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클래식 음악영화를 활용한 감상 지도 방안 : 영화 <호로비츠를 위하여>를 중심으로

        노주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1

        현대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므로 교육에도 시대 흐름에 맞는 끊임없는 개혁과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들의 많은 연구 과제 중 하나가 효과적인 교수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전통적인 교수방법에서 벗어나 새롭고 흥미로운 교수법에 관해 많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교육공학적으로 접근하여 볼 때, 효과적인 매체의 활용은 성공적인 수업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악교육에서도 다양한 매체의 활용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며, 다양한 매체를 통한 포괄적 음악교육은 이미 음악교육계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더욱이 인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입시 위주의 교과목 운영으로 수업 시수가 많이 축소되었을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주요 과목에 비해 덜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기 쉬우므로 다양한 매체를 통한 흥미롭고 참신한 음악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따라서 본 논문은 ‘종합예술’이자 ‘미디어의 꽃’이라고 불리는 영화를 활용한 음악 감상 수업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며, 많은 영화중에서도 특히 클래식 음악영화를 활용한 감상 지도 방안에 관해 연구하였다.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클래식 음악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클래식 음악영화의 의미와 종류, 그리고 영화를 감상 교육에 활용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본론에서는 국내 최초 클래식 음악영화인《호로비츠를 위하여》를 감상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영화의 제작 배경과 줄거리, 그리고 영화에 삽입된 클래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았다. 그리고 영화에 등장한 클래식 음악을 감상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주제별로 6차시의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클래식 음악영화를 활용한 감상 수업을 시도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월등히 높아졌다. 학생들 또한 음악 수업이 매우 흥미로웠고 이 수업을 통해 클래식 음악과 많이 친근해졌다고 대답하였다.다양한 멀티미디어와 대중매체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아무리 좋은 내용이더라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음악 교사들이 음악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상매체를 활용한다면 유익하고 흥미로운 감상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world is changing rapidly,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has to be innovated. To do this, many teachers try to develop the efficient method of their teaching. Therefore, the research for new and innovatine teaching methods aside from traditional way is carried out a lot nowadays.In the view of the educational technology, the practical use of the mass media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teach students. This viewpoint is applied the same in the music class.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using various mass media is already supported by the music educational world. Moreover, our highschool education is focus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and music classes are not alloted much time. So, students are be coming to lost their interests in music.In the circumstances, teaching music using various media materials is able to encourage students to get interested.Therefore,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method of teaching classical music using the movie, which is called 'the flower of mass media'. Especially, I focused on the way to teach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using the movie that contains a lot of classical music. In this study I selected the movie titled 'For Horowitz', which is the first movie concerning classical music, because many kinds of classical music are used in this movie and the story is deeply impressive. For theoretical background, I explained the benefits of a classical music to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I classified the type of classical music movies and I dealt with the effects on the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when a classical music movies is used in a music class. After that I mentioned the story of the 'For Horowitz' and the list of classical musics in this movie to give information about this movie. Finally, I suggested six teaching plans which can be used in music class. As I tried these teaching plans, students concentrated more on the music class and they showed more interests and expressed how they are impressed by the class.Because the students are exposed to the various types of mass media, it is hard to teach classical music using traditional methods. Therefore, if music teachers use the various mass media including movie, they can teach music more informatively and interestingly.

      • 국악 기본 요소의 수업 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국악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김선옥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1

        음악은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매체중의 하나이다.음악은 우리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느 시대,문화를 막론하고 인간의 삶 속에는 항상 음악이 있어 왔고,그 시대의 문화,사상,가치관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추구되어 인간 사회의 중요한 부분으로 역할을 하여 왔다.학교의 음악교육을 통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 음악의 경험을 습득하게 하고 우리의 음악 문화유산과 다른 나라의 음악 문화유산을 비교 분석 함으로써,각 음악 문화의 음악적 특징과 그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게 함은 물론 우리의 음악 문화를 계승하고 보급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악의 기본 요소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요소별 수업 모형을 초등학교 제 7차 음악과 국악 단원에 적용 한다면,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의 국악 학습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정 에서 출발하였다.연구의 목적은 국악의 기본 요소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요소별 수업 모형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국악 학업성취 능력,국악 학습 태도 변화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4학년 음악 교과서에서 국악제재를 분석하여 국악 관련 기본 요소들을 추출하여 국악의 기본 요소별 지도 체계에 따라 기본 요소별 활동 중심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또한 국악의 기본요소별 수업 모형에 의한 다양한 방법의 국악학습 지도를 통해 국악학습 능력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효율적 실천을 위해 우선,문헌연구를 통해 국악 기본 요소별 학습 모형을 구성하였고 이에 따른 국악학습을 실시하기 전에 먼저 국악학습 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4학년 학생들에게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 동안 국악 기본 요소별 국악 학습을 적용하였다.또한 국악 기본 요소별 수업 모형에 의한 국악학습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국악학습 능력변화에 대한 사후 검사를 통해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이 국악의 기본 요소별 활동 중심 수업 모형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국악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학생들의 국악학업 성취 능력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면 국악의 기본요소별 활동 중심 수업 모형의 지도 방법이 교사용 지도서에 의한 일반적인 국악학습 방법에 비하여 그 교육적 효과가 매우 월등하였다. 둘째,학생들의 국악 학습 태도 변화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면 국악의 기본요소별 활동 중심 수업 모형의 지도 방법은 학생들에게 보다 흥미 있는 활동중심의 국악 학습을 체험하게 하여 일반적인 국악학습 방법에 비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국악 학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제언을 해 보면다음과 같다. 첫째,본 연구는 음악과의 ‘국악 요소’를 중심으로 활동 중심의 수업 모형지도 방법 적용 효과를 검증해 보았는데,다른 영역에도 적용해 보는 연구가 있어야겠다. 둘째,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음악 시간과 아침활동 시간,창의적 교육활동,특별활동 시간을 재구성하여 국악의 기본 요소별 활동 중심 수업 모형지도 방법을 적용하였는데,후속 연구에서는 학교 이외에서의 국악 요소별활동 중심의 수업 모형 지도 방법을 적용해 보고,그에 대한 효과를 연구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국악의 기본 요소별 활동 중심 수업 모형 지도 방법 제시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는데,이의 효과를 다른 학년 수준의 학생에게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Music is one ofthe media to deliver the culturalheritages.Music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unable to exclude from our society and it has been always existing in the human life not to speak of any ages or cultures.Also pursuing the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the culture,ideas,and values of the age, it has been doing a role as the important part of the human society.Through children's school music education,by obtaining music experiences of the various ages & cultures and comparing & analysing our music culture heritages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we'll have to make the children contribute on the new music culture creation succeeding & diffusing to our musicculture as well as they understand musical features & the historic and culturalvalues of each music culture. At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sphere occupies much relative importance,'Succeeding to ourmusicalculture& Creating new musicalculture'is setas one aim ofmusic lesson,and the guidance ofthe traditional music is being emphasized.It's thought this enables the students living the new ages to preserve & develop our culture in the various cultures changing rapidly,so itcan contribute on the desirable musical growth wit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The teachers must make efforts forsystematic learning modeldevelopmentrecognizing correctly instruction․learning processes about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Alsoatthemusiclesson oftheelementary school,in orderto direct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systematically,it's very important to preserve the traditional music & cultivate creative expressions while making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perform learning centered on the various activities, extend understanding & the expression power about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and induce interests i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moreoverwith the analyzing the basic elements ofthe National Classical Music through the learning model application by the element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hypothesis that if the learning model by the elements is applied to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unit of the seventh music lesson of the elementary school by developing instruction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alClassicalMusic,the affirmative effects will be shown o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abil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s middle grades stud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spec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s learning accomplishmentability & the change ofthe learning attitudes of the fourth grade's elementary schoolstudents through the learning model applicationby theelementsdeveloping instruction․learning program by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To accomplish the aim of this study, the learning model is developed centered on the activities by the basic elements according to the guidance system by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analyzing the topics & drawing the basic elements related to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at the music text of the elementary school's fourth grade,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ability are inspected through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guidanceofthevariousmethodsby thelearning modelby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For the effective practice ofthis study, first learning model by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s composed through the documents, prior test about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ability is carried outbefore conducting the NationalClassicalMusic learning, and the NationalClassicalMusic learning by the basic elements is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s'forth grade students for 9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Also,after conducting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through learning model by the basic elements, the educational effects are verified through posttestaboutthe changes of the students'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abilities. The conclusion ofverifying the effects on the elementary school's fourth grade students' the NationalClassicalMusic learning abilities through learning modelapplication centered on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by the basic elements is like following. First, whe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students'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accomplishment abilities are inspected,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guidance method ofthe learning modelcentered on the activities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s basic elements is superior to the generalNationalClassicalMusic learning method by the teacher's guide book. Second, whe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students' National ClassicalMusic learning attitude change are inspected ,the guidance method ofthelearning modelcentered on theactivitiesby theNational ClassicalMusic's basic elements makes the students experience the NationalClassicalMusiclearning centeredon moreinteresting activities, so it can provide the affirmative effects on the change of theelementary schoolstudents'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attitudes compared with the general learning method. When the study results above are synthesized, it's shown that learning model application centered on the activities by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has the effective changes of the learning accomplishment ability & learning attitude aspect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at the elementary school's middle grades students' National Classical Music learning aspect. Based on the conclusion like above, the suggestion for the post study of this one is like following. First, this study verified the application effects of learning model guidance method centered on the activities based o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elements' of music lesson, and it's thought the studies applying to the different spheres need. Second, this study applied to learning model guidance method centered on the activities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s basic elements reconstructing music lessons, morning activities, creative education activities & special activities at school,so it needs to apply to learning model guidance method centered on the activities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s basic elements outside school in post study and study itseffects. Third,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learning model guidance method centered on the activities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s basic elements aimed at the elementary school's fourth grade students,and it needs to study whether this effect will be shown on the other grades'students.

      • 초등학교의 국악교육 지도 실태 조사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이애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39

        음악은 문화와 역사의 산물이다. 따라서 음악 교육도 자국의 문화적 토대 위에서 계승, 발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은 수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 음악 위주의 음악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국악의 비중이 늘어나기는 했으나 아직까지도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광역시 초등학교의 국악 교육 지도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것을 토대로 국악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내어 앞으로의 국악 교육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국악 교육 지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작성한 후, 전문가의 지도와 사전 설문 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있는 초등학교 219개교를 모집단으로 하여 그 중에서 ‘계통표본추출법’(체계적 표집 : systematic sampling)으로 110개교를 선정하였고, 조사 대상은 음악이나 전통음악 교과 연구회 회원이 아닌 담임교사 440명으로 하였다. 우편, 전자메일, 방문 등의 방법으로 설문 조사하여 104개교(94.5%)에서 346명(78.6%)의 설문지를 회수,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악 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면서도 자신의 실기 능력 부족이나 지도 능력 부족, 열악한 교육 여건 등으로 인하여 국악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응답하였다. 이것은 교사들의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국악교육을 할 수 있는 주변 여건만 개선된다면 얼마든지 국악 교육의 미래가 밝아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교사들이 국악교육의 활동 영역 중 가장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영역은 가창 영역이었으며, 기악 영역의 지도를 가장 어려워하였다. 그러나 가창 지도도 교사가 직접 노래를 부르며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CD자료나 인터넷 웹자료를 활용한 지도가 대부분이었다. 지도 가능한 국악기는 ‘장구(27.2%) - 단소(23.52%) - 북(14.9%) - 징(12.3%)’의 순서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욱 향상된 국악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대학이나 교사 연수 기관에서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실기 과목을 가르쳐야 할 것이며 교사들도 다양한 기능을 습득하여 더욱 알찬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국악 교육을 위한 교구 및 시설 환경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49.0%의 학교가 음악실이나 국악실을 갖추고 있지 않았으며, 국악실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2.9%에 불과해 학교에서 국악을 가르칠 수 있는 공간이 많이 부족하였다. 국악기는 악기의 특성상 국악실에서의 연주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양질의 국악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국악실’의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인천 지역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기간에 걸친 실기 위주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둘째, 활용 가능한 국악 교육 관련 교육 자료를 개발, 보급한다. 셋째, 다양한 기능과 충분한 교구를 갖춘 국악실을 설치한다. 넷째, 국악을 자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전국의 국악교육 지도 실태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Music is a product of culture and history. And music education should be well grounded in cultural tradition. As a matter of fact, however, music education in our country still leans toward western music, though the national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several time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gives more weight to Korean classical music, but that education isn't yet on the right tr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Incheon in an effort to help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fter questionnaire was prepared to grasp the stat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by reviewing earlier studies, that was finalized under the guidance of an expert and by conducting a pilot surve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40 teachers who worked at 110 elementary schools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from a population of 219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The selected teachers were homeroom teachers who didn't join an academic workshop of music or traditional music. A survey was implemented by mail, e-mail or in person, and the answer sheets from 346 teachers(78.5%) at 104 schools (94.5%) were gathered. W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felt the need for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but weren't able to offer it properly due to their own poor teaching ability, inadequate practical skills or harsh educational conditions. It denotes that there will be a bright future in front of that education if there are efforts to improve their teaching ability and the given conditions. Second, the teachers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singing when they taught Korean classical music, and found it most difficult to teach how to play musical instruments. Moreover, they didn't teach singing in person but mostly relied on CDs or Internet materials. Out of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ruments, the largest group could teach how to play the Janggu(27.2%), followed by Danso(23.52%), drum(14.9%) and gong (12.3%). To ensure successful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colleges of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offer a wide variety of practical courses on a long-term basis, and teachers should try to boost their own teaching ability to enrich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Third, the schools weren't equipped with required teaching aids and facilities. As many as 49.0 percent were devoid of teaching aids and facilities for that education, and only 2.9 percent assigned a separate room to national classical music. Indeed, the spaces where national classical music could be taught were extremely insufficient.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ruments, there should be a separate place to play the instruments, and a securement of a national classical music room is mandator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problems with elementary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the region of Inche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a wide variety of prolonged and divers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epared. Second, required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Third, a multipurpose and well-furnished national classical music room should be installed. Fourth, it's required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students to be frequently exposed to Korean classical music. Fifth, a nationwide survey should be conducted to find out the stat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across the nation.

      • 중학교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국악체험 프로그램 개발

        류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38

        자유학기제는 입시위주 교육, 단순한 주입식 교육 등의 교육풍토로 인해 초래된 한국학생들의 낮은 행복감, 자기주도 학습능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3년 도입되었으며 2019년 현재 전국의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변화에 따라 예술교육도 전통교육방식이 아닌 학생위주의 수업, 체험 및 활동 중심수업, 과정 중심 평가 등 새로운 정책의 흐름에 부합하는 음악관련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음악 프로그램은 대부분 양악위주이며 국악 관련 프로그램은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책의 흐름에 부합하는 국악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부합하면서 국악교육의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는 국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유학기제, 예술교육의 방향, 국악교육의 방향에 대해 살펴본 후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중학교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국악체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중학교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국악체험 프로그램’은 총 9차시로 구성했으며 수업을 통하여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고 진로를 탐색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두었다. 국악체험 프로그램은 행사 참여형, 전시 관람형, 산업 탐방형, 교육 강좌형, 공연 감상형의 5가지 범주를 연계하여 국악을 다각도로 경험할 수 있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9차시의 수업은 사전활동(1차시)-체험활동(2차시)-정리활동(3차시)이 한 패턴으로 총 3개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사전활동은 체험활동의 이해를 돕는 수업을 실시하고 체험활동을 통하여 이론과 현장의 실제를 결합하여 체험을 통한 배움을 이끌어내도록 했으며 정리활동을 통하여 체험활동에서 얻은 경험을 내면화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수업 내용 및 방식은 체험학습, 토론, 협동학습, 발표 위주의 활동을 다루었으며 평가방식은 과정 중심의 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 평가와 자기평가를 활용하도록 했다. 본 논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토론, 발표, 활동 중심의 수업을 통하여 자기주도 학습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다양한 국악 체험활동을 통하여 우리나라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여 국악을 애호하는 태도를 길러 예술 관련 다양한 진로까지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국악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국악 관련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새로운 아이디어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Free semester system was implemented in 2013 to solve the issue caused by the education focused on the college entrance and unsophisticated teaching by rote, including the low feeling of well-being and lack of self-directed learning. As of now, 2019, all middle schools in Korea are enforcing this system.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policy, music-related programs that meet the new flow of policies such as student-centered lectures, experience, activity-centered lecture, and process-centered evaluation are being operated, away from conventional methods. However, music programs that schools operate mostly focus on western music, and program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music are not properly being operated. The need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at corresponds with the flow of policies is rising. Therefore, this thesis sought to develop Korean classical music experience program, which both corresponds with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promote the invigor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 research method for it is as follows. The thesis examined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directionality of the art education, and the directionality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study then designed the “Korean classical music experience program in response to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The “Korean classical music experience program in response to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consists of nine lectures, and its final goal is to let students find their interest and aptitude to explore the future path. The Korean classical music experience program was composed with lectures that link five different categories of event participation type, exhibition view type, industry exploration, and performance appreciation type,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Korean classical music from various angles. Nine lectures comprise of three patterns, and each pattern consists of pre-activity(lecture 1) – experience activity(lecture 2) – wrap up activity(lecture 3). The pre-activity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activity itself. The experience activity fosters students combine the theory and on-the-scene experience to deduct the learning through the experience. The wrap up activity allows students to internalize the knowledge obtained from the experience activity. In terms of the content and method, the lecture handles activities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discus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presentation, and the process-focused evaluation utilized portfolio and self-evaluation to foste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The anticipated outcome through this thesis is the cultivation of self-learning and communications ability through lectures focus on discussion, presentation, and activity. Additionally, through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on Korean classical music, the program is expec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on Korea’s traditional music. Also, the program may help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that promotes the attitude which loves Korean classical music, encouraging the students to seek their path in art-related fields. It is hoped for that this thesis and the research lead to active oper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programs in schools with the anticipation of various follow-up researches and new ideas on Korean classical music-related free semester program.

      • 클래식음악 산업에서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활성화 방안

        전지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37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solutions to vitalize artist management in the business of classical music. Artist management in classical music field in foreign countries have kept history at least decades or even more than 100 years, and they have been very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developed. Even though the system in Korea was just less than 20 years, it is still continuously developing. However, the researches about artist management and artist manager in classical music market are still not less vitalized than in pop music market, so I began to do the research because I realized the need of artist management. So, according to this situation, firstly I attempted to find theoretical backgrounds in terms of artist management. I research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performing art management and artist management because the artist management is part of performing art management. Moreover, I studied the ways how to apply some strengths, which pop music artist management have, to classical music artist management which still have limits and issues through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artist management in pop music industry which the management are already vitalized, and classical music industry. After the analysis, I intensively analyzed the case study of 5 managements where they are located in Korea and other foreign countries. In a case study in Korea, I analyzed 3 different managements. First management is‘Credia’which is symbolic of 1.5 generation in the management in Korea which makes classical music business like entertainment through vitalization of various classical musical business like managing of artist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selling of concert tickets, and publishing of magazines. Second management is‘Arts & Artists’which is not only mainly managing of artist management but also performance management like opera production. Third management is‘Stageone’ which promotes and supports to the new artists like Young Artist Forum, Classical Cloud, and Rising Star as the new business which is called Classical Network, and produce trendy classical music online entertainments to support artists and to lead classical music popularization. In a case study in foreign countries, I analyzed 2 different managements. First one is‘Columbia Artists’which are managing artist management in various parts like not only performers, but also orchestra, theatrical productions, and stage directors. Second one is‘Askonas Holt’which has more than 140 years of history and is managing especially star artists who take an active part in the international arena. As a result of these analysis, I could understand that despite needing many professional fields and roles, the managements for the rising stars were not sufficient, and the professional managers were also not enough. Thus, according to these analysis, I believed that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institutes, which establish certain concepts as roles of artist manger and train professional artist manager, need because when professional personnel achieve their own roles through grasping about them, they can use their ability and also can successfully make great outcomes. I also suggest that the managements have to be more extended for the rising stars to do consistent development of next artist management business and classical music market. Although there are a lot of classical music artists in Korea and their abilities are as great as other famous artists in foreign countries, the managements in Korea which can lead them are still not enough comparing with amount of artists. So, if the professional artist managers are accompanied with the artists, that will be really helpful to grow great artists, to vitalize artist management fields as well as to develop classical music industries. So, we will continuously need to research and to carry out vitalization of artist management areas.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산업에서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활성화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해외의 클래식음악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는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고, 국내는 이러한 시스템이 도입 된지 20년이 지나지 않았지만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대중음악이 아닌 클래식음악에서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와 아티스트 매니저에 관한 연구는 거의 미비한 상태이기에 본 연구자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먼저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는 공연 예술 매니지먼트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공연 예술 매니지먼트와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이론적 배경을 각각 살펴보았다. 이후 아티스트 매니지먼트가 활성화 되어 있는 대중음악 산업에서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현황과 클래식음악 산업에서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클래식음악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한계와 문제점들에 대중음악 아티스트 매니지먼트가 가지는 강점 중 차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았다. 대중음악과 클래식음악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 후 국내외의 클래식음악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의 사례 5곳을 선정하여 집중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뿐만 아니라 공연 기획, 티켓 예매, 매거진 발간 등 다양한 사업의 활성화로 인하여 클래식음악의 엔터테인먼트 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국내 매니지먼트 1.5세대의 대표인‘크레디아(Credia)’의 사례와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를 주 사업으로 이루고 있으며 공연 기획을 함께 운영하고 있는‘아트앤아티스트(Arts & Artists)’의 사례, 클래시컬 네트워크라는 신진 사업으로써 영 아티스트 포럼, 클래시컬 클라우드, 라이징 스타 등 신진 아티스트를 위해 다양한 홍보로 지원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맞춰 클래식음악을 주제로 한 웹 예능을 제작하여 아티스트의 지원은 물론 클래식음악의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는‘스테이지원(Stageone)’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로는 연주자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극장, 무대감독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들을 매니지먼트 하고 있는‘컬럼비아 아티스트(Columbia Artists)’의 사례와 14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하고 있는 유명 아티스트들을 전문적으로 매니지먼트하고 있는‘아스코나스 홀트(Askonas Holt)’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적인 분야와 역할에 비해 전문 매니저들이 부족하고 신진 아티스트를 위한 매니지먼트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분석에 따라, 역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지고 있는 전문 인력이 해당 역할을 수행했을 때 더욱 강화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으며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아티스트 매니저와 역할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전문 아트 매니저를 양성하는 전문적인 교육 기관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클래식음악계의 발전을 위해 현재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에 머무르지 않고 신진 아티스트를 위한 매니지먼트가 더욱 확대 되어야 한다는 제언을 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의 클래식음악 아티스트들은 세계 유명의 아티스트들과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우수한 실력을 가지고 있는 아티스트들이 많지만 국내 매니지먼트사들은 아티스트들의 수에 비해 적은 수의 인원만 매니지먼트를 하고 있다. 전문적인 아티스트 매니저가 아티스트의 동반자로 함께 있을 때 아티스트의 발전은 물론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분야가 활성화 되며 나아가 클래식음악 산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분야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 및 실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 감상 워크북 개발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이선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26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is viewed as one of important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at music, to improv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o learn about unique national sentiment and mentality. Given the importance of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it's required to make research on diverse sort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and existing music textbooks that make it difficult for children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own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revam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vised 2007 music curriculum, to select korean classical music appropriate for appreciation education, and to develop workbooks for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geared toward fifth and sixth graders. It's basically meant to make up for the current music textbooks and provide reference materials suitable for the revised 2007 music curriculum that strengthened functional education. Appreciation workbooks for korean classical music were develop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revised 2007 korean classical music curriculum was analyz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workbooks, and earlier studies and existing appreciation methods for korean classical music were investigated. Second, related literature was reviewed to design a developmental model and to determine the procedure of development and the structure of workbooks. Third, 16 different types of music were selected. Fourth, 19 workbooks were devised according to the selected procedure and developmental model. The structure of the workbooks was determined based on an inclusive instructional model of appreciation as follows: The first stage titled 'Nice to meet you' is to give aesthetic stimuli. Students write down their feelings about the selected pieces of music, their basic knowledge of the music and learning themes, and they organize what they already learned. The second stage titled 'Looking for a hidden treasure' is an initial stage of aesthetic activities. How to appreciate the music from diverse angles is explained to improve the analytic understanding of learners. The third stage titled 'Let's do it together' is to appreciate the music in a creative and inclusive manner. A variety of music activities are presented to let students get a big picture of the overall structur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 fourth stage titled 'Remember in this way?' is the final conceptualization stage. They look back on what they appreciated, and organize the musical conceptions they acquired into the form of items. The fifth stage titled 'Close your eyes and be quiet!' is a valorization stage. They describe their changes of feelings, attitude and interest in the form of checklist or write an essay about that. The appreciation workbooks for korean classical music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up for the external and content system of the current textbooks, to spark the interest of students by presenting various kinds of media and materials, and to function as material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portfolio evaluation by offering blank spaces. At the same time, the workbooks could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revised 2007 music curriculum that reinforced functional education, and they also could be utilized along with future textbooks or as selective, enrichment or reference materials for the textbooks. Moreover, the workbooks are expected to take appreciation activities to another level by introducing quality audiovisual materials involving disks. The five-stage system of the workbooks that was based on an inclusive appreciation learning model is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for children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own appreciation, and the inclusive appreciation activities included in the workbooks are expected to bolster the efficiency of appreciation and draw more attention from learners. 국악 감상은 국악의 개념을 이해하기에 적합하고, 민족문화 의식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와 심성을 체득하게 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요성의 인식만큼 국악감상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려면 학교 현장에서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의 연구가 필요하며, 제한된 교과서 편찬 체재로 인하여 아동 스스로 학습활동을 전개하기 어려운 음악교과서를 보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국악 감상곡을 선정하고, 초등학교 5·6학년의 효과적인 감상학습활동을 위한 국악 감상 워크북을 개발하여 음악교과서를 보완하고 기능적인 면이 강화된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부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국악감상 워크북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워크북 개발에 근거가 되는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와 워크북 및 국악 감상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국악 감상 워크북 개발을 위해 개발모형과 개발절차, 개발의 방향 및 구성 체제 등을 문헌 고찰을 통하여 설계하였다. 셋째, 악곡의 쓰임과 종류에 따라 16개의 악곡을 선정하였다. 넷째, 설계한 워크북 개발모형과 절차에 따라 19개의 워크북을 구안하였다. 워크북 구성 체제는 통합적 감상수업모형을 기초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처음 만났습니다.’는 미적자극의 단계로서 악곡에 대한 첫 느낌, 기습 내용 정리, 악곡에 대한 기초지식, 학습주제 등을 기재하도록 했다. 둘째, ‘숨은 보물찾기’는 미적 활동의 초기 단계로 분석적 이해를 위해 다양한 감상 관점을 제시했다. 셋째, ‘함께 해봐요.’는 미적 활동 중 ‘창의적·통합적 감상’의 단계로 악곡의 전체적 구조와 음악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음악활동을 제시했다. 넷째, ‘이렇게 기억할까요?’는 미적 활동의 마지막 ‘개념화’의 단계로 활동한 음악 감상 내용을 되돌아보고, 앞에서 명시한 음악적 개념을 정리 및 평가하도록 문항형태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눈을 감고 조용히!!’는 가치화하는 단계로 느낌, 태도, 흥미의 변화 정도를 체크리스트, 에세이 등으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개발된 국악감상워크북은 현 교과서의 외형 및 내용 체제를 보완하고, 다양한 매체와 유형의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지속시키고 학습 작업의 여백을 제공하여 수행평가 자료 및 포트폴리오 평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이 강화된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부합한 참고 자료로서 앞으로 공개될 교과서와 병행하거나 선택·심화·참고 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준 높은 음반 및 영상자료 소개를 통해 감상활동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다. 통합적 감상학습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된 5단계의 워크북 구성 체제는 아동 스스로 감상학습을 진행시켜 나가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제시된 통합적인 감상 활동은 감상의 효율성과 흥미를 높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안영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24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classical music) 소비자의 공연예술(performing arts) 애호에 관한 본질적 구조와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질적연구(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는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현상의 주체로서 개인 혹은 집단의 경험에 관한 본질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고자 수행되는 질적연구의 한 방법이다. 클래식음악은 고급문화(high culture) 혹은 엘리트문화(elite culture)의 전형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종종 사치재(luxury goods)로 오인된다. 클래식음악 장르의 공연예술은 작곡가가 엄격한 예술적 양식에 근거하여 창작한 작품을 연주자가 무대 위에서 직접 실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데, 연주곡목이나 연주자의 해석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과 ‘미학적 문해력(aesthetic literacy)’의 수준은 예술적 체험의 만족과 지속의 수준을 결정짓는다. 또한, 공연예술의 ‘현전(présence)’과 ‘찰나적(momentary)’속성은 공연예술 소비의 핵심가치이면서 생산과 소비를 제한하는 본질적 속성이다. 이러한 클래식음악의 특성과 공연예술의 본질 속성은 클래식음악 장르의 공연예술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이 낮은 주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클래식음악은 교육 수준이 높고, 시간과 소득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고소득층과 은퇴 인구를 중심으로 소비되었다. 그러나, 최근 한국에서는 20대 ~ 40대의 소비자가 클래식음악 공연 유료 관객의 다수를 차지하는 등 특징적인 소비 현상이 관찰된다.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소비자 중에서 최근 10년의 기간 중에 클래식음악 공연을 최소 1년 이상, 연간 10회 이상 유료 관람한 경험이 있는 성인 20인을 연구의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와 1:1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공연예술 애호에 관한 경험을 청취 및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들을 현상학적 연구의 Colaizzi(1978)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 경험은 총 9개 범주로 구성되었다. 각 범주는‘클래식음악과의 첫 만남’, ‘강렬한 예술적 체험의 기억’, ‘자발적 소비의 시작’, ‘소비의 지속’, ‘소비 지속을 위한 전략 행동’, ‘소비의 확장’, ‘구매 결정요인’, ‘관람 만족요인’, ‘클래식음악 핵심가치’로 구성되었으며, 각 범주에 해당하는 경험의 양상들이 기술되었다. 이어 공연예술 애호 경험의 범주와 양상들로부터 클래식음악 소비자가 공연예술을 애호하게 되는 구조와 영향요인들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는 입장권 구매, 정보 평가, 관람, 후원이라는 공연예술 소비 행동을 통해 예술적 체험과 클래식음악 지식을 축적하고, 소비와 학습을 지속, 심화, 확장시켜 나가는 지속성과 확장성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아비투스(habitus)’, ‘예술적 체험에 관한 기억’, ‘소비자 역량’, ‘미학적 문해력’, ‘관람 만족요인’, ‘클래식음악의 핵심가치’와 같은 내재적 요인들과, ‘시간·소득’, ‘문화예술 인프라 접근성’, ‘정보·지식 온라인 플랫폼’과 같은 외재적 요인들이 애호의 지속과 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가 공연예술 애호를 지속, 확장시키는 과정은 개인‘문화자본(cultural capital)’을 축적하고, 자원과 노력의 지속적인 투입을 수반하는 진지한 여가를 통해 ‘자아성장(self-growth)’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또한, 공연예술의 애호는 일상의 생활세계와는 구분되는 이상향으로서의 예술세계를 향한 이해와 사랑을 통해 대상과 동화되는 ‘미메시스(mimesis)’의 과정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비자는 관객(audience)이나 소비자(consumer)에 머무르지 않고, ‘후원자(patron)’이자 ‘프로슈머(prosumer)’로서 예술세계에서의 참여 수준과 정체성(identity)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에게 공연예술의 애호는 문화적 아비투스와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아 성장과 예술적 참여의 가능성을 펼치는 등 내적 안정과 성장을 도모하는 ‘장(field)’이자 ‘사회 세계(social world)’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의 양상과 본질구조, 의미를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여가의 선택지로서 클래식음악 공연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예술 소비와 관련한 후속 연구의 방향과 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phenomenological research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consumer's lov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The researcher recruited 20 consumers who love classical music concer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laizzi (1978) method, and total 9 categorical aspects of the experience were analyzed. Consumer’s lov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wa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consumption and learning of classical music. Intrinsic factors such as consumer’s 'habitus', 'memories of artistic experience', 'consumer competence', 'aesthetic literacy', 'satisfaction', 'classical music core value', and extrinsic factors such as 'free time and income', 'access to cultural infrastructure', and 'ICT platform' were found to influence the love. Consumer’s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consumption and learning of classical music i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accumulating 'cultural capital' and pursuing 'self-growth' through serious leisure. It is also interpreted as a process of 'mimesis' assimilating with the object through an understanding and love for the art world that is distinct from the everyday living world. In this structure, the consumer appears to be a 'patron' and a 'prosumer' whos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art world is chang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proposed ways to ensure the choic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and expand access to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The direction and the topics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arts consumption were also suggested.

      • 초등학교 국악 창작활동에 대한 연구

        한기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23

        더 이상 교실에 앉아서 일방적으로 교사의 수업을 듣는 교육의 시대는 지났다. 음악 수업 역시 학생 스스로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음악성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이 계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국악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요즘 기존의 수업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치기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음악을 전공한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들도 가르치기 어려운 국악교육을 모든 과목을 가르쳐야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초등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국악교육이 어렵다는 생각을 바꾸기 위해서는 우선 재미있고 어렵지 않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르치기 위해 국악 창작 활동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국악 창작활동에 대해 교과서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학년 위계에 맞게 교수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지도 방법을 연구하여 현장에서 지도할 수 있도록 하여 국악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국악 창작의 내용을 분석하고 5, 6학년 국악 창작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악 창작을 더 쉽고 능률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교수법을 알아보고 창작수업의 구체적인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음악과 제7차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은 가창과 기악 활동뿐만 아니라 감상과 창작 활동을 통하여 창의성을 기르는 것을 강화하였다. 둘째, 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창작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국악 창작 학습 내용을 즉흥연주, 가사 바꾸어 노래하기, 전통 가락 짓기, 신체표현의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즉흥연주는 이야기를 음악적 요소로 표현하여 창극으로 연주하고 가사 바꾸어 노래하기는 정간보에 가사 넣기를 하고 넣은 가사를 이용하여 리듬 변형을 통해 표현한다. 전통 가락 짓기는 제재곡의 가사를 익힌 뒤 그 노래의 가락으로 4마디의 가락 짓기를 하며 신체표현은 '수제천'을 듣고 가락을 천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학습지도안을 만들었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국악 창작 활동을 쉽고 체계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창작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국악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기 바란다. 그리고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에는 적어도 4마디 정도의 국악적인 가락을 지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중학교 수업에서도 국악 창작 활동이 꾸준히 연장되기를 기대한다. We are no longer in an era of passive education. Like many other fields of study, music education also needs various ways of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independence.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Korean classical music is increasing nowadays,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are not suffici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music education. This dissertation aims to assist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ho are in charge of educating Korean classical music which is not easy for even teachers in middle schools or high schools who were majored in music education. Most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nsider Korean classical music very difficult. In order to change this common belief, creating them at hand is thought to be the best and most effective way. This study is based on textbooks that actually handle creating Korean classical music in elementary schools and it also helps to activate education of it providing with various education methods. For this, I analyzed not only textbooks but also teachers' manuals. After that, I compared what was created by the students on the 5th and 6th grades. Also, I tried to find effective ways of education and provided guidelines for the actual music classes. What I have found is as below. Firstly, the biggest emphasis found in the current (the 7th) educational process is appreciation and creation of music as well as musical activities through singing and using instruments. Secondly, what is taught in the cre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can b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improvisation, lyric switch, composition of traditional melodies, bodily expressions. Thirdly, improvisation is to express stories using musical elements and lyric switch is to fill lyrics in Jungganbo, Korean traditional notation, and change rhythms. Composition of traditional melodies is to memorize the lyric of Jejae song and try to compose melodies of four measures. Bodily expressions is to express the rhythm and melodies with a piece of cloth after listening to the Sujechon song. With this dissertation, I want students to think that Korean classical music is not difficult to learn and I hope them to participate actively in music classes enjoying the cre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 will be very pleased if they can compose simple melodies for themselves and if their interests in creating classical music can be continued even in their music classes at middle schools.

      •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recording company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classical music field

        Park, Jieun Sungkyunkwan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923

        Entrepreneurship in the arts, especially in the classical-music private sector, has not yet been highlighted in the research. In order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and meaning of entrepreneurship in a Korean private classical music recording company, Universal Music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ntrepreneurship is defined as utilizing an existing resource of a firm innovatively to create a new value and it is identified throug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dimensions,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and in core business division of classical music department at UMK. Using Quanti-Qualitative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integrated with a targeted group surve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hree core business divisions, commercial, artist & repertoire and new business and three different ways of execution: traditional, non-traditional and entrepreneurial. UMK is taking part in entrepreneurship by adopting innovative strategies to develop and capture new opportunities. Three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main sectors of the recording industry: Record Boxset Day for commercial, Naver Classic Artist League for A&R, and Yellow Lounge Seoul for new business.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of each case was identified using blue ocean strategy tools—a strategy canvas and ERRC analysis. It was shown that UMK, by deconstructing their original strategies, taking bold-actions, and proactively seeking new opportunities, created new value for consumer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O) and company performance was then explored from two perspectives—financial and non-financial and depending on the case and the EO dimension, the results wer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nnovativeness of Yellow Lounge Seoul and Naver Classic Artist League’s proactiveness negatively influenced financial performance and risk-taking did not contribute on any of the case. EO had positive influence on non-financial performance but risk-taking had positive performance only on Yellow Lounge Seoul and for others, it did not contribute. With the mixed result, UMK can differentiate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case and the research proposes that the classical music industry should not be afraid of being more proactive or moving forward to find new opportunities to increase market share to create new value to increase the pie of the industry rather than competing in a red ocean market, by breaking out of its traditional way of doing business.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을 기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유니버설뮤직 코리아 클래식 음악부서의 주요 사업분야에서 나타난 기업가적 성향 범주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적극성으로 보고, 더 나아가 기업가적 성향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클래식음악 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뮤직 코리아 클래식 음악사업부의 기업가정신이 반영된 사례를 주요 사업부분별로 나누어 커머셜 프로세스에서는 레코드 박스세트 데이(RBD), A&R 프로세스에서는 네이버 클래식 아티스트 리그(NCAL), 그리고 뉴비지니스에서는 옐로우 라운지 서울(YSL)로 선정하여, 음반사가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Quanti-Qualitative Method로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결합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그 결과 각 사례별로 기업가적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 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는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 두 가지 범주로 측정하였다. 이에 RBD의 적극성, NCAL의 혁신성 그리고 YSL의 적극성은 재무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YSL의 혁신성과 NCAL의 적극성은 재무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위험감수성은 모든 사례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비재무적 성과는 기업가적 성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는데, RBD의 적극성, NCAL의 혁신성과 적극성, 그리고 YSL의 혁신성, 위험감수성 및 적극성 모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각 사례별 상이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뮤직 코리아는 각 사례의 마케팅전략을 보완하여 보다 긍정적인 재무적 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혼재된 결과는 조정 변인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데, 본 연구에서 알아본 직원의 참여도는 조정 변인으로 부적합하였다. 향후 세부적인 참여도 및 업무종류를 세밀하게 측정하여 본다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유니버설뮤직 코리아의 클래식 음악사업분야에서 보여지는 기업가 정신과 기업가적 성향이 미치는 기업성과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클래식 음악산업에 기업가정신을 적용하는 방법과 이를 통한 긍정적 기업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실질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클래식 음악산업 실무자에게 기업가 정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향후 클래식 음악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