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裵敏洙의 民族意識 形成과 民族運動 變化 硏究

        주명식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3401

        본 논고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관한 것이다. 그의 民族運動에 대한 의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세계 열강의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국제질서 속에서 소용돌이 치던 조선왕조는 일제에 의해 국권이 침탈당하게 되었다. 조선왕조 말 壬午軍亂(1882)과 乙巳條約(1905)에 이어 丁未七條約(1907)으로 마침내 舊式軍隊가 해산되면서 전국적이고 전계층적인 의병봉기가 있었다. 裵敏洙는 구식군대의 하사관이었던 아버지 裵昌根이 의병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하기 전 남긴 유언과 같은 말에 크게 자극받았다. 반드시 나라를 되찾아야 한다는 抗日意識과 구국에 대한 독립의지가 싹트게 된 것이다. 이것이 裵敏洙의 民族運動의 시발점이라 하겠다. 義兵運動은 훗날 독립군의 獨立戰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구한말에 裵敏洙는 基督敎를 접하게 되었고 기독교 학교를 통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보다 분명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기독교 宣敎師들과 民族意識이 투철한 민족청년들에 의해 설립된 淸州淸南學校에서 裵敏洙는 세계적인 인물들과 영웅들을 알게 되었다. 특히 미국의 아브라함 링컨을 존경하게 되어 그와 같이 민족의 英雄이 되고 싶은 야망을 품게 되었다. 淸南學校에서 基督敎的 價値觀과 世界觀을 통해 民族意識이 더욱 투철해진 裵敏洙는 친구들과 함께 숲속에서 몸에 문신을 새기는 秘密儀式을 치르기도 했다. 이 시기의 裵敏洙의 민족에 대한 의식은 아직은 운동의 차원이 아닌 하나의 야망과 꿈으로 형성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裵敏洙는 普通學校를 마치고 역시 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中等敎育 기관인 平壤崇實學校에 입학하였다. 裵敏洙는 숭실학교에서 그의 생애 가장 획기적인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朝鮮國民會라는 地下秘密組織을 결성하게 된 것이다. 國民會는 다분히 義兵運動과 같은 연장선에서 그 성격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그 행동양식에 있어서 게릴라(guerrilla)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國民會는 絶對的인 武裝獨立鬪爭路線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시기에 우리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대한 특징이 暴力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훗날 그의 暴力的 運動이 변화되긴 했지만 당시의 裵敏洙는 非暴力 無抵抗을 강조했던 톨스토이나 인도의 간디, 그리고 마틴 루터 킹 목사와는 달리 독일의 나치정권에 대항했던 본회퍼의 神學思想과 유사한 行動樣式을 취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하지만 裵敏洙가 조직한 투쟁적이던 國民會는 거사를 치르기도 전에 정체가 발각되면서 일제에 의해 국민회 회원들은 체포되어 징역살이를 하게 되었다. 이 시기 裵敏洙는 독립운동단체들간의 의견불일치를 인식하게 되었고 아울러 民族運動에 대한 行動樣式의 문제점을 제기한 曺晩植을 만나게 되면서 그의 민족운동은 보다 온건하면서도 持續可能한 實力養成論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裵敏洙는 특히 咸鏡北道 城津에서 三一獨立運動을 주도하게 되었다. 성진에서의 독립운동의 특징은 독립선언문에 기록되어 있는대로 그 행동양식이 非暴力的이었다는 점이다. 아버지의 의병활동과 국민회의 독립운동을 위한 행동양식에 비교하면 대단한 변화와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국민회 사건과 성진에서의 삼일독립운동으로 裵敏洙는 옥고를 치르게 되었고, 현실적으로 투쟁이나 무력을 통한 방식으로는 민족운동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한 裵敏洙는 그가 일평생 심혈을 기울였던 농촌운동에 투신하게 되었다. 당시 韓國의 80%가 農村이었다. 농촌을 살리는 일이 곧 獨立運動이요 民族運動이란 점을 깨달은 배민수는 農村運動에 전념하게 되었다. 하지만 義兵運動에 대해서도 일정한 거리를 두었던 선교사들처럼 韓國敎會의 농촌운동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日帝가 농촌운동을 독립운동으로 파악하게 되면서 배민수의 농촌운동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이 문제를 神學的으로 해결하고자 平壤神學校에 입학하게 되었다. 하지만 保守的 根本主義 神學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평양신학교에서도 裵敏洙는 농촌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지 못하게 되자 미국의 맥코믹 신학교로 유학을 떠나게 되었다. 평양신학교와 같은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을 표방하고 있던 맥코믹 신학은 한국에 있는 평양신학교와는 달리 自由主義도 根本主義도 아닌 온건한 중도적 입장에 서 있다는 것을 裵敏洙는 알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많은 다양한 신학 교수들을 만나게 되었다. 특히 라우센부쉬의 社會福音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裵敏洙는 美國留學을 통해서 民族主義的 民族運動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세계를 아우르는 세계관을 갖게 되었고 이것은 이 지상에 하나님 나라 건설이라는 보다 靈的인 운동으로 한 차원 격상하게 되었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長老會 總會 農漁村部 初代 總務를 맡으면서 농촌순회 강연과 농촌지도자 양성에 열심했지만 미국경제의 불황과 후원금 감소로 인한 재정난 또는 농촌경제와 복지보다는 救靈이 우선이라고 하는 총회의 保守性에 밀려 마침내 농촌부는 폐쇄되고 말았다. 사실 裵敏洙는 귀국하여 曺晩植 등과 함께 農村硏究所를 설립하고 理想的인 예수촌 건설을 꿈꾸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야망들이 쉽게 이루질 수 없었다. 해방과 더불어 피폐해진 한국농촌을 구원할 방도에 고심하던 裵敏洙는 大田基督敎聯合奉事會와 함께 基督敎農民學院을 설립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평생의 숙원이었던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해 농촌운동이 가장 절박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농민학원을 운영하게 되었다. 농민학원을 통하여 裵敏洙는 하나님 나라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삼애정신을 특히 강조하였다. 애신(愛神 ; Love God), 애농(愛農 ; Love Land), 애로(愛勞 ; Love Work)가 바로 그것이다. 삼애정신은 利他的인 것이 특징이다. "남 살려야 내가 산다"는 배민수의 座右銘이 그것을 잘 말해준다. 당시 19世紀末 基督敎會가 말씀 선포(kerygma)만 강조하거나, 친교(koinonia) 혹은 봉사(diakonia)만 강조하던 교회의 삼중구조에 대한 일편적인 불균형을 裵敏洙는 三愛精神을 통하여 통전적으로 접근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아직 그때까지 신학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았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하겠다. 어떤 점에서 裵敏洙의 하나님 나라 건설 운동의 요체인 삼애정신에서 우리는 그가 敎會至上主義를 극복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宣敎神學的으로 달리 말하자면 '하나님 - 교회 - 세상'의 구조가 아닌, '하나님 - 세상 - 교회'의 구조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裵敏洙의 농촌운동은 단순하게 농업개량이나, 福祉次元을 뛰어넘는 四海同胞적인 신학과 理念을 표방하고 있는데 그의 농촌운동으로서의 이 땅 위에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려는 운동은 그의 저서 "그 나라와 한국 농촌"에 잘 드러나 있다. 요컨대 裵敏洙의 民族運動이란 舊韓末 義兵運動에서 시작하여 極端的인 抗日武裝獨立運動으로 발전하였고 이어 지속가능한 농촌운동으로 변화하게 되었지만 마침내 민족주의적 한계를 극복하고 일생의 사명이었던 전세계 인류를 위한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 성숙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하여 배민수는 한국농촌을 선택하였던 것이고 삼애정신으로 그것을 꽃피우고자 했던 것이다. 義兵運動 - 獨立運動 - 農村運動- 하나님 나라 운동(삼애정신)이 그것이다. 이것은 다시 暴力的 運動 - 啓蒙的 運動 - 神國的 運動(三愛精神)으로 정리할 수도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take Bae Min Su' national movement, the process of hi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and its development. In the vortex of imperialistic and capitalistic world system ruled by western powers, the Chosun Emperor was disseized of its sovereign rights by Japan.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gone through the Im-O Army Rebellion(1882), Eul-Sa Treaty(1905) and Jung-Mi 7 Treaties(1907), Chosun was in a state of anarchy. At last Korean army was disarmed by Japan and there rose a nationwide revolt of patriotic soldiers(guerilla) in every classes. Bae Chang Kun, Bae Min Su's father, who was a sergeant of Korean army was one of the patriotic soldiers. On the last day of his death in prison, his last words meant to Bae Min Su as an enlightenment of his consciousness, resisting to Japan and of the strong will of national independence. This was the start of Bae Min Su'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Bae Min Su came to know the Christianity and he could recognize his national identity more clearly through his life at mission school. At Chungnam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foreign missionaries and patriotic youths, where Bae came to know the stories of world popular heros, such as Abraham Lincoln, he dreamed of being a national hero. With Bae's worldview and life perspective based on Christianity, his patriotic consciousness was strengthened and he had a secret ceremony with his friends tattooing on his body as a strong pledge for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could be called as a vision rather than a movement. After graduating a primary school, Bae entered Pyong Yang Soong Sil School which was one of the secondary grade schools, founded by foreign missionaries. At Soong Sil he had a most epochal experiences in his whole life, at which he organized a secret group for underground movement for Korean independence, named "Korean National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ad a similar character with the patriotic soldiers' revolt, especially its guerrilla features in its behavior.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dhered to an absolute armed-equipped resistance of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national movement was highly violent. Though Bae's violent activity was turned to the non-violent afterwards, his national movement at this time was similar to Dietrich Bonhoeffer who was against the Nazi government of Germany rather than following the non-violent resistance of Tolstoi and Ghandi. However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Branch" was detected by Japanese police before it started its first action and all its members were arrested and imprisoned. Witnessing the divisions of organizations of independence movement, Bae's recognition on national movement became to be inclined toward moderate and sustainable movement, strengthening national power when he met Cho Man Sik who raised questions on the way of national movement at that time. Bae Min Su led the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the northern province of Ham Kyung, which was, of course, non-violent movement following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Statement. Compared to his father's patriotic soldiers' revolt and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showed much changes and difference. Serving of his two terms of imprisonment as a result of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nd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realized that the violent national movement was practically impossible and he started to engage himself in the movement to uplift the rural societies. At that time the 80% of Korea was agricultural communities. Bae became to understand that enlightening the agrarians was namely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lso the national movement. However his rural movement became to face a deadlock when Japanese government regarded his rural activities as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Korean churches also understood his rural movement in a negative way. With this experience as a momentum Bae Min Su entered Pyong Yang Theological Seminary,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ological seminaries but he couldn't get an answer for his questions on rural movement even at the seminary. At last he decided to study at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in U.S.A. Different with Pyung Yang Theological Seminary claiming to stand for the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eology, the McCormick was taking a moderate middle-of-the-road theological standpoint and Bae could study with many good professors in a diverse and various theological fields. Especially, he seemed to be influenced much by Rauschenbusch's social gospel movement. An Academic experience at McCormick gave Bae Min Su a broadened worldview to overcome the limit of his national movement which could upgrade his movement to spiritual movement building God's Kingdom on earth. Upon his return to Korea, he took his office as a first executive secretary of rural mission department in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and he worked eagerly to empower the rural leaders and opened a lot of lecturing tours in rural areas. however with the decrease of supporting fund from U.S.A. due to its financial depression and the PCK's evangelical policy stressing the saving of souls, the office of rural mission department was closed. Bae Min Su had a vision to found a rural research institute with Cho Man Sik and build a Jesus Village but it was not easy for him. After Korea's Independence Bae Min Su found the Daejeon Christian Service Association and opened an agrarian school as a way to save impoverished rural communities. As means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sincerely felt that the rural movement is the only way to it and he opened an agrarian school where he emphasized three-love-spirit, "Love God", "Love Land", and "Love Work". These three-love-spirit themes showed his altruism very well and we can also find his altruistic ideas in his motto, " I can only be alive when I save others."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e churches were imbalanced in its mission of three principles,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being impartial to one of them but Bae Min Su realized its three missions holistically through his three-love-spirit themes,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Missio Dei". In some way, we could find he had already overcome the church-for-church principle with his three-love-spirit themes as a main energy for the God's Kingdom movement. Speaking in missiological view, his theological themes could be defined as "God-World-Church" rather than "God-Church-World". Bae's rural movement was beyond the simple uplift of rural society and its welfare, aiming at the altruistic ideology and theology, which is well expressed in his writings, titled " The Kingdom and Korean Rural Society. Bae Min Su's national movement has its origin in the patriotic soldiers'(guerilla or fighteous soldier) revolt in the end of Chosun Empire, developed to the armed resistance to Japan's colonialism and turned to the sustainable rural movement. Finally his national movement was matured as God's Kingdom movement which could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a limit of national movement.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found his mission field in Korean rural communities and developed his three-love-spirit themes. Bae's main themes which influenced his whole life could be defined as the patriotic(fighteous) soldiers' movement - the independence movement - the rural movement(three - love - spirit). In other way, it could be also summarized as violent movement - enlightenment movement - new national movement (God's Kingdom = three-love-spirit).

      • 종교 교육적 핵심가치의 비교 연구 : 유교와 기독교를 중심으로

        최상권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275

        This study aims to find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with theoretical argumentation, to assure the disciplines of educational context and their original meanings in regard to the core value of Confucian and Christian education in the social aspect of religious pluralism, and to search for the methodology of them.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Confucianism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based on making people become men of virtue to build the collective community, which can be founded by perfect people with benevolence.By the way, the purpose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Christianity is the recovery of God's kingdom. That is, man gets along well with God by the salvation from human degeneracy, so that he can make himself a good Samaritan to help people to grow as a sound Christian which is the practical aspect of Jesus' love.With both positions above, I conclude that these values are similar because both of them put emphasis on 'love, understanding, and respect' so that they can offer the reason why people should live together, although we should exclude the regional gap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m. Therefore, both of them belong to 'humanics', whether they focus on family or humanity itself as a God's creativity. That is, they have human in common which explains why 'I' and 'others' exist in a community.There have been rare studies which compare the core values of both religions in respect to education, because until now most of the comparative religious approaches have strong dominance perspective for only their own position. In this case, this study is the start for 'unity and harmony' in the integration of the core values of both benevolence and love in the comtemporary religious pluralism. The research and methodological approach should be continued to seek for the possibilities of advanced religious education on either 'confucian Christian education' or 'Christian confucian education'. 본 연구는 ‘종교 교육적 핵심가치의 비교연구’로서 기본적으로 현실적인 종교 다원주의적 사회상의 모습을 인정하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다원화되는 사회적인 상황 속에서 야기되는 개방적인 ‘종교 교육학’의 관점에서 유교와 기독교 교육의 핵심가치를 통하여 교육적인 내용의 교훈과 근본정신을 확인하고 그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하여 나타나는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해 봄으로써, 이론적인 논의와 현장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천적인 의미를 함께 찾고자하는 목적을 갖고 있는 연구이다.먼저 공자의 ‘논어’를 중심한 유교의 교육적 이념은 ‘인’을 중심한 ‘군자’와 같은 덕 있는 인간을 양성하고, 그러한 이상적인 인간상을 구현하여 이루는 공동체인 ‘대동 사회’를 지향함을 그 교육적인 목적으로 삼았다.예수의 '사랑'의 실천적 모습을 통하여 나타나는 기독교의 교육이념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여 절대자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를 원만히 하는 것과 인간을 건전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게 하는 봉사자가 되게 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의 회복을 궁극적인 교육의 목적으로 삼았다.이와 같은 양자의 입장을 살펴보면서 연구자가 정리한 잠정적인 결론은 결국 두 가지의 핵심적 가치가 ‘하나’ 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사랑, 공자의 인에 대한 지역적 차이 및 시대적 배경과 출발점은 다르나 모두 사랑함으로써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과 공경함으로써 서로 타인들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야 하는 근거를 제공해 준다. 그러므로 결국 두 입장 모두 ‘인간학’이라는 큰 범주 아래 묶일 수 있을 것이며 양자의 강조점으로 인하여 가족의 범주를 강조하고 하나님의 창조물인 모든 인간을 강조하는 입장이든 그 핵심적 공통분모는 바로 인간이며 ‘나’와 ‘타인’이 함께할 수밖에 없는 가장 중요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각각의 시대에 지금까지 많은 역사상의 인물들에게 영향을 주면서 변화의 시간을 거쳤던 두 종교의 모습이 서로의 한계성과 보편성을 지니면서 다른 형태의 사랑으로 드러난 것이 양자의 모습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다.지금까지 대부분의 비교 종교적인 접근이 각자가 소속된 종교의 입장에 입각하여 주로 배타적이고 지배적인 관점의 내용이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종교 교육적 차원에서의 양자(兩者)간의 입장을 비교하는 연구는 극히 드물었다. 그와 같은 의미에서 본 연구는 현실의 종교 다원주의적 상황에서 인과 사랑이라는 두 종교의 핵심가치를 통하여 조화적인 입장을 갖고 종교교육학적인 관점에서 ‘하나 됨 그리고 조화 및 화합’을 도출해 낼 수 있다는 조그마한 시작점을 발견한 것에 불과하며, 더욱 더 심도 깊은 양자에 대한 연구와 더 폭넓은 방법론의 접근을 통하여 ‘유교적 기독교 교육’ 또는 ‘기독교적 유교 교육’으로의 심화된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더 많은 유교와 기독교 교육의 학자들이 이러한 주제를 갖고 서로 대화하고 지혜를 모으는 개방적인 종교 교육적 시도가 앞으로도 계속되기를 바란다.

      • 삼애 배민수 목사의 사회적 성숙성 연구 : 심리전기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황해국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32989

        본 연구는 성숙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제 강점기 시대와 해방, 그리고 동족상잔의 비극이라는 격정의 시대를 살면서도 삼애 사상을 가지고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 땅의 농촌과 약자를 사랑하고 동시에 근면과 노동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고자 노력 했던 한 목회자의 성숙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배민수의 삶을 심리이야기 전기의 방법론에 따라 성숙성의 이야기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둘째, 배민수의 성숙성의 이야기를 통해 개인주의를 넘어 공동체에 대한 돌봄을 지향하는 성숙성의 개념을 발굴하는 것이다. 셋째, 배민수의 성숙성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와 공동체를 위한 치유적 비전과 목회 돌봄의 모형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리이야기 전기의 방법론을 통하여 배민수의 삶의 이야기를 성숙성의 이야기로 재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발견된 배민수의 성숙성을 본 연구자는 ‘사회적 성숙성’이라고 명명하였다. 배민수의 사회적 성숙성의 이야기의 구조는 그가 어릴 때부터 가졌던 긍정적인 삶의 이야기 톤으로 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불멸의 욕구의 동기로 작용했던 아버지의 죽음과 유언, 그가 처했던 사회적 맥락, 그리고 그가 가졌던 기독교 정신이 배민수의 삶의 뼈대를 형성하였던 문화적 요청과 신념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신념 아래 배민수의 삶은 개인주의를 넘어 사회와 국가 공동체를 위한 일신의 희생으로 확장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성숙성의 그림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배민수의 삶의 주요 주제는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이 땅을 위해 헌신하리라’였으며 이 신념은 타인과 사회와 소외된 자를 위하여 ’자기를 부정‘하는 삼애 주의로 구체화되었다. 배민수는 개인주의적 연속성 차원의 성숙성 개념을 뛰어넘어 이웃, 특히 소외된 자를 향한 헌신과 희생으로 그의 삶의 이야기를 써내려갔는데 이것은 그의 십자가 신학의 성육화였다. 이는 죽음으로서 부활하는 진리, 곧 자신을 희생함으로서 모두를 살리는 자기부정에서 자기 확장을 이루는 역설적인 삶의 음조를 보여준다. 그는 이러한 성숙성의 음조를 삼애 주의의 삶의 신학을 통해 세상 속으로 성육화 했는데 이를 본 연구자는 ’배민수 목사의 사회적 성숙성‘으로 명한 것이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한 개인의 성숙성의 이야기를 통해 개인주의를 넘어 공동체에 대한 돌봄을 지향하는 성숙성의 개념을 발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배민수목사가 보여주었던 사회기여적인 요소를 정리하여 ‘사회적 성숙성’으로 명명함으로서 이 시대에 가장 적합하고 필요한 성숙성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세 번째 목적과 관련하여 본 연구자는 배민수의 성숙성의 이야기를 통해 발굴한 사회적 성숙성의 개념을 목회 돌봄에 적용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성숙성의 이야기를 통해 공동체에 대한 돌봄을 지향하는 목회 돌봄의 모형을 발굴하는 것이다. 배민수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도출하여 낸 ’사회적 성숙성‘의 이야기는 희생하는 개인들, 헌신하는 개인들의 성숙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성숙한 사회, 즉 현세 천국을 이루어가는 순환적이고 확장적인 형태를 지니고 나타난다. 따라서 목회 돌봄은 성숙한 사회로 가는 길을 촉진하고 이 성숙한 사회의 토양이 성숙한 개인을 양육해 내는 순환적 기능을 촉진한다. 본 연구자는 순환적인 사회적 성숙성의 개념과 이와 같은 확장, 그리고 성숙한 사회를 위한 목회 돌봄적 개입을 ‘사회적 성숙성의 확장 순환적 밀알모형’으로서 모형화 하여 이를 제시하였다.

      • 마태복음의 진주를 구하는 상인의 비유 : The Parable of Pearl Merchant in Matthew's Gospel (Matt. 13: 44-45)

        룻 키루바 Hyupsung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 2022 국내석사

        RANK : 184284

        The Parable of the pearl merchant in Matthew's Gospel, is often examined and interpreted in the allegoric form rather through the literary lens. In addition to this the early interpretations of the theologians and the early Church fathers tend to place the focus on the pearl rather than the parable as a whole. This thesis, examines the parable as a whole in the context, through the Socio historical background and by re-reading the parable through the lens of a novel. This, helps to shift its focus from the pearl to the significant character of the parable, the pearl merchant who is referred to as the Kingdom of heaven. The Parable of the pearl merchant is an invitation by Jesus to live in a community depicting God's sovereignty. A community, that is not dominated by the economically privileged, but treat the common man an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ith acceptance and due respect that counters the social structure of the roman empire. Moreover, The Parable fundamentally defines the Kingdom of Heaven. Kingdom of heaven also means the Kingdom of God, referring to the sovereignty of God. In Matthew's Gospel it is found that Jesus along with God shares the authority on heaven and earth, reflecting the presence of God in the incarnated form. The deeds and teachings of Jesus represented the Kingdom of Heaven. To conclude, the focus of the parable is on the Kingdom of Heaven, being referred as a pearl merchant, whose character and response to a situation was unbiased, regardless of the evil structure of the roman imperial society. The Parable of the pearl merchant in Matthew's Gospel, is often examined and interpreted in the allegoric form rather through the literary lens. In addition to this the early interpretations of the theologians and the early Church fathers tend to place the focus on the pearl rather than the parable as a whole. This thesis, examines the parable as a whole in the context, through the Socio historical background and by re-reading the parable through the lens of a novel. This, helps to shift its focus from the pearl to the significant character of the parable, the pearl merchant who is referred to as the Kingdom of heaven. The Parable of the pearl merchant is an invitation by Jesus to live in a community depicting God's sovereignty. A community, that is not dominated by the economically privileged, but treat the common man an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ith acceptance and due respect that counters the social structure of the roman empire. Moreover, The Parable fundamentally defines the Kingdom of Heaven. Kingdom of heaven also means the Kingdom of God, referring to the sovereignty of God. In Matthew's Gospel it is found that Jesus along with God shares the authority on heaven and earth, reflecting the presence of God in the incarnated form. The deeds and teachings of Jesus represented the Kingdom of Heaven. To conclude, the focus of the parable is on the Kingdom of Heaven, being referred as a pearl merchant, whose character and response to a situation was unbiased, regardless of the evil structure of the roman imperial society.

      • 이스라엘 역사를 통해 본 제사장 나라 : 출애굽기 19장 1-6절을 중심으로

        최사무엘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67452

        본 논문은 이스라엘 역사인 구약 성경 전반에 나타난 ‘제사장 나라’에 대해서 조명하는 연구 논문이다. 공식적인 제사장 나라의 출현을 알리는 본문인 출애굽기 19장 1-6절에 등장하는 제사장 나라는 갑작스럽게 형성되고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여호와 하나님과 족장 아브라함 사이에서 맺어진 ‘언약’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Ⅰ장에서는 연구를 위해 본 논문의 주제인 ‘제사장 나라’를 깊게 이해하기 위한 중심 단어가 되는 ‘제사장 나라’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본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이스라엘이 여호와 하나님께로부터 제사장 나라가 되기 위해 ‘거룩’과 ‘부르심’을 살펴보며, 제사장 나라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부르심의 출발이 아브라함에게서 되었다는 사실과 출애굽기 19장 1-6절을 중심으로 이스라엘이 감당해야 하는 제사장 나라의 역할과 직무를 연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이스라엘이 제사장 나라로서의 출발과 기원이 ‘아브라함 언약’에서 되었다는 사실과 공식적인 제사장 나라의 출현을 알리는 ‘시내산 언약’과 이를 보존하는 ‘다윗 언약’에 이르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구약 성경에서 ‘성전’이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된 단어들의 개념을 먼저 정리하였다. ‘성전’이라는 건축물이 구약 성경에서 갖는 의미와 성전의 출발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살펴보며, 이러한 내용들이 제사장 나라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이 논문의 중심 논지인 “여호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제사장 나라로 이루시기 위해 항상 신실하셨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구약 성경 안에서의 사례로만 근거를 삼았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말씀을 잘 지켰던 성공적인 사례와 그렇지 못하였던 실패적인 사례 및 그럼에도 하나님은 여전히 제사장 나라로 이루시기 위한 신실하심으로 이스라엘을 회복에 이르도록 하셨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제Ⅵ장에서는 이스라엘이 제사장 나라가 되기까지 갑작스럽게 부르심을 받은 것이 아닌 족장들과 맺은 언약을 기반으로 제사장 나라가 시작되었다. 제사장 나라는 여호와 하나님만 섬기도록 ‘언약’을 지키고 주어진 ‘토라’를 지켰어야 했다. 이스라엘은 ‘언약’을 통해 제사장 나라가 되었음에도 토라를 잘 지킬 때도, 그렇지 못한 때도, 여호와 하나님은 언제나 신실하셔서 이스라엘을 지속적으로 제사장 나라로 이루어 가셨다. 오늘 날 우리는 이 사실을 기억하여 ‘말씀을 살아가는 삶’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날까지 거룩한 성도로 살아가야 할 것이라고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정리하였다.

      • 김창준의 생애와 윤리사상 : 통일이후 시대의 창조적 이데올로기로서 기독교 사회주의 연구

        추연복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3963

        This is the first study on the life, work and ethical thoughts of Chang-Jun Kim, a Christian socialist i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It aims to propose an adequate Christian socialism as a creative and positive worldview, which would I suppose, bring forward the date of reunification, leading both South and North Korea to integration and mutual living and filling up the ideological deficit after the reunification. Two methods were applied here: First, ''''''''historical approach'''''''' is using the primary sources and historical documents of the church history. Second, ''''''''autobiographical method'''''''' is seeking the values in one''''''''s inner spirit which related with one''''''''s faith and herhis life style.Chang-Jun Kim has been studied so far mainly in historical discipline. My thesis, however, aims to illuminate him anew and organize things untouched systematically from the ethical perspective. For this, I deal with his own handwriting Memoirs for the first time, including his involvement in Independent Movement in 1919 and its background, as its result, his imprisonment and then his study and pastoral ministry in the United States. And I attempt to uncover, for the first time too, his efforts to build a faith community in Manchuria after his being fired from the Methodist Seminary, his life in Yang-pyeong before the Independence, and his political activities for the people liberation and for the national autonomous reunification. Above all, it is noteworthy of his political activities in building the North Korean regime after his decision to stay in North Korea and his consistent movement for reunification.Kim was born in Jeungsan-myeon, Kangseo-gun, Pyeong-an-nam-do, May 3, 1890. He lived both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suffered during the Imperial Korea, the Japanese Annexation with Korea,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Liberation, and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e was a true Christian who struggled to overcome all the suffering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in Korea. And he was also a Christian socialist and a liberation theologian who overcame the elitism and its epistemological limitation. He was really an apostle struggling to build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by speaking for the most Marginalization and the Oppressed. All the more, he loved people as they are and acted up to what he said as a disciple of Jesus Christ.In the colonial age, he fought for the national liberation both as an activist and a theologian. And, after the emancipation, he committed his life to accomplish the autonomous reunification of Korea and to build the democratic regime in which the people become the subject. What he concerned was how to encounter the socialist movement with the authentic spirit of Jesus. Only through this way did he think that he could accomplish the task of the people liberation and of the autonomous reunification beyond the division of Korea. For the task, he was even prepared for the death. He insisted that Christians should fight in order for Korea not to be a colony again by the imperialists, by this turn, from the United States.Kim's ethical thoughts can be summarized by four points: First, he emphasized the 'Nachfolge Ethik' which depended on the liberal Christology focusing on Jesus' ethical ideal. His life was devoted to live as Jesus Christ lived. Jesus Christ was a model as well as an ideal who wish to learn from and resemble in his life. And Jesus Christ was the Savior, an Ideal and the Paragon. Further 'Nachfolge Ethik' of Chang Jun Kim emphasized unity of Jesus' through the life.Second, his 'love of the Cross' and 'Sympathy ethic' was social reformational and participatory. He explains 'love of the Cross' to save the human being from a fallen sin in the name of Jesus Christ and to reconciliation mankind. And 'Sympathy ethic' is a spirit to love person as shehe is. This is a practical method to sustain human right and understand a manwoman as a special being God crated. It also demands us to sacrifice ourselves for other's agony and share other's pains.Third, his'Kingdom of God movement' wa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ocial Gospel with which he attempted to make Korea and the world into the Kingdom of God. Chang Jun Kim also built the thought of 'Kingdom of God' from the thought of Heaven which was a center of his life and direct instruction of Jesus Christ. He proclaimed that the movement of 'Kingdom of God' can be realized from close connection with God's created world rather than it is made from Heaven, far from our present. He yearns to realize family life in this world connected with God by pursuing ultimate equality of human being.Finally, 'Christian Socialism', his central thought, was a Christian egalitarianism with which he sought a family life equal to each other and with which, he thought, Christianity and Socialism could be complementary.I thought Kim's Christian socialism contains a possibility as a creative ideology which would be inevitable factor for the post-reunification Korean peninsula. It could be a creative alternative because it understood Christianity and Socialism as complementary not as the extreme opposites. It could fill up the gap of the long partition. 본 논문은 기독교 사회주의자 김창준의 삶의 여정과 활동 그리고 윤리사상을 기독교 윤리학적인 관점에서 다룬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본 논문은 탈냉전의 세계사적 흐름과 정보화, 민주화의 영향 속에서 한반도의 통일을 앞당기는 동인으로 그리고 통일이후 시대의 이념공백을 메우고, 남한과 북한을 통합과 상생의 길로 인도하는 창조적이며 긍정적인 세계관으로서 적합한 기독교 사회주의를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두 가지 방법론으로 진행되었는데 첫째, 교회사의 제1차 사료와 역사문헌 자료를 개발 ․ 활용하는 ‘역사적 접근’방법과 둘째, 신앙과 삶의 양태를 일관적으로 이어주는 내면적 가치를 찾기 위한 ‘자서전적 연구 방법’이 그것이다.특별히 본 논문은 김창준에 대한 그간의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부분들을 새롭게 조명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김창준의 친필 회고록을 토대로 하여 3 ․ 1 운동 참가상황과 배경, 옥중생활, 그리고 미국 유학과 목회 활동을 새롭게 언급하였다. 그리고 감리교 신학교에서 해임당한 후 만주에서의 신앙 공동체 건설 노력과 해방 전 귀국하여 양평에서의 생활, 해방 이후 민중 해방과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위한 김창준의 정치활동을 처음으로 밝혔다. 무엇보다도 1948년 4월 김창준의 북한잔류 이후 북한정권 수립에 참여한 정치활동과 지속적인 통일운동에 대한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김창준은 1890년 5월 3일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에서 태어났다. 그는 남한과 북한에서 살았으며 대한제국, 한일합방, 일본 제국주의 시대, 해방 전후사, 분단국가를 살았다. 그는 우리 민족의 근대화 과정에서 모든 고통과 질고를 경험하고, 그것을 극복하고 이겨내기 위해 투쟁한 참된 기독교인이었다. 또한 김창준은 엘리트주의를 넘어서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한 기독교 사회주의자요 민중적 해방신학자였다. 그는 계층의 차이를 초월해서 사회에서 가장 소외받고 억압받던 소수의 목소리를 대변했고, 이 땅에 참된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사도였다. 무엇보다도 사람을 사람 그대로 사랑했고 신앙과 삶이 일치했던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였다.김창준은 일제 식민지 시대에는 독립운동가요, 신학자로서 민족해방을 위해 투쟁하였다. 그리고 해방공간에서는 반제, 반봉건의 목표아래 조국의 자주적 통일과 인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주의 국가건설을 위해 헌신하였다. 그가 고민했던 것은 예수의 참된 정신과 사회주의 운동과의 조우였다. 이것을 통해서만이 민족의 분단을 넘어서는 민중해방과 자주통일의 역사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게다가 김창준은 목숨까지 바칠 각오로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위해 투쟁하였다. 그리고 미 제국주의에 의해 다시금 식민지 국가로 전락하는 것을 반대하면서 기독교인들의 사회적 투쟁을 촉구하였다.김창준의 윤리사상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제자직 윤리’는 예수의 윤리적 이상을 강조한 자유주의적 기독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삶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는 배워야 하고 닮아 가야하는 모본인 동시에 이상이었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는 구세주이고 동시에 생의 이상이며 전형이었다. 더 나아가 김창준의 ‘제자직 윤리’는 삶에 있어서 예수와의 합일을 강조하였다.둘째, ‘십자가 애’와 ‘동고 윤리’는 사회 변혁적이고 참여적 신학 양태를 띤 김창준의 십자가 신학에 대한 이해이다. 김창준이 피력하는 ‘십자가 애’는 죄로 인해 타락한 인류를 예수의 이름으로 구원하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화목함을 얻어 인류 전체를 하나님의 한 가정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그리고 ‘동고 윤리’는 사람을 사람으로 사랑할 수 있는 정신이다.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귀중한 존재로서 사람을 이해하며 인권을 유지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이다. 또한 ‘동고 윤리’는 타자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타자를 위해서 자신이 고통당할 수 있을 정도의 신앙적 용기를 요구한다.셋째, ‘천국 운동’은 사회 복음적 하나님 나라 윤리사상과 직결되는 것으로 한반도와 세계를 하나님 나라로 만들고자 부단히 노력한 김창준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김창준은 예수의 교훈과 생활전체의 중심이었던 천국사상을 통해서 자신의 하나님 나라 사상에 대한 정의를 세웠다. 그는 천국운동을 하늘 저편을 향한 운동으로 파악하지 않고, 역사 안에서 하나님의 피조 세계와 더불어 만들어 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인류의 절대평등을 추구하면서 하나님과 연락된 일대 가족적 생활을 이 땅에서 먼저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마지막으로 ‘기독교 사회주의’는 김창준이 주장한 기독교적 평등주의 사상이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평등 지향적이며 가족적 생활을 추구한 그의 핵심사상이며 기독교와 사회주의와의 관계를 상호 보완적이며 둘이 융합하고 조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김창준의 기독교 사회주의는 통일이후 시대 한반도에 필요한 창조적 이데올로기로서 그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통일이후 시대의 이념공백을 극단적인 좌 ․ 우 이데올로기로 메우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와 사회주의와의 만남을 긍정하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이해한 기독교 사회주의로 이끌어 가는 것은 한반도를 상생과 통합의 길로 인도할 수 있는 창조적 대안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