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계성딸기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에 관한 연구

        박동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4

        본 실험은 약배양을 통한 반수체 육성을 위한 첫 번째 과정으로서 기본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효율적인 반수체 육성을 위하여, 본 실험실에서는 생장조절제의 종류, 농도, 화뢰의 발달시기, 전처리가 캘러스 유기 및 식물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엘란, 페치카, 플라밍고, 볼레로 모두 화뢰길이가 11.0―12.9mm일 때 치상하는 것이 캘러스 형성율과 식물체 분화율이 가장 높았다. 온도처리에 있어 4℃ 4일 처리구에서 가장 좋고 식물체 분화까지 잘 이루어졌으나 저온성 식물인 딸기의 4℃ 8일 처리구에서는 약의 치상시 활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생장조절제 종류 및 농도별 처리에서는 4품종 모두 BA 0.1mg·L―¹, IAA 2mg·L―¹, 2,4-D 0.4mg·L―¹에서 캘러스 형성 및 BA 2mg·L―¹, IAA 1mg·L―¹ 혼용 처리에서 식물체 재분화율이 가장 높았다. 본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엘란이 페치카, 플라밍고, 볼레로에 비해서 재생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수성 분포에서도 엘란 품종에서 더 많은 반수성 및 여러 배수성의 분포를 보여 순계를 조기에 양성하는데 좀더 나은 품종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s the first step for production of haploid plant through anther culture. To obtain effective haploid breeding, we investigated effect of pollen developmental stages, pre-treatment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anther culture of ever-bearing strawberry.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rate in all cultivars, Elan, Pechika and Flamingo, Bolero used in this study, when pollen bud size was between 11 and 12.9 mm. Effect of pre-treatment appeared in investigation section at 4℃ for 4 days, which was good for plant regeneration. However, pollen of investigation section which was treated at 4℃ for 8 days became to lost pollen activity. The highest effect of its concentration and plant regulators in callus induction showed the treatment section which was treated by BA 0.1mg·L―¹, IAA 2mg·L―¹, 2,4-D 0.4mg·L―¹ and those in plant regeneration showed one which was treated by BA 2mg·L―¹, IAA 1mg·L―¹. In this study, Elan appeared that percentages of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Pechica, Flamingo, Bolero in all experiment sections. Ploidy level in regeneration plants obtained from anther culture of Elan also has varieties containing haploid.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Elan seem to be useful cultivar for the breeding of haploid plants.

      • CRISPR/Cas9 technology를 사용한 청경채 (Brassica rapa ssp. chinensis)의BcCENH3 게놈 편집

        팔구니 말리하 라만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487

        Haploid production 생산은 기후변화 시대 작물 생산을 위한 가장 중요한 연구이다. 현대 유전 공학을 통해 우리는 스트레스가 많은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관심 유전자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Centromere Histone protein gene CENH3 의 변형은 유전 공학을 통해 Arabidopsis thaliana의 에 Haploid Production대해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청경채는 재배기간이 짧고, 재배가 용이하며, 식용가치가 높아 분자연구에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경채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식물(이하 BcCENH3)로부터 애기장대 CENH3와 상동성인 BcCENH3 유전자를 분리하여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해 박초이에 Haploid induction 를 도입하였다[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and CRISPR-associated protein 9 (CRISPR/Cas9)]. Arabidopsis 원형질체의 Subcellular localization analysis는 BcCENH3 단백질이 핵에 국한되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Expression analysis에서 우리는 BcCENH3가 진정한 휴가(식물 단계)와 카르펠(생식 단계)에서 높은 발현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청경채의 Vernalization treatment, BcCENH3 발현은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Arabidopsis 원형질체의 Subcellular localization analysis에서 BcCENH3은 Nuclear protein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경채 BcCENH3 sgRNA 1 식물은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에 최적화된 절차 및 배양 조건에 따라 청경채 묘목의 정단 분열조직(SAM) 외식편으로부터 재생되었습니다. CRISPR/Cas9 및 BcCENH3 sgRNA 1을 발현하는 이원 벡터를 형질감염시킨 후 청경채 체외식편을 재생한 결과, 단일 대립유전자 결실 빈도가 2.1%, 1.8%, 1.8% 및 1.7%인 독립적인 BcCENH3 표적 형질전환 계통 4개가 얻어졌습니다. In planta Haploid induction 식물 유도는 여전히 소수의 작물로 제한되어 있지만 청경채에 대한 우리의 연구는 식물 육종가에게 Haploid induction mechanism에 대한 아이디어를 전달할 것입니다. Haploid plant production is the most vital studies for crop production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Modern genetic engineering can enable us to do modification in our interested gene that can adapt to the various stress condition. Modifications in Centromere histone protein gene, CENH3, is known for haploid production in Arabidopsis thaliana through genetic engineering. In recent days, Pak-choi plants are gained importance for molecular studies due to its short cultivation period, easy growing and good dietary value. In this study, I isolated a CENH3 gene homologous to Arabidopsis CENH3, from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plants (hereafter BcCENH3) to employ haploid induction in Pak-choi by genome editing technology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and CRISPR-associated protein 9 (CRISPR/Cas9)]. Amino acid sequence comparison and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BcCENH3 has high similarity in structure with Arabidopsis CENH3 and other Brassica homologs.Then I characterized BcCENH3 gene by analyzing the expression patterns and subcellular localization.From expression analysis, we have found BcCENH3 have high expression in true leave (vegetative stage) and Carpel (reproductive stage).Under the vernalization treatment, BcCENH3 expression was affected. Subcellular localization analysis in Arabidopsis protoplasts revealed that BcCENH3 is nuclear protein. We regenerated Pak-choi (BcCENH3 sgRNA 1) plants from shoot apical meristem (SAM)’s explants of Pak-choi seedlings under the optimized the procedure and culturing conditions for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In the results of Pak-choi explants’regeneration after transfection of binary vectors expressing CRISPR/Cas9 and BcCENH3 sgRNA 1, four of independent BcCENH3 targeted transgenic lines with 2.1%, 1.8%, 1.8% and 1.7% monoallelic deletion frequencies were obtained. Although in planta haploid plant induction is still limited to few crops, our study in Pak-choi will deliver to the plant breeders ideas for haploid induction mechanism.

      •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이용한 옥수수 (Zea mays L.) 반수체 유도능 관련 양적형질 유전자좌 탐색

        오태영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46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segregation ratio of R-nj gene expression on F2 seeds and testcross progenies and identify quantitative traits loci responsible for haploid induction, through bulked segregant analysis in the haploid inducer line, RWK-76. The results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to develop new haploid inducer lines and set up doubled haploid maize breeding programs in Korea. 1. R-nj gene expression rate in F2 seeds was found to be 58%. Hypothesis of the expected segregation ratio of 9:7 assuming there is one more dominant gene involved in R-nj gene expression on seeds was tested via the chi-square test of goodness of fit. The test result showed no evidence of significance (p-value=0.13) indication there may indeed be an involvement of a single dominant gen in R-nj gene expression on seeds. 2. There were possibly four different genotypes among 148 F2 plants selected based on their R-nj expression at seed stage. These F2 plants were testcrossed and R-nj expression was examined on testcrossed ears. The expectation from the four genotypes was the followings: 1) 16.4 (11.1%) plants with 100% R-nj expressed seeds 2) 65.7 (44.4%) plants with 50% R-nj expressed seeds. 3) 65.7 (44.4%) plants with 25% R-nj expressed seeds. Although R-nj expression was not clear-cut,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observed expression had three picks at each expectation and distributed around them. This resul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n additional single dominant gene besides R-nj for the expression of anthocyanin on maize kernels. 3. Haploid induction rate form the testcross of 138 F2 plants ranged from 0% to 25% with the average of 3.13%. The rate of RWK-76 from 22 testcrossed ears on Mibak2 had the range of 0~16.13% and the average was 6.37%. The result may indicate the addictive effect of QTLs controlling the haploid induction ability. 4. Total of eight polymorphic markers were detected from two DNA bulks and the Wilcoxon rank sum tested showed the evid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 (p-value=0.0008) between two bulks in haploid induction rate. 5. Two SSR markers, X224 and umc2390 were located in 1.04 bin. The markers were also found in the same position harboring the major QTL, qhir1 which explained 66% of the observed variance in previous study.

      • Production of transgenic murine embryos using haploid spermatids transfected with EGFP gene

        강기예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452

        본 연구의 목적은 외래 EGFP 유전자를 분화이전의 웅성생식세포에 도입한 후 이를 난모세포내에 미세주입하여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반수체 정자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mTP1와 햄스터의 hPrm2의 유전자의 발현 시기를 RT-PCR로 조사한 결과 그 시기는 생쥐와 햄스터에서 각각 18일령과 20일령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외래 유전자의 침입이 용이한 감수분열 직전단계인 17일령의 생쥐와 19일령의 햄스터 정자세포를 EGFP 유전자가 포함된 배양액에 부유시킨 다음, 전기자극을 부여한 결과 0.18 kV/cm의 전기자극을 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정자세포의 28.5%와 32.1%에서 EGFP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GFP 유전자가 도입된 반수체 정자의 수정 및 발달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들 정자세포를 햄스터 난자 내에 미세주입하였으나, 형광현미경하에서는 EGFP 유전자의 발현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이에 이들 난자를 공시하여 PC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약 44%의 수정란에서 EGFP 유전자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반수체 정자세포는 외래 유전자를 난자 내에 도입하기 위한 운반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embryo was attempted by microinjection of round spermatid cultured with foreign DNA. At first, the expression of haploid spermatids specific gene, mTP1 in mouse and hPrm2 in hamster spermatids were investigated by RT-PCR method in testes of young mice and hamster testis. The specific gene first appeared at 18 days post partum (dpp) in mice and 20 dpp in hamster. Therefore, the round spermatids isolated from 17 dpp mice and 19 dpp hamster were used for the introduction of foreign EGFP gene into haploid round spermatids. For the introduction of EGFP gene haploid round spermatids suspended in medium including EGFP gene were treated with a different electric field strength at 0.11, 0.18 and 0.44 kV/cm.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viability of testicular sperm cells and 67.6, 66.4 and 49.9%, in mice and 62.6, 57.9 and 27% in hamster,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treated control groups 80.5 in mouse and 69.1% in hamster. After 72 hrs culture, the highest expression rate of EGFP gene, 28.5 in mice and 32.1% in hamster were obtained from the spermatogenic cells electroporated by the field strength of 0.18 kV/cm. Then, the ability of fertiliz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haploid spermatids transfected with foreign EGFP gene were estimated by the microinjection of spermatids into hamster oocytes. The male pronuclear formation rate (77.5%) was lower than non-treated control (80%), and the cleavage rate of the treated group (58.8%) was lower than control (65%). To prove the foreign EGFP integration in hamster embryos, 2-cell stage hamster embryos were subjected to the observation under the fluorescence microscope, and the PCR analysis. As a result, about 44% of 2-cell embryos were showed the integration of EGFP gene into their genom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o produce transgenic hamsters by microinjection of haploid spermatid transfected with foreign DNA.

      • 참깨(Sesamum indicum L.)의 葯培養에 의한 Haploidal callus의 誘起

        두홍수 全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420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s of cold-pretreatment, growth regulators, media, cultural condition and difference of genotype, F_1 on callus induction, and then contents of inositol, casein hydrolysate, growth regulators on redifferentiation. The anthers of sesame varieties(sesamum indicum L. and Sesamum orientale L.) were cultured on the MS media supplemented with 2,4-D, IAA, NAA and kinetin, and subcultured on the revised MS medium and BOi2y medium to redifferenti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nther length suitable to anther culture of Wild type was 3.5±0.5 mm, and the rates of petal to sepal length was about 1.0. 2. The Effect of cold-pretreatment on induction of haploidal callus in Wild type and Danbaek was high in treatment for the 2-4 days at 10℃. 3. 2,4-D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induction of callus from anther culture than any other auxins. The callus induction was increased as the contents of 2,4-D increased but decreased in IAA, no effect was showed in NAA on Wilde type but increased 2,4-D and NAA on Danbaek Root was formed from induced callus in IAA and NAA. 4. MS medium was more suitable than any other. More haploidal callus was induced in dark culture than in combination of light and dark cultre. The callus induction of Danbaek and Wild type was higher than other varities, and that of F_1's was less than donor plant. 5. The growth status of donor plant affected the induction of haploidal callus, and the healthy donor plant produced the more haploidal callus than week ones.

      • Sustainable haploidization of human cell lines by CRISPR/Cas-mediated allele-specific deletion of target genes

        조수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47406

        CRISPR/Cas 시스템은 표적 영역에서의 정밀한 유전자 편집을 통해 유전자의 생물학적, 기능적 스크리닝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다. 최근에는, 염기 교정자 및 프라임 교정자라는 유전자 가위가 생체 내에서 유전형과 표현형과의 관련성을 입증하기 위해 표적 위치에서 특정 염기를 삽입 또는 삭제하도록 응용되고 있다. 이와 맞물려 최근 KBM7과 HAP1을 비롯한 반수체 (n) 세포주가 개발됨에 따라, 그동안 교정되지 않은 대립 유전자가 표현형 변화를 가리는 현상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표현형 스크리닝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반수체 세포주의 배양 과정에서 이배체가 빠르게 확산되는 것으로 미루어, 반수체 상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러한 반수체 세포주를 사용하는 대신, 이배체 세포주 내에서 특정 유전자에 한해 반수체를 도입하면 안정적으로 반수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일 뉴클레오타이드 다형성(SNP)이 풍부한 영역을 대상으로 유전자 가위를 표적 것은 인간 이배체 내에서 관심 유전자에서 하플로타입을 유도하는 강력한 특이성을 제공할 것이다. 유전자 결실을 나타내는 인간 세포주를 단세포 수준에서 클로닝함으로써, 표적 유전자에서 지속 가능한 반수체를 갖는 이배체가 생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CRISPR/Cas9 매개 DNA 이중 가닥 파괴에 의해 표적 유전자에서 대규모 유전자 결실을 유도했는데, 그 중에서도 BRCA2의 DNA 결합 도메인을 대상으로 한다. 단일 세포 샘플들의 실시간 정량적 PCR 결과는 표현형 스크리닝의 주요 대상이 될 수 있는 단일 대립 유전자를 제외하고, 해당 위치에서 대규모 유전자 결실을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단일 세포주의 BRCA2 유전자의 반수성 유지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는, 해당 세포의 장기간 배양 및 수차례 검증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CRISPR/Cas-system is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s that enable biological functional screening via precise genome editing at the intended target regions. Up to date, base editors (BEs) and prime editors (PE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genome editing tools in inducing specific mutations at the target loci to demonstrate its relevance to the resulting phenotypes within host, both in vitro and in vivo. In line with this, recent development of haploid cell lines, including KBM7 and HAP1, has also enabled efficient genome screening by preventing unedited alleles from masking the phenotype changes. However, such cell lines showed unstable haploidy, being enriched in diploids during their long-term culture. Therefore, instead of using near haploid cell lines, introducing haplotype at gene-of-interest in diploids is expected to generate more sustainable haploidy. Target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enriched region would provide robust specificity to induce haplotype at the gene-of-interest within human diploid. By single cell cloning the human cell lines that exhibit CRISPR/Cas-mediated large deletions, diploids with sustainable haploidy at the target genes are expected to be generated. Here, we induced large deletion in BRCA2 by CRISPR/Cas9-mediated DNA double strand break, precisely targeting the DNA binding domain of BRCA2. The real-time quantitative PCR (RT-qPCR) results demonstrate the robust efficiency of large deletion in the target loci, resulting in gene-specific haploidy of BRCA2, which could be the ideal target for efficient functional screening.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large deletion-induced BRCA2 in single cell samples show one sample with induced haploidy of BRCA2, which was identified by RT-qPCR amplification of each single cell. Although sustainability of its haploidy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during a long-term culture, subsequent deep sequencing of haploidized BRCA2 loci would further validate its genotype in a sequence-specific manner.

      • Studies on tuber characteristics and total glycoalkaloid analysis in the fusion hybrids and progenies of S. tuberosum superior haploid and S. commersonii : 재배감자 수미 반수체와 S.commersonii의 융합잡종 및 후대 자손에서 괴경의 특성과 총Glycoalkaloid 정량분석에 관

        박후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402

        S. tuberosum과 S. commrsonii의 체세포 융합체와 그의 자손들에 대한 괴경의 특성과 HPLC에 의한 Total Glycoalkaloid(TGA)의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S. tuberosum과 S. commrsonii의 체세포 융합체와 그의 자손들의 괴경의 특성 중 각 clone에 있어서 수확된 괴경은 한 식물체 당 1.5-33.5개였고, 그들의 생체량을 한 식물체 당 0.4g에서 523.5g이 수확되었다. 비중은 1.053-1.128을 가지며 수분율은 67.8-84.0%을 보였다. 괴경의 형태에서 감자 괴경의 외형은 둥근 형, 짧은 계란형 그리고 긴 계란형의 형태를 나타났다. 괴경의 눈의 깊이는 얕음, 중간 그리고 깊은 형태를 보였다. 표피의 형태는 미끈함, 거침 그리고 그 중간형태를 보였다. 회수율의 안정성과 증진을 위한 sep-pak C_(18) cartridge의 세척용액 methanols의 농도와 양은 20%의 농도와 1㎖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고, 감자 괴경 분말의 회수율 검증에서 α-chaconine는 89.3±8.4%을 그리고 α-solanine는 93.0±7.8%을 보였다. S. tuberosum과 S. commrsonii의 체세포 융합체와 그의 자손들에 대한 괴경의 TGA 분석에서 생체량 100g 당 TGA량은 0.25-35.53㎎을 나타냈으며, LZ 3.2, HA06-4 그리고 HA 06-9들은 20㎎/100g 이상의 양을 나타내어 육종에 안전한 TGA의 양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새 대간 교잡횟수가 증가할수록 TGA 정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The report is studied on tuber characteristics and total glycoalkaloid quantitative analysis by HPLC in the tubers of progenies and fusion hybrids of S. tuberosum haploid and S. commersonii. The mumber of tubers were from 1.5 to 33.5 per plant and fresh weights were from 0.4 to 523.5g per plant. Specific gravities were ranged form 1.053 to 1.128 and moisture content was from 67.8 to 84.0%. Tuber shapes were round, short-ovate, ovate and long ovate. Depth of eyes in tuber were shallow, medium, and deep. Tuber skin types were smooth, medium and rough. One ㎖ of 20% methanol were used to washing solution of sample in sep-pak C_(18) cartridge, and the average recoveries were 89.3±8.4% in α-chaconine and 93.0±7.8% in α-solanine. The total glycoalkaloid(TGA) contents of the progenies and fusion hybrids of S. tuberosum haploid and S. commersonii were 0.25-36.53㎎ per 100g fresh weight(fw) and LZ 3.2, HA06-4, and HA 06-9 were over 20㎎ per 100g fw and it was higher than safe TGA content of breeding potato clone. When the crossed number between the potato clones for generation increased. TGA content in tuber decreased.

      • Shed-소포자 배양에 의한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배발생 및 소포자 유래 계통의 원예적 특성

        장지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71

        본 연구는 파프리카의 Shed-소포자 배양 조건에 따른 배발생 효과를 구명하고 소포자 유래 반수체의 원예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파프리카 4품종의 유전자형에 따른 배발생을 조사한 결과 정상 자엽배의 유도 비율은 평균 19.87%였으며, 요리트 F1 품종이 24.69%로 가장 많았다. 화뢰의 4℃ 전처리 유무를 비교한 결과 1차 전처리 과정 없이 바로 배양했을 경우 전체 배발생이 많고 정상 자엽배 발생비율이 1.98% 높았으며 오염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상층 액체배지의 기본배지로 Nitsch and Nitsch, NLN, B5를 비교한 결과 B5 배지가 정상 자엽배 발생이 28.57%로 가장 많았다. Shed-소포자 배양으로부터 유래된 식물체의 배수성 검정 결과 반수체, 배가반수체, 이수체 비율은 각각 65.5%, 29.7%, 4.8%로 반수체의 비율이 높았다. 배가반수체 43계통 중 가임은 20계통으로 46.5%였고, 웅성불임은 23계통으로 가임계통에 비해 7% 많았다. 20계통의 원예적 특성 조사 결과 J47, J53, J61 계통은 수확과수 6개 이상, 평균과중 190g이상으로 과수가 많으면서 과중이 무거웠다. 또한 평균과중의 변이계수가 0.4∼2.7% 수준으로 낮아 비교적 균일한 과중의 과실들을 생산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J53, J61 계통의 과실은 과형지수가 1에 가깝고 심실수 3.7개로 정방형으로 우수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ed-microspore culture conditions on embryogenesi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paprika derived from microspores. The treatments include genotypes of donor plants (‘Baltasar’, ‘Falko’, ‘Jorrit’, ‘Orange Glory’), 4°C pre-treatment before surface sterilization of flowers, carbon-sources (sucrose and maltose), and 3 different basal media screening (Nitch and Nitch, NLN, B5) for upper layer liquid culture medium. The average rate of normal cotyledon derived from shed-microspore culture of four different genotypes was 19.87% and ‘Jorrit’ showed the highest rate of normal cotyledon embryos formation as 24.69%. When cultured immediately without 4°C pre-treatment before surface sterilization of flowers, the embryogenic efficiency was 1.98% higher and the contamination rate tended to be lower. Carbon source did not affect the efficiency of embryogenesis. In the liquid medium treatments, the significantly highest frequency of normal cotyledon embryos formation occurred on B5 medium (28.57%). Ploidy analysis showed that the observed rates of haploids, doubled haploids and tetraploids + polyploids corresponded to 65.5%, 29.7% and 4.8%, respectively. When fertility of doubled haploid plantlets was investigated, male fertile lines consisted of 46.5% (20 lines). The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20 male-fertile lines from shed-microspore cultures was variously distributed. Over 190 g and uniformly sized fruits were harvested in J47, J253 and J61 lines. Especially, J53 and J61 lines showed excellent fruit shapes.

      • Studies on production physiology and haploid induction in Bupleurum falcatum L.

        권선태 University of Kyushu 1997 해외박사

        RANK : 247357

        세포학적 기원이 다른 계통의 시호(Bupleurum falcatum)를 재료로 이용하여 재배를 통한 생산관리, 성분 및 반수체 유도에 관해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계통, 재배 년수(1년생, 2년생)에 따라 건물생산에 유의차가 보여졌다. 또한, 1년생 시호의 경우 축적건물과 태양에너지 이용효율, 엽면적 지수와 건물생산에 있어서 재배년수에 관계없이 상관이 인정되었다. 2. 최대의 태양에너지 이용효율은 1년생의 경우 1.02~1.23%, 2년생의 경우 1.16~2.09%로 재배년수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었으며, 재배년수, 계통에 관계없이 개화기에 높은 이용율이 보여졌다. 3. 총 Saikosaponin 함량은 1년생에서 2년생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재배년수, 계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총 Saikosaponin의 이용효율의 측면에서 보면 1년생의 시호를 이용함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4. 뿌리내 Saikosaponin의 분포는 목부조직보다는 사부조직, 주근보다는 측근, 주근의 아래쪽보다는 윗쪽부분에서 더 많은 함량이 관찰되었다. 5. 약 배양을 통한 캘루스 형성율은 평균 10~23.1%로 계통간 차이를 보였으며, 약의 길이가 200㎛이하(1핵기)의 경우에 높은 캘루스 형성율을 보였으며, 300㎛이상인 경우에 있어서는 낮은 캘루스 형성율을 나타내었다. 6. 캘루스 형성율에 미치는 생장호르몬의 영향은, 혼합의 경우에는 2.4~D와 Picloram(0.1㎎/ℓ)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단독의 경우에 있어서는 2.4~D(0.1㎎/ℓ)가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7. 몇가지 온도로 전처리한 약이 캘루스 형성율에 미치는 영향은, 5℃와 10℃에서 72시간 또는 120시간처리의 경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0℃와 15℃에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8. 화분으로부터의 체세포배의 형성, 재생뿌리 그리고 재생잎의 발생은 캘루스를 재생배지에 옮긴 후 약 5주후부터 관찰되었으며, 재생식물에 있어서 2n=18, 20, 22, 24, 25, 26 등의 염색체 변이가 관찰되었으며, 염색체수가 2n=26인 개체의 화분으로부터 유도되어진 캘루스의 재생식물체로부터 2n=13의 반수체가 관찰되었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for use in market segmentation. For the purpose od this study,four hypothetical trave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logit analysis and survey data on air tra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mode consumer and trave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important influetial factors in choosing a certain type of air tra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