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 Pressure on Turnover Intention of Dance Teachers in Private Institutes: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이파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43

        Abstract With the improvement of Chin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level, the people's spiritual pursuit has continued to increase, which has promote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emand for dance training teachers in China. However, due to the immaturity of private dance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work pressure affects employees' resig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 pressure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se two variables of happiness of teachers at private dance schools in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303 dance academy teachers from three regions of China (Beijing-Tianjin-Hebei region, Yangtze River Delta and Guangdong-Hong Kong)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work pressure, happiness,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work pressu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except the work area. In addition, in the case of turnover inten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work experience, and work area. Second, it was found that promotion pressure and organizational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dance teachers. Organizational atmosphe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leave a dance teacher, and an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average value of organizational atmosphere pressure in all dimensions of work pressur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workload and promotion pressur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work pressure, that is, when happiness increased, work pressure decreased, and thus the intention to leave the job of dance teachers de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organizational atmosphere among the dimensions of work pressure not onl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urnover rate of dance teachers, but also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dimensions.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the higher the concrete pressure, the lower the sense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happiness,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hange the job of the dance teacher. This thesis tried to explore the three-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work pressure, happi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dance teachers through related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 far, this study intends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dance academies need to prepare measures to promot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happiness according to the age, academic background, and working years of dance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tal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appiness of dance teachers aged 30-39 years old and 6 years or more in terms of age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happiness compared to other groups.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there may be various demands in the job, etc. depending on the group by type. Second, dance academies must accurately identify the causes of work pressure for dance teachers and make efforts to alleviate them. For example, rather than leading the organizational climate to a pattern of excessive competition or conflict structure, it is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 to create a positive and supportive atmosphere.

      •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가르치는 무용교사의 수업 경험 및 의미 탐색에 관한 연구

        이범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06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가르치는 무용교사의 수업 경험 및 의미 탐색을 통해 무용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를 하고 무용교사의 가치관과 신념을 포함하는 역동적이고 종합적인 맥락에서 학문적 이해의 노력과 탐구적인 접근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전문으로 하는 예술학교에 근무하는 무용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대한 실행과정을 파악하고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담당하는 무용교사는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특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둘째,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담당하는 무용교사는 해당 수업을 통해 무엇을 가르치는 것으로 생각하는가? 셋째, 위의 무용교사는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에게 무용 수업은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넷째, 위의 무용교사는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무용 수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다섯째,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담당하는 무용교사는 해당 수업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L학교와 H학교에 근무하는 무용교사 5인이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지속적이고 순환적으로 자료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해 생성된 범주들을 되짚어 보며 빠지거나 놓친 부분이 없는지 문헌과 참여관찰일지 등의 자료들을 반복하여 읽고 재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행동적 특성, 사회적 특성은 해당 학생의 교육적 수요를 의미함과 동시에 교사의 입장에서 교수하는 내용을 가늠하는 바로미터일 수 있다. 더욱이 관련 교사들의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특성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장을 견지하고 있을 수 있고, 이는 사실상 개별적 교사의 무용수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들은 작업기능의 용량이 정상적 범주의 학생에 비하여 적고 처리 속도가 느려 정보의 인지적 처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그래서 교사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그들은 공격성과 충동성을 보이기도 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의존 욕구가 상당하다. 나아가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적 정서에 함몰되고 있거나 사춘기에 접어든 학생들이 정서조절의 어려움과 예측 불가능한 행동변화를 무용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보이고 있다. 셋째, 경계선 지적 기능학생을 대상으로 한 무용수업의 목표에 관하여 교사의 경험에 의하면, 비록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일지라도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신하고 있음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참여도를 제고하고 사회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설정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있다. 다행스러운 일은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지지와 그 지지요인이 해당 학생에게 더 상관적임을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사회화, 자존감 회복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는 위의 무용수업이 필요하다는 점은 물론이고,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의 회복 내지 상승을 위해 무용수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경계선 지적 기능학생을 담당하는 무용교사는 해당 수업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지에 무용교사는 여러 가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해당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시키고 소통시키는 것, 학생들과 놀아주는 것, 때로는 학생들이 자신의 자아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기 까지 기다려주는 것, 변화를 기다려 주는 것이 역할로 인식하고 있다. 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은 무용교사의 역할이 본인에게 맞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 해당 학생과의 눈높이를 맞추는 것, 학생들의 발전을 기다려 주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무엇보다 현실적인 방법으로 무용수업 외에 해당 학생과의 상담을 주요한 역할이라고 인식한다. 위에서 제시한 바를 살펴봤을 때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가르치는 무용교사의 수업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며, 이러한 경험안에서 무용교사는 수업 경험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전 및 더 나은 무용교육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에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을 가르치는 무용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와 경험으로서의 틀을 제시함에 있어 앞으로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들에게 무용교육을 하고자 하는 신진 교사들에게 무용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한다는 것에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니며, 무용교사들의 독창적인 성향을 반영하여 앞으로 발전적인 경계선 지적 학생들의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적 가치를 인식시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by exploring the class experiences and meanings of dance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rough narrative inquiry,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and to develop a dynamic and comprehensive approach that includes the values ​​and beliefs of dance teachers. The purpose is to strive for academic understanding and an exploratory approach in context.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lass experience of dance teachers working at an art school specializing in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 questions to conduct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do dance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ink a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aking the class? Second, what do dance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think they are teaching through their classes? Third, why does the dance teacher think that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need dance classes? Fourth, how does the dance teacher think dance classes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run? Fifth, what role do you think the dance teacher in charge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plays in the cla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five dance teachers working at School L and School H, which target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s. Research participants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The collection of data was done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process of repeatedly reading and reanalyzing data such as literature and field notes to check for any missing or missing parts by looking back at the categories created through continuous and circula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ata.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emotional characteristic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a student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mea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student,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a barometer to measure the content of teaching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Moreover, the teachers involved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regard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students, and this may in fact affect individual teachers' dance classes. Second,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have lower work function capacity and slower processing speed than normal students, which reduces their cognitive processing efficiency of information. Therefore, they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and remembering the teacher's teachings. They also show aggression and impulsivity and have a significant need for dependence in stressful situations. Furthermore,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re immersed in negative emotions, or students entering puberty are showing difficulties in controlling emotions and unpredictable behavioral changes to teachers in charge of dance classes. Third, regarding the goals of dance classes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they are confident that even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s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so they aim to raise students' self-esteem an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They recognize that the goal should be to increase social skills. The good news is that they recognize through experience that teachers' support and supporting factors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tudents are more relevant to those students. Fourth, it is recognized that the above dance classes are necessary for the socialization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s and for education to restore self-esteem, as well as the need for dance classes to restore or increase resilience and self-esteem. Fifth, what role the dance teacher about charge of borderline intellectually functional students perceives to play in the class is recognized as having a variety of roles. Based on that recognition, they recognize that their role is to engage and communicate with students in class, play with students, sometimes wait until students can properly express themselves, and wait for changes. It is recognize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bove roles begin with thinking that the role of a dance teacher is right for oneself, meeting the eye level of the student, and waiting for the students' development. Above all, in a realistic way, they recognize that counseling with students in addition to dance classes is their main role. Considering what was presented above, through narrative inquiry, we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lass experience of a dance teacher teaching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and within this experience, the dance teacher continuously develops from the class experience and makes continuous efforts to provide better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previous contents, in presenting a framework as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the class experience of a dance teacher teaching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s, it is noteworthy that it presents a new milestone in dance education for new teachers who wish to provide dance education to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s in the future. It has value and is of great significance in recognizing the educational value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advanced borderline intelligence by reflecting the creative tendencies of dance teachers.

      • 초등학교 무용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

        박종선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89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 students' interaction on children emotional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 dance classes. Subjects were 244 children from grade 4 to grade 6. Data were collected using a Teacher-Student Interaction Questionnaire and Achievement Emotion Questionnaire in Dance. For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teachers perceived by children was no difference between grades, but the group preferred dance class perceived more positive their interaction with teachers than those who didn't like dance. Children learning dance over one year perceived more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s in dance classes were no difference between grades, but children preferred dance classes experienced higher enjoyment and lower boredom. Children learning dance over one year reported a higher enjoyment, whereas children having a short experience with dance perceived a high boredom. Third, Children's grades, dance preference, and positive or negative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s such as helping/friendliness and admonishment facilitated pleasant emotions, teaching behaviors including leaderships, freedom/ responsibility, and uncertain action reduced children's anxiety. The perception of teachers' admonishment enhanced students' anxiety. In addition, the degree of dance preference, giving freedom/responsibility by teachers, uncertain teaching behaviors, and admonition were related to boredom emotion.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emotional experiences will differ according to students' grade, preference for dance, and learning period. Moreover, the results imply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more positive experiences when teachers helps students' learning,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and provide them for freedom and responsibility for learning instead of strictness and admonition in dance classes.

      • LEAPing toward change: A portrait of teacher-artist collaborativ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elementary classroom (Illinois)

        Stokes, Kelly Jean Temple University 2001 해외박사(DDOD)

        RANK : 2847

        This descriptive case study employed ethnographic research techniques to examine the collaborative instructional practices of identified teacher-artist teams at two Chicago Public Schools, Audubon and Blaine Elementary, within the context of the community-based Lakeview Education and Arts Partnership (LEAP). Participant-observer experiences accrued during the 1998 fall semester time frame specifically explored (1) the ways in which the cultural practices and physical resources found within the partnership and at each school site accommodated, discouraged, or obstructed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teaching relationships and practices, (2) the multiple processes through which arts-integrated units were constructed and instructed, (3) the varieties of instructional practices and relational interactions revealed as LEAP teachers and artists co-developed and instructed arts integrated units, and (4) the extent to which arts-integrated units both accommodated the instruction of arts and other subject area concepts and fulfilled specific disciplinary standards. Finding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arts partnerships such as LEAP provide unique opportunities for substantial classroom teacher and artist professional growth as well as have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value and status of both the arts educator and the various arts disciplines within the school community.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developing and fostering truly authentic collaborative working relationships among classroom teachers and between classroom teachers and artists requires substantial personal risk-taking, a considerable commitment of time, and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clear expectations regard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Additional findings revealed that arts experiences, when placed within the context of an arts-integrated agenda, are powerful ways through which to transmit specific arts concepts and understandings and play a pivotal role in preparing an environment and guiding a pathway of receptivity for student learning. Despite these successes, various administrational and/or instructional aspects of both the partnership and the specific partner schools, such as the presence of often paradoxical educational orientations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lack of a standardized model or definitions for either collaborative instructional practice or arts integration, and lingering teacher reticence to initiate arts-integrated units, continue to pose significant challenges for LEAP and have ramif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other partnerships.

      • 대학 무용 지도자의 리더십 형태에 관한 연구

        김애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65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무용 전공 학생들이 지각하는 무용 지도자들의 리더십 형태와 이들의 학생들에 대한 지도 열의 및 학생들의 지도자에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4개 대학교의 무용을 전공하는 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불충분한 응답을 제외한 발레 73명, 한국무용 169명, 현대무용 83명 총 3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이 지각하는 전공별 지도자들의 리더십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 무용 지도자들의 리더십 형태를 과제지향성 독단형,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나누었으며 이들의 리더십 형태뿐만 아니라, 학생에 대한 긍정적 보상행동 정도, 레슨 성과 그리고 지도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전공 즉, 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등 각각의 무용 전공에 따른 지도자들의 지도형태와 경력에 따른 지도형태, 긍정적 보상정도, 그리고 전공 지도자에게 레슨 받은 기간에 따른 지도 형태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공에 따른 대학교 무용전공 지도자들의 지도형태는 먼저, 과제 지향적 및 독단적 지도유형에 대해서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다. 민주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다. 이에 반해 자유방임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발레와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으나 무용 전공분야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각각의 무용지도자들의 지도형태는 독단적 지도유형에 대해서 1학년과 4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민주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1학년과 2학년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3학년이 4학년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다. 경력에 따른 무용 지도자들의 지도형태는 과제 지향적 및 독단적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무용 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인식을 보였으나 큰 의미는 얻을 수 없었다. 민주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무용경력이 7∼10년 미만인 학생 지도자의 지도유형에 가장 두드러진 성격을 나타내어 5년 미만 10년 이상인 학생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자유방임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무용 경력이 7∼10년 미만인 학생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무용 경력이 5년 미만인 학생과 5∼7년 미만인 학생이 무용 경력이 10년 이상인 학생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용전공자의 무용 경력에 따라 무용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대한 인식은 독단적 및 과제 지향적 지도자와 자유방임형 지도자에게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민주형 지도자에게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인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전공에 따라 무용지도자의 지도열의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용경력에 따른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 경력이 7∼10년 미만인 학생이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무용 경력이 5년 미만인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였다. 다음으로 지도자들의 지도 만족도를 묻는 문항에서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무용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무용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걸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leadership structures of dance instructors among university dance students. The sample size of the data consists of 355 surveys representing 73 ballet students, 169 Korean dance students, and 83 modem dance students. The survey design utilizes Chelladurai & Salehs (1978) Competing Values and Leadership Scale for Sport. One of the important premises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leadership structure into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democratic leadership style, and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Furthermore, different variables such as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instructors enthusiasm for teaching, and student satisfaction toward his instructor are investigated.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evailing leadership structure of dance instructors by considering different dance majors, the duration of the students dancing career,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and the length of lesson commitments with the instructor.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or the study. By utilizing one-way ANOVA statistical analysis, three competing categories of leaderships are established. In the category of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ballet majors display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hile modem dance majors reveal the lowest correlation, even less than Korean dance majors. In the category of democratic leadership style, ballet majors also display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hile modem dance majors show lower correlation than Korean dance majors. Although modem dance majors show higher correlation than ballet and Korean dance majors in the category of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a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three dance majors is absent. When analyzing different grade levels, freshmen and seniors show lower correlation to autocratic leadership style than sophomores and juniors, while freshmen and sophomores show higher correlation for democratic leadership style than juniors and seniors. By considering the duration of the students dance career,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length of duration positively corresponds to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although not all that meaningful. In the category of democratic leadership style,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7 to 10 years show remarkable positive correlation than students with less than 5 years or greater than 10 years of dance career. In the category of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7 to 10 years show the highest correlation. Although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5 years and less than 5 to 7 years show lower correlation than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10 years, the data fail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Overall, the length of career does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and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However, the length of career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emocratic leadership style. In the category of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and instructor enthusiasm, ballet students indicate the highest correlation, while modem dance majors show lower correlation than Korean dance majors. From this data, the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enthusiasm for teaching and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differ across different dance majors. Students with less than 7 to 10 years of experience show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ategory of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and instructor enthusiasm, while student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show lower correlation than other students. Finally when considering student satisfaction at his instructor, ballet students display the highest mark while modem dance majors show lower student satisfaction mark than Korean dance majors.

      • 교사의 무용연수회 참여동기가 무용몰입과 지속참여에 미치는 영향

        신환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8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무용연수회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 동기와 무용몰입, 지속참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교원연수를 통한 무용이 교사의 수업활동과 여가생활에 실제적으로 활용되어 보다 행복한 삶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1년 현재 경남 및 서울지역에서 한국무용과 라인댄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원무용연수회의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지는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작성되었고 성실치 못한 응답을 제외한 245부가 실질적으로 연구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질적을 위하여 사용된 자료처리 방법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참여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담당학년, 연수 참여횟수, 공연 참여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외적과시에 의한 참여동기가 높았으며, 초등학교 교사가 중고등학교 교사보다 기술발달을 위한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즐거움, 기술발달, 건강체력, 외적과시를 위한 참여동기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연 참여횟수는 많을수록 즐거움과 기술발달을 위한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무용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수 참여횟수, 공연 참여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연수회에 1회 참여한 교사보다 4회 참여한 교사가 무용몰입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공연 참여횟수가 없는 교사보다 공연 참여횟수가 많은 교사에게서 무용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지속참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직경력, 담당학년, 연수 참여횟수, 공연 참여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른 지속참여의 차이에서는 교수활동 요인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고, 담당학년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중고등학교 교사보다 인지적?교수활동적 지속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연수 참여횟수가 높을수록 인지적 지속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연 참여횟수가 높을수록 인지적?행동적?교수활동적 지속참여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즐거움, 건강?체력, 외적과시 요인이 무용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가 인지적 지속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즐거움, 기술발달, 외적과시 요인이 무용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가 행동적 지속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즐거움, 기술발달, 외적과시 요인이 무용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 중 즐거움, 기술발달 요인은 교수활동적 지속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이, 건강?체력 요인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몰입이 지속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무용몰입은 인지적?행동적?교수활동적 지속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이 높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과정 및 요인 탐색 : 이방인에서 개척인으로 성장하기

        장서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87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체육교사가 지닌 전문성을 중심으로 전문적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밝히고, 효과적인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1) 무용전공 체육교사는 어떠한 전문적 정체성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가? 2) 무용전공 체육교사가 경험하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3) 무용전공 체육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효과적 형성에의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무용전공 체육교사들의 삶과 경험 속에서 그들 스스로가 인식하는 전문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라, 2015년 12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총 1년 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적 표집법(Patton, 2005)에 의거해, 과거 예술가를 꿈꾸던 무용전공생에서 체육교사로 진로를 전환한 10명의 무용전공 출신 체육교사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 포커스그룹면담, 현지문서 수집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Moustakas(1994)의 자료 분석 단계에 따라 분석 및 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전 과정에서 다각적인 자료 수집을 통한 검증, 연구 참여자에 의한 검토, 동료 간의 협의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고, 연구 참여자에게 어떠한 불이익이나 부정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구 윤리에 유의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은 1) 이방인 2) 적응인 3) 정착인 4) 개척인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1) 이방인은 체육 실기에 대한 부담, 미숙한 체육 수업 전문성, 힘 못 쓰는 체육교사의 특징들로 인해 스스로 위축된 모습을 보이며 부족한 ‘체육능을 좇으려하는 모습’이었다. 2) 적응인은 ① 사랑과 소통의 힘 지니기 ② 아이들의 인성 길러주기를 통해 ‘교육지를 추구하는 모습’이었다. 3) 정착인은 ① 춤에 대한 그리움 품기 ② 무용을 통해 체육에 공헌하기를 통해 ‘무용심을 발휘하는 모습’이었다. 4) 개척인은 ① 무용 수업의 교육적 가치 인식하기 ② 무용 문화로 입문시키기를 통해 ‘체육능·교육지·무용심이 알찬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이방인에서 적응인으로의 정체성 형성과정 중 ① 이방인으로 안주하기에서는 ‘무용전공 색안경 낀 시선’과 ‘무용전문성 발휘의 어려움’을, ② 적응인으로 성장하기에서는 ‘체육 수업의 요령 터득’과 ‘관계를 통한 성장’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2) 적응인에서 정착인으로의 정체성 형성과정 중 ① 적응인으로 안주하기에서는 ‘체육교사로서의 자부심’과 ‘무용 가르치기의 한계 인식’을, ② 정착인으로 성장하기에서는 ‘무용전공 체육교사 표 표현활동’과 ‘다양한 무용전문성 발휘’의 특징들을 보이고 있었다. 3) 정착인에서 개척인으로의 정체성 형성과정 중 ① 정착인으로 안주하기에서는 ‘열정의 부재’를, ② 개척인으로 성장하기에서는 ‘동료교사와의 나눔’과 ‘끊임없는 도전과 용기 발휘’의 특징들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무용전공 체육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효과적 형성에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방인에서 적응인으로’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친 1) 개인적 요인에서는 ① 교직 이전의 체육 경험 ② 체육인의 마음가짐 ③ 자신만의 역할 인식이, ‘적응인에서 정착인으로’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친 2) 환경적 요인에서는 ① 동료교사의 지지와 인정 ② 표현활동이 주는 매력이, ‘정착인에서 개척인으로’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친 3) 잠재적 요인에서는 ① 무용전공 체육교사로서의 사명감 ② 춤과 가르치는 삶의 합일이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있어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도출되었다. 이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은 ‘체육능’, ‘교육지’, ‘무용심’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었으며, 그들 스스로 사명감을 가지고 ‘무용전문성’을 교육적으로 펼쳐낼 때 가장 이상적인 전문적 정체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이 효과적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그들만의 특별한 강점인 ‘무용전문성’이 적극 발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학교 안팎의 관심과 환경적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무용전공 체육교사 스스로의 끊임없는 노력이 함께 요구된다. 셋째, 학교 무용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무용전공 체육교사가 그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교사 교육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를 희망하는 무용전공자들을 포함하여 예비교사를 길러내는 교원양성기관은 ‘체육전문인 양성’의 관점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무용전공 체육교사가 중심이 된 교사학습공동체, 무용 수업연구회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마련과 관심이 촉구되어야 한다. 셋째, 무용전공 체육교사에 의해 학교 현장에 적합한 형태로 개발된 무용프로그램 및 실행 효과 등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전문적 역량을 부각시킬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

        조아해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86

        본 연구는 유아무용지도자에 연구의 중요성은 인식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외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 사설학원, 문화센터, 공공기관, 기타에서 지도하고 있는 유아무용지도자 남·여 20대 이상 유아무용지도자를 대상으로 2017년 9월 12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55부를 회수, 10부를 제외한 245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평가기입법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PASW 18.0 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사용 한 통계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분석을 통해서 직무요구는 직무스트레스를 거쳐야만 이직의도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의 문제를 분석하여 직무스트레스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직무환경 및 직무만족이 개선된다면 유아무용지도자의 이직의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