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CO-School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447

        In recent years, we have been experiencing record-breaking heatwaves every summer and historically extreme cold winters, all attributed to climate change. This year, in 2023, the world once again witnessed the highest temperatures ever recorded. Earth's temperature is rising each year, and according to the BBC, there are forecasts that our overheating world is likely to break a key temperature limit for the first time within the next five years. There are warnings that the annual average global temperature increase could surpass 1.5°C around 2027, a level higher than pre-industrial levels.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been a topic of discussion for some time, but the concept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used to be somewhat vague. Howe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protecting the environment is inevitable for our future, which is right in front of us. In society, there is a widespread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nd technologie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school building co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eco-friendly elements in school buildings in South Korea,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eco-schools in the countr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co-schools, their statu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30 school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for an investigation of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nd technologies in eco-school buildings. I conducted research and investigation by selecting 30 schools including those that have received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chools designated as eco-school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that have started to introduce eco-friendly concepts and schools in the Jeolla-do Province, which still lacks sufficient preceding research in this field.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six aspects: site utilization, creation of green spaces, use of water resources, building materials and resource recycling, energy utilization, and creation of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dditionally, it considered eco-school planning elements such as site planning, building planning, building greening, outdoor greenery, water resource conservation, water resource utilization, building materials, resource recycling, design, design and plants, building facilities, solar heating systems, and indoor environments. A total of 30 school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five schools examined for each of the six aspects. The schools were chosen from different regions: 5 in the Gyeonggi Province, 1 in Gyeongsangbuk-do, 1 in Gwangju, 2 in Seoul, 1 in Ulsan, 8 in Jeollanam-do, 5 in Jeollabuk-do, 5 in Chungcheongnam-do, and 2 in Chungcheongbuk-do. After researching eco-school cases, the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level of eco-friendly element application: Introduction type, Leap type, and Settlement type. This classification was applied using relative evaluation to five schools studied for each of the major aspects and detailed methods in Table 2. Introduction type refers to schools with approximately 1-2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based on the number of items. Leap type includes schools with more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compared to the Introduction type schools but fewer than those in the Settlement type. Settlement type encompasses schools with an above-average number of detailed element items installed. If I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I can potentially conduct both aspect-based and region-based analyses. In terms of aspects, it was observed that the indoor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 utilization categories had the highest level of application.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making indoor spaces a primary focus for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concepts. Additionally, water resource utilization mainly featured cost-effective eco-technologies focusing on efficient storage facilities. The most lacking aspect appeared to be creation of green spaces, as it was challenging to find schools with greenery incorporated into building structures, such as rooftop or wall gardens. Most schools primarily focused on green spaces through small kitchen gardens. In terms of regional analysis, the Gyeongbuk and Ulsan regions had too few schools for meaningful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Seoul/Gyeonggi region and the Chungnam/Chungbuk region primarily featured schools falling into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type. In contrast, the Gwangju/Jeonnam/Jeonbuk region had a mix of introduction, leap, and settlement types, indicating that many schools in this region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adopting eco-friendly concepts. Through this study, I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eco-friendly school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eco-friendly technologies have been limited to installing solar power generation, when it comes to a high-cost option. Through this study, we conducted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state of eco-friendly school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the adoption of high-cost eco-friendly technologies,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was limited. Instead, schools focused on implementing low-cost eco-technologies, including ponds, tree planting, permeable paving, low-flow toilets/showers, rainwater usage, usage of recycling or low-pollution building materials, waste separation, window/door placement, usage of natural lighting, maintaining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ventilation systems, noise control, and lighting control.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to a small sample of 30 schools,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that eco-friendly school buildings in South Korea primarily prioritize low-cost eco-technologies and concepts. I hope that in the future, with active investments at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level, there will be an expansion of eco-friendly schools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최근 몇 년간 우리는 기후 온난화로 매년 역사상 최고 더위의 여름을 보내고, 겨울은 역사상 최고 추위의 겨울을 보내고 있다. 2023년 올해 여름도 전 세계가 역대급 최고의 더위를 경험하였다. 지구의 기온은 해마다 상승 중이며, BBC에 따르면 향후 5년 이내에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의 주요 마지노선이 깨질 수 있다는 전망이 최초로 언급되었다. 2027년경 지구 연평균 기온 상승 폭이 1.5°C 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으며, 이는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환경문제가 화제가 되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예전에는 막연하게 환경을 보호한다는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정말 바로 눈앞에 닥친 우리의 미래를 위해 환경 보호를 해야 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회에서는 전반적으로 다방면으로 친환경 기술 등 친환경 개념을 적용시키고 있으며, 이는 학교 건축물에도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친환경 학교 건축물의 친환경 요소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Eco-school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문헌적 고찰을 통해 Eco-school의 개념과 Eco-school의 국내외 현황, 건축적 특성 등을 조사한 뒤 친환경기술과 친환경 개념이 적용된 국내학교 30곳을 선정하여 Eco-school 건축물의 친환경개념과 기술 적용현황을 조사하였다. 30곳의 학교는 친환경건축물인증을 받은 학교, 시도교육청에서 Eco-school로 선정한 학교와 친환경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한 학교들이며, 아직 선행연구 부문이 부족한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학교를 선정하여 조사 및 연구하였다. 조사는 부지 이용, 녹지공간의 조성, 수자원의 이용, 건축재료 및 자원재활용, 에너지 이용,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의 6가지 측면과 부지계획, 건축물계획, 건축물 녹화, 옥외공간녹화, 수자원 보전, 수자원 활용, 건축재료, 자원재활용, 디자인, 디자인 및 식물, 건축설비, 태양열 이용 시스템, 실내환경 등의 Eco-school 계획 요소를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총 30개의 학교를 위 6개의 측면을 기준으로 각 측면마다 서로 다른 5개의 학교를 조사 및 비교분석을 하였다. 학교는 지역별로, 경기지역 5곳, 경북지역 1곳, 광주지역 1곳, 서울지역 2곳, 울산 1곳, 전남 8곳, 전북 5곳, 충남 5곳, 충북 2곳으로 선정하였다. Eco-school의 사례를 조사한 뒤 학교들을 친환경 요소 적용 수준을 기반으로 도입, 도약, 정착형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표2의 Eco-school 계획 요소 및 세부수법의 주요 측면 별 조사한 5개의 학교 안에서 3개의 유형을 적용하기 위해 상대평가를 적용하였다. 도입형은 세부요소 항목 개수 기준 1~2개 정도 설치된 학교를 말한다. 도약형은 도입형 학교보다는 더 많은 세부요소 항목이, 정착형보다는 적게 설치 된 학교를 말한다. 정착형은 평균 이상의 세부 요소 항목이 설치된 학교를 말한다. 조사한 자료의 기준에 한하여 조사자료의 분석은 Eco-school의 특성별 분석과 지역별 분석을 기초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성별 분석의 기준으로는 쾌적한 실내환경과 수자원의 이용 부문이 가장 많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아마도 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실내다 보니, 실내를 중심으로 친환경개념이 우선으로 적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수자원의 이용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우수시설 위주의 친환경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미비한 부문으로 확인이 되는 부문은 녹지공간의 조성 부문으로 옥상이나 벽면녹화 등의 건축물이 녹화된 학교의 사례를 찾기가 어려웠으며, 주로 텃밭 운영을 중심으로 녹지를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준으로는 경북 울산 지역은 학교 사례가 너무 적어 분석이 무의미하며, 서울경기지역이나 충남 충북지역은 도약형과 정착형 학교가 주를 이루고 있고, 광주전남전북 지역은 도입형, 도약형, 정착형 학교 사례가 모두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광주전남전북 지역이 친환경 개념 도입 시작 단계에 있는 학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친환경 학교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국내는 아직까지 고비용의 친환경 기술은 태양광 발전 설비로 머물러 다소 제한적이었으며, 연못, 나무식재, 투수성 포장, 저흐름 변기/샤워기, 우수 이용, 재활용 또는 저공해 건축재료 사용, 쓰레기 분리수거, 창/문 배치, 주광 이용, 적정 온습도 유지, 환기시스템, 소음조절, 현휘조절 등 저비용의 친환경 기술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30개의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제한적인 사례에 대한 연구였으나, 지금까지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친환경 학교 건축물은 저비용의 친환경 기술이 적용된 건축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정부 또는 지방자치 수준에서의 활발한 투자를 통해 양보다 질적인 친환경 학교의 보급 및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초등학교 단위교실 디자인의 환경친화적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김미섭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2015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환경과 자연,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면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건축분야에서도 다양한 기술의 도입이 일반화 되고 있다. 환경친화적인 학교건물은 에너지절약, 지속가능한 개발, 더 나아가 지구환경보존 이라는 명제에 부합할 뿐 아니라, 교육이라는 학교의 본질적 기능으로 인해 환경교육의 역할모델이 될 수 있어 아이들에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실의 실내 환경에 특히 주목하여 기존의 1980년대 표준설계학교와 1990년대 현대화초등학교 단위교실의 환경성능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자연형 디자인을 이용한 단위교실의 환경친화적인 개선조건을 고찰하고 개선안을 도출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선효과와 에너지절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실의 환경성능 현황은 첫째, 실내의 빛환경은 과도한 조도차로 인하여 조명에너지와 냉방에너지가 낭비되고 있어 자연채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였으며 개구부, 조절장치, 천장형식 등의 설계요소를 이용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둘째, 실내공기질과 에너지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재료의 사용에 있어, 표준설계학교는 자재선정기준이 현재의 시설기준에 훨씬 못미치고 있어 시설의 보완이 필요하고, 현대화 초등학교의 자재는 다양해지고 있었지만 환경친화적인 자재선정이나 공법에 대해 무감각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환기성능은 실내공기질과 냉방효과를 위한 기류형성에 효과적 장치로서 개구부와 창문형식 등의 요소들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존 학교에서 조사된 빛환경, 환기성능 등의 문제에 대응하여, 자연형 디자인요소를 이용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인 Lightscape, Airpak을 이용해 개선효과를 검증하였고, Energy-10을 이용하여 에너지절감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빛환경 개선을 위해 ‘천장디자인’과 ‘빛선반 설치’에 따른 변화를 저학년과 고학년교실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저학년교실(9mx9m, 동향배치)에서는 기존의 과도한 조도차의 문제를, 천장을 높이고 빛선반 설치를 동시에 했을 때 평균조도와 균제도의 개선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학년교실(7.5mx9m, 남향배치)에서는 하지 때 복도 측 기본조도가 확보되지 않고 동지에는 과도한 조도차의 문제가 있는 기존교실의 문제점을, 천장을 높이고 빛선반을 설치함과 동시에 창가쪽 천정판을 추가로 설치했을때 동‧하지의 개선효과가 골고루 나타났다. 둘째, 자연환기성능은 ‘창문형식’과 ‘천장디자인’에 따른 교실 내 환기 성능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서기창과 여닫이창의 환기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여닫이창의 환기효과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여닫이창의 열리는 방향에 의해서도 환기성능에 차이가 있었다. -교실의 천장고를 기존교실보다 높이고, 창가 쪽에 부분 천장판을 설치했을 때 환기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에너지 절감효과는 기존의 표준설계학교와 현대화초등학교 그리고 환경친화형 초등학교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간에너지 사용량은 표준설계학교와 현대화초등학교의 사용량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자연형 디자인 설계요소(Low-e유리의사용 Shading설치 건식벽사용 등)를 도입했을 때 약11~14%의 에너지절감 효과가 있었고, 여기에 지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냉난방을 했을 때 연간에너지 사용량이 약 40%정도까지 절감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단위교실의 자연채광이나 자연환기와 같은 자연형 디자인요소를 통한 개선방법은, 건물의 향이나 위치 등 각각의 내‧외적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자연형 디자인요소를 선정하고 검증프로그램을 통해 개선효과를 검증하는 친환경적인 단위교실 설계의 모형개발로서 의의를 가지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환경친화적인 단위교실은 결과치 보다는 환경친화적인 개선방향과 검증방식에 비중을 두어 설계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한 디자인으로 발전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한 데에 의의가 있다. With the paradigm 'ESS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various approaches in architectural design are pursued these days. The school build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ilities in terms of sustainability not only as a learning environment for young kids but also as a too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tsel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indoor environment of unit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applying passive design. After analyzing the indoor environment performance of the standar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1980s and modernized one in 1990s, couple of passive design elements are proposed and simulated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Firstly, excessive illumination deviation is observed in the standar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1980s and modernized one in 1990s. And the materials used in those classrooms are negative both on IAQ(Indoor air Quality) and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econdly, some passive design elements such as light shelf and specifically shaped ceiling reflector, specific window type is applied to improve daylighting and natural ventilation using computer simulation tools - Lightscape(daylighting performance), Airpak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and Energy-10(total energy saving performance)- and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1) Daylighting - Applying light shelves and ceiling reflector in the classroom, illumination balance of lower grade classroom (9mX9m) is improved as the ceiling height is increased and the illuminance value of upper grade classroom (7.5mX9m) is improved with the installation of light shelves. 2) Natural ventilation- Projection window and high ceiling height resulted in the better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in both classroom types. 3) Energy Saving - The difference of annual energy consumption between standard elementary school in 1980s and modernized one in 1990s is negligible. But the proposed design using low-e glass, shading and dry wall is proved to save larg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about 11-14%) and adopting the alternative energy source(geothermal energy) is proved to save about 40% . This research has a value of developing a model for sustainable classroom unit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passive design elements simulating whole design process for sustainable design.

      •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차유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15948

        아동의 학교적응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아동들의 신체적 성숙이 빨라지는 저연령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학교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고민과 문제행동을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아동의 학교적응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이고 통합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구분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첫째, 학교적응 집단과 학교부적응 집단간의 특성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며, 셋째, 각 체계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서울시내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을 근거로 연구문항을 구성하였고 예비조사를 거쳐 이를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 집단의 경우 학교부적응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고, 부모 양육태도를 수용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긍정적이며,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학교의 응집성과 교사지지, 평등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아동 학교적응에 대한 각 체계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체계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족체계에서는 부모 자녀의사소통이 긍정적일수록, 학교체계에서는 응집성이 높고, 교사지지가 높으며, 평등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체계의 경우 학교 적응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친구체계에 비해 개인체계, 가족체계, 학교체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경로분석을 통해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의 각 체계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효과 및 직접효과의 경우, 응집성, 교사지지, 자아존중감의 순으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접효과의 경우, 부모 자녀 의사소통, 수용적 양육태도, 응집성의 순으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적응에 학교체계가 갖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족체계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는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자아존중감 수준에 영향을 주게 되어 간접적으로 학교적응 수준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요인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아동의 학교적응을 논함에 있어 학교라는 단위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학교적응은 개인체계와 가족체계, 친구체계, 그리고 학교체계를 모두 포함한 통합적 관점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학생-부모-학교-지역사회 모두에 개입하고 이들을 연계하여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사회사업제도는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학교사회사업가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상담 혹은 학교부적응 아동을 위한 가족단위 집단프로그램 등을 실시할 수 있으며, 학교 및 학급환경을 개선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문제의 원인과 대처방안을 교육하거나 훈련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학교사회사업가는 학생, 가족, 친구, 학교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학교적응과 관련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학교사회사업은 아동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매우 적절한 개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s very important; however, as physical maturity of children becomes faster recently, the age of students having problems related to school gets lower. In view of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o this study compares school adjusted group with school maladjusted group, and identifies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the path of each variables. This study categorized various variables into 3 system variances according to the eco-systems perspective. Personal system variance is self-esteem, family system variances are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 and social system variances are friendship and school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means cohesion, teacher support, and equality. This study included 247 students in five or six grade in Seoul. The questionarie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prior studies and these questionaries have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after pre-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school adjusted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personal system variance, family system variances, and social system variances than maladjusted group. 2)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are self-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 cohesion, teacher support, and equality. 3) path analysis shows that cohesion, teacher support, and self-esteem affect school adjustment as a total and direct effect. In case of indirect effect,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 parenting attitude and cohesion affect school adjustment. This result shows that school environment is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 school adjustment and family system variances affect school adjustment indirec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can be improved by the integrative approach which include personal, familial, and social system variances altogether. Therefore school social work should be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school as the effective means of solution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ecause school social work is the inclusive method relating among student, family and school. School social workers can work in a variety of ways: group work with pupils who have low self-esteem, work with parents,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eachers to let them enhance the school environment. School social work will serve as the effective intervention for children to adjust to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