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5a 수용체 작용제인 Co1 펩타이드의 보체 C5a 수용체 표적화를 통한 대식세포에서의 훈련 면역 조절

        심은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Immune memory was a defining hallmark of the adaptive immune system, but it is also recently suggested in the innate immune system. This phenomenon has been termed ‘trained immunity’. Trained immunity is a concept of innate immune memory and means enhanced responsiveness to subsequent stimulation. For instance, an infectious agent or β-glucan induces epigenetic and metabolic reprogramming in innate immune cells, which leads to enhanced and sustained immune responses against secondary infections. The complement system is one of the major parts of the innate immune system, but its role in trained immunity has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Our previous study reported C5a receptor (C5aR) agonist, Co1 peptide (SFHQLPARSPLP), and its function as a mucosal vaccine adjuvant. Thus,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Co1 peptide might induce trained immunity through C5aR in macrophages. In this study, Co1 peptide showed binding activity to C5aR expressed on macrophages through flow cytometry analysis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In RAW 264.7 macrophages, C5aR mediated Co1 signaling induced activation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pathway correlating with metabolic alteration in trained immunity and expression of IL-1β which has been proposed to a crucial role in trained immunity. In vivo mouse model, C5aR-Co1 peptide axis induced the trained immunity in peritoneal macrophages, which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expression of surface molecules on trained peritoneal macrophages and measuring the level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ollectively, we identified the unknown role of C5aR on macrophage trained immunity using Co1 peptide and suggest that Co1 peptide can be used as a trained immunity-based adjuvant. 면역 기억은 후천성 면역계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에 선천성 면역계에서도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 현상을 ‘훈련 면역’이라고 한다. 훈련 면역은 선천성 면역 기억의 개념으로 재감염에 대해 더 신속하고 강화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감염원 또는 베타-글루칸에 의해 자극받은 선천 면역 세포에서는 대사 및 후성 유전학적 리프로그래밍이 일어나고 2차 감염에 대해 강화되고 지속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보체계는 선천성 면역계에서 일어나는 주요 반응 중 하나이지만, 훈련 면역과 관련된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전 연구에서 Co1 펩타이드(SFHQLPARSPLP)는 C5a 수용체(C5aR)의 또 다른 작용제이고 점막 백신 보조제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Co1 펩타이드가 대식세포에서 C5aR을 통해 훈련 면역을 유도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먼저, 유세포 분석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해 대식세포가 발현하는 C5aR에 Co1 펩타이드의 결합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RAW 264.7 대식세포에서 Co1 펩타이드와 C5aR의 상호작용은 훈련 면역의 대사 변화를 매개하는 mTOR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신호 전달을 유도했고 또한, 훈련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IL-1β의 생성을 유도했다. 생체 내 마우스 모델에서는 Co1 펩타이드에 의해 훈련된 복막 대식세포에서 표면 분자의 변화를 분석하고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수준을 측정하여 Co1-C5aR 신호 전달이 복막 대식세포에서 훈련 면역을 유도했음을 확인했다. 종합적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Co1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대식세포에서 일어나는 훈련 면역에 대한 C5aR의 알려지지 않은 역할을 확인하고 Co1 펩타이드가 훈련 면역 기반 백신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다.

      • Innate immunity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김성숙 경성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42

        In higher organisms, immunity can be broadly characterized into adaptive and innate immunity. Adaptive immunity is mediated by clonally distributed T and B lymphocytes which provide immunological specificity and memory. Wheareas innate immunity is mediated by the action of other cells such as macrophages and neutrophils, and traditionally has been chracterized as nonspecific. However, recent findings have shown that innate immunity has some capacity for specific recognition.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a human homologue of the Drosophila protein, Toll, and Toll-like receptor in mammals. These Toll-like receptor proteins appear to present a conserved family of innate immune recognition receptors.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oll and Toll-like receptor(TLR), and we will illustrate the links between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 Molecular Insight into Plant Innate Immunity : 식물 선천성 면역반응의 심화 연구

        이보영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941

        Generally the immunity consisted of innate immunity and adaptive immunity, the latter is considered as a special feature of animals. Innate immunity is an inborn immunity which is inherited, and existed both in animal and in plants. Although plants have only innate immunity, are non-motile and do not have specialized immune cells, plants effectively defend themselves from surrounding pathogens through multiple layered innate immune systems. Aim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molecular basis of plant innate immunity which renders plants endure and survive in the hostile environment. In the first chapter, it will be given general description of known layers of plant innate immune systems with reviewing published literatures. Plant innate immunity consisted of MAMP triggered immunity (MTI) which is begun with recognizing common structures of microbes and effector triggered immunity (ETI) which is specialized immunity starts with recognizing certain effector proteins secreted by pathogens through type III secretion systems (TTSS). In addition,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as a result of ETI or induced systemic resistance triggered by non-pathogenic microbes, and defense priming associated with induced resistance will be discussed. The following chapter II contains the first report describing bacterial RNAs among diverse bacterial genetic materials could be a novel MAMP to increase plant immune response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Plants recognize non-self structure that is general cues from invading pathogens referred to as microbe 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MAMPs) such as chitin from fungi, flagellin and elongation factor of bacteria. Plant immunity triggered by the MAMP perception is addressed as MAMP triggered immunity which primes plant defense responses to subsequence attack of pathogens. The basic structures of MAMPs, MAMP receptors and the signaling process of MAMP perception are conserved both in animal and plants. Nucleic acid-MAMPs such as bacterial CpG DNA, bacterial mRNAs, 16S ribosomal RNA were reported while unmethylated plasmid DNA from bacteria was only reported determinant inducing plant immunity. The pre-treatment of RNAs from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DC3000 enhanced resistance to subsequent infection of the same bacteria in Arabidopsis thaliana. In addition, bacterial RNAs application on leaf disks induced superoxide anion production, callose deposition, MAPK cascade activation, and defense gene expression. The ribosomal RNA which is the most abundant RNA species from P. syringae pv. tomato DC3000 also could mount most of plant defense response as total bacterial RNAs led to the bacterial rRNA might be the determinant triggering plant immune responses and could be a novel nucleic acid MAMP in plant. In the chapter III, it will be provided new evidence that aphid phloem sucking herbivore increased plant systemic immunity against the biotrophic bacterial pathogen Xanthomonas axonopodis in chili pepper (Capsicum anuum L.). As one of the wide distributed plant pathogen, herbivore elicits plant defense responses in diverse aspects. Conversely, pre-challenge with the compatible pathogen X. axonopodis on pepper leaves significantly reduced aphid numbers. Interestingly, the bacterial populations of the beneficial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Bacillus subtilis GB03 was higher than control, the saprophyte Pseudomonas fluorescens Pf-5 was same as control, and the pathogenic Ralstonia solanacearum SL1931 was lower than control at 7 days after aphid infestation. This study provides a new understanding of tri-trophic (insect-plant-beneficial root bacteria) interactions and their role in the induction of defence mechanisms. In the last chapter contains that a long chain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emitted from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E681 could promote plant growth and prime plant defense in Arabidopsis. A form of plant induced resistance,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 triggered by non-pathogenic microbes especially PGPRs. VOCs from B. subtilis GB03 and B. amyloliquefaciens IN937a were demonstrated by Ryu and coworkers as one of determinants that promoted growth of Arabidopsis and also elicited ISR against necrotrophic pathogen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a. In this study,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whether species specific VOCs from a PGPR strain P. polymyxa strain E681. VOC emissions released from E681 primed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the salicylic acid, jasmonic acid, and ethylene signaling marker genes PR1, ChiB, and VSP2 respectively. In addition, tridecane, a C13 hydrocarbon, was found to be released exclusively from strain E681 but not from strain GB03 which can induce PR1 and VSP2 genes. These result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existence of VOC signal molecule produced by P. polymyxa for plant growth promotion and P. polymyxa specific long-chain VOC tridecane that serves as a bacterial determinant of induced resistance in plants. Collectively,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about layered mechanisms of plant innate immunity, proposed bacterial ribosomal RNA as a novel nucleic acid MAMP in plant and provided new evidence of multi-trophic interactions and their role in the induction of plant defence mechanism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long-chain VOC tridecane which was specific VOC from P. polymyxa is a bacterial determinant for plant induced resistance. 일반적으로 면역계는 선천성면역계(innate immunity)와 후천성면역계(acquired immunity)로 구분 할 수 있는데, 후천성면역계 동물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여겨지지만, 선천성면역계의 경우 최근 동∙식물에 공통적으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후천성면역계외에도 식물은 운동성이 없고, 면역을 담당하는 특화된 기관이나 면역세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외부로부터의 병원균의 침입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다양한 면역반응들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식물의 선천성면역계는 세균의 진화적으로 보존된 특징적 구조인 MAMP (microbe-associated molecular pattern)를 인식하는 것으로 시작되는 MAMP-triggered immunity (MTI), 세균이 type III secretion system을 통해 분비하는 effector 단백질을 인식하는 것으로 비롯 되는 effector-triggered immunity (ETI), ETI의 결과로 유도되는 전신획득저항성, 비 병원성 세균에 의한 전신유도저항성 그리고 유도저항성의 결과 형성되는 저항성의 priming등을 포함한다. 특히 priming은 저항성 반응을 활성화 시키는데 필요한 능력이 증가된 상태 즉 병원균의 감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태가 된 것을 말한다. 따라서 priming상태에 있는 식물은 병원균의 감염에 대해 더 빠르고 강한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식물이 불리한 환경을 견뎌내고 생존할 수 있게 하는 선천적 면역 체계를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첫 번째 장에서는 이미 보고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식물의 다양한 선천성면역계에 관해 논의 하였다. 제 2장 에서는 식물의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세균 RNA를 소개하며, 세균 RNA가 새로운 식물 MAMP 의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식물의 MAMP로는 곰팡이의 키틴, 세균의 lipopolysaccharide, 편모(flagella)단백질, 세균의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EF-Tu) 등이 있다. MAMP의 종류와 구조, 이를 인식하는 수용체의 구조 그리고 MAMP 인식 후의 정보전달 과정은 동물과 식물이 매우 유사한데, 동물에서는 앞서 언급한 식물의 MAMP이외에도 세균의 CpG DNA, mRNA, 16S 리보솜 RNA 등의 핵산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MAMP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식물에서는 아직 핵산으로 이루어진 MAMP가 보고된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균의 핵산 물질 중에서도 RNA가 동물에서와 유사하게 식물에서 MAMP로서 인식되고 면역반응을 유도 하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식물의 새로운 핵산 MAMP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애기장대에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DC3000에서 분리한 전체 RNA를 잎에주사(infiltration)한 5일 뒤 동일한 세균을 감염 시켰을 때 식물의 저항성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했다. 또한 애기장대의 잎에 세균 RNA를 처리 했을 때, 과산화물 음이온 (superoxide anion)의 생산, 칼로스축적 (callose deposition),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 또는 저항성 관련 유전자인 PR1, VSP1, ChiB, ERF1의 발현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세균의 전체 RNA의 대부분을 차지 하는 리보솜 RNA를 전처리 하면 세균 전체 RNA를 처리 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식물의 저항성 반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전체 세균 RNA중에서도 세균의 리보솜 RNA는 식물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결정요인이며, 식물이 인식하는 새로운 MAMP의 후보 물질로 여겨진다. 제 3장은 고추(Capsicum anuum L.)를 초식성 곤충인 진딧물 (aphid)이 식물의 전신 면역반응을 일으켜 반활물기생성(semi-biotrophic)세균인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진딧물은 흡즙성 해충의 하나로 고추에 감염 시켰을 경우 CaPR9과 CaLOX1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이 priming 되었다. 한편, X. axonopodis pv. vesicatoria 를 고추 엽면에 먼저 감염 후 진딧물 처리시 개체수가 대조구에 비해 2/3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진딧물을 감염 시킨 7일 뒤에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인 그람 양성 Bacillus subtilis GB03의 세균수가 대조군에 비해 5.64배 증가하였고, 이에 반해 Pseudomonas fluorescens Pf-5의 세균수는 대조군과 비슷하였으며 병원균인 Ralstonia solanacearum SL1931의 세균수는 대조군에 비해 17%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진딧물의 감염은 식물의 세균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 하며, 진딧물에 감염된 식물은 병원균의 감염에 대응하기에 유리하도록 식물에 유용한 근권세균의 밀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곤충-식물-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의 다자간 상호작용을 이해 하는데 필요한 분자생물학적인 기초를 제공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PGPR인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E681 이 생산하는 volatile organic compound(VOC)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며 동시에 식물의 저항성을 priming 한다는 내용을 제시했다. 식물의 유도저항성의 일환인 전신유도저항성(ISR)은 PGPR에 의해 유도 된다. B. subtilis GB03와 B. amyloliquefaciens IN937a가 생산 하는 휘발성 물질이 애기장대의 생장을 촉진하며, necrotrophic 병원균인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a에 대한 식물의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P. polymyxa strain E681이 생산하는 long chain VOC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며, 위에서 언급한 B. subtilis GB03 와 B. amyloliquefaciens

      • Hormonal Regulation in the Pattern Triggered Immunity-mediated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in the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Brassica napus Pathosystem

        엠디 알 마문 전남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941

        Phytohormones was found to regulate the metabolic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biotic stress in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Xcc)-Brassica napus pathosystem . Still, the phytohormonal regulation in pattern triggered immunity (PTI) and effector triggered immunity/susceptibility (ETI/ETS) in relation with immune related genes is unknow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phytohormonal regulation in cytoplasmic kinases?and resistance gene-signaling for activation of PTI and ETI in Brassica napusto black rot disease, caused by a destructive pathogen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Xcc), which is responsible for limiting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cruciferous vegetables. In chapter 1, Xcc has found in hemibiotrophic nature as cause the asymptomatic infection in early biotrophic phase (2 DPI) and turn into necrotrophic phase with V-shaped-visual necrosis to induce the necrosis at the later necrotrophic phase (7-14 DPI). The necrotrophic phase (7-14 DPI) was initiated by the elevated H2O2 concentration, darkest spots in O2 .? localization along with Ca2+ channel-related genes (Ca2+ ATPase) along with elevated cytokinin (CK) level . The opposite results were observed at early biotrophic phase (2 DPI). In chapter 2, the aim of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significance of Xcc-induced phytohormones- [especially, abscisic acid; (ABA)] and exogenous ABA-induced stomatal conductance in relation with immune related genes. Xcc-infection and ABA-pretreatment were applied in Brassica napus (cv. Mosa). In this time course study, PTI-related cytoplasmic kinase BIK1 was induced in asymptomatic early phase (2 DPI) along with increased jasmonic acid (JA) level, whereas at later phase of Xcc-infection (7-15 DPI), elevated level of ABA was found along with highly expressed R-gene (TAO1) resulted in slow anion channel-1 (SLAC1)- mediated stomatal closed through calcium dependent protein kinase 5 (CDPK5) along with increment of cytosolic Ca2+. Exogenous ABA-application induced the expression of ABA- receptor (PYR1) resulted in increased endogenous ABA level leading to confirming SLAC1 mediated stomatal closer by inhibiting JA signaling with moderate cytosolic Ca2+. The aim of in ‘chapter 3’ was to characterize the hormonal regulations in the transition between biotrophic and necrotrophic phase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Xcc) infection. The length of the V-shaped lesion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rogression of infection along with the increasing of H2O2 accumulation and the expression of NADPHoxidase. The early biotrophic phase (2DPI) to Xcc-infection was found with reduced levels of salicylic acid (SA), ABA, whereas the opposite results were found in the necrotrophic phase transition. In chapter 4, the aim was to understand the R-genes mediated Ca2+ signaling and phytohormones in ETI and disease susceptibility (ETS), Xcc was inoculated in resistance and susceptible cultivars (cultivar Capitol and cultivar Mosa) of B. napus. The R-gene (CC-NBLRR-type, ZAR1) was found to initiate SA-mediated JA signaling through calmodulin (CaM) and calcium-sensing receptor (CAS) for ETI in cv. Capitol, whereas (TIR-NB-LRR)-type R-gene, TAO1, was involved in higher accumulation of SA and significantly lower JA level along with visual symptoms at 14 DPI in cv. Mosa. Calcium channel-related Ca2+ ATPase, CDPK5 and calcium-sensing protein 60g (CBP60g) were also found to be highly expressed in disease development (ETS). The aim of this study (in chapter 5) was to identify the hormonal interaction with proline metabolism in regulation of the transition between PTI and ETS. In early phase (3DPI), highly expressed BIK1 and moderate level of salicylic acid (SA) accumulation-initiated activation of ZAR1 paused the additional proline accumulation with moderate level of SA and JA in later phase in resistance cultivar (cv, Capitol). Whereases early elevated JA level confirmed upregulation of TAO1 was consistent with an increase in SA and abscisic acid (ABA) levels and resulted in an antagonistic depression of JA, which led to a proline accumulation along with significant disease susceptibility (ETS). Taken together, among the phytohormones, SA and JA synergism involves in plant resistance [pattern/effector triggered immunity (PTI/ETI)], whereas SA and ABA interaction was found to prohibited JA signaling to induce the disease development [effector triggered susceptibility (ETS)]. 식물호르몬은 유채와 병원성 박테리아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Xcc)의 병체계에서 대사적 반응 및 생리학적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면역 관련 유전자와 관련된 패턴 유발 면역 (pattern triggered immunity, PTI)과 효과인자 유발 면역(effector triggered immunity/susceptibility, ETI/ETS)의 식물 호르몬 조절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물의 품질과 생산성을 제한하는 병원체 Xcc의 접종에 의해 유발된 검은썩음병에 대한 유채의 면역 반응 PTI와 ETI의 활성화를 위한 세포질 키나아제와 저항성 유전자 신호전달에 있어서 식물호르몬 조절을 특성화 하기 위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Xcc가 병원균 접종 초기 (2일)에 biotrophic (생물영양) 단계에서 무증상 감염을 일으키고 접종 후기 (7-14일)에 necrotrophic (괴사영양) 단계에 V자형 괴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아 hemibiotrophic (반생물영양)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Necrotrophic 단계(7-14일)는 Ca2+ 채널과 관련된 유전자 (Ca2+ ATPase) 및 사이토카인의 증가와 함께 활성산조종인 O2 -와 H2O2의 증가에 의해 시작되었다. 반대되는 결과는 초기 biotrophic 단계 (2일)에서 발견되었다. 제2장에서는 면역 유전자와 관련된 Xcc에 의해 유도된 식물호르몬 [특히, 앱시스산 (ABA)]과 외인성 ABA공급에 의해 유도된 기공 전도도의 중요성을 특성화 하기 위해서 유채 품종 Mosa에 Xcc 접종 및 ABA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이 실험 기간동안, PTI와 관련된 세포질 키나아제 BIK1은 자스몬산 (JA) 농도의 증가와 함께 무증상 초기 단계 (2일)에서 유도된 반면, Xcc 감염의 후기 단계(7-14일)에서 고도로 발현된 R-유전자 (TAO1)와 함께 발견된 ABA의 증가는 세포질의 Ca2+ 증가와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 5 (CDPK5) 발현 증가를 통해 slow anion channel-1 (SLAC1) 매개 기공 폐쇄를 초래했다. 외인성 ABA 공급은 ABA-receptor (PYR1)의 발현을 유도하여 내인성 ABA 수준을 증가시켜 세포질 Ca2+ 조절에 의한 JA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SLAC1 매개 기공 폐쇄를 일으켰다. 제3장에서는 Xcc 접종에 의한 biotrophic과 necrotrophic 단계 사이의 전환에서 호르몬 조절을 특성화 하였다. V자형 병변 길이는 H2O2축적과 NADPH-oxidase의 발현의 증가와 함께 감염이 진행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Xcc 감염에 대한 초기 biotrophic 단계 (2일)에서는 살리실산 (SA)와 ABA의 감소가 나타난 반면 necrotrophic 단계에서 반대되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제4장에서는 ETI와 질병감수성(ETS)에서 R-유전자 매개 칼슘 신호전달 및 식물호르몬을 이해하기 위해서, 유채의 병 저항성 품종인 Capitol과 감수성 품종인 Mosa에 Xcc를 접종하였다. CC-NB-LRR-type R-유전자인 ZAR1는 저항성 품종인 Capitol에서 ETI에 대한 calmodulin (CaM)과 calcium-sensing receptor (CAS)를 통한 SA 매개 JA 신호전달 개시와 관련이 있는 반면, TIR-NB-LRR-type R-유전자 TAO1은 감수성 품종인 Mosa에서 14일째에 시각적 병증과 함께 SA의 더 높은 축적 및 현저히 낮은 JA의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Ca2+ 채널과 관련된 Ca2+ ATPase, CDPK5, calcium-sensing protein 60g (CBP60g)도 질병감수성 (ETS)에서 높게 발현되었다. 제5장에서는 PTI와 ETS 사이의 전환 조절에 있어서 프롤린 대사와 호르몬 상호작용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저항성 품종 (Capitol)의 Xcc 감염 초기단계 (3일)에서 고도로 높게 발현된 BIK1과 적당한 수준의 SA 축적에 의해 개시된 ZAR1의 활성은 후기 단계에서 적당한 수준의 SA 및 JA와 더불어 추가적인 프롤린 축적을 일시적으로 중지했다. 반면에, 감수성 품종 (Mosa)에서 Xcc 감염 초기 상승된 JA 수준은 TAO1를 상향 조절했으며 이는 SA와 ABA 수준의 증가와 일치하였고 결과적으로 JA의 길항성 억제를 초래하여 현저한 질병 감수성 (ETS)과 함께 프롤린 축적을 초래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식물호르몬 중에서 SA와 JA의 상승작용은 식물 저항성 [패턴 유발 면역 /효과인자 유발 면역 (PTI/ETI)]과 관련이 있는 반면, SA와 ABA 상호 작용은 질병 발병을 유도하는 (효과인자 유발 감수성, ETS) JA 신호전달의 억제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 Combined immunogenic cell death and phagocytosis enhancement awakens intrinsic immunity against cancer : immunogenic clearance for cancer immunotherapy

        남기훈 KU-KIST Graduate School of Converging Science and 2019 국내박사

        RANK : 2940

        A growing apprec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une system and tumorigenesi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immunotherapy aimed at ‘re-editing’ the immune system to kill cancer cells. Activation of T-cell immune response is critical for the therapeutic efficacy of cancer immunotherapy. Current immunotherapies including immunecheck point blockades have shown remarkable clinical success against several cancers; however, significant responses remain restricted to a minority of patients. Here, we suggest a novel strategy that is combining immunogenic cell death and phagocytosis enhancement for cancer immunotherapy, namely “immunogenic clearance”, which seeks to awaken intrinsic immunity against cancer. In part 1, I designed a ferritin nanocage termed FHSirpα that contains the Sirpα variant on the surface of a nanocage composed of 24 ferritin heavy chains and is loaded with doxorubicin. This nature-derived nanocage not only efficiently presents ligands that enhance cancer cell phagocytosis, but also delivers drugs that induce immunogenic cancer cell death. The designed nanocage-therapeutics induce the release of neoantigens and danger signals from dying tumor cells, and lead to enhancement of tumor cell phagocytosis and cross-priming of tumor specific T cells by neoantigen peptide-loaded antigen-presenting cells (APCs). We observed potent inhibition of tumor growth and systemic tumor-specific T-cell responses in tumor draining lymph node (TDLN) and spleen and further, infiltration of CD8+ T cells into the tumor site. Remarkably, after removal of the primary tumor, all mice treated with this nanocage-therapeutics are protected against subsequent challenge with the same tumor cells, suggesting development of lasting, tumor-specific responses. In part 2, we tried the same therapeutic strategy that combines enhancing the phagocytic activity of antigen-presenting cells with immunogenic cell death to trigger efficient antitumour immunity. Rho-kinase (ROCK) blockade increases cancer cell phagocytosis and induces antitumour immunity through enhancement of T-cell priming by dendritic cells (DCs), leading to suppression of tumor growth in syngeneic tumor models. Combining a ROCK blockade with immunogenic chemotherapy leads to increased DC maturation and synergistic CD8+ cytotoxic T-cell priming and infiltration into tumors. This therapeutic strategy effectively suppresses tumor growth and improves overall survival in a MMTV/Neu tumour model. This therapeutic tactics for overcoming the activation-energy threshold of the immunosuppressive tumor microenvironment and mediating the delivery and presentation of tumor neoantigens to the host’s immune system awakens the host’s immune system and provokes a durable systemic immune response against cancer.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osting intrinsic cancer immunity using immunogenic killing and enhanced phagocytosis is a promising therapeutic strategy for cancer immunotherapy.

      • Modulation of host immunity by nuclear effectors of the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oryzae

        김성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0

        식물 병원체는 전세계 곡물 생산에 큰 손실을 일으켜 식량 문제를 일으킨다. 식물의 면역체계는 대부분의 외부 침입을 막아내지만 병원체는 다양한 종류의 이펙터(effector)를 활용하여 기주의 방어반응을 무력화한다. 병원체가 식물에 접촉한 후 식물침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공간적 분리가 일어나는데, 이러한 공간적 분리에 따라 병원체 이펙터는 세포 간극 이펙터(apoplastic effector)와 세포질 이펙터(cytoplasmic effector)로 나누어진다. 식물 침입과정에서 기주의 핵으로 이동하여 작동하는 이펙터를 핵 이펙터(nuclear effector)로 분류하며, 병원체가 병 발생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작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 핵 이펙터는 주로 식물병원성 세균과 난균에서 기능이 분석되었으며 공통적으로 방어 유전자 발현, 호르몬 신호전달체계, 세포사멸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핵 이펙터에 대한 기능분석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벼 수확량에 큰 손실을 일으키는 벼 도열병균 (Magnaporthe oryzae)의 핵 이펙터 기능을 분석하였다. 벼 도열병균의 침입과정을 살펴보면, 포자가 벼 표면에 부착, 발아한 후 부착기를 통해 물리적으로 식물 세포를 침입한다. 침입 후 벼 도열병균은 기주 면역을 조절하기 위해 이펙터를 분비하는데, 세포 간극 이펙터는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분비되어 기주 방어반응을 방해한다. 세포질 이펙터는 활물기생 계면 복합체(biotrophic interfacial complex)를 통해 기주 세포 내부로 이동하며 특정 소기관에서 작동한다. 벼 도열병균의 핵 이펙터로 동정된 유전자들 중 MoHTR1과 MoHTR2는 침입균사로부터 분비된 후 식물 세포 내부로 이동하고, 핵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펙터 결합 인자(effector binding element)를 지니고 있는 벼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에 결합하여 목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간접적인 효과로 식물 면역 유전자의 발현을 재 프로그래밍한다. MoHTR1과 MoHTR2를 발현하도록 설계한 유전자 도입 식물체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인 벼 도열병균과 벼 흰잎마름병균(Xanthomonas oryzae pv. oryzae)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며, 반대로 사물기생 병원체인 벼 깨씨무늬병균(Cochliobolus miyabeanus)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한다. 병원체의 생활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병 저항성은 양가 면역의 한 사례로 볼 수 있으며, MoHTR의 목표 유전자들이 벼 도열병 저항성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체의 저항성에도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는 벼와 벼 도열병균 상호 작용 기작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며, 병원체 핵 이펙터에 의한 식물 면역 조절이 다른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Plant pathogens threat human being for devastating crop loss in worldwide. Two-layered plant immune systems, PAMP- and effector-triggered immunity, eliminate most of invaders. Despite of robust immune systems of plants, compatible pathogen effectors neutralize hostile environment during infection via versatile strategies. Spatial compartments emerged during the plant infection classify the effectors such as apoplastic effector and cytoplasmic effector. Translocated cytoplasmic effectors move to specific organelles and modify immune responses. A group of effectors located in host nuclei are classified as nuclear effector, facilitating efficient colonization of plant tissues. Numerous nuclear effectors are discovered in bacterial and oomycete pathogens, and some of them target the same immune responses in terms of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transcriptional regulation, hormonal signaling, programmed cell death. However, functional mechanism of fungal nuclear effectors remains to be revealed. Magnaporthe oryze, rice blast pathogen, causes serious yield loss for rice production. Rice-M. oryzae pathosystem is used for model of plant-microbe interaction owing to plenty of genome/transcriptome information and robustness of experimental system. M. oryzae penetrates rice cell wall using appressoria, and invaginates plant plasma membrane using invasive hyphae. Apoplastic effectors are secreted into extracellular matrix, interfering host defense responses. Cytoplasmic effectors are translocated via a specialized secretory structure, biotrophic interfacial complex (BIC), and moved to cellular organelles. In this study, two nuclear effectors of rice blast fungus named as MoHTR1 and MoHTR2 are characterized. Both nuclear effectors are translocated via BIC, and transferred into the nuclei of initially penetrated and surrounding cells. Theses effectors bind effector binding elements in target gene promoters and reprogram the expression of immunity-associated genes in rice. Transgenic rice expressing each MoHTR showed ambivalent response to pathogens with different lifestyles: increased susceptibility to M. oryzae and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hemibiotrophic pathogens, but enhanced resistance to Cochliobolus miyabeanus, a necrotrophic pathogen. The opposite effect of the transcriptional reprogramming by these effectors on defense against hemibiotrophic pathogen vs. necrotrophic pathogens, a phenomenon defined as ambivalent immunity, suggest that they target genes and processes involved in defense against all types of pathogens, not just M. oryzae. Findings in this study help understanding functional role of DNA-targeting nuclear effectors in fungal pathogen, and solve the question underlying how pathogens manipulate plant immunity. CHAPTER I. Nuclear effectors of plant pathogens Crop plants provides essential foods to mankind, but numerous plant pathogens destroy substantial amount of the products worldwide. Among the microbial pathogens, bacteria, oomycete, and fungi are major causal agent. They invade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such as biotrophy, necrotrophy, and hemibiotrophy. Host plants protect themselves via two-layered immune systems. PAMP- and effector-triggered immunity efficiently block the offense of the pathogens, but compatible pathogens evade the immune systems using effectors. Effectors, molecular weapons of pathogens, are secreted and change the infec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ffector localization, they classified as apoplastic effectors and cytoplasmic effectors. Some effectors are transferred to host nuclei, essential organelle for immunity regulation, interrupting host defense responses. This type of effectors is called nuclear effector, and several effectors are discovered in the bacteria, oomycete, and fungi. In this review, nuclear effectors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the plant microbial pathogens are described. How these effectors modulate plant immunity is also highlighted in terms of biological processes and molecular functions. CHAPTER II. Two nuclear effectors of the rice blast fungus modulate host immunity via transcriptional reprogramming Pathogens utilize multiple types of effectors to modulate plant immunity. Although many apoplastic and cytoplasmic effectors have been reported, nuclear effectors have not been well characterized in fungal pathogens. Here, two nuclear effectors are characterized in the rice blast pathogen Magnaporthe oryzae. Both nuclear effectors are secreted via the biotrophic interfacial complex, translocated into the nuclei of initially penetrated and surrounding cells, and reprogram the expression of immunity-associated genes by binding on effector binding elements in rice. Their expression in transgenic rice caused ambivalent immunity: increased susceptibility to M. oryzae and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hemibiotrophic pathogens, but enhanced resistance to Cochliobolus miyabeanus, a necrotrophic pathogen. Findings in this study help remedy a significant knowledge deficiency in the mechanism of M. oryzae-rice interactions and underscore how effector-mediated manipulation of plant immunity by one pathogen may also affect the disease severity by other pathogens.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EXOKINASE1 in Plant Innate Immunity

        우징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39

        Glucose coordinate many crucial processes in the high plant. One important glucose sensor in Arabidopsis is Hexokinase1 (HXK1) which has multifunction in modulating plant germination, development, flowering, and senescence. This research work identified that HXK1 is also a positive regulator for plant immunity. Plant immunity contains two branches, the first line is PAMP-triggered immunity (PTI) and the second line is effector-triggered immunity (ETI). During the first line, callose deposition and pathogenesis-related protein1 (PR1) accumulation normally have been used as markers for activation of PTI. In the second line, RPM1-interacting protein 4 (RIN4) which is a membrane-localized Arabidopsis protein that regulates plant immune response against PAMPs and bacteria type III effectors model was used. To overturn the defense regulation imposed by RIN4 in the resistant protein deficient plant, two resistant protein RPM1 and RPS2 were used to phosphorylate and cleave RIN4, respectively. HXK1 is necessary for callose deposition and PR1 accumulation, as well as, RIN4 phosphorylation. This research work also confirmed exogenous glucose plays a positive role in plant immunity through the HXK1-mediated pathway. At first, the effect of glucose on plant immunity had been investigated. Then, the up-regulation of plant ability to against P.syringae DC3000 infection had been observed. With the further experiment, the up-regulation both involved in PTI and ETI. After confirmation on the positive effect of glucose, whether it uses HXK1-related pathway, had been suspected. The same experiment had been done on hxk1 mutant and all positive effects had disappeared. Thus, verified that glucose used HXK1-mediated pathway to enhance plant immunity. 포도당은 고등 식물에서 많은 중요한 과정을 조절하며 Arabidopsis 에서 알려진 중요한 포도당 센서는 Hexokinase1 (HXK1)이다. HXK1은 식물의 발아, 발달, 개화 및 노화를 조절하는 다기능을 갖는다. 이 연구 결과는 HXK1이 식물 면역에 대한 양성 조절 인자임을 확인했다. 식물 면역은 크게 두 가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첫 번째는 PTI (PAMP-triggered immunity) 이고 두 번째는 ETI (effector-triggered immunity)이다. PTI 동안, callose 침전 및 pathogenesis 관련 protein1 (PR1) 축적은 일반적으로 PTI의 활성화를 위한 마커로 사용되었다. ETI 연구에서는 PAMPs와 식물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막 존재 Arabidopsis 단백질인 RPM1 상호 작용 단백질 4 (RIN4)가 사용되었다. 내성 단백질 결실 식물에서 RIN4에 의해 부과 된 방어 조절 연구를위해, 2 개의 내성 단백질 RPM1 및 RPS2를 사용하여 RIN4를 각각 인산화시키고 절단 하였다. HXK1은 callose 침전 및 PR1 축적뿐만 아니라 RIN4 인산화에도 필요한다. 이 연구 결과는 또한 외인성 포도당이 HXK1 매개 경로를 통해 식물 면역에 긍정적인 역할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처음에는 식물 면역에 대한 포도당의 영향이 조사되었다. 그런 다음, P.syringae DC3000 감염에 대한 식물 능력의 상향 조절이 관찰되었다. 추가 실험으로 PTI와 ETI에 관련된 상향 조정. 포도당의 긍정적 인 효과에 대한 확인 후 HXK1 관련 경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동일한 실험이 hxk1 돌연변이체에서 행해졌고 모든 긍정적인 효과는 사라졌다. 따라서 포도당은 HXK1 매개 경로를 사용하여 식물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브라질 대법원의 ‘샹그릴라’ 사건을 중심으로 한 국가면제에 대한 비판적 연구

        아스트 데 알메이다 마르코스 비니시우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39

        브라질 연방 대법원은 2021년 8월 23일, 인권을 침해하는 외국 국가의 불법 행위는 브라질의 관할권 면제를 받지 못한다고 결정했다. 이 판결은 15년 이상 전 리우데자네이루의 법원에 제기된 ‘샹그릴라’ 사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브라질 사법부에서 가능한 거의 모든 사례와 항소 단계를 거친 후, 이 사건은 마침내 국가면제 관련 문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를 위해 대법원으로 이송되었다. 브라질 사법부가 외국 국가 면제특권 문제만 놓고 결정하는 데 약 15년이 걸렸다는 사실은 이 문제가 얼마나 논란이 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덧붙여서 국가면제 문제는 최근 수십 년간 국내 사법권과 국제 사법권의 범위 내에서도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브라질 대법원의 판결은 여러 주의 국내 법원에서 국가 면제가 실질적이지만 논란의 대상이 된 시기에 나왔다. 한국에서는 브라질 판결을 몇 달 앞두고 서울지방법원이 일본의 강제징용 기간과 관련된 사실관계가 있는 이른바 ‘위안부’ 사건에 대한 국제법 사법상의 기준을 위반한 상황에서 일본에 사법상 면제가 없다는 판결을 내렸고, 그것은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브라질 대법원의 판결은 심지어 한국의 결정을 이 문제에 대한 다른 국내 법원과의 이해를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언급했다. 몇 달 뒤인 2022년 4월, 독일은 이탈리아를 상대로 국제재판소(ICJ)에 국가 면제특권과 관련된 새로운 사건을 제기했다. 2012년 ICJ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이 행한 인권 및 인도주의적 법률 위반과 관련된 법적 절차를 이탈리아 법원에 제기할 수 있도록 하여 독일의 사법적 면제특권을 침해하였다고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헌법재판소는 이탈리아 사법부가 무엇보다도 인권과 인도주의 원칙에 구속될 것이기 때문에 ICJ 판결의 집행의 불가능성을 인정했다. 곧이어 ICJ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수십 건의 새로운 사건들이 독일을 상대로 이탈리아 사법부에 회부되어, 독일이 ICJ에 추가 소송을 신청하는 동기를 부여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국가 면제는 전 세계적으로 법학자, 국제변호사, 국내외 법원의 관심을 받은 논란의 대상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것은 현재 현대 국제법에서 유행하고 있는 주제이다. 이러한 측면은 면역성에 대한 연구와 연구를 계속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브라질 대법원의 ‘샹그릴라’ 사건의 소개와 분석을 통해 국가 면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한국에서 이 문제에 대한 연구의 지속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국가면제에 관련된 문제에 관심이 있는 다른 학자와 법학자들에게도 연구의 지속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브라질의 판결은 국가 면제특권 문제와 관련해 다른 중남미 법원의 유사한 결정이 알려진 바 없어 세계는 물론 중남미에서도 여러 면에서 전례가 없는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 연구자의 경험과 배경을 고려하여 브라질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가면제에 대한 제3세계적 접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가면제가 광범위한 교리와 상당히 모순된 의견에 의해 논쟁의 주제가 되어온 오랜 논쟁의 주제라는 사실은 그 주제에 대한 모든 요소와 관점을 이해하는 연구의 불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철저한 것을 의도하지 않고 국가 면제에 대한 논쟁의 연속성에 기여하고자 할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연구는 국가 면제와 관련된 문제와 논쟁에 대한 해결책이나 결정적인 해답을 찾으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만 새로운 관점에서, 특히 한국에 있는 브라질 연구원의 관점에서 분석을 홍보하려는 의도일 뿐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는 네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국가 면제 일반이론과 교리의 발전과 역사적 진화를 간략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그것은 absolute doctrine에 초점을 맞추어 규율의 시작부터 시작하고, 그 이후에 국가 면제의 restrictive doctrine에 의해 대체되는 것을 분석한다. 이 첫 번째 부분은 다음 장에서 개발된 논의를 준비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국가 면제 문제를 소개한다. 두 번째 부분은 ‘샹그릴라’ 사건을 분석하고, 이 사건과 관련된 측면에서 브라질의 민사 절차 및 사법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시작으로 한다. 이는 대상 독자가 브라질 법의 구체적인 개념과 특성을 완전히 알지 못할 수도 있는 연구인 만큼, ‘샹그릴라’ 사건과 관련된 사실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이 단계가 필수적이다. 둘째, 국내 법원의 법리와 외교부의 보고와 의견을 바탕으로 브라질 법에서 국가면제주의의 진화에 대해 간략하게 분석한다. 이 단계는 국가면제 문제가 브라질 법학자들의 관점에서 수년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샹그릴라’ 사건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사건과 관련된 사실과 관련된 법적 문서, 법적 의견, 사건과 관련된 브라질 법원의 판결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결국 브라질 대법원의 판결에 대한 실질적인 분석이 진행된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국가 면제의 이론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을 대다수 법학의 관점에서 시작하여, 즉 국가 분할 행위를 acta jure imperii와 acta jure gestionis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implicit waiver theory, normative hierarchy theory, the right of access to justice theory, non-commercial torts, 그리고 마지막으로 1970년대 브라질에서 기원한 autonomous foundation 이론을 각각 검토한다. 국가면제에 대한 대안이론의 분석과 함께 국내법제 및 국제협약과 조약에 대한 간략한 분석과 그 주제와 논의된 이론에 대한 국내외 법원의 결정이 포함되어 있다. 제4부는 처음에 international legal argument의 생성과 구조의 관점에서 국가 면제의 문제에 대한 분석을 제안한다. 이 분석은 국가 면제와 관련된 분쟁이 왜 모순적인지, 국내외 법원의 결정이 크게 비판 받는 이유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 분석은 국가 면제의 인정 여부를 옹호하는 주장과 이론과 관련된 논쟁을 탐구한다. 그것은 이전에 검토된 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하며, 마침내 국가 면제 문제에 대한 제3세계 접근법으로 이어진다. 이 접근법은 국가 뿐만 아니라 지배적인 유럽 관점에 초점을 맞춘 관점을 가진 특정 국가 그룹에 중심을 둔 전통적인 국제법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여 다른 세계관과 다른 국가가 직면한 문제에 손상을 입힌다. 이 분석으로부터, 개인이 국제법에 대한 충분한 중요성이 부족하고, 따라서 개인이 정의에 접근하고 그들의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법원이 국내 법원이라는 점에서 국제 사법에 대한 접근에 결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 법원들은 외국 국가 면제의 문제가 논의되고 결정되는 최초의 주요 사법기관이다. 이러한 결정은 국제 법원의 결정과 동등하지는 않지만, 특히 관습적인 성격의 규범 개발과 opinio juris 형성에 있어 국제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국가 면제의 교리가 국내 법원에 제기된 주장의 구조로부터 발전되어 왔듯이, 국가의 권리를 훼손하는 개인의 권리를 인정함에 있어서 그들이 내린 결정은 결국 현대 국제법의 패권에 대한 저항의 길을 확립하는 것이다. On August 23, 2021, the Brazilian Supreme Court decided that illicit acts committed by foreign states in violation of human rights do not enjoy immunity from jurisdiction in Brazil. The decision became known as the “Changri-lá” case, which was filed more than 15 years ago before a federal court in Rio de Janeiro. After going through almost all instances and appeals phases available in the Brazilian Judiciary, the case was finally taken to the Supreme Court for the constitutional assessment of the immunity-related question. The fact that the Brazilian Judiciary took about 15 years to decide solely on the issue of foreign state immunity reveals how controversial the matter is. Incidentally, the issue of immunity has also been the subject of intense debate within the scop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jurisdictions in recent decades. The decision of the Brazilian Supreme Court came at a time when state immunity has been the subject of substantial, albeit controversial, judgments by the domestic courts of several states. In Korea, a few months before the Brazilian decision,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ruled that Japan was not entitled to jurisdictional immunity in the face of violations of jus cogens norms of international law concerning the case of the so-called “Comfort Women,” whose facts are related to the period of forced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which lasted until the end of Second World War. The decision of the Brazilian Supreme Court even referred to the Korean decision as a way of aligning its understanding with other foreign courts on the matter. A few months later, in April 2022, Germany brought a new case related to state immunity before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gainst Italy. Despite the Court’s decision in 2012, recognizing that Italy had violated Germany’s jurisdictional immunity by allowing legal proceedings involving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law violations practiced by Germany during Second World War to be brought before Italian courts, the Italian Constitutional Court recognized the impossibility of enforcement of the ICJ decision, since the Italian Judiciary would be above all bound by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principles. Soon after, and despite the decision of the ICJ, dozens of new cases were taken to the Italian Judiciary against Germany, motivating the application of further proceedings by Germany before the International Court. Based on this context, it is easy to see that state immunity is a controversial subject that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jurists, international lawyers, a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urts worldwide. It is a topic that is currently trending in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This aspect is itself enough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to study and research immunity. In this sense, the subject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to discuss state immunity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the “Changri-lá” case of the Brazilian Supreme Court,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continuity of research on the matter in Korea, and, incidentally, to other scholars and jurists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state immunity. The Brazilian decision is unprecedented in many ways, not only in the world but also in Latin America, as no other similar decision by another Latin American court regarding the problem of state immunity is known. Consequently, and considering this researcher’s experience and background, this investigation also aims for a third-world approach to state immunity by analyzing the Brazilian case. The fact that immunity has been the subject of heated debates for so long, being the subject of argument by extensive doctrine and quite contradictory opinions, demonstrates the impossibility of a research to comprehend all the elements and points of view on the subject. Therefore, this investigation does not intend to be exhaustive and only seeks to contribute to the continuity of the debate about state immunity. In this sense, the research does not intend to seek a solution or a definitive answer to the problem and disputes involving immunity. However, it only intends to promote its analysis from new perspectives, especi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a Brazilian researcher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seeks to briefly analyze the development and historical evolution of the doctrine of state immunity. It starts from the beginning of the discipline, focusing on the absolute doctrine, and then analyzes its subsequent replacement by the restrictive doctrine of state immunity. This first part introduces the problem of immunity in an informative way in order to prepare the discussions developed in subsequent chapters. The second part analyzes the “Changri-lá” case, starting with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razilian civil procedural and judicial system in aspects related to the case. As this is research whose target audience might not be fully aware of specific concepts and peculiarities of Brazilian law, this stage is essential to assist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facts related to the “Changri-lá” case. Secondly, a brief analysis is made of the evolution of the doctrine of state immunity in Brazilian law, based on the jurisprudence of domestic courts and reports and opinion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is step intends to introduce how the issue of immunity has been viewed over the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Brazilian jurists. Finall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ngri-lá” case is made, starting with the facts related to the case, the legal documents, legal opinions, and decisions of the Brazilian courts pertaining to the case. In the end, a substantial analysis of the decision of the Brazilian Supreme Court is carried out. In the third part,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doctrine of state immunity are examined, star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ajority jurisprudence, that is, the division of state acts into jure imperii and jure gestionis. Next, the theories of implicit waiver, normative hierarchy, the right of access to justice, the so-called “non-commercial torts,” and, finally, the theory of autonomous foundation, which originated in Brazil in the 1970s, are respectively examined. Along with the analysis of alternative theories on immunity, a brief analysis of domestic legislation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conventions is included, as well as decis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urts on the subject and concerning the theories discussed. The fourth part initially proposes an analysis of the problem of state immun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reation and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legal argument. This analysis seeks to clarify why disputes involving state immunity are so contradictory and why decis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urts are heavily criticized. This discussion explores the controversies involving the arguments and theories that defend the recognition or not of state immunity. It seeks to critically analyze the previously examined theories, which finally leads to a third-world approach to the problem of state immunity. This approach starts from the critique of traditional international law, whose establishment and normative development are centered not only on the state but on a group of particular states whose perspectives are focused on dominant European views, to the detriment of other worldviews and the problems faced by other states. From this analysis, the argument is proposed that the individual lacks sufficient importance to international law and, thus, there is a deficiency in its access to international justice, in a way that the closest arena for individuals to access justice and obtain recognition of their rights are the domestic courts. These courts are the first and the main judicial bodies where the problem of foreign state immunity is discussed and decided. Although these decisions are not equivalent to those of an international court, the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tional law, particularly on the development of norms of a customary nature and the formation of opinio juris. Therefore, as the doctrine of state immunity was and has been developed from the structure of arguments brought before domestic courts, the decisions handed down by them, in recognizing the right of individuals to the detriment of the rights of the states, end up establishing a path of resistance to the hegemony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 國家 免除에 관한 硏究 : ILC 국가 및 재산에 관한 초안을 중심으로

        박소현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39

        1949년 유엔 국제법 위원회의 성문화를 위한 14개 주제 중 하나인 국가면제에 대해서 유엔 국제법 위원회는 1991년에 국가 및 그 재산의 관할권 면제에 관한 초안을 최종 채택하였다. 국가면제에 대한 이 초안은 이제까지 국제관습법으로 형성되어 온 국가면제에 대한 국가들의 관행과 각 국의 국가면제법을 반영하여, 국가면제의 현재 발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초안은 5개 분야 22개 조항을 포함한다. PartⅠ(Introduction, 제1조-제4조)는 초안 적용의 개인적, 물질적, 시간적 영역을 규정한다. 가장 중요한 정의들은 제2조에 포함되어 있다. Part Ⅱ(제5조-제9조)는 재판과정 법규로서 면제를 제5조 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6조는 면제 준수를 위한 법정지국의 의무를 특정화하고 있다. 제7조-제10조는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면제포기상황을 포함한다. Part Ⅲ(제10조-제17조)는 소송 중인 재판과 관련된 재판에서 면제에 대한 예외를 포함한다. Part Ⅳ(제18조-제19조)는 집행으로부터의 면제에 대해 다룬다. Part Ⅴ이하에서는 잡칙들로 특히 절차적 문제들을 규율한다. 제20조가 송달에 대한 것이고, 제21조는 결석재판을 다룬다. 제22조(1)는 외국에 대한 절차적 강제 부과를 막는다. 그리고, 영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를 포함하여 각 국의 국가면제법의 발전을 살펴보고 있으며 또한, 각 국의 판례들을 통해서 각 국의 국가면제 적용에 대한 태도를 검토하고 있다. 특히 19세기부터 판례들을 통해 국가면제에 대한 국가 관행이 존재해왔던 영국과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판례들을 살펴보고 있다. 국가면제에 관한 유럽협약이 채택되었고, 그 후 그 체약국들이 협약을 받아들이면서 국가면제법을 제정하게되었다. 1991년 유엔 국제법 위원회가 국가면제에 관한 초안규정을 채택하기 전에 제정된 영국과 미국 그리고 영연방 국가들의 국가면제법들과 국가면제에 관한 유럽협약이 초안 규정에 반영되어, 국가면제 발전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국가면제라는 주제에 있어서 거래와 계약의 상업적 기준, 상업적 행위(jure gestionis)와 같은 문제는 아직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국가의 경제적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국가면제에 관한 초안은 국제경제관계 개선과 개인들의 법적 보호 가능성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주권면제에 대한 더한 제한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다자간 협약이 필요하다고 본다. Concerning one of the subjects for codification of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at 1949, namely, State Immunity, in 1991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finally adopted the Draft Articles on Jurisdictional Immunities of States and Their Property. Draft on State Immunity indicated recent development of State Immunity by reflecting practices of States and States Immunities Act of countries regarding State Immunity which is formulated as international custom. The Draft contains 22 Articles which are divided into five sections. Part Ⅰ (Introduction, Articles 1-4) regulates the personal, material and temporal sphere of application of the draft, the most important definition being contained in Article 2. Part Ⅱ(Article 5-9) prescribes in Article 5 immunity as the rule for trial proceedings. Article 6 specifies the forum State's obligation to observe immunity. Articles 7-10 contain the generally recognized circumstances where immunity is waived. Part Ⅲ(Articles 10-17) contains exceptions to immunity for trial proceedings associated with the property under the dispute. Part Ⅳ (Articles 18-19) concerns immunity from enforcement. Part Ⅴ under the heading Miscellaneous Provisions regulates in particular procedural questions, while Article 20 concerns notification, and Article 21 the handing down of judgements in absence. Article 22(1) bans the imposition of procedural constraints on foreign States. And, this document inspects the development of State Immunities Act of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ustralia, Canada. In addition, it also examines the manners of countries to the application of State Immunity through cases which are rendered by domestic courts. After it had be adopted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State Immunity, Contracting States enacted State Immunity Act adopting the Convention. State Immunities Acts of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ommonwealth, and the European Convention on State Immunity which are enacted before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finally had adopted the Draft Articles on State Immunity lead the development of Status of State Immunity. Regarding the State Immunity, however, jure gestionis and the criteria for attributing a 'commercial' character to contract or transactions are still needed to more discussion. If it regards circumstances that commercial activities of States are increasing, Draft on State Immunity contribute to improving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and improve private persons' possibilities for legal protection. For this purpose, it further restriction of State Immunity should remain necessary even if a multilateral con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