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로마 블렌딩 에센셜 오일 흡입이 간호사의 피로, 스트레스, 우울,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백윤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38

        This study 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using aroma blending essential oil on nurses' fatigue, stress response, depression and happiness. Subjects were recruited at S city C University Hospital through an announcement, and a total of 60 subjects who met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30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aroma inhal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placebo. A none of subjects were dropped out during the study, and 30 and 30 people in the final aroma inhal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nalyzed. Aroma essential oil was blended with lime, peppermint, rosemary, and clarysage in a ratio of 1:1:1:1 and provided to the aroma inhalation group and almond oil was provided to the placebo group, a control group. Aroma inhalation group and placebo group were instructed to inhale aroma 4 times a day for 2 weeks. Aroma inhaler was used for aroma inhalation, which is convenient to carry and can be easily applied in the workplace. The study outcomes were fatigue, stress response, depression, and happiness. They were measu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hapiro-Wilk's normality test was performed for normality. Mann-Whitney's U-test was performed for salivary cortisol which was not met the normality assumption.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before interven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hi-squared 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roma inhalation using aroma blending essential oil,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was a one-sided tes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based on a significance level of .05 or 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roma blending essential oil inhalation will have a lower fatigue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aroma inhalation” was supported(t=1.855, p=.035). 2)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roma blending essential oil inhalation will have a lower stress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aroma inhalation” was not supported (perceived stress t=0.973, p=.167, saliva cortisol z=-0.673, p=.501, repectively). 3)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roma blending essential oil inhalation will have a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aroma inhalation” was supported (t=2.756, p=.004). 4) Hypothesis 4: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roma blending essential oil inhalation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appiness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aroma inhalation” was supported (t=-2.448, p=.009).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s a result of inhalation for 2 weeks using an aroma inhaler by blending lime, peppermint, rosemary, and clarysage for nurses, the effect of reducing fatigue and depression and increasing happiness was shown.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method of blended aroma essential oil as an aromatherapy method that can be applied without burden in time and economics in the nursing field. The aromatherapy program is presen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nurs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aromatherapy application methods as various nursing interventi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아로마 블렌딩 에센셜 오일 흡입이 간호사의 피로, 스트레스 반응, 우울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S시 C 대학병원에서 대상자 공고를 통해 모집하였으며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총 60명 선정하여 아로마 흡입군인 실험군과 위약을 이용한 대조군에 각각 30명을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진행 중 탈락자는 없어 최종 아로마 흡입군과 위약군 각각 30명, 30명을 분석하였다. 아로마 에센셜 오일은 라임, 페퍼민트, 로즈마리, 클라리세이지를 1:1:1:1의 비율로 블렌딩하여 아로마 흡입군에게 제공하였고 대조군인 위약군에는 아몬드 오일을 제공하였다. 아로마 흡입군과 위약군에게 2주 동안 매일 하루 4회 아로마 향흡입을 하도록 하였다. 아로마 흡입 방법은 휴대가 편하고 근무 현장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아로마 흡입기(aroma inhaler)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처치 전후 피로, 스트레스 반응, 우울, 행복감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의 정규성 검정을 위해서는 Shapiro-Wilk의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 검정 결과 타액 코티솔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지 못하여 생리적 스트레스인 타액 코티솔에 대해서는 비모수 검정법인 Mann-Whitney의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실험 전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을 실시하였으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향흡입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단측검정으로 유의수준 .05 이하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아로마 블렌딩 에센셜 오일 흡입을 시행한 실험군은 수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피로 수준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855, p=.035). 피로의 하위영역 별로 보면 두 집단의 고갈성 피로(t=1.109, p=.136)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긴장성 피로(t=2.416, p=.010), 누적성 피로(t=2.462, p=.009)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제2가설: “아로마 블렌딩 에센셜 오일 흡입을 시행한 실험군은 수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지각된 스트레스 t=0.973, p=.167, 타액 코티솔 z=-0.673, p=.501 ). 제3가설: “아로마 블렌딩 에센셜 오일 흡입을 시행한 실험군은 수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756, p=.004). 제4가설: “아로마 블렌딩 에센셜 오일 흡입을 시행한 실험군은 수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행복감 수준이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448, p=.009).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호사를 대상으로 라임, 페퍼민트, 로즈마리, 클라리세이지를 블렌딩하여 아로마 흡입기를 이용하여 2주간 흡입한 결과 피로, 우울을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간호 현장에서 아로마테라피 방법으로 시간적, 경제적으로 부담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아로마 흡입기를 이용한 아로마 블렌딩 에센셜 오일 흡입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아로마테라피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정신적, 심리적 건강증진에 효과적인 중재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간호 중재로서 아로마테라피 적용 방법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정유목걸이에 의한 정유의 흡입이 중년여성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동주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938

        본 연구의 목적은 목걸이를 이용한 정유흡입이 중년여성의 불안과 우울감소 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40∼65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OVID-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160명 중 중도탈락자와 미응답자를 제외한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편백나무 정유 흡입그룹(37명), 라벤더 정유 흡입그룹(37명), 혼합 정 유 흡입그룹(36명), 비흡입그룹(34명)을 최종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 하였다. 흡입그룹은 2주, 하루 8시간 동안 정유목걸이를 착용하였고, 대조군인 비흡 입그룹은 처치 없이 일상적 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중년여성의 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한국판 상태·특성불안척도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로 Spielberger, Gorssuch Lushene(1970)이 개발하고, 한덕웅 등(1993)이 번역한 상태·특성불안척도 중 상태불안척도를 사용했 다. 우울은 Radloff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의 우울척도를 박슬기(2011)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했다. 자료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18.0 Windows version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전 각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은 기술통계 분석으로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그룹의 실험 전과 실험 후 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그룹의 동질성 분 석과 전체그룹의 상태불안과 우울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태불안 측정결과, 중년여성에게 정유목걸이를 이용한 향기요법은 흡 입군 전체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각 그룹에 서 살펴보면 편백나무 정유 흡입그룹과 혼합 정유 흡입그룹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우울 측정결과, 중년여성에게 정유목걸이를 이용한 향기요법은 흡입군 전체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각 그룹에서는 편백나무 정유 흡입그룹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태불안과 우울에서 흡입그룹 간 변화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혼합 정유 흡입그룹은 단일 정유 흡입그룹(편백나무 정유 흡입그룹, 라벤더 정유 흡입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더 많은 감소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결과, 정유목걸이를 통한 정유의 흡입은 중년여성의 불안 및 우울 점 수가 전체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편백나무 정유와 라벤더 정유 2가지로 진행되었으므로, 여 러 가지 정유의 종류나 농도, 개인의 조건이나 상황 등을 감안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oil inhalation using necklaces has an effective effect on anxiety and depression reduction in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5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they were conducted non-face-to-face due to COVID-19. Of the 160 participants in the study, 144 were surveyed, excluding those who were dropped out and those who did not respond. The cypress oil inhalation group (37 people), the lavender oil inhalation group (37 people), the blended oil inhalation group (36 people), and the non- inhalation group (34 people)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The suction group wore an oil necklace for 8 hours a day for 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on-inhalation group was allowed to live a daily life without treatment. The test tool for measuring anxiety in middle-aged women was developed by Spielberger and Gorsuch Lushene (1970)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a state anxiety scale was used among the state and characteristic anxiety scales translated by Han Deok-woong (1993). For depression, Park Seul-ki (2011)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depression scale of Radloff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Windows ver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It was set to level. Homogeneity between each group was secured before the experimen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 corresponding sample t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homogeneity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the entir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condition anxiety, it was confirmed that scent therapy using an oil necklace in middle-aged wome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ntire inhalation group. Looking at each group, the cypress oil inhalation group and the blended oil inhalation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Second, as a result of depression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scent therapy using an oil necklace in middle-aged women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e entire inhalation group. In each group, only the cypress oil inhalation grou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effect.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changes between inhalation groups 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the blended oil inhalation group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it did not show more reduction effect than the single oil inhalation group (the cypress oil inhalation group and lavender oil inhalation group).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alation of oil through the oil necklace had the effect of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nxiety and depression scores of middle-aged women in the entire group.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types: cypress and lavender oil,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various follow-up studies considering the types and concentrations of various refineries, individual conditions and situations.

      • Evaluation of 6 week-inhalation exposure to benzalkonium chloride in rats

        최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24

        벤잘코늄염화물은 살생물제로 흔히 사용되고 있어 지속적인 흡입노출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반복적인 흡입노출에 대한 영향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벤잘코늄염화물을 흡입노출 시킨 랫드를 이용하여 벤잘코늄염화물 에어로졸이 호흡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 그리고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조직병리학적 검사와 함께 기관지폐포세척술을 실시하여 면역세포수와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랫드는 2주 그리고 추가로 4주(총 6주) 동안 0 (대조군), 0.8mg/m3 (T1군), 4mg/m3 (T2군), 20mg/m3 (T3군)의 농도로 하루 6시간동안 벤잘코늄염화물 에어로졸에 전신흡입 노출되었고 14일과 42일에 부검을 실시하였다. 2주 동안의 흡입노출 후 조직병리학적 검경을 실시한 결과 0.8, 4, 20mg/m3 노출군의 폐조직과 비강조직에서 변화가 관찰되었고 IL-1β, IL-6, MIP-2의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에서 감소하였다. 그러나 4주의 추가적인 노출 후 이러한 변화들은 회복되었다. 4주의 추가적인 흡입노출 후 변화들이 감소하였으나, 2주의 벤잘코늄염화물 흡입노출 후 0.8mg/m3 농도 이상으로 흡입 노출된 실험동물의 폐와 비강에서 벤잘코늄염화물 에어로졸과 관련된 변화들이 관찰되었으므로 벤잘코늄염화물 에어로졸의 흡입노출에 대한 최대무독성용량을 0.8mg/m3 이하로 제안한다. Benzalkonium chloride (BKC) is commonly used as an antimicrobial biocide and is likely to be exposed by inhalation; however, studies on the effects of its repeated inhalation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the time-dependent and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s of BKC inhalation on the respiratory tracts of rats.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collected from these rats to estimate the number of immune cells, to determine cytokine levels, and to perform histopathological analysis in response to BKC inhalation.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were exposed to BKC aerosol at a concentration of 0 (control group), 0.8 mg/m3 (T1 group), 4.0 mg/m3 (T2 group), and 20 mg/m3 (T3 group) for up to 6 weeks and sacrificed on days 14 and 42. After 2 weeks of inhalation exposure,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ung and nasal tissues of the inhaled animals at concentration of 0.8, 4, and 20 mg/m3 and the levels of inflammation related cytokines, IL-1β, IL-6, and MIP-2, decreased in the exposed group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of additional exposure, these changes recovered. Although the changes were diminished after additional inhalation exposure, the changes by BKC aerosol inhalation were observed in animals exposed to concentrations above 0.8 mg/m3. Therefore,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by inhalation exposure of BKC aerosol is suggested to be less than 0.8 mg/m3.

      • 노인에서의 흡입제 사용평가

        신미정 中央大學校 醫藥食品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908

        흡입제는 장점이 많은 반면 사용방법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최적의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흡입제 사용환자중 60 대 이상의 노인이 많으나 인지능력이나 신체기능의 저하등으로 젊은 연령군에 비하여 흡입제를 잘못 사용할 위험이 많으므로 노인환자에서의 흡입제 사용을 다른 연령과 비교 평가하고 적절한 복약상담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99 년 1 월부터 2000 년 7 월까지의 흡입제 복약상담 의뢰서 628 건을 분석하였고 흡입제 제형별로는 diskhaler, turbuhaler, metered dose inhaler (MDI), MDI 에 추가된 spacer device 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사용방법 7 단계를 상, 중, 하 또는 3,2,1 점으로 환산하여 상담 전후로 평가하였다 (점수범위 7~21). 628 건중 37.1%가 60 대 이상의 노인환자였으며 상담 전 점수가 15.1±3 으로 젊은 연령의 18.1±2.7 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사용방법의 각 단계 평가시 특히 70 대 이상 군에서 네가지 유형의 흡입제 모두 6 단계 (diskhaler, turbuhaler-힘껏 깊은 숨 들이마시기, MDI-흡입기를 누름과 동시에 천천히 깊은 숨 들이마시기, spacer device-뚜껑을 엶과 동시에 입에 물고 천천히 깊은 숨 들이마시기)가 '상'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상담 후 향상됨을 보였으나 (P<0.05) 다른 연령군에 비하여 상담 후에도 '상'의 비율이 낮았다 (전체 vs 70 대 이상 군 diskhaler 29.4%→61.9% vs 14.3%→38.1%, turbuhaler 32.3%→59.1% vs 8.3%→29.2%, MDI 12.8%→32.2% vs 3.3%→30.0%, spacer device 21.2%→47.4% vs 7.7%→30.8%). PIF (peak inspiratory flow) test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PIF 가 낮았으며 상담 후 두번째 시행에서는 향상되었으나 70 대 이상 군에서는 여전히 낮았다. 1 차 상담 후 재상담이 필요하다고 기록한 경우가 59.2%였으나 15.1% 의 환자만이 응하였으며 재상담시 1 차 상담 전보다는 사용을 잘하나 (17.4±.8→18.8±.5, P=0.001) 1 차 상담 후보다는 사용점수가 감소하였다 (19.4±.0→18.8±.5, P=0.06). 이로써 연령이 많은 노인환자일수록 젊은 연령군에 비하여 사용정도가 미흡하며 상담 후 향상되기는 하나 그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고 전체적으로는 재상담의 요구에 비해 재상담에 응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적절한 상담횟수는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나 2 회 이상 시행되어야 하며 PIF 를 측정할 수 있는 turbuhaler trainer 와 같은 기구나 흡입제 샘플을 적절히 이용하고 재상담률을 높이기 위해 재상담 확인 전화나 상담 예약증 등의 특별한 상담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약사는 이러한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고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inhalation technique in geriatric patients and to find more proper educational method. 628 cases of medication counseling results for inhaler use were analyzed. Inhalation technique of four different inhalers was assessed, using 7 steps checklists, before and after teaching, and total score was calculated (score range 7~21). In geriatric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ld, n=234), the score of pre-discussion, 15.1±.1 was lower than 18.1±.7 of other age groups (P<0.05) and post-discussion was still lower than other age groups (17.8±.8 vs 19.8±.6, P<0.05) although the score had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The worst performed step was 6th step, inhalation of a drug, for all inhalers and especially the score was low in geriatric patients. On the first PIF (peak inspiratory flow) assessment with a turbuhaler trainer (visualized apparatus of peak inspiratory flow on inhalation), most patients had below 2LEDs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a PIF above 40L/min) inadequate to allow a good inhalation. After teaching, on the second assessment, more than 80% of patients had above 2LEDs but 59.1% of elderly patients, especially older than 70 years old. When inhaler usage was checked in the second education, the first post-education score of 19.4±.0 was reduced to 18.8±.5(n=56). So,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education will be considered more than twice. Special education method should be prepared such as inhaler sample, turbuhaler trainer use and check for follow-up .

      • Dose reconstruction from urinary biomarkers in a human panel exposed to bis (2-ethylhexyl) phthalate via inhalation

        최혜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08

        While oral consumption has been considered as the main exposure route of bis (2-ethylhexyl) phthalate (DEHP) for general public, dermal and inhalation cannot be ignored as alternative ones especially for consumer products. However, there were very limited information on quantitative contribution of exposure and metabolic profiles via inhalation after using consumer products.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1) quantitation of inhaled amounts of DEHP after use of a spray-type of consumer product, and 2) suggestion of fractional urinary excretion amounts of key metabolites of DEHP after inhalation exposure in humans. In order to do so, seven young male Korean volunteers were recruited for an inhalation experiment, where they were located at a closed office room before single exposure to deuterium-labelled DEHP (DEHP-d4) with a compressible spraying anti-fog solution of DEHP-d4 at 500 mg/kg. Personal air monitoring of DEHP-d4 at breathing-zone was made and total excreted urine samples for forty eight hours after exposure were collected to measure key metabolites of DEHP-d4. Most aerosols of DEHP-d4 was clear out in about five minutes, and its air concentration was 1.73 ± 0.42 mg/m3 for the first five minutes. The total cumulative excreted amount of the metabolites was 0.8 ± 0.5, 1.6 ± 0.4 and 3.3 ± 0.9 μg for mono-(2-ethyl-5-hydroxyhexyl) phthalate-d4 (MEHHP-d4), mono(2-ethyl-5-oxohexyl) phthalate-d4 (MEOHP-d4) and mono-(2-ethyl-5-carboxypentyl) phthalate-d4 (5cxMEPP-d4), respectively. The estimated inhaled amounts were 70.8 ± 17.3 μg (AM ± SD) based on an exposure model using the air measurements. MEHHP-d4, MEOHP-d4 and 5cxMEPP-d4 were determined as key metabolites of DEHP in urine as in other studies for exposure through ingestion; however, the relative production of metabolites among the analytes and fractional urinary excretion (Fue) relative to absorbed dose were different: 1.54 ± 0.74 %, 3.26 ± 1.49 % and 6.42 ± 3.42 % for MEHHP-d4, MEOHP-d4 and 5cxMEPP-d4, respectively, which was about 2~20 folds lower than those though ingestion of DEHP. While personal exposure amounts after single spraying action appeared about 3% of total released amounts of DEHP, inhalational exposure contributed to internal dose of DEHP, it would increase in multiple actions of spraying or continuous exposure. The fractional urinary excretion of DEHP metabolites indicate relatively low metabolism through exposure via inhalation, and dose estimation from urinary metabolites of DEHP with oral Fue could underestimate actual exposure as in occupational places where the main exposure route is inhalation.

      • 아로마 흡입이 명상상태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황춘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07

        본 연구는 안정작용으로 알려진 아로마 오일을 흡입법을 이용한 아로마 요법이 명상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뇌파 측정을 통하여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기간은 2006년 9월부터 10월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 거주하는 30대부터 50대까지의 명상수행자로 스님들과 일반 성인들 17명이 참가하였다. 참가자중 졸음이 의심되거나 신체의 움직임이 있었던 4명은 분석에서 제외되어 13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실험은 1차 측정으로 아로마 흡입 전 대조군과 2차 측정은 아로마 흡입 후 실험군으로 각 30분간 측정 하였다. 30분 중 처음 5분간은 눈을 감고 안정을 취한 휴식상태이며 나머지 25분간은 눈을 감고 명상상태로 연속측정 하였다. 연구도구로 아로마 오일은 라벤더. 프랑킨센스, 로즈우드 오일을 블랜딩하여 사용하였으며, 뇌파 측정기는 QEEG-8로 8채널 전산화 유선 뇌파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version 10.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실험자의 비교 검정은 Paired comparison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명상전 휴식상태에서 아로마 흡입 전과 후의 뇌파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아로마 흡입 후 알파파 또는 세타파가 증가할 것이다." 는 아로마 흡입 전 대조군 보다 아로마 흡입 후의 실험군에서 알파파의 유의한(p <0.05) 증가로 가설이 입증되었다. 한편 세타파는 아로마 흡입 후 유의한 (p >0.05)감소로 가설이 기각되었다. 2. "명상상태에서 아로마 흡입전과 후의 뇌파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아로마 흡입 후 알파파 또는 쎄타파는 증가할 것이다." 는 알파파는 명상 5분후(p<0.05), 명상 20분후(p<0.05)와 명상 25분후(p<0.05)로 유의한 증가로 가설이 입증되었다. 명상 10분후(p>0.05)와 15분후(p>0.05)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이 기각되었다. 또한 세타파는 명상 5분후(p>0.05)와 명상 10분후(p<0.05)는 감소로 가설이 기각되었다. 명상 15분후(p<0.05), 명상 20분후(p<0.05), 명상 25분후(p<0.05)로 유의한 증가로 가설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2가설은 알파파와 세타파는 부분 입증되었다. 3. "아로마 흡입 전의 휴식상태와 명상상태의 뇌파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휴식상태보다 명상상태 시 알파파 또는 세타파가 증가할 것이다." 에서 알파파는 명상 5분후(p>0.05), 명상 10분후(p>0.05), 명상 15분후(p>0.05), 명상 20분후(p>0.05), 명상 25분후(p>0.05)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가설은 기각 되었다. 세타파는 명상 5분후(p<0.05), 명상 10분후(p<0.05)는 유의한 증가로 가설이 입증되었다. 명상 15분후(p>0.05), 명상 20분후(p>0.05), 명상 25분후(p>0.05)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가설은 기각 되었다. 그러므로 3가설에서 알파파는 기각되었으며, 세타파는 부분 입증되었다. 4. "아로마 흡입 후의 휴식상태와 명상상태의 뇌파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휴식상태보다 명상상태 시 알파파 또는 세타파가 증가할 것이다." 에서 알파파는 명상 5분후(p>0.0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명상 10분후(p<0.05), 명상 15분후(p<0.05), 명상 20분후(p<0.05), 명상 25분후(p<0.05)로 유의한 감소로 가설은 기각 되었다. 세타파는 명상 5분후(p<0.05), 명상 10분후(p<0.05), 명상 15분후(p<0.05), 명상 20분후(p<0.05), 명상 25분후(p<0.05)로 유의한 차이로 증가 되었으므로 가설은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4가설에서 알파파는 기각되었으며, 세타파는 입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안정작용이 있는 아로마 흡입후 휴식상태에서 알파파의 증가와 명상상태에서 알파파와 세타파의 증가가 입증되었으므로 아로마 오일이 명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known to stabilize a mentality, on meditation state while measuring brainwaves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6. The subjects consisted of 17 meditators (Buddhist monks and secular adults) ages from the 30's to 50's in 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eong Provinces. Among participants, 4 of those dosing off and those with unnecessary physical movement were excluded in the middle of the study. The test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First, the data was measured activity of brainwaves among control group before aroma inhalation, and then among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halation. The 30 minute-study looked at those taking a rest with their eyes closed for the first 5 minutes, and then those on meditation for the rest 25 minutes. Blended aroma oil (Lavender, Frankincense, and Rosewood) was used as a test instrument. The machine used to make the measure of EEG was Q Electo Encephalo Graph-8 (QEEG-8). SPSS/PC (version 10.0) was used to analyze the test result, and paired comparison t-test for the comparing and concluding the test result. The outcome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Alpha wav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aroma inhalation at rest. But, the activity of theta waves decreased after inhalation. 2. Alpha waves activity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5, 20, and 25 minutes during meditation, compared to those at rest. Theta wav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15, 20, and 25 minutes during meditation. 3. Alpha waves of the participants at rest and those on meditation showed similar movements. But, theta wav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5, and 10 minutes of meditation. 4. Alpha waves showed less active movement after meditation, compared to those at rest. But, theta wav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meditation.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showed an increased activity level of alpha waves after the aroma inhalation and an increased activity of theta waves on meditation. Therefore, aroma inhalation is very effective during meditation.

      • Respiratory drug delivery of pirfenidone for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treatment

        강지현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907

        피르페니돈은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에 있어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유효 약효 성분이다. 그러나 피르페니돈은 광 과민증 및 위장 장해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피르페니돈의 경폐 투여는 더 낮은 유효 용량과 감소된 부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르페니돈의 건조 분말 흡입제와 연무형 흡입기(Soft Mist Inhaler)를 제조하고 최적화하였다. 또한 생체 내 약물동태학 연구에 의해 생체이용률을 확인했으며 블레오마이신으로 유도된 특발성 폐섬유증 백서(SD-rat) 모델을 사용하여 생체 내 약물동력학 실험을 수행하였다. 1장. 고에너지 비드 밀링 미립자를 이용한 흡입용 건조 분말 연구 이 연구에서 건조 분말 흡입제로 폐 경로를 통해 전달될 때 생체 이용률과 약물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습식 비드 밀링을 사용하여 피르페니돈 미세 입자를 제조하였다. 습식 비드 밀링은 피르페니돈의 높은 결정성과 응집력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건식 비드 밀링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또한, 생체 내 약물동태학 실험에서는 폐경로를 통한 피르페니돈 투여가 경구 투여보다 2배 이상 효율적임을 입증했다. 약물동태학 결과와 유사하게 피르페니돈을 경구 투여했을 때보다 폐 경로로 투여했을 때 치료 효과가 더 뛰어났다. 2장. 공동 분무 건조 미세 입자를 이용한 흡입용 건조 분말 연구 이 연구에서 안정화제와 함께 분무 건조하여 건조 분말 흡입제를 위한 흡입 가능한 피르피네돈 입자를 제조했다. 안정화제로 만니톨, L-류신, 염화나트륨을 사용했다. 안정화제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입자크기, 표면조성 등 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안정화제인 류신의 특성 때문에. 공동 분무 건조된 피르페니돈 및 류신 미립자(SD-PL1:1)는 가장 작은 크기와 가장 높은 에어로졸 성능을 보였다. 생체내 약물동태학 실험은 폐 경로를 통한 SD-PL1:1의 투여가 경구 투여보다 4배 더 생체이용율이 높다는 것을 입증했다. 약물동력학 결과와 유사하게 SD-PL1:1을 폐 경로로 투여했을 때 경구 투여보다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효과가 더 뛰어났다. 3장. 공융 혼합물의 나노에멀젼을 이용한 소프트 미스트 흡입제 연구 본 연구에서 피르페니돈의 공융혼합물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공융혼합물을 이용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SMI로서의 폐 전달을 통해 나노에멀젼의 생체이용률과 약효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피르페니돈의 폐 전달은 생체 내 약물동태학, 약물동력학 및 독성학 연구를 평가했다. 피르페니돈과 아세틸시스테인의 공융혼합물은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여 공융점을 식별하였다. 퓨리에 변환-적외선 분광법 및 핵자기공명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공융혼합물 형성의 기본 메커니즘은 수소 결합에 의한 것으로 확인했다. 또한 피르페니돈과 아세틸시스테인 사이의 수소 결합에 대한 기전을 모식도로 제안했다. 나노 크기의 액적이 분산된 공융혼합물 나노에멀젼은 공융혼합물과 증류수를 비율별로 혼합하여 최적화하였다. 백서(SD-rat)의 광독성 연구를 통해 피르페니돈의 폐 경로 투여가 독성 위험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생체내 약물동태학 연구를 통해 폐 투여 경로가 경구 투여 경로보다 우수하고 공융혼합물 나노에멀젼 제형이 피르페니돈 수용액보다 생체이용률 및 폐 분포 측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피르페니돈의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효과는 폐 기능 평가, 효소면역분석법(ELISA), 조직학 및 마이크로 전산화 단층촬영을 포함한 생체 내 약물동력학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약물동력학 연구의 결과는 약물동태학 연구의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폐경로를 통한 투여가 경구 투여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상대 생체 이용률은 경구 투여 군보다 모든 흡입 투여 군에서 더 높았다. 블레오마이신으로 유도된 특발성 폐섬유증 백서(SD-rat) 모델에서 모든 흡입 투여 그룹은 경구 투여 그룹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폐 기능, 효소면역법, 및 조직학 평가에 의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폐 경로를 통한 피르페니돈 투여가 경구 투여보다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Pirfenidone (PRF) is the first FDA-approved API in the treatment o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However, PRF has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photophobia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 Inhalation of PRF can be expected with a lower effective dose and reduced side effects. The dry powder inhaler (DPI) and soft mist inhaler (SMI) of PRF were prepared and optimized for inhalation. The bioavailability was confirmed by in vivo pharmacokinetics (PK) study. In addition, in vivo pharmacodynamics (P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bleomycin-induced IPF rat model. Chapter I. High energy bead milled microparticles for dry powder inhalation In this study, PRF was manufactured microparticles using wet bead milling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and drug efficacy when delivered through the pulmonary route as DPI. Wet bead milling was more efficient than dry bead milling due to the high crystallinity and cohesiveness of the PRF. In addition, in vivo PK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administration of PRF through the pulmonary route was more than twice as efficient as when it was administered through the oral route. Similar to the PK results, the therapeutic effect was better when PRF was administered via the pulmonary route compared to the oral route. Chapter II. Co-spray-dried microparticles for dry powder inhalation In this study, PRF was prepared inhalable particles for dry powder inhalation using co-spray dry with different stabilizers. Mannitol, L-leucine (Leu), and NaCl were used as a stabilizer. The kinds and ratio of stabilizers affect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rticles was focused such as particle size and surface composition. Because of the surface enrichment properties of Leu, the most effective stabilizer. The co-spray dried PRF and Leu microparticle (SD-PL1:1) have the smallest size and highest aerosol performance. In vivo PK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administration of SD-PL1:1 through the pulmonary route was 4 times more than the Oral route. Similar to the PK results, the therapeutic effect was better when SD-PL1:1 was administered via the pulmonary route compared to the oral route. Chapter III. Nanoemulsion of eutectic mixture for soft mist inhalation In this study, the eutectic mixture (EM) of PRF was prepared and evaluated. Nanoemulsions using EM was manufactured and attempted to improve their bioavailability and drug efficacy through pulmonary delivery as an SMI. The pulmonary delivery of PRF was evaluated in vivo PK, PD, and toxicity studies were conducted. EM of PRF and N-acetylcysteine (NAC) was discovered, mixed them in predetermined ratios, and characterized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to identify eutectic points. Based on the FT-IR and 1H-NMR results, the mechanism underlying EM formation was considered to involve hydrogen bonding. A scheme for hydrogen bonding between PRF and NAC was proposed. The EM emulsion in which nano-sized droplets were dispersed was optimized by mixing the EM and DW in a ratio. Through phototoxicity studies of SD rats, the pulmonary route of administration of PRF wa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toxicity risk. Through the in vivo PK study, the pulmonary route of administration was superior to the oral route, and the EM nanoemulsion formulation was superior to the PRF solution formulation in terms of bioavailability and lung distribution. Finally, the IPF therapeutic effect of PRF could be confirmed through in vivo PD studies, including lung function assessment, ELISA, histology, and micro-CT. The results of the PD stud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PK study, and administration via the pulmonary route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oral route. Relative bioavailability was higher in all inhaled groups than in the oral group. In the bleomycin-induced IPF rat model, all inhaled PRF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herapeutic effect than the oral groups. This was confirmed by lung function, histology assessm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ytokines using ELISA. In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PRF via the pulmonary route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oral route in IPF treatment.

      •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urface modified microparticle for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of dry powder inhalation

        한창수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893

        Dry powder inhalations (DPIs) have attracted great interest in pharmaceutical dosage form because of their environmental friendliness, portability, and physicochemical stability related to pressurized metered-dose inhalers and nebulizers. Sufficient drug deposition of DPIs in the deep lung is required to enhance therapeutic activity. Surface modification of microparticles could increase the drug deposition in the deep lung by improving aerosolization and aerodynamic performance. In this study, surface roughness prepared by O/W emulsion-solvent evaporation and a 3-combo spray drying method was introduced to increase inhalation efficiency. This study aims to prepare the surface modified microparticles and confirm the effect of roughness on the inhalation efficiency. (Part1) Dimple surface microspheres (MSs) with budesonide and PLGA were prepared using O/W emulsion-solvent evaporation by controlling the stirring rate. Dimple surface MSs showed a higher fine particle fraction value (11.0 ± 1.6 %) compared to smooth surface MSs (5.6 ± 0.8%) in Andersen cascade impactor (ACI). PIV results showed that dimple surface MSs had better aerosolization, about 20% decreased x-axial velocity, and variable angle, which could improve aerodynamic performance. Furthermore, a dimple surface could cause movement away from the bronchial surface, which helps to travel into the deep lung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urface roughness on microparticles like dimples could improve aerosolization and lung deposition. (Part 2) Corrugated surface microparticles with levofloxacin and chitosan were prepared by the 3-combo spray drying method. Weight ratio and kinds of organic acid and molecular weight of organic acid and chitosan affected the formation of roughness. HMP175 L20 and LMP175 L20, which were prepared with 175 mmol propionic acid solution, had been corrugated than HMF175 L20 and LMP175 L20, which were prepared with 175 mmol formic acid solution. Rapid dissolution profiles of drugs in prepared formulations were observed with 30 min by Franz cell.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corrugated microparticl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CI results. FPF (<4.4 μm) value of HMP175 L20 was 41.3 ± 3.9% compared to 25.6 ± 7.7% of HMF175 L20. Corrugated microparticles also showed better aerosolization, decreased x-axial velocity, and variable angle. Rapid dissolution of drug form formulations was observed in-vivo. High LEV concentration in lung and lung fluid was archived with low dose drug. Locally high concertation of antibiotics could have a therapeutic effect on pulmonary infections without systemic side effects. Corrugated microparticles could be used to microcarrier for dry powder inhalation. Surface modification in the polymer-based formulation was prepared by controlling the evaporation rate and improved the inhalation efficiency of DPIs. This study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a microcarrier that can increase drug deposition and have rapid dissolution to the deep lung.

      • Characteristics of Microplastic Occurrence originated from Facial Masks and its Inhalation Exposure Assessment

        In Woo Choi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892

        플라스틱은 저렴한 가격과 공정의 용이성으로 인해 산업혁명 이후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되어왔다.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최근 미세플라스틱이라는 새로운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연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mm 이하인 플라스틱 입자로써, 플라스틱 제품의 마모나 풍화로 인해 환경계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 침투하여 건강에 대한 악영향을 일으킬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인체 건강 영향에 관련한 연구와 더불어 환경계 및 배출원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 COVID-19 팬대믹에 따라 일회성 물품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서,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마스크와 같이 의료용 물품에 대해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마스크의 경우 공기를 매개로 한 감염원에 대한 일차적인 예방으로써, 정책적인 차원에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해왔다. 이러한 마스크는 폴리머 성분의 미세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스크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여러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마스크의 경우 호흡기에 가깝게 위치하여,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이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KF 등급의 마스크에 대해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호흡 노출 평가를 통해 위험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스크의 착용 과정을 모사한 실험 방법을 제시하여, 국내 마스크 제품 10개에 대해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의 경우 0.14 ~ 1.30 particles/m3으로 관찰되었다. KF-80 마스크에 대해서 가장 높은 발생량이 확인이 되었으며, KF-AD 마스크에 대해 낮은 발생량이 확인되었다. 특히, 실험 환경 내 공기 중 부유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측정한 결과, 0.11 particles/m3으로 낮게 관찰됨에 따라 마스크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스크 제품에 따른 면적 고려 시,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은 1.03 ~ 12.50 개/m3로 예상되었다. 해당 분석 시, 등급 외의 일회용 마스크 제품에 대해서 발생량이 가장 높게 예상되었으며, KF-94 제품에 대해 가장 낮은 발생량이 예상되었다.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 (PET)의 폴리머 성분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모두 마스크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해당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기원이 대상 마스크에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ET의 경우 포장재 또는 공정에서 다량 사용되는 폴리머로써, 해당 경로를 통해 발생하였다고도 판단된다. 본 실험은 분광분석법인 FT-IR을 사용하였으며, 해당 검출 한도가 20 μm이기에 그 이하에 대한 확인은 진행하지 못하였다. 허나,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감소할수록 그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기에, 호흡기에 대한 노출에서 유해한 크기를 가지는 입자의 발생량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플라스틱의 호흡 노출 평가는 연령 및 성별 집단에 대해 진행되었다. 실험에서 도출되어진 마스크 형태별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에 대해 인구 집단별 호흡률, 평균 체중, 마스크 일 사용 시간을 활용하여 계산을 진행하였다. 특히, 마스크 일 사용 시간의 경우 선행 연구에서 진행된 국내 인구 집단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성인의 경우 마스크에 따라 단위 체중당 하루 평균 0.125 ~ 0.379개가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앞서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이 가장 높게 예상되었던 일회용 마스크에 대해 예상노출량이 가장 높게 예측되었으며, 호흡률이 높은 남성 및 30대에서 노출량이 높게 예상되었다. 영유아에 대한 노출량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전체 영유아에 대해 마스크 종류에 따라 하루 평균 체중당 0.107 ~ 1.213 개가 노출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출량이 높게 예상된 10 ~ 12세의 경우 일회용 마스크 사용 시 최대 40.679 개/일*kg으로 높은 노출량이 예상되었다. 이는 영유아에 대한 흡입 독성이 성인에 비해 민감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성장기에 세포나 조직에 영향을 줄 수도 있기에 더욱 우려되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마스크 제품에 대해 사용 과정에서의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을 추적하고, 이에 따른 호흡 노출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하였다. 향후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독성과 독성 참고치 등 위해성에 필요한 독성 지표에 관련한 연구들이 함께 이루어지게 되어 흡입에 따른 인체 위해성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Plastic has been widely used globally in various field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its low cost and ease of processing.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research interest in a new environmental pollutant called microplastics associated with these plastic products. Microplastics are plastic particles with a size of 5mm or less,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rough the wear and weathering of plastic products. Concerns have arisen about the potential penetration of these microplastics into the body, causing adverse health effects. Studies related to the impact on human health, as well as research on the environmental system and sources of discharge, are being conducted. With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disposable item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s been a surge in plastic usage. The demand for medical supplies, such as masks, has particularly skyrocketed. Masks, recommended globally as a primary prevention measure against airborne infectious agents, have been widely promoted by many countries as a policy response. These masks are composed of polymer-based microfibers, and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potential generation of microplastics from masks. In particular, masks are positioned close to the respiratory system, posing a risk of inhaled microplastics being exposed to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mount of microplastic generation from domestically used KF-grade masks in South Korea and assess the associated risk through respiratory exposure evalu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experimental method simulating the process of wearing masks and evaluated the amount of microplastic generation for 10 domestic mask products. Microplastic that was observed from the experiment ranged between 0.14 ~ 1.30 particles/m3. The highest generation was observed for KF-80 masks, while KF-AD masks showed lower generation. Particularly,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airborne microplastics in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low, at 0.11 particles/m3, confirming the generation of microplastics from the mask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imension of each facial mask product, the expected microplastic occurrence showed in a result of 1.027 ~ 12.500 particles/product*m3. By this result, it showed that single used facial masks tend to generate the highest amount of microplastic, while KF-94 showed the lowest. The detected microplastics were primarily composed of polymer components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ll of which are known to be major constituents of masks, assuming the origin of the detected microplastics in the target masks. Additionally, PET is commonly used as a polymer in packaging materials or processes, suggesting its generation through these pathways. This experiment utilize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due to the detection limit being 20 μm, confirmation for particles smaller than this size was not possible. However, as the amount of generated microplastics tended to increase with decreasing size, it is suggested that the quantity of particles with harmful sizes for respiratory exposure may be higher. The respiratory exposure assessment of microplastics was conducted for different age and gender groups. Calc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population-specific respiratory rates, average weight, and mask usage duration based on the microplastic generation for each mask type derived from the experiments. In particular, the mask usage duration was based on survey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conducted on the domestic population. For adults, the exposure was estimated to be between 0.125 ~ 0.379 particles/day*kg, depending on the mask type. Higher exposure levels were observed for single used facial masks, which were not regulated by the KF grading. Additionally, higher exposure levels were noted for males with higher respiratory rates and individuals in their 30s. In contrast, exposure levels for minors showed relatively higher compared to adults. The estimated daily exposure per unit weight for children ranged between 0.107 ~ 1.213 particles/day*kg, with the age group of 10 to 12 years showing the highest estimated exposure dose. It is a concerning aspect as infants may be more sensitive to inhalation toxicity compared to adults, and exposure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could potentially affect cells or tissues. This study aimed to track the generation of microplastics during the use of domestic mask products and proactively address the associated risks of respiratory exposure. In the future, research on toxicity indicators related to human toxicity of microplastics and toxicity reference values will be conducted. These studies will be carried out in conjunction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assessment of human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inha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