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Q-5D-5L로 측정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강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83

        유방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중 하나이며(1,779,000명/2013, 암 발생 1위), 암으로 인한 여성 사망 원인의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 유방암 유병자수는 147,012명으로 유방암과 함께 살아가는 환자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 환자가 증가하면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이 질병 특이 도구를 이용한 연구이며 정책 결정에 사용되는 EQ-5D와 같은 일반적인 도구를 이용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는 EQ-5D-3L과 같은 일반적인 삶의 질 측정 도구가 천장효과 등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환자간 삶의 질 차이를 통계적으로 보이기 어렵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EQ-5D-3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EuroQoL에서 개발한 EQ-5D-5L 및 EQ-5D-3L 및 5L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EQ-VAS를 사용하여 전국의 유방암 환우회(환자모임) 소속 유방암 환자(추적 조사기간(15년 이내)를 대상으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병기에 따라 삶의 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보고된 질병단계, 치료단계, 유방암의 종류, 유방절제술 및 재건술 시행 여부는 물론 학력, 수입, 가족의 지지 정도, 폐경 유무, 사보험 가입 여부 등에 따른 삶의 질을 측정하여 병기 이외에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유방암 환우회(환우모임)에 소속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서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208건의 응답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EQ-5D-5L로 측정된 전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은 0.82±0.09이었으며, EQ-VAS로 측정된 삶의 질은 77±16이었다.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은 병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EQ-5D-5L P= .002; EQ-VAS P= .009), 병기가 1기에서 4기로 악화될수록 삶의 질이 감소하였다(EQ-5D-5L Coefficients Beta= -.217; EQ-VAS Coefficients Beta = -.184). 병기 외에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현 치료단계(ANOVA, 다중회귀분석), 가족의 지지 정도(ANOVA, 다중회귀분석), 교육 수준(ANOVA), 가계 월 수입(ANOVA, 다중회귀분석), 배우자 유무(ANOVA)였으며, EQ-VAS로 측정 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의 지지 정도(ANOVA), 수입(ANOVA, 다중회귀분석)이었다. 유방암 종류, 유방재건술 시행 여부, 폐경 유무, 직업, 배우자 직업, 사보험 가입 여부는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Q-5D-5L은 EQ-VAS에 비하여 민감하였으며, EQ-5D-3L로 실시한 선행 연구와 비교 시 일관된 결과를 보였으나 질병특이도구와 비교 시 여전히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한의치료를 받은 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김평화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48

        한의치료를 받은 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김평화 우석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한의학전공 지도교수: 이은희 목적 : 산후 6주 동안의 증상을 수집하고, 체중, 부종 지수 및 삶의 질을 측정하여 산모의 증상 변화 및 삶의 질 변화를 전향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6년 5월 20일부터 2016년 8월 5일까지 분만 후 우석대학교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31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6주간의 증상 관찰 연구를 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산욕 초기 2주 동안은 한의치료와함께 증상을 문진하고, 문진 전·후 산모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을 참고하는 방법을 통해 호소 증상을 관찰하였다. 산후 3주차부터 6주차까지의경과 관찰은 특별한 치료 없이 일주일에 1회 전화 통화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체중, 부종지수 ECW/TBW 및 삶의 질 평가도구 EQ-VAS를 측정하여 한의치료 전후의 평균값을 비교 하였다. EQ-VAS는 산후 6주차에 한번 더 측정하여 산후 2주차의 평균값과 전후 비교 하였다. 연구 완료 시점에는 설문을 통해 한의치료를 통한 산후관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욕기 6주 동안 산모가 호소한 증상들의 평균 발생빈도수는 약 35.61회였다. 총 발생빈도수의 비율은 근골격계 44.11 %, 순환기계 21.65 %, 생식기계13.95 %, 기타 증상 7.34 %, 신경정신계 4.98 %, 소화기계 4.53 %, 비뇨기계 2.72%, 호흡기계 0.91 % 순으로 나타났다. 2. 산욕기 전 기간에 걸쳐 평균 발생빈도수 1.0회 이상이었던 다빈도 증상 11가지는 상지관절통, 부종, 요통(골반통 포함), 경항부통, 유방증상, 하지관절통, 발한, 대변관련증상(변비, 설사, 치질 포함), 절개부위통, 피부질환, 수면장애 순이었다. 3. 출산 후 첫 1주간의 11가지 다빈도 증상 중 산모가 가장 호소를 많이 호소한 증상은 부종으로 발생빈도수의 비율이 30.41 % 였다. 4. 출산 후 2주차의 1가지 다빈도 증상 중 산모가 가장 많이 호소 한 증상은 상지관절통으로 발생빈도수의 비율이 18.83 % 이었고, 그 다음이 요통(골반통 포함) 17.53 %, 부종 17.21 %, 경항부통 16.56 % 순이며, 나머지 증상의 비율은 10% 미만이었다. 5. 출산 후 3주차에는 상지관절통이 총 발생빈도수의 비율 22.54 %, 4주차에는 발한과다 17.46 %, 5주차에는 상지관절통 22.58 %, 6주차에는 상지관절통 20.55 %로, 산모가 가장 호소를 많이 하였다. 6. 산후 2주 간 체중 변화는 평균 66.33±9.30 kg에서 62.60±8.92 k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부종지수 ECW/TBW도 평균 0.399±0.010에서 0.385±0.0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7. EQ-VAS는 산모가 본 연구에 서면 동의한 당일 평균 61.77±17.72에서 산후 2주차에 평균 73.51±14.6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산후 6주차의 EQ-VAS는 평균 73.63±13.35로 산후 2주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p=0.749). 8. 연구 완료 시점에 한의치료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 60 %(18명)가 ‘매우 긍정적’, 40 %(12명)가 ‘약간 긍정적’이었으며, ‘보통’, ‘약간 부정적’,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산후 6주에 걸쳐 근골격계 증상이 가장 다빈도로 나타나며, 산후 첫 2주동안에는 부종이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이지만, 출산 후 2주가 지나면 부종 지수가 정상 범위로 회복된다. 또한, 산욕 초기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한의치료는 산모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Symptoms of the Postpartum Women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during Six Weeks after Childbirth Kim Pyungwha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Advisor: Prof. Lee Eunhee, KMD, PhD.)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women's postpartum symptoms, including their weights, edema index and quality of life (QOL) over the first six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1 postpartum women treated in the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at Woosuk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y 20th to August 5th, 2016. In the first 2 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 was to interview each patient, who treated by Korean medicine, and write down all of their complaints, and additionally referring to each participant's PHR(Personal Health Records). To collect data at the 3rd, 4th, 5th and 6th week after childbirth, the researcher interviewed participants by phone once a week. The researcher measured the participants' weight, edema index ECW/TBW and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t 1st and 2nd week after childbirth, and compared the valu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EQ-VAS was assessed once more at the 6th week after childbirth and compared with the value at the 2nd week. When their participation was completed,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 survey on satisfaction regarding their postpartum care with Korean Medicine. Results: 1. Over the entire postpartum period, the incidence of postpartum symptoms that participants complained about was 1104 and mean value was 35.61. The ratio of incidences were: musculoskeletal symptoms 44.11 %, circulatory system 21.65 %, genital system 13.95 %, neuropsychiatric system 4.98 %, digestive symptoms 4.53 %, urinary system 2.72 %, respiratory system 0.91 % and other symptoms 7.34 %. 2. Over the postpartum period, 11 major symptoms, of which the incidence mean value was more than 1.0, were: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edema, lower back pain (including pelvic pain), neck pain, symptoms of breast, joint pain of the lower limbs, sweating, constipation (including hemorrhoids, diarrhea), perineal incision pain (or C/S site pain), dermatological symptoms and sleep disorders. 3. In the 1st one week after childbirth, edema was the most frequent complaint and its ratio of incidence was 30.41 %. 4. In the 2nd one week after childbirth, the most frequent complaints were about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and its ratio of incidence was 18.73 %, followed by lower back pain (17.53 %), edema (17.21 %) and neck pain (16.56 %). 5. The most frequent complaint in the 3rd week after childbirth was about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In the 4th week, it was about sweating and in 5th and 6th weeks, it was about joint pain of the upper limbs. 6. In the first 2 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weight of the participants decreased from 66.33±9.30 kg to 62.60±8.92 kg(p<0.001) and the edema index ECW/TBW decreased from 0.399±0.010 to 0.385±0.004 (p<0.001). 7. In the first 2 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EQ-VAS of participant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1.77±17.72 to 73.51±14.67 (p<0.001). In the last 4-weeks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EQ-VAS decreased from 74.30±14.25 to 73.63±13.35,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749). 8.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postpartum care with Korean Medicine, 60 %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it was 'Excellent' and 40 % said it was 'Good'. Conclusion: Over the entire postpartum period, the most frequent complaints were about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first two weeks after childbirth, edema was the most frequent complaint, but from 3rd week after childbirth, the edema index ECW/TBW was back to normal range. Postpartum care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mproves various postpartum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for postpartum women.

      •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및 5기(2007-2011) 자료를 대상으로

        조예경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48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by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which can improve HRQoL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e 3rd and 4th volume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1, a national wide health survey in Korea, was used. Of the 42,347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rok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t the age of 40 or older were 622. Of these, 608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f EQ-5D, EQ-VAS; the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Q-5D index and EQ-VAS which are measurement of HRQoL in questionnair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show dis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o compare average of EQ-5D index and EQ-VAS and verify significant variable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find out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s were performed using vali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mplex samples which were adapted weight. Result: Result for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is as follows; the level of education, amount of income, existence of job, diagnosed age, whether having sequela, limitation of mobility after stroke and duration of stroke. Having higher educational level, an occupation, getting diagnosed at younger age, no sequela, no limitation of mobility or shorter period of strok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gets better.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an found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To improve stroke patient'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arly diagnosis of stroke, vocational training development, offering medical service for recovering sequela and reducing duration of disease should be considered. Key words: Strok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Q-5D, EQ-VAS,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 신체활동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에 대한 메타분석

        이순국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47

        이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척도로 EQ-5D(index)와 EQ-VAS를 이용하여 신체활동과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참가 대상자들의 신체활동 유무, 신체활동 정도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제적 연구보고 지침인 Cochrane library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의 단계를 준수하였고 문헌 고찰의 일반적인 기술형식인 PICO(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실험연구나 관찰연구에 참여한 성인이며, 중재 방법은 신체활동으로 제시된 가이드라인을 따랐고, 중재 결과는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변화로 EuroQol-5 Dimension questionnaire(EQ-5D) index와 Euro-Qol-Visual Analogue Scale(EQ-VAS)로 측정되었다. 종합효과 크기는 MD(mean difference)로 측정됐으며, 처치군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0.046(95%CI; 0.039, 0.053), p‐value < 0.001 이하로서 PA(신체활동)에 따라 EQ-5D Index와 EQ-VAS의 지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위그룹 분석에서 EQ-5D index는 처치군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0.035(95% CI; 0.027, 0.042), 삶의 질 지표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EQ-VAS는 처치군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0.062(95% CI; 0.049, 0.075), 삶의 질 지표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신체활동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의 성별, 연령, 국가별, 질병 유무, 그리고 신체활동의 종류나 강도와 관계없이 EQ-5D index 와 EQ-VAS로 표시된 삶의 질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운동군이 높았다. 앞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방안이 신체활동의 일상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인구 사회학적 대표성을 지니는 집단을 대상으로 대규모 전향적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고위험산모와 일반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 일개 한방병원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를 중심으로

        정종관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31

        목적 : 산후 6주 동안의 증상을 고위험군과 일반군을 구분하여 관찰하고, 치료 시 적용된 KCD 코드 분석, 삶의 질, 산후우울을 측정하여 산모의 증상 변화를 객관화 하고, 삶의 질 및 우울 변화를 전향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7년 9월 27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출산 후 우석대학교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전공의인 두 연구자 (KPH, KMY)가 연구등록당일(산후 1주차)부터 6주차까지 매주 1회 문진을 통하여 주요 산후 증상 VNRS를 기록하고, 초기 산욕기 2주간 외래를 방문하여 한의치료를 받을 때마다 적용된 KCD코드를 수집하였다. 또한 산후 1주차, 산후 2주차, 산후 6주차에 각각 부종지수, 삶의 질, 산후우울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저자는 2017년 9월 27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분만 후 우석대학교한방병원 한방 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27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산후 6주간의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연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27명의 산모 중 고위험 산모가 17명(63.0 %), 일반 산모가 10명(37.0 %)이었다. 고위험군의 평균 연령은 35.12±3.66세였으며, 일반군의 평균 연령은 30.30±2.45세였다. 산후 2주일간 외래진료를 받은 27명의 환자의 총 치료횟수는 184회이며, 1인당 평균 6.81±1.88회의 치료를 받았다. 고위험 환자들의 치료횟수는 6.76±2.11회, 일반 환자들의 치료횟수는 6.90±1.52회로 나타났다. 두 군 간의 치료횟수는 통계적으로 차이나지 않았다(p=0.899). 2. 1주차에 평균 VNRS가 가장 높은 것은 부종이었으며, 2~6주차에는 관절통이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위험군의 요통의 회복이 일반군에 비해 더디다. 3. 2주간 외래진료에서 사용된 상병코드는 35가지로 총 343회 사용되었으며, 다빈도 상위 10개 상병코드 중 가장 많이 사용 된 코드는 총 47회로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이었고, 나머지 9개의 코드 중 R601(전신부종), U684(비양허증)을 제외하여 7개의 코드가 모두 M코드(근골격계통)였다. 고위험군에서는 R601(전신부종-28회)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일반군에서는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29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4. ECW/TBW는 전체 대상자들에서 산후 1주차 평균 0.399±0.011에서 산후 2주차 0.385±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01), 산후 2주차 0.385±0.008에서 산후 6주차 0.383±0.00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85). 산후 1주차와 2주차 사이 고위험군(0.403±0.011→0.387±0.006)과 일반군(0.393±0.070→0.383±0.01)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고(p<0.05), 산후 1주차 고위험군은 평균 0.403±0.011으로 부종 상태였고 일반군은 산후 1주차 평균 0.393±0.070으로 부종 전 단계였다. 5. EQ-VAS는 고위험군에서 산후 1주차 64.12±13.941에서 산후 2주차 69.35±18.1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34). 일반군은 산후 1주차 62.50±21.763에서 산후 2주차 74.00±9.66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6. EPDS는 전체대상자들에서 모두 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9점 이상인 환자는 1주차에 고위험군에서 6명(35.29%), 일반군에서 1명(10%)이며 2주차에는 고위험군에서 8명(47.06%), 일반군에서 1명(10%)이고 6주차에는 고위험군에서 5명(29.41%), 일반군에서 2명(22.22%)이었다. 결론 : 1주차에 평균 VNRS가 가장 높은 것은 부종이었으며, 2~6주차에는 관절통이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위험군의 요통의 회복이 일반군에 비해 더디다. 근골격계 코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고위험군에서는 R601, 일반군에서는 M2557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산욕기 초기 고위험군의 부종지수가 일반군에 비해 높다. 또한, EQ-VAS는 일반군이 산후 2주간 유의하게 증가함에 비해, 고위험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EPDS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위험군이 일반군에 비해 산욕기 초기 2주간 2점 이상 큰 수치를 보였고 9점 이상인 비율도 산욕기 2주간 2배이상 높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women's postpartum symptoms, KCD codes that were used when participants were treated,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nd depression scale EPDS over the first six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 postpartum women that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t Korean Medicine Hospital of Woosuk University, from September 27th, 2017 to January 5th, 2018. The collection method of the postpartum numerical rating scale was to interview each participant once a week, who treated by Korean medicine by two residents (KPH, KMY) at Woosuk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the research registration day(first week) to 6th week after childbirth. During the first 2 weeks, the residents investigated the KCD codes when the participants were treated by Korean medicine. Also the residents evaluated edema index ECW/TBW,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nd depression scale EPDS at 1st, 2nd and 6th week after childbirth, and compared the averages. Results: 1. There were 17 high risk participants(63.0 %) and 10 normal participants(37.0 %). The average of high risk group was 35.12±3.66 and the average of normal group was 30.30±2.45. Over the first two weeks of postpartum period, the number of 27 patients` treatment was 184 and mean value was 6.81±1.88. The mean value of high risk group`s treatment was 6.76±2.11, and the mean value of normal group`s treatment was 6.90±1.52.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899). 2. The VNRS of edema i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and the VNRS of joint pain is the highest from the second week to the sixth week in all patients. The lower back pain score of high risk group restored slower than normal group. 3. 35 kinds of code were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used KCD code was 343 times. The most used KCD code in the first 2 weeks was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47 times). Of the remaining 9 codes, all seven codes were M codes (musculoskeletal system) except for R601( Generalized oedema-40times), U684(Pattern of spleen yang deficiency-18times). R601(Generalized oedema-28times) was most used in high risk group and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29times) was most used in normal group. 4. During the first 2 weeks of postpartum period, the ECW/TBW of all participant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399±0.011 to 0.385±0.008(p<0.001). From the 2nd week to the 6th week, the ECW/TBW decreased from 0.385±0.008 to 0.383±0.006,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585). The ECW/TBW of high risk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403±0.011 to 0.387±0.006(p<0.05) in the first 2 weeks. The ECW/TBW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393±0.070 to 0.383±0.011(p<0.05) in the first 2 weeks. The mean of high risk group in the first week of the postpartum period was 0.403±0.011 and they were edema. The mean of normal group was 0.393±0.070 and they were pre-edema.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high risk group and normal group in the first week(p<0.05). 5. The EQ-VAS of high risk group increased from 64.12±13.941 to 69.35±18.155(p<0.05) in the first 2 week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234). The EQ-VAS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2.50±21.763 to 74.00±9.661(p<0.05) in the first 2 weeks. 6. The difference of EP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first week and the sixth week in every participants. In the first week, there were 6 people(35.29%) in high risk group and 1 person(10%) in normal group that got more than 9 points. In the second week, there were 8 people(47.06%) in high risk group and 1 person(10%) in normal group. In the sixth week, there were 5 people(29.41%) in high risk group and 2 people(22.22%) in normal group. Conclusion: The VNRS of edema i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and the VNRS of joint pain is the highest from the second week to the sixth week. The lower back pain score of high risk group restored slower than normal group.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code was most used in all participants, R601(Generalized oedema-28times) was most used in high risk group and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29times) was most used in normal group. The edema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 risk group and normal group in the first week(p<0.05). The EQ-VAS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p<0.05) in the first 2 weeks but high risk group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The difference of EP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first week and the sixth week in every participants. But high risk group was 2 points higher than normal group in the first 2 weeks. The ratio of 9 points or more of high risk group was more than twice than normal group in the first 2 weeks in the postpartum period.

      • 의치가 한국인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일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30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state and the need for the denture prosthesis on the basis of the 5th (2010~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aw dat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implemented using the 5th (2010~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he number of subjects was 13661, over 40 year-ol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 of subjects was divided into 5 groups. (1) Sex (Male/Female) (2) Age (40~65/over 65 years) (3) Location(Dong/Eup/Myeon) (4) Education (Elementary school/middle school/high school/university graduate or higher) (5) Income (low/mid-low/mid-high/high) The state of prosthesis was divided into 5 groups (None, Fixed partial denture, Removable partial denture, Fixed partial denture- Removable partial denture, Complete denture) for both jaw, but in this study only 2 states of both jaw was chosen. (Complete denture,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requirement of denture also was divided into 2 groups. (Complete denture,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by the statement of denture and re-quirement using EQ-5D-3L and EQ-VAS. Results 1.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group were given in the following: (1) The group was composed of 43.7% male and 56.3% female (2) For the age, people under 65 years comprised 65.3% of the group (3)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residence, the Dong subgroup was 75.4% and the Eup/Myeon subgroup was 24.6% (4) About the education level, the elementary-school subgroup was 33.6%, the middle-school subgroup was 13.6%, the high-school subgroup was 26.4%, and the university graduate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degree) was 17.7%. (5) For the income level, the low income subgroup was 24.3%, the mid-low income subgroup was 24.7%, the mid-high subgroup is 24.9%, and the high subgroup was 24.5%. Among the study group, 68.9% of people did not have a need for denture, 3.6% of people had complete denture on both jaws, 4.7% of people had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both jaws, 0.3% of people needed complete denture, and 2.5% of people needed removable partial denture. 2. In the EQ-VAS analysis of the quality of life, the average of the complete denture group (both the state and the needed one) was similar with that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group. The EQ-VAS value of the normal group was higher. (p<0.05) 3.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Q-VAS analysis, men that were under 65 years, highly educated, and has high income showed a better life quality. (p<0.05) The location of residence-wise, the Dong subgroup showed higher quality of life than the Eup/Myeon sub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4. In the EQ-5D analysis of life quality, the normal subgroup showed higher value than other 4 subgroups. (p<0.05) The descending order of life quality was the normal group, partial denture state group, partial denture need group, complete denture state group, and the complete denture need group. 5.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Q-5D analysis, men that were under 65 years and highly educated, lived in the Dong residence, and had a high income showed better life quality. (p<0.05) In the comparison of education level in detail, the values of the middle-school graduates and the college gradu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income level, the high income group and the mid-high income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n a limited assessment using EQ-VAS and EQ-5D analysi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ate and the need of prosthesis affect the quality of life.

      • 뇌졸중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하현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15931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사망률이 감소함에 따라 생존률 상승의 결과로 뇌졸중 환자수가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하는 생존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뇌졸중 환자와 관련된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았다.첫째, 본 연구 자료에 사용된 대상자들을 상대로 분석한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을 완벽한 건강상태를 1점으로 계산하는 EQ-5D에 의한 분석에서 영국가중치와 한국가중치를 모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영국가중치에서는 평균 0.46768점으로 분석 되었고 한국가중치는 평균 0.50603점으로 한국 가중치에서 0.03835점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건강상태를 100점으로 하여 자신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표시하는 VAS에 의한 삶의 질 점수는 평균 49,63점으로 분석 되었다.둘째, 뇌졸중 관련 특성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EQ-5D에 의한 자료를 연령을 보정하여 분석한 자료에서 뇌졸중 진단당시 연령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31), 후유증이 없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직업을 가지고 있는 군에서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VAS에 의한 분석에서는 유병기간이 길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046), 후유증이 있는 군 보다 없는 군에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0), 학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으며(p=0.033), 직업이 있는 군에서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8).셋째, EQ-5D의 항목별 분석에서 Level 3(많이 문제 있음) 가장 많은 응답을 한 항목은 통증/불편감(22.1%) 이었고, 일상생활(17.4%), 자기관리(14.7%), 불안/우울(12.4%), 그리고 운동영역(10.8%)순 이었다. 즉 뇌졸중 환자들에서 통증/불편감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항목으로 생각된다.뇌졸중으로 인한 유병률은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사망률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 뇌졸중 환자 수는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 되며,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삶의 질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뇌졸중 유형별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더욱 세분화 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러한 연구를 토대로 차별화된 보건서비스의 정책적 방향이 설정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for those who have strok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The subjects were 380 (male: 189, female: 191) strok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o within a year in 2005 3rd national and nutrition survey.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SAS 8.2 version. EQ-5D and VAS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patients.The result of firstly, EQ-5D showed the average score of 0.51 and the result of VAS which mark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howed the average of 49.63 (perfect score of 100). Secondly, the analysis of EQ-5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patien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were higher for the people the first diagnosed age were lower(p=0.031), were higher for the people without sequel(p<.0001), were higher for the people who has job.(p=0.001)The analysis of VAS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were lower for the people who have longer period of illness(p=0.046), were higher in the group of people without sequel(p=0.000), were higher for the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p=0.033). and were higher for the people who has job(p=0.018).Thirdly, in the analysis of each areas of EQ-5D, level 3 were shown as follows; Pain and discomfort (22.1%), usual activities (17.4%), self-care (14.7%), Anxiety or depression (12.4%), mobility (10.8%). Therefore, for the stroke patients, pain and discomfort count as the most effective factors of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incidence rate of cerebral vascular accidents increases while the death rate from it decreases, the number of stroke patients tends to increase. The further studies for that reason should cover the subject consider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stroke patients more in details and in depth, and also segmented down for the different stroke types. Then, future political aims for the differentiated health care service should be drawn out based on th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