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centering o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 중국과 한국 중학교 영어 교과서 비교분석 : 듣기 및 말하기 활동 중심으로

        서춘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32318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과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대해 듣기와 말하기 활동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이들 교과서들이 국가 영어 교육과정을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이들 교과서에서 듣기와 말하기 활동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김 은주(2001)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들에서 듣기와 말하기 활동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를 비교할 때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주로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JEFC(중국)에서 총 522개의 듣기와 608개의 말하기 활동이 있었으며 Doosan(한국)에서는 194개의 듣기와 329개의 말하기 활동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중학 영어 교과서에서의 듣기 부분과 한국 중학 영어 교과서에서의 말하기 부분은 국가 영어 교육과정의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없었다. 중국의 경우 비록 듣기 활동이 수적으로 매우 많지만 진정으로 교육과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활동은 비교적 적었다. 한국의 경우 "듣고 말하기" 활동이 너무 적어 교육과정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중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말하기에 초점을 둘 것을 요구하지만 실제 교과서에서는 들은 내용을 다시 말하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중국의 말하기와 듣기 활동은 한국의 2배에 달하지만 대부분은 주어진 격식에 맞추어진 것으로 창의적인 활동이 매우 적어 한국의 교과서와 대조적이다. 특히 79.4%에 달하는 듣기 활동은 단순하게 들은 내용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언어 사용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셋째,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에서 말하기 활동은 주로 2인 혹은 그룹으로 된 학습이 주를 이루고 있어 듣기 활동과 대조적이다. 중국의 교과서에서 58%에 달하는 듣기 활동은 활동 주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었으며 한국의 교과서에서 94%의 듣기 활동은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것이었다.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는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 조성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활동이 비교적 많았으며 중국의 경우 반응 유형과 자극 유형이 단일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Doosan의 교과서는 JEFC에 비해 교육과정의 요구를 더욱 잘 반영하고 있으며 중국의 교과서 편집자들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격려할 수 있는 내용을 더 많이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중국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영어 교과서의 활동 유형별 선호도에 관련된 연구를 계속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pres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China and Korea by analyzing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how well the textbooks, JEFC for China and Doosan for Korea, have met eac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nounced by Chinese and Korean Ministries of Education, and how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are presented in the current textbooks. On the basis of Kim (2001)'s research, this modifies its purpose and focuse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find how well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are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and w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m. In this study, altogether 522 listening activities and 608 speaking activities in JEFC, and 194 listening activities and 329 speaking activities in Doosan a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istening part of JEFC and the speaking part of Doosan are not very well presenting the requirements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a. In the neglecting of JEFC's listening activities, due to the large number of simple recitation, only a few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evant to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Doosan's speaking activities, although required in the curriculum, there are not many "speaking after listening" activities, which causes an unbalanced presentation of the curriculum. Secondly, after the frequency analysis, it was found that JEFC textbooks depend more on the audio-lingual method, although it is announced in the curriculum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Korea's more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JEFC textbooks have double the number of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of Doosan's; however, most of those activities are simple imitation rather than creative language uses. Especially 79.39% of the listening activities are just repeating of what students have listened to. Thirdly, in learning subjects in the speaking activities much stress is laid on pair/group work in both JEFC and Doosan, while more than 58% of the listening activities in JEFC have not given clear instructions about the learning subjects, and more than 94% of the listening activities in Doosan are referred to in individual student work. For the types of activities, most of JEFC's and Doosan's activities are controlled or closed, creating a great limit for students to practice more English freely in the classroom. For the types of response and stimulus, JEFC has a tendency of over simplification. In the end, from the results above,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Doosan textbooks are more balanced in presentation than JEFC's no matter its relevance to the curriculum or in the actual presentation of the activities. Therefore, for suggestions, Chinese textbook writers should develop more creative activities that can motivate students and make students the center of the classroom. This study calls for further studies that explore various activities students prefer in the English textbooks.

      • Validation of reading material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라문선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7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South Korea’s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emphasize consistency in education, including English education. However, it is not clear how effectively the objective of consistency is implemented. As classes are highly mediated by textbooks in South Korean schools, this thesis aims to ascertain the consistency of reading material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 mixed methods approach that included analysis and materials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six textbooks. First, textbooks were analyzed in accordance to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an impressionistic and in-depth method of materials evaluation. Next, the Coh-Metrix computational tool and other linguistic analysis tools were used to analyze the readability and text-easibility of reading materials of six textbooks. To substantiate the appropriateness of usage of Coh-Metrix values to analyze locally developed materials, correlations among sixteen Coh-Metrix indices were discussed. Lastly, an in-use evaluation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as carried out through interviews with fifteen teachers of first-year high school English (U.S. grade 10). Results revealed that textbooks demonstrated a high degree of cohesiveness in term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imilarly, readability indicators and text-easibility values demonstrated to a certain extent similar patterns among reading materials of different textbooks.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reflect the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to a fairly high degree. Accordingly, if these textbooks were to be fully utilized in the classroom context, the efficacy of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would be validated. However, in-use evaluation of the textbooks via interviews revealed discrepancies between the policies of the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he realization of these policies at the school level.

      • A HISTORICAL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IN UZBEKISTAN: with reference to cultural components : 우즈베키스탄 영어교과서의 역사적 분석: 문화적 내용을 중심으로

        파티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7

        ABSTRACT. Foreign language textbooks are major resources for teaching culture to student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students to promote cross-cultural understandings. This thesis discusses how cultural components are introduced in fiv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of Uzbekistan that were used in three different periods: the USSR period, after-independence period, and now. The cultural components analyzed are holidays, cities & countries, dresses, dining habits, and sports & games. The analyses of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five Middle English textbooks reveal that treatments of cultural content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situations of Uzbekistan in different modern times. English textbooks under the Soviet Union period contained disproportionately large amounts of Soviet culture. But after Uzbekistan gained independence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in the early 1990s, English textbooks began to include more Uzbekistan and western cultures. This new trend is more palpable in the recently developed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more Russian cultures be included in future Uzbekistan English textbooks to rebalance the overly pro-western cultural orientation in current English textbooks. Conclusion By analyzing culture components in all five books we come to conclusion that all three period includes different cultures in English textbooks. “English Textbook Reader 7” represents the first period of English textbook in Uzbekistan. It is mainly concerned with Russian tradition and culture, which is demonstrated in the texts related with countries. The main idea is patriotism and love of all Soviet socialist countries: to make people remember only Soviet Union holidays such as ‘Revolution Day’, ‘Victory Day’ and to remind students that the Soviet Union is one of the most powerful countries in the world. In this period most of texts dedicated for USSR. The second and third book “English Matters 7” and “Fly High English 5” represents the second period of English textbooks. “English Matters 7” was published after the independence of Uzbekistan in 2002, contains 12 items of western culture and only three items of Uzbek culture. “Fly High English 5” was published in 2003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Uzbekistan, which changed textbook “English Matters” for the “Fly High English” series. The third book “Fly High English 5” published in 2003 shows three items of Uzbek culture and only one item of Western culture. This period includes Uzbek and British cultures, but not Russian culture. The fourth and fifth books “Fly High English 6” and “Fly High English 7” represents to the third period of English textbook in Uzbekistan. “Fly high English 6” contains seven items of western cultures and only two items of Uzbek culture. The authors in this book focused on western culture. “Fly High English 7”, which was published in 2013, contains six items of Western culture and six items of Uzbek culture. The authors of these books integrated both Uzbek and Western culture equally. It includes country’s holidays, sports and games, dress and food of both cultures. In this period English textbooks contains Uzbek,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Through these English textbooks the students are learning more about world cultures and traditions. By analyzing of the third decade of English textbooks, we can see that the students of the 21th century of Uzbekistan can learn diverse cultures of the world. It would be better, if future English textbooks add some more information about Russian cultures. 외국어교과서는 학생들에게 문화를 가르치는 주요한 자료로서 학생들의 문화간 이해력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논문은 우즈베키스탄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문화적 내용을 구 소련 시절, 독립 후 시기, 현재의 세가지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문화적 내용들은 공휴일, 도시 및 국가, 복식, 식습관, 스포츠 및 경기의 다섯 가지였다. 분석 결과, 우즈베키스탄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포함된 문화적 내용들은 우즈베키스탄이 처한 정치적 환경에 따라 시기별로 강한 영향을 받았음이 확인되었다. 구 소련 시절의 영어 교과서는 소비에트 문화적 내용을 과도하게 포함하고 있었으나, 1990년대 초 우즈베키스탄이 구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에는, 영어 교과서에 우즈베키스탄 및 서구 문화들이 소개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새로운 추세는 최근에 개발된 영어교과서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될 우즈베키스탄 영어교과서는 서구 문화 소개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 러시아 문화들도 소개할 것을 제안한다.

      • Are authorized English textbooks in authentic English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a corpus study on conversation sections

        최사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7

        최근에는 급격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을 언어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수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이 중에 주목을 받고 있는 활용 방안으로는 코퍼스 언어학이 있다. 본 논문은 중학교 영어 교과서 코퍼스와 일반 언어 코퍼스를 비교 분석하는 논문으로써 코퍼스 언어학이 제공하는 다양한 이점들 중에 교재 개발에 대해 연구를 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 언어 자료의 중요성에 근거를 두고 행해졌다. 현행 검정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사용되는 영어의 실제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대화가 다른 언어 사용역들에 비해 구분되는 요소들을 기준으로 총 다섯 가지 언어 요소들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다섯 가지 요소인 TTR (Type Token Ratio), 의문문, 관계사절, 단어 강세, 그리고 언어 수행 현상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선택된 언어 요소들을 다섯 출판사에서 출판된 총 15권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실제 영어와의 비교 분석을 위해 LGSWE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Grammar)를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다섯 출판사를 선택한 기준은 본 연구에서 178명의 중학생에게 실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채택하였다.코퍼스 비교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행 중학교 영어교과서와 실제 언어의 유사점은 대화 부분에 있어서 표준화된 평균 TTR가 실제 영어의 평균 TTR와 유사하였으며, 고학년에 이를수록 상승을 보였기 때문에 어휘에 있어서 단계 학습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언어적 요소들 중에는 실제 영어와 차이를 보이는 것이 많았다. 첫째, 의문문에 있어서 실제 영어에서는 yes/no questions가 가장 일반적인 질문인 반면에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는 wh-questions가 지배적인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실제 영어에 있어서 tag questions가 질문 4회에 한번씩 사용되는 반면에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는 매우 드물었다. 이 중에 negative tags가 더 많이 사용되는 것이 실제 영어 사용의 경향성인 반면에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positive tags가 더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선택 의문문 또한 실제 영어에 비해 극히 드물게 사용되었다. 둘째, 관계사절의 빈도수와 분포가 실제 영어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에 사용되는 관계사의 빈도와 분포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 영어의 단어 강세에 대한 설명과 규칙들의 부재가 보였으며 영어 발화 수행 시에 나타나는 현상들이 실제 영어에 비해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실제의 영어와 비교해서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와 차이를 보이는 몇 가지 요소들을 제시하면서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사들에게 자신들의 교수법에 의해 보강되어야 함을 알리고자 한다. 둘째, 교육행정가들에게 현행 중학교 영어 교과서들이 제 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알리고자 한다. 셋째, 교재 개발자들과 교재 출판사들에게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적용되어야 할 실제 영어의 경향성을 알리고자 한다. 넷째, 코퍼스에 근거한 언어 교육의 이점들을 강조함으로써 교사와 교재 개발자들뿐 아니라 영어 학습자들이 코퍼스를 사용함으로써 영어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통해 실제 영어에 대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numerous investigations have been devoted to how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can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One specific area on the computer frontier which has gained significance and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EFL learning and teaching is corpus linguistics. Among the various benefits that corpus linguistics provides, the present study explored one possible pedagogical implication of corpus linguistics: material development. This textbook corpus analysis reports on an investigation into five main features of English: type token ratio (TTR), independent interrogative clauses, relative clauses, word stress, and performance phenomena represented in conversation sections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used in Korea. The study builds its foundation upon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uthentic language materials in English textbooks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examine the authenticity of the five features in the selected fiftee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each of the five features were compared to those in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LGSWE). A total of fiftee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rom five publishers were selected based on responses from 178 middle school English students in a student survey questionnaire. The instrument for the corpus analysis was the software Oxford Word Smith Tools 4.0.According to the comparative corpus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o start with, the similarities betwee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uthentic English are that the expected TTR increase at higher grades does appear in the overall standardized TTR of the selected fiftee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linguistic features where discrepancies appear betwee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uthentic English. Whereas yes/no questions are the most common type of independent interrogatives - because questions are chiefly used not to seek information but rather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common ground among participants in natural occurring conversations - wh-questions are strikingly the sole dominant type of independent interrogative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lso, the infrequency of tag questio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s problematic since the nature of questions is that every fourth question is a question tag (Biber, 1999). In addition, the higher percentage of positive tags compared to negative tag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violate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tag question types in authentic conversations. Also,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relative clauses used with human head nou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authentic English. Furthermor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show a great lack in presenting word stress and performance phenomena both in frequency and distribution.By presenting some features of English in conversation sections that show controversies with their authentic equivalents, the study proposes suggestions to 1) inform present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on some insufficient aspects of present English textbooks which need to be supplemented by their own pedagogy, 2) act as helpful material to educational administrators in investigating how much pres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meeting the goals of English educ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3) provide useful research material for English textbook publishers or developers to apply the insights of authentic English in publishing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the 8th national curriculum, and 4) give emphasis on the benefits of corpus-based learning which can not only help teachers and textbook developers, but also enable EFL learners to carry out learner-centered language learning by developing their own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properties of natural authentic language examples.

      •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 5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혜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연구에서 2002년부터 단일종인 국정교과서로 새로 개정된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여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지침에 따라 의사소통기능, 어휘, 게임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방향에 의거하여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초등 영어교사와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했다. 그에 따라 영어 교과서의 장 · 단점 및 취약점을 제시하여 향후 교재 사용자의 요구 및 수준에 맞는 교재를 개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의사소통기능에서 보면 초등 영어 교과서가 단순한 사실을 묻고 답하는 기능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앞으로의 교재는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상황을 표현하는 의사소통비율을 적절히 균형 있게 배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어휘 측면에서 보면 단원별 신출 어휘 수의 차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나 학습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게임 측면에서 보면 전반적으로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의사소통기능에 부합하여 구성되었다. 음성언어 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주로 전체 활동과 조별활동이 많았는데 이 점을 고려하여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게임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에 대해 초등 영어교사들의 만족도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교과서의 전체적인 구성 측면에서 보면 초등 영어교사들은 현재 영어 교과서가 초등영어 교육목표에 부합하며, 일관성과 통일성을 고려한 것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기능 측면에서 보면 교사들은 문자언어 활동이 음성언어활동에 비해 수업내용의 비중이 낮고 학생들의 수준에 부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어취 측면에서 보면 교사들은 단원별 신출 어휘 수의 차가 다소 크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점은 학생들의 학습적 부담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교재 제작 시 적절하고 고른 신출어휘가 제시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넷째, 게임 측면에서 보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게임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며 게임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면에서도 고무적인 반응이었다.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에 대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전체적인 구성 측면에서 보면 학생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영어교재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기능 측면에서 보면 학생들이 느끼는 영어 교과서의 쉬운 부분으로 듣기와 말하기를, 어려운 부분으로는 읽기와 쓰기로 조사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음성언어 학습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어휘 측면에서 보면 대체로 영어 교과서에 나오는 단어의 난이도나 단원별 신출 어휘 수에 대해 적절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또 신출어휘 제시 시 어휘 의미의 정확한 인지에서도 다수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게임 측면에서 보면 학생들은 영어 교과서 내 게임의 설명부재로 게임방법을 이해하는데 어려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점은 교사용 만족도 결과에서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의 교재 제작 시 이 점에 주목하여 게임영역에서 주의를 기울여 보완이 필요하겠다. 이를 토대로 비추어 볼 때 제7차 교육과정이 교과서를 비롯한 교육매체에 잘 적용되는 것 외에도 교육과정을 활용하는 주체이자 객체는 교사와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육현장에서 수용 시 우선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과정을 비판 없이 준수하는 것보다는 현장에서 필요성에 따라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 욕구에 부합하여 융통성있게 운영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two-folded. First, it is to examine whether the newly authorized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including teacher's guide sufficiently and effectively satisfy the requirement of the 7th curriculum revision stipul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Second is to analyzing the results of an evaluative survey conducte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o know how communicative skills, vocabulary and game are recognized and felt concerning the 7th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hereby evaluate English textbooks for the purpose of checking up the problems and searching for improvements. The findings of the textbook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communicative skills, the textbooks were made based on the 7th curriculum mostly. But that is not sufficient. Although the textbooks dealt with every area associated with communicative function, they mostly leaned toward realistic information exchange, expression of intelligent attitude and relationship activity. Besides there were no description about feelings expression, moral expression, persuasion, advice and solving problems. Secondly, in terms of the amount of vocabulary, the textbooks present more words than the suggested standard the 7th curriculum, which may be burdensome for most students. Lastly, in terms of the games, the games included in the English textbook for the 5th grade gave a major weight to speaking skills. Also communicative functions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were usually adequate to the aims of the lessons. Besides the games were generally led by students and many class work and group work were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communicative skill, teachers and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English textbooks. They think that written language activities(reading and writing) are more difficult than spoken language activities(listening and speaking). This indicates that elementary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spoken language activities. Secondly, in terms of the vocabulary, teachers think that most textbooks present many words, so that it may be heavy burden on students. Lastly, in terms of the games, teachers and students need the explanation of the games as they have many difficulties in proceeding it. Therefore the textbook authors should pay attention to presenting the explanation about it. In conclusion English teachers and the textbook authors should realize the deficits of the current English textbooks. In addition the textbook authors should develop more carefully curriculum suitable to the users' purpose. And also English teachers should plan and design the affective teach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rest, desire and need and adapt themselves to new teaching circumstances.

      •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영어권 나라에 관한 문화적인 내용분석

        엄종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316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이라 할 때 성공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을 위해서는 목표언어의 언어 기능에 관한 정확한 지도도 중요한 일이나 그것만으로는 목표언어에 대한 완전한 교육이 될 수 없다. 즉, 그 언어의 배경이 되는 사회ㆍ문화적인 측면에 대한 지도가 언어적인 측면의 지도와 병행되어야만 비로소 목표언어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토대로 한 언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학생들은 영어문화권에 관한 이해나 정보의 대부분을 학교 교육 또는 조직적으로 구성된 방식이 아닌 영화, 방송 매체 혹은 각종 잡지를 통해 얻는다. 그래서 많은 선입관과 편견이 한국의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있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 나라 학생들이 미국과 영국을 비롯하여 영어문화권의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문화교육이 시급하다. 이에 본인은 먼저 문화간 의사소통과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고찰해보고 언어 교육학자들이 주장한 문화교육의 목표와 우리 나라의 7차 교육과정상의 문화교육의 목표를 정리해보았다. 그리고 교과서의 역할,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할 문화적인 내용과 문화 교육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영어권의 문화가 현행 중학교 1학년의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6종의 교과서에 나오는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 또는 그 나라 사람에 대한 인용문, 자연과 관련된 사진 혹은 그림, 각종 표지판, 공공 기관 및 상점, 지도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인용된 영어권의 나라’, ‘관련된 언어 기능’, ‘제시방법’, ‘주제 및 상황’의 순서대로 분석해 보았다. 인용된 영어권의 나라에는 영어권임에는 분명하나 어느 나라인지를 밝히지 않은 공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미국과 영국이었다. 영어권의 문화를 직접적으로 접할 기회가 거의 없는 학생들에게 교과서는 영어권의 문화를 국적별로 다양하게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어로서 영어가 자리를 굳혀감에 따라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나라의 문화도 포함해야 한다. 언어 기능과 문화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듯이 언어 기능과 문화 교육은 병행되어야한다. 즉 언어 기능에 문화 교육을 통합하여야한다. 예를 들어 문화 교육은 문법, 듣기, 읽기 등에 고루 배어 있어야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문화 전용란을 마련하여 문화를 심화, 보충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교과서들은 듣기, 문화란, 말하기의 영역에서는 문화적 내용이 고루 분배되어 있었으나 읽기와 쓰기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낮았다. 이를 고려하여 다음의 교과서에서는 읽기와 쓰기에 영어문화권의 상황을 좀더 많이 인용해야겠다. 7차 교육 과정의 교과서는 우리 나라의 교과서로서는 처음으로 컬러 판이다. 각종의 시각적인 자료를 잘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끌도록 구성되었다. 각종의 그림, 사진 등은 설명과 함께 제시되어 학생들의 이해를 도왔다. 그러나 교과서가 다룰 수 있는 자료의 양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학생 또는 교사 스스로가 찾을 수 있도록 참고 자료 또는 유용한 인터넷 주소를 제시해주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교실에서 교사가 문화를 다룰 때의 어려움의 하나는 문화의 광범위한 영역 때문이다.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교사는 그 방대한 문화를 어디에서 시작해서 무엇을 다루어야하는 지 난감하다. 그러므로 교육 과정 차원에서 문화 교육의 준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과서 차원에서도 교수해야할 문화 주제의 내용과 우선 순위를 명시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하며, 그 주제가 전개되는 방식은 고립된 개인으로서가 아닌 공 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시각을 사용해야한다. 또한 그 내용도 학생의 수준에 맞고 흥미를 끌 수 있는 방법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영어권의 실생활과 가치관을 체계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문화교육은 목표어로 의사소통하기 위한 기본 사항이며, 목표문화의 이해는 모국어 문화에 대한 좀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해주며, 나아가서는 국제문화의 이해를 도모한다. 이러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영어 교과서는 언어의 4기능과 문화적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시각적 자료와 잘 조직된 문화 내용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For the successful teaching of communicative competence, English classes should focus on cultural aspects as well as language skills. In Korea, however, students acquire the cultural information mostly through movies, mass media, or through English magazines. Consequently, many stereotypical ideas and prejudices about English speaking people are prevalent among Korean students. Korean students need to be given the systematically-well-organized culture education in their class. The systematically-well-organized culture education can be accomplished with the help of textbooks. The role of textbooks in a class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extbooks currently in use, first, th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nd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were surveyed. Secondly, the objectives of culture education suggested by famous linguists and the 7th Korean curriculumn were summarized. Thirdly, the roles of textbooks, the cultural contents which should be dealt in textbooks and the methods of culture educa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find out how much English culture is reflected in them. The subjects for analysis are all of the written or visual references to English people and countries. They are analyzed in the order of ‘presented countries’, ‘related language skills’, ‘used modalities’, and ‘themes and situ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majority of the ‘presented countries’ in the textbooks are uncertain English countries and America. England is followed after them. Few references are given to the rest of English speaking countries. In EFL context, Korean students can'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contact English culture closely. English textbooks should provide various English speaking countries' culture with students. As English is becoming an international language, there is a need for frequent reference to the countries of ESL and EFL.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textbooks are distributed to listening, speaking and culture section equally. The number of cultural contents in reading and writing are less than others. Reading and writing in the context of English culture should be increased.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language skills and culture. Therefore, culture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teaching of language skills. Various aspects of target culture can be topics, situations and contexts of practising four skills. The English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n are printed in color. They have many colorful illustrations which attract students´ interests. The cultural information is presented through various visual and written modalities in them. Textbooks are limited in space, so it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present Internet sites or reference books' list in them. One of th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culture is its wide range. Actually, most of teachers don't know where and how to start teaching culture. First of all, the curriculumn should provide good criteria with the culture education. Next, the list of cultural themes which are essential i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extbooks should reflect the ways of life of English speaking people involved in family or community. The description of isolated person's life can't show the target culture efficiently. Textbooks are crucial to the teaching of English. Well-organized textbooks will be a lighthouse in a class. Through them, students can understand not only English culture but also their own culture better. In addition, their insight to international culture will be improved.

      • 북한의 영어교과서 분석 : 중학교 1,2,3학년을 중심으로

        김단솔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goal of North Korea's English education and the reality and its changes per period through analysis of North Korea's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six textbooks in middle school first grade(2004/2007), middle school second grade(2001/2008), and middle school third grade(1999/2002), which are important period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structure, vocabulary, grammar, communicational function, and subject and context are analyzed. First, the textbooks' outer and inner features have developed as time passed but still need improvements. The quality of paper, print condition, and illustration still need to be improved. For the inner feature,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are all covered. However, reading and writing have much bigger portion than communication and speaking, which shows the need fo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al function. Second, the level and number of vocabularies show significant changes by different years. This indicates the level of North Korea's English textbook has improved. Vocabularies in North Korea's textbook largely reflect its culture. The very scarce use of foreign words, preference of British English, frequent use of uncommon words such as Generalissimo, Marshal were shown. Third, grammar of North Korea's English textbook has been emphasized, with the explanation and examples of grammar rules. North Korea’s English education is same as the Grammar translation method of South Korea's third and fourth curriculum. Grammar part was separated and explained in its native language, which shows grammar is recognized as one part of English education rather than assistant tool for communication. Thus, reinforcement of grammar education for communicational function is required. Forth, North Korea's English textbook has shown attempts for changes to reinforce the communicational function, but it still shows a great tendency of explaining the rules of grammar and repeated practice of them rather than the practice of conversation with English speaker Finally, the materials and content of North Korea's English textbook markedly shows that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is a method to maintain and reinforce its political system, not an acquisition of language. Textbooks have the most emphasis on idolization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nd cover the topics of Juche, communism, and science technology. This shows that cultural education, the essential par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absent or distorted in North Korea’s English education. To sum up, It is shown that North Korea’s English textbook does not follow the trend of the world and accomplish the purpose as a tool for language education.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teaching method and improvement of textbooks for better language acquisition and communicational function.

      • 내용중심교수법 기반 직업영어 교과서 분석

        박형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6

        This study analyzes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through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based on CBI. The compositional ordering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affects specialized major content based language learning, communication practice, and task activities as the improvement directi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us, learn background knowledge with comprehension and script schema with communication. Vocational textbook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 based on vocabulary learning and reading for background knowledge before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The four skills process of vocational English learning i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such as the schema activation. After four skills learning, the vocational teacher should complete a task-based assessment near the job site. Due to the natur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communication in vocational English classes should be improved by incorporating the guidelines of English dialogue processes and using real documents in the job world. For the analysis objective achievement, this study conducts its survey targeting twenty-five vocational English teachers and six hundred twenty-five student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for finding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vocational textbooks. The result of the survey is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English class needs to have some English background knowledge with the vocational English textbook before the English speaking activity for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vocation English textbook should be included with the various procedures of communication and task-based job situations. Analysis tools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hich are made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results of surveys, are checked for validity from five English experts. Through the revised analysis tools, nine types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are applied through analysis standards and deducted from the result to the purpose of analysis. First,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do not consist of the content based learning activity with English. Th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content learning, English pattern drills, or Korean background knowledge without activities are presented in vocational textbooks. Second,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should to be reinforced to the background knowledge based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guidelines of communication procedures, job cultur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basic grammar learning activities. Third, there are not various task based activities as the assessment in each lesson part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Vocational English students, therefore, cannot learn authentic English activities for practice nor gain strong motiv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rough the survey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vocational textbook analysis tools that KRIVET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consist of the major content learning more than the content based English activity learning with communication such as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The background knowledge learning and speaking practice are overly focused on in vocational textbooks, not CBI. Th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should be included with the major contents based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for authentic CBI in the vocational English class. To improve, this study suggests that English education experts interested in vocational English develop a separate CBI for Korean specialized high school EFL in the English education theory.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교과서 분석을 시행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특성화고등학교 실정에 적합한 내용중심교수법 기반 직업영어 교과서 개선을 요청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행 직업능력개발원 9종 직업영어 교과서의 직무 내용과 수행 활동이 의사소통중심의 직업영어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에 대해 조사했다. 그리하여 직업영어의 특성상 의사소통중심의 수업이 네 가지 언어 기능 중 읽기 기능을 활용하여 직업 내용을 먼저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그런 다음 수업 내용에 적합한 직업영어 수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연구 결과 자료를 근거로 제시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대상 한국의 직업영어 수업환경 특성에 적합한 내용중심교수법 기반 직업영어 교과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했다. 그리고 한국직업개발원 9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직업영어 교수요목과 교수학습 원칙 기반 교과서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한국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직업영어를 통하여 전공지식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중심교수법 기반 직업영어 교과서가 필요함을 절감했다. 요구조사, 교과서 분석에 대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본 연구는 직업영어 수업을 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중심교수법 기반 직업영어 교재에 대한 요구를 조사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한국 특성화고등학교 실태에 따른 전공 배경지식과 학생 수준에 맞는 영어 학습을 말하기 활동에 앞서 이뤄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경지식을 활용한 직업상황에서 의사소통 절차를 강화하고 이에 따른 과업 활동이 교과서에 각 단원마다 수록해야 함을 설문조사를 통해 본 연구는 밝혀 낼 수 있었다. 둘째, 9종 직업영어 교과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김경한의 직업영어 교수요목과 직업영어 교수·학습 원칙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교과서 분석 틀을 개발했다. 두 가지 교과서 분석 틀은 전문가 평가를 거쳐 수정 후, 9종 직업영어 교과서를 분석에 쓰였다. 이를 통해 현행 9종 직업영어 교과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언어 네 기능 교수가 구어가 아닌 문어 활동을 선행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배경지식 기반 시청각 자료강화, 의사소통 절차 안내, 직업 문화학습, 기초 어휘 문법 학습이 필요함을 밝혀냈다. 그리고 직업영어 교수 학습에 대한 평가로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과업 수업이 현행 9종 직업영어 교과서에서는 각 단원별로 모두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학생의 직업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강화와 교사의 직업영어 교수에 대한 실제성에 9종 직업영어 교과서가 직업영어 수업을 받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수집한 문헌, 선행연구, 설문조사 그리고 교과서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현행 9종 직업영어 교과서의 개선점을 제시했다. 직업영어 수업에서 실제성을 지닌 의사소통 수업을 하려면, 내용중심교수법 기반의 직업영어 교과서에 다양한 활동 수록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 대상 설문조사와 9종 직업영어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내용중심교수법에서 다양한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 활동 보다는 직업 내용 학습에 집중 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이는 영어로 된 문어 중심의 의사소통 활동이 아닌 국문의 배경지식 활동에 비중이 치우쳐져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영어 과목에 대한 영어교육 전문가의 적극적인 관심과 교과서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 개발 참여를 개선점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영어교육 이론에 근거한 전문교과와 영어교수법의 통합 적용 방향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기를 본 연구는 기대한다. 결론적으로, 내용중심교수법을 직업영어에서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며, 대화 상황에 대한 절차와 직업 세계에서 사용하는 문서를 우선적으로 직업영어 수업에서 학습해야 한다.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영어 교과서는 듣기와 말하기 기능을 먼저 학습하고 읽기와 쓰기를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직업영어는 전공 내용이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직업영어 교과서가 내용중심으로 어휘 및 읽기, 쓰기 활동을 함으로서 먼저 배경지식을 제시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을 본 연구에서는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9종 직업영어 교과서가 국내외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직무수행 특성을 반영하고 나아가 실용적인 의사소통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실제적인 학습을 돕는 방향으로 개선되길 기대한다.

      •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연구 :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현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6

        교육부는 영어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 7차 교육과정에 '문화'항목을 추가하였고, 이를 토대로 새 영어교과서가 편찬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편찬된 영어교과서들의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2003년부터 제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들이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문화적 측면을 얼마나 고려하였으며, 어떤 내용들을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교육부가 제시한 소재에 관한 지침이 영어교과에 적절한가를 논의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영어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이 좀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학생들이 실제로 영어를 사용할 때 가이드가 되는 영어교과서를 편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6종을 읽기 부분을 중심으로 첫째, 교육부가 제시한 17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소재별 분석을 하고 둘째, 영어권 · 비영어권 문화소개의 비율과 그 내용을 분석하며 셋째, 본문이외의 문화소재를 소개하고 있는 문화란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부가 제시한 문화 내용을 살펴보고 이것이 영어 교과에 적절한가를 논의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별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교육부가 제시한 소재들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보편적인 내용들이 6종 교과서 전체의 23.3%를 차지하였고, 영미권 문화소개는 10.95%에 그쳐 영어 교육을 위한 영어권 문화소개가 부족하였다. 또한 타 교과와 비슷한 보편적 교육을 지양하고 영어 교과만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갖춘 교재로 발전할 수 있도록 소재와 내용에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둘째, 영어권 · 비영어권 분석에서는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타문화권 소개가 전체의 16.4%로 저조한 편이었다. 문화를 통한 자연스러운 언어교육을 위해서는 영어 교과서가 전반적으로 문화소재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셋째, 영어 교과서들이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들과는 달리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문화란을 통해 다양한 문화들을 전달하려고 애쓰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내용들이 너무 단편적이며, 체계성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교사들의 보충을 요하는 부분이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넷째, 교육부의 문화 항목에 대한 지침을 살펴본 결과 타 항목에 비해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로 인해 영어 교과서들이 문화를 반영하려고 노력은 하고 있으나, 단계적이지 못하고 단편적으로 문화소재를 나열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결국 보다 발전적인 영어 교과서를 위해서는 문화 항목에 대한 교육부의 세부적인 지침이 있어야 할 것이며, 교과서 편집자들 또한 문화를 하나의 항목으로써가 아니라 언어 교육의 필수 사항으로 인지하고 이를 언어 기능과 접목시키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교사는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이 자연스럽게 병행되는 바람직한 영어 교육이 이루어 질것이다. Every language has its own cultural background, so it's necessary for English learners to understand its culture as well as language skills for actual communication. In the 7th English curriculum, the item 'culture' was added and new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curriculum were pu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urrent English textbooks are dealing with cultural aspects of English and to discuss the validity of. the guidelines of the 7th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cultural contents of the 'reading sections' in the ninth grade English textbooks of junior high school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7th curriculum. Second, it examines in what degree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are reflected in the reading sections. Third, it looks into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special sections' of the textbooks. Fourth, it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the suggestions given in the curriculum guidelin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English textbooks tend to show various materials based on the 17 suggestions presented in the guideline.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textbooks, however, are too general and lack materials containing themes that can foster students' interests. Second, the amount of materials about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included in the textbooks is 10.95% in the reading sections. Thus the English textbooks examined appear to lack enough information of the two cultures. Third, the analysis of the special sections shows that the textbooks tend to introduce helpful materials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toons, pictures and photographs are used to attract the students' interests. Nonetheless,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pecial section are often too simple and are not systematically arranged, which makes the teachers unable to explain them in detail. Fourth, the guideline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general is too abstract. Due to the lack of the detailed and concrete instructions by the ministry,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English textbooks are difficult to apply to daily lives.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ministry real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language and culture altogether and the new English textbooks attempt to reflect cultural contents more than before, we need more detailed guideline about how to mix the culture and English teaching. In addition, the authors of English textbooks should try to develop more diverse, creative and practic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