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인식 연구

        김진숙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3471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CTV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Kim Jin-sook Major in Child Welfare &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tudie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 Seung-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directors and teachers on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513 daycare and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 Northern Jeollabuk-do province. Measurement tools for the purpose and influence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used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those used in Seo et al.(2016) and measurement tools for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those used in Kang et al.(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status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ccupational positions, institut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regarding the main reason for CCTV installation, but both directors and teachers sympathized with the idea 'for child safety and prevention of abuse'. Directors showed greater awareness towards CCTV installation necessity, installation and operation satisfaction levels, the fact that 'parent's will be able to identify whether a safety incident, involving their children, has occurred using CCTV' than teachers. Regarding differences among institutes, 'for child safety and prevention of abuse' appeared in common as the reason for CCTV install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oth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refore, showed sympathy towards the necessity of CCTV installation. Secon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purpose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meaning that directors perceived the purpose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and positively viewed the fact that CCTV was installed for sub-factors such as 'expertise expansion dev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hild abuse prevention device', 'parent comfort devi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 to institute types but kindergartens recognized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purpose as a 'Child protection device' more than daycare centers. Third, the results from analysis about influence and effect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occupational positions but there was a tendency for directors to emphasize the positive functions about influence and effect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than teachers whereas teachers had a tendency to take notice of negative functions. Similarly,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mprovement measure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meaning that directors possessed more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mprovement measures than teacher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sub-factors showed that kindergartens responded to 'Enhancing CCTV utilization policy' more positively than daycare centers. Fifth, according to results from the research done on CCTV utilization problems and solutions, among the voiced opinions of daycare and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creased job stress due to feeling of surveillance'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problem and 'priority in improving teachers' self-esteem and dependability via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solution. Th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a political improvement plan that can reduc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employees' work stress and recover their self-esteem. * Keyword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awareness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인식 연구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전라북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교사 5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CCTV 설치·운용의 목적과 영향 측정도구는 서보순 외(2016)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CCTV 설치·운용 현황 및 개선방안 측정도구는 강은진 외(2015)의 연구도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 변인(직급별, 기관별)에 따른 CCTV 설치·운용 현황 인식 분석 결과, 직급 간 차이는, CCTV 설치 주된 이유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원장과 교사 모두 ‘아동안전과 학대예방을 위해서’라는 의견에 공감하였다. 또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에 대한 필요성, 설치 및 운용 만족도와 ‘부모가 CCTV로 자녀의 안전사고여부를 파악’할 것이라는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간 차이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CCTV 설치 이유는 ‘아동안전과 학대예방’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과 유치원 양 기관 모두 CCTV 설치의 필요성에 대해서 공감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목적 인식 분석 결과, 직급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목적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위요인별로 CCTV가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확대장치’, ‘아동학대 방지장치’, ‘부모안심장치’로써 설치되었다는 점에 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유치원이 어린이집에 비해 CCTV 설치·운용 목적은 ‘아동보호장치’를 위한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영향 및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 결과, 직급 간 차이는 없었지만, 원장은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영향 및 효과에 대해 더 긍정적인 기능에 주목한 반면, 교사는 CCTV의 부정적인 기능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기관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개선방안 인식 결과, 직급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기관유형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요인에서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개선방안으로 ‘CCTV 활용정책제고’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다섯째, CCTV 활용에 따른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문제점으로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들과 교사들의 의견이 ‘감시당하는 느낌 속에서 제약 받는 일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가중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선방안으로는 ‘교사의 처우개선으로 자존감을 높이고 신뢰성 회복이 최우선 요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존감을 회복해야만 되는 정책적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주제어: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 인식

      •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원장의 인식 차이연구

        박미정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471

        본 연구는 어린이집 CCTV 설치・운용 현황, 설치 목적, 영향 및 효과,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을 알아보고, 인식차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CCTV의 운용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와 원장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하며, 두 집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CCTV 설치・운용현황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하며, 두 집 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1. CCTV 설치・운용현황은 어떠한가? 2-2. CCTV 설치 이유와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하 며, 두 집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3. CCTV 설치・운용의 만족도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 하며, 두 집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4. CCTV 설치・운용의 선호이유와 개인정보지침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하며, 두 집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CCTV 설치・운용 목적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하며, 두 집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CCTV 설치・운용 영향 및 효과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하 며, 두 집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5. CCTV 설치・운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어떠하며, 두 집단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에 있는 국공립, 민간, 가정, 법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및 원장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와 원장을 대상으로 각각 200부씩 배포하였고 그 중 320부를 회수하였다. 누락된 답변이 포함 된 설문지와 응답 내용이 부실한 설문지 23부를 제외시킨 후 최종 297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Mean) 및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였다. 주요한 연구문제인 어린이집 교사와 원장에 따라 CCTV 설치 운용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Chi-squared test) 및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면 교사와 원장의 연령은 모두 40세 이상이 많았으며, 학력은 교사는 전문대졸(3년제), 원장은 대졸(4년제) 이상으로 나타나 교사보다 원장의 학력이 더 높았다. 직장 만족도는 교사와 원장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경력에 준한 보수는 원장보다 교사가 더 높은 보수를 수령하고 있어, 교사의 직장에 대한 높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2015년 이후에 대부분의 보육시설 내 CCTV가 설치되었고, 설치 장소로는 교실, 현관 및 출입문, 실내외 놀이터 순으로 나타났다. 기기종류는 HD급 130만 화소의 기기를 자부담과 국가지원을 받아 설치하였다. 둘째, CCTV의 설치・운용 현황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을 CCTV 설치 이유, 설치 필요성, 설치・운용 만족도에 따라 살펴보았는데 교사가 원장보다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CCTV 설치・운용의 선호이유, 개인정보지침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차이 분석결과 CCTV 설치・운용 선호이유에 대해 교사는 ‘영유아의 안전사고 여부 파악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고, 원장은 ‘의무조항이어서’와 ‘교사 체벌이 의심 되어서’ 순으로 높은 응답을 보였다. CCTV 설치・운용의 개인정보보호지침에 대해 교사와 원장 모두 CCTV 녹화물 열람 시 ‘사전에 부모들에게 개인정보영상정보 열람 동의서를 받아 모든 영유아를 보여줌’에 높은 응답을 보였다. 셋째, CCTV 설치・운용 목적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가 원장보다 ‘영유아의 안전과 안심보호’, ‘교사의 인권 및 교권 보호’로서 설치되었다는 점에 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넷째, CCTV 설치・운용 영향 및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 결과에 있어서도 ‘영유아의 안전과 안심보육 달성’이라는 점에서 교사가 원장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가 원장보다 CCTV 설치・운용 개선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CCTV 활용 방안 수립보다 교사의 근무여건 개선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CCTV 설치・운용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교사와 원장의 의견을 수렴하였는데, CCTV 문제점에 대해 교사는 ‘교사 인권침해’를 가장 높게 꼽았고, 원장은 ‘무분별한 CCTV 확인 요청으로 교사의 자존감이 추락하는 것’을 우려하였다. 이에 개선방안으로 교사와 원장 모두 ‘확실한 CCTV 열람 절차’를 지켜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분별한 CCTV 열람을 지양하고, CCTV에 대한 열람 절차에 대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침이 제시 될 필요성과 더불어 무분별한 CCTV 열람으로 하락하는 교사의 자존감을 회복 할 수 있는 방안이 함께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