을 보인다. 발명가의 유입은 창업의 수뿐만 아니라 인수합병이나 기업공개 등을 통해 성공적으로 투자를 회수하는 창업 기업의 수를 늘려주며, 실패로 이어지는 창업 기업의 수는 줄여주어 창업 기업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을 보인다. 나아가, 발명가의 이동은 비첨단 과학 산업의 실패 기업을 줄이고 첨단 과학 산업의 성공 기업을 늘려 벤처케피탈의 자본 투자의 효율을 높임을 보인다. 세 번째 소 연구를 통해 발명가 인적 자본이 신생기업 창업 활동과 투자 자본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이는 지역 내 신생기업 창업 활동을 장려하고 자본 투자를 촉진하고자 하는 정책입안가들에게 발명가를 유입하여 창업의 양뿐만 아니라 질, 투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추가적으로 해당 소 연구에서 제안한 도구변수는 향후 다양한 인적자본 이동이 지역 단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결론적으로 본 학위논문은 과학 지식과 발명가의 이동이 혁신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 혁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경영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학문적으로도 각 소 연구 별로 관련된 선행연구 흐름을 확장하는 주요한 학문적 기여점을 갖는다. Facilita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in various fields and stimulating economic growth based on innovation is vital today. Both scientific knowledge and human capital are key components in seeking technological innovation.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 mechanisms of innovation from the aspects of scientific knowledge diffusion and inventor mobility. Each chapter here investigates the diffusion of government science, causes, and implications of inventor mobility. This dissertation develops and applies data analytics and causal inference techniques to conduct empirical analyses for each chapter. This dissertation also expands the academic discussion on innovation and suggests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s conducive to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first chapter of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role of a patent filed by government scientists in the dissemination of scientific discoveries in government laboratories. It collects a data sample on scientific discoveries originating from US federally funded R&D centers and adopt a difference-in-differences approach to compare similar scientific discoveries. The results confirm that while a patent filed by government scientists decreases the rate of follow-on patents in a technological area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focal patent, it increases the rate of follow-on patents in non-overlapping technological areas. Increase in follow-on inventions is attributable to risk-taking inventions, that is, inventions involving a high chance of resulting in either impactful or failure patents rather than incremental inventions. It is also characterized by inventions with a high level of originality.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ventors in distant locations in terms of geographical and technological proximity are the most affected by patents filed by government scientists. This patent effect is pronounced when government scientists involved in the focal discovery have fewer social connections and when the scientific field is less familiar in the industry. The results of the first chapter help policymakers design policies on the patenting activities of government scientists by providing relevant empirical evidence. The results also suggest policymakers to leverage patents and implement other means to increase interaction between government scientists and industrial laboratories. Furthermore, the chapter contributes to building a complementary structure between government laboratories and industrial firms by suggesting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conducive to the diffusion of scientific discoveries in government laboratories responding to industrial landscape changes in the current era. The second chapter of the dissertation uncovers the determinants of inventors’ mobility choices. It demonstrates that an inventor’s emigration from a loc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share of the same surname in a given location. This surname effect on inventors’ geographical mobility is valid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ventor individuals’ length of invention experience, productivity, quality; previous mobility pattern, active technological fields; and current location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chapter uncovers specific conditions wherein the surname effect is moderated and wherein the surname effect loses its significance. The chapter also examines heterogeneity effects by gender, showing that surname effect differs by gender. The results of the second chapter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inventors’ geographical mobility may be predicted by historical surname distribution and how other factors influence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that help attract and retain inventors. Particularly, by demonstrating that the surname effect is less susceptible to other individual-level in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increase the generalizability of using historical surname distribution to track inventors’ geographical mobility. The third chapter of the dissertation estimates the impact of inventor inflow on the formation and success of local venture-backed startups and on local shifts in venture capital investments. Moreover, it strengthens causality with a shift-share instrument based on historic spatial distribution of surnames. The results show that the arrival of inventors increases the number of venture-backed startups, but only in the same technological fields of newly arrived inventors. Inventor arrivals also increase the number of successful startups while reducing failed ones, demonstrating that inventors improve startup quality. Furthermore, inventor inflow incurs venture capital investments to reallocate from low-tech unsuccessful startups to high-tech successful startups. This shows an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s. The results of the third chapter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role of inventors in venture-backed startup activities and investment shifts. This suggests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who aim to foster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that they may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tartups as well as efficiency of investments by attracting inventors. Additionally, the shift-shar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chapter would be useful in estimating the effect of human capital mobility on regional outcomes in future research.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inventor mobility on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It provide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empirical analyses centered on innovation. It also expands and contributes to a number of research streams that each chapter draws upon.

      • Unwarranted students : emergence of Indonesian migrant student-workers in South Korea

        Suray Agung Nugroho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8 국내박사

        RANK : 2876

        This research explores the lives of Indonesian migrant workers undertaking study through the Indonesia Open University (hereafter UT Korea) in South Korea. Drawing the data from interviews, social media analysis, and encounters with these migrant student-workers, the research delves into the ways in which these individuals challenge the presumptions that migrant workers must occupy singular and distinct socio-legal identities.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shifting aspirations and subjectivities as they negotiate divergent views on their choice to study on Sundays while working on weekdays and how they see themselves in the future. These Indonesian migrant workers’ new life rhythms and changing identities provide new opportunities as well as frictions in their workplaces, particularly where employers do not allow or expect workers to study even in their own time. In the midst of this, they also use higher education they experience in UT Korea as a way to lever up their social mobility. In order to conceptualize this hybrid migrant identity, this research proposes the term ‘unwarranted students’, which underscores the diverse, complicated, and even insecure identities that emerge in the process of traversing the boundaries between workers and students. These migrant workers’ experiences contribute to the blurring boundary between knowledge mobility and labor migration in Asia, taking into account the case of Korea as the geographical location where UT Korea conducts its activities. The narratives of these migrant student-workers have shed light into an alternative use of transnational mobility as an opportunity to gain knowledge and education among the commonly-viewed marginalized migrant workers in the host countries. Ultimately, the emergence of such a new subjectivity as student-workers in Korea can contribute to expanding the ideas and understanding of knowledge migration in the Inter-Asian context. Keywords: migration, knowledge mobility, Indonesian migrant workers, South Korea, Universitas Terbuka, UT Korea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국립개방대학교 Universitas Terbuka Indonesia의 한국 캠퍼스 (이하 UT Korea)에서 공부하는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들의 삶과 내러티브를 심층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인터뷰와 소셜 미디어 분석, 그리고 많은 이주노동자들과 토론을 통해서 정보와 자료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주노동자의 신분으로 또 학생 신분으로 UT Korea에서 공부하는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들은 주중에 일하면서 일요일에 공부하기로 한 결정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그리고 그들의 변화하는 정체성에 대해서 어떻게 적응하는 지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UT Korea에서 수학하는 이주노동자들은 사회적으로나 법적으로 소정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에서 새로운 삶과 변화하는 정체성은 새로운 기회가 분명하지만, 직장생활에서 크고 작은 갈등도 경험하게 한다. 특히, 이주노동자가 휴일이나 업무가 끝난 후의 여유시간을 활용하여 공부할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주가 이를 허용하지 않거나 고용인들의 외부활동을 기대하지 않는 사례들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UT Korea에서 공부하는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에서 경험하는 인도네시아 고등교육을 통하여 자신감과 자아의식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려는 꾸준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이주 정체성을 개념화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보장되지 않은 학생'이라는 용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 용어는 근로자와 학생간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하고 복잡하며 심지어 불안정한 정체성을 강조한 것이다. 한국에서 벌어진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이주노동자의 경험은 아시아에서 나타난 지식이동(knowledge migration)과 노동이동 (labor migration)간의 경계를 느슨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이주학생노동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서 초국적 이동 (transnational migration)의 대안적 이용을 살펴 볼 수 있다. 여기서는 바로 호스트국가인 한국을 활용하여 흔히 소외된 이주노동자로 알려진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들은 이동을 통해서 지식습득을 추구하고 양질의 교육기회를 획득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한국에서의 이주학생인 노동자들의 출현은 아시아 차원에서 지식이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한국, 지식이동, 노동이동,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 UT Korea

      • Essays on Innovation, Human Capital, and Small Businesses

        Xue, Jing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ProQuest Diss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843

        This dissertation comprises three essays that explore how human and social capital influence innovation and promote firm dynamism, particularly for small businesses. It studies how firms’ uptake of projects is shaped by the local environments, such as superstar firms, talent clusters, and local social capital.In the first essay, I study the labor channel underlying the agglomeration of innovation activity. It identifies the reallocation of human capital as a key channel of agglomeration spillovers for innovative firms. To measure agglomeration spillovers, I study how R&D labs in different local labor markets respond differently to scientific breakthroughs, which create large and unexpected shocks to innovation productivity in certain technology categories. I document four main findings. i), following scientific breakthroughs, affected labs in thicker local labor markets (i.e., commuting zones with more inventors innovating in a certain field) produce more patents and higher-quality patents, consistent with positive agglomeration spillovers. ii), the increase in patenting is mostly attributed to new hires rather than incum-bent inventors. iii), the thick labor market effect is concentrated in states and industries where there is lower enforceability of non-compete agreements and labor is more mobile. iv), using textual analysis to identify lab-level exposure to scientific breakthroughs, I find that inventors are reallocated to labs that are more favorably affected by shocks, which helps labs in thicker labor markets to more easily bring in inventors working in the same niche fields and having a diverse knowledge bas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oint to labor mobility as a key force in explaining why innovative firms cluster, and suggest that the clustering of firms in thick labor markets can foster corporate innovation by facilitating productivity-enhancing reallocation of human capital following scientific breakthroughs.In the second essay, I identify the entry effects of top innovative firms on incumbent innovation. I exploit the inter-temporal variation in patenting activities of local inventors in chosen commuting zones that attracted the firm headquarters and in runner-up commuting zones that were finalists of location choice. Treated and control groups have similar trends prior to the entry, while the local inventors in the chosen zones apply 6.7% more patents, gain 16.8% more top patents, and receive 11.6% more citations. Entry effects are stronger among local inventors who are technologically or socially closer to the entering firm, after controlling for innovation incentives and labor mobility. Social closeness, isolated from technological proximity, consistently explains the innovation gains, which suggests knowledge diffusion is the important channel for local innovation productivity spillovers.In the third essay, we investigate why small businesses exploit business opportunities better in some areas than others. In a sample of 1.2 million consumer-facing establishments, social capital predicts the uptake of risk-free loans controlling for close-by bank branches, income, and education.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the social capital metric accounts for 20 percent of the variation in uptake across zip codes, surpassing the impact of a bank branch within 1000 yards. Strong social capital benefits large, low-growth stores in less-dynamic areas, whereas bank branches benefit small, high-growth stores in more-dynamic areas. Virtual connections have the greatest effect on uptake in already advantaged locations.

      • Essays on Intra-Industry knowledge spillovers from inward FDI in service sector : evidence from discount store and banking industries

        김종회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7 국내박사

        RANK : 2655

        Knowledge Spillovers from Inward FDI in Service Sector : Evidence from Discount Store and Banking Industries This thesis seeks to shed light on the mechanisms of intra-industry knowledge spillovers from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the service sector through two individual empirical examinations in the discount store and banking industries in South Korea (Hereafter Korea). Studies 1 and 2 are derived from survey data from one of leading local discount store chains and from five major local banks in Korea respectively. The thesis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potential conduits of knowledge flows (demonstration effect, worker mobility, local firms’ learning capability and competitive pressure) and the extent of knowledge spillovers from foreign to local organizations. In addition, by analyzing interdependencies among the elements that affect knowledge spillovers, Studies 1 and 2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pressure and knowledge spillovers. Further, this thesis presents overall discussions on similar and distinctive aspects found in the two industries (i.e., retail and banking) in the same sector (i.e., service) by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two empirical studies. Since the results of Studies 1 and 2 seem to be almost identical with a few exceptions, there are more things in common than dissimilarities. Most importantly, both studies confirm that knowledge spillover occurs in the service sector in the Korean context. To be more specific, a demonstration effect along with worker mobility and learning capability of local organizations play crucial roles as the conduits of knowledge spillovers from foreign to local businesses. By contrast, competitive pressure does not display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knowledge spillovers in both industries. The discoveries from the analy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both studies indicate that a demonstration effect and learning capability positiv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pressure and knowledge spillovers. One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udies i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worker mobility is not significant in the discount store industry while, in the case of banking, worker mobility nega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pressure and knowledge spillovers. The findings largely suggest that, in the knowledge spillover mechanisms in the service se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itive pressure stemming from the presence of new foreign participants and worker mobility might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es. 해외직접투자 유입에 따른 서비스 부문의 산업 내 지식 파급 : 대형 할인마트와 은행 산업에서의 실증 연구 본 논문은 한국의 대형 할인마트 산업과 은행 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두 개의 개별적인 실증 연구들을 통하여 해외직접투자 유입에 따른 서비스 부문에서의 산업 내 지식 파급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 1”과 “연구 2”는 각각 한국 내 선두 대형 할인마트 기업 중의 하나와 5개 주요 상업 은행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시 효과, 근로자 이동, 현지 기업의 학습 능력 및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또 두 실증 연구들은 변수 간 상호의존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관계에 대한 다른 변수들의 매개 효과도 검증한다. 나아가 위의 두 실증 연구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두 산업에서 발견된 유사한 측면과 상이한 점들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두 실증 연구의 결과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이는 바, 기본적으로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두 연구가 공히 한국의 서비스 부문에서 지식 파급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근로자 이동, 학습 능력과 함께 전시 효과가 외자 기업으로부터 현지 기업으로의 지식 파급의 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에 경쟁 압력은 두 산업 모두에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구조 방정식 모델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관계가 전시 효과와 학습 능력 등 다른 변수들에 의해 매개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두 연구 간 차이 중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대형 할인마트 산업에서는 근로자 이동의 매개 효과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은행의 경우에는 근로자 이동이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관계에 음(-)의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 결과는 새로운 외국계 참여자로 인한 경쟁 압력과 근로자 이동 간의 관계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The Impact of Technological Relatedness on the Post-hiring Knowledge Use

        강새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638

        본 논문은 채용 기업 내 지식 이전을 촉진하는 데에 있어 직원의 이동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소싱 기업과 채용 기업 간의 기술 관련성이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가설을 검증하고자 미국 반도체 산업 특허 데이터를 분석하여 직원의 이동을 추적하였고, 인용 정보를 활용하여 기술 관련성에 따른 지식 활용을 파악하였다. 이를 영과잉 음이항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기술 유사성은 채용 기업에서의 지식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술 보완성과 탐색적 지식 활용 간의 긍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도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기업 연령이라는 변수가 두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기술 유사성이 채용 기업의 지식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기업 연령이 이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기술 보완성은 기업 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에만 탐색적 지식 활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To examine the role of employee mobility in facilitating knowledge transfer within hiring firms,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relatedness between the sourcing firm and the hiring firm. By analyzing U.S. patent data in semiconductor industry, I track the mobility events of inventors and identify knowledge use according to technological relatedness, using citation data. Analysis through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shows that technology simila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an exploitative knowledge use at the hiring firm whil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mplementarity and explorative knowledge use yield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sults. However, firm age turns out to moderate both relationships significantly.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echnology similarity enhances knowledge utilization at the hiring firm in an exploitative manner, with firm age positively moderating this relationship. Furthermore, technology complementarity is found to increase explorative knowledge use only when firms are younger.

      • 문화자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화 재생산 및 이동성 이론을 중심으로

        김유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616

        Recently,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have led to a gradual improvement in individual capabilities. Each market has also grown at an amazing rate, furthermore, the number of compani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to the government's implementation of its support the Start-Up policies. However, we also see that the number of closed companies is increasing and that performance-enhancing rates for each organization are inadequate. So,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Reproduction and Cultural Mobility, the authors verified how the Cultural Capital of each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promoting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forming an organization Habitus. This paper surveyed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Korea. The survey collected 547 questionnaire, and analyzed 503 effective answers except for 44 unfaithful answer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further verified using Smart PLS 3.0 to improve accuracy. The Bootstrapping program is support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s, and used common method bias to analyze the error generated by measuring to the same method. Research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bitu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all significan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both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Habitus had positive consequence on mediate effects and sequential mediate effects. The study’s academic significance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ector has expanded by studying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in management, where the research activities are less active than existing education and sociology. Second, the results proposed other perspectives by accepting and supporting both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base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ultural Mobility Theory which utilize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during existing and constant discussions. Finally, quantitative measurements and demonstrations of the effects of Habitus, which were only actively studied in qualitative research worldwide, helped to establish a more theoretical basis clearly. The practical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makes sense by demonstrating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ncouraging the accumulation environment of cultur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was instrumental in the proposal to form a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positive impact on forming organizational culture by promoting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nally, he contributed to the national policy proposals for cultural welfare by presenting the basis for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nd the promotion of job cre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management strategies which aimed 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ach organization will be established and the effect will appear as a positive result.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달과 정보의 보급화로 인하여 개인의 능력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 각 시장 역시 놀라운 속도로 가속화하여 성장하고 있으며, 더욱이 정부의 창업 지원정책 시행으로 기업의 수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폐업된 기업의 수 역시 증가하고 있어, 각 조직의 성과 향상률은 미비한 현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재생산 이론과 문화 이동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각 개인의 문화자본이 지식경영활동을 촉진하고, 조직의 아비투스를 형성함으로써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조직 활동을 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54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44부의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503부의 유효 응답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된 결과 자료는 SPSS 26.0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와 신뢰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였고, Smart PLS 3.0을 활용하여 추가로 검증하여 더욱 정확도를 높였다. 그리고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통해 구조방정식을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동일 방법 측정으로 인한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방법편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문화자본과 지식경영활동, 아비투스, 그리고 조직성과 사이의 영향 관계가 모두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매개요인인 지식경영활동과 아비투스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순차 매개효과까지 긍정적 영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교육학과 사회학에 비해 연구 활동이 다소 활발하지 않았던 경영학에서 문화자본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 둘째, 끊임없는 논쟁 가운데에 있던 조직 성과를 활용한 문화 재생산 이론과 지식경영활동을 활용한 문화 이동성 이론을 모두 수용하여 지지함으로 다른 시각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성적 연구만 활발히 이루어졌던 아비투스의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실증함으로 보다 이론적 근거를 명확히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자본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여 조직 내의 문화자본 축적 환경 마련을 장려함으로 의의를 가진다. 둘째, 지식경영활동을 촉진함으로 조직 문화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근거로 건강한 조직 문화 형성 제언에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성과 촉진과 일자리 창출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 문화 복지에 대한 국가적 정책 제언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각 조직의 성과 향상을 목표로 한 경영적 전략이 수립되고, 그 효과가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Mobile Payment Service Acceptance Behavior of Chinese Travelers

        호문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inese outbound travelers’ perceptions of overseas mobile payment use and to explore those implicit external factors which migh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attitudes and acceptance behavior toward tourism mobile payment use. A survey was held with Chinese outbound tourists who are traveling in South Korea.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as employed and four extra concepts, perceived security, prior knowledg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social Influence, were added into the current study.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tilized in the current study. Since the tourism-oriented mobile payment service still remains at a promotion stag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ed to speed up the popularize this technology. Chinese outbound tourists who are currently traveling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validated the conventional TAM model and proved the significant influences prior knowledge of destination mobile payment,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bring on Chinese tourist mobile payment adoption. The research verified the vital roles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rior knowledge play in the acceptance behavior of Chinese outbound tourists in the context of tourism-oriented mobile payment. Not only academic findings, also there were managerial suggestions given as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of tourism-oriented mobile payment service, and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are conceived to be helpful for other relative research in the similar fields.

      • Investigation of transportation and urban mobility challenges in mega events : a text mining approach

        Prikhodko, Polina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604

        Mega-events (ME) have been granted with a prominent position within the urban agenda of modern cities. The significance of these events stems from their potential to act as catalysts for the urban development of a city, presenting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m as global cities. A ME hostage serves as a platform for a country to demonstrate its capabilities and achievements on the global stage, and the effectiveness of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becomes a decisive factor in the success turning the event into blessing or a cur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ajor challenge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ME visitors from transport services on the example of the Russian Federation. Using the Text Mining Approach unstructured data from multiple data sources is structured, the key transportation issues are identified and either validated via in-depth interviews with ME visitors and experts.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policymakers, local authorities and urban First/Last Mile mobility companies. 메가 이벤트(ME)는 현대 도시의 도시 의제 내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사들의 중요성은 도시의 도시 발전을 촉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여 도시를 글로벌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에서 비롯됩니다. ME 인질은 한 국가가 글로벌 무대에서 역량과 성과를 발휘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하며, 도시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이 행사를 축복이나 저주로 바꾸는 데 결정적인 요소가 됩니다. 본 연구는 러시아 연방의 사례에서 교통 서비스에서 ME 방문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과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텍스트 마이닝 접근법을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 소스의 비정형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ME 방문자 및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주요 운송 문제를 식별하고 검증합니다. 이 연구는 정책 입안자, 지방 당국 및 도시의 퍼스트/라스트 마일 모빌리티 회사에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