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MI 궤적에 따른 위암 발생 위험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코호트를 활용하여

        이진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worldwide and has the second highest mortality rate after lung cancer as a cause of death from cancer. In general, gastric cancer rarely occurs before the age of 30, but the incidence increases with age, and it usually occurs between the ages of 40 and 70 (Mun, Bhin et al. 2019). According to the 2019 data of the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 Korea, gastric cancer accounts for 11.6% of the total, the second highest incidence rate except for thyroid cancer. In the case of men, it was ranked 2nd (14.7%) among all cancers, and 4th (8.1%) in women. In previous studie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colorectal cancer and breast cancer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gastric canc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conduct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DB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MI change and gastric cancer incidence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examination cohort, which is representative of all Koreans. Research subject and method: This study used the health checkup cohort DB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from January 1, 2002 to December 31, 2013. To verify the effect of changes in BMI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the observation period for changes in BMI was set from 2002 to 2009,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was confirmed from 2010 to 2013. A trajector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isk of gastric cancer by BMI group. The WAVE period used for the trajectory analysis was set as WAVE1 (2002-2003), WAVE2 (2004-2005), WAVE3 (2006-2007) and WAVE4 (2008-2009).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and the gastric cancer risk ratio was calcula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gastric cancer were tested after drawing Kaplan Meier curves. Statistical analysis used SAS 9.4 version. Results: The most appropriate BMI groups through the 4 WAVEs used in the trajectory analysis were the final 3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Group 1 (normal group), Group 2 (overweight group), and Group 3 (obese group). The risk of gastric cancer in each of the three groups was confirmed. When the risk ratio of gastric cancer by BMI group was confirm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gastric cancer was increased in Group 2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Group 1 (normal group) (HR=1.04, 95% CI: 0.86-1.27),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6873).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developing gastric cancer increased in Group 3 (obesity group) compared to Group 1 (normal group) (HR=1.12, 95% CI: 0.83-1.44),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373). Conclu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ith BMI 3 group variables Group 1 (normal group), Group 2 (overweight group), and Group 3 (obesity group), first, gastric cancer was found in Group 2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Group 1 (normal group). An increased risk was confirmed (HR=1.04, 95% CI: 0.86-1.27),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6873).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developing gastric cancer increased in Group 3 (obesity group) compared to Group 1 (normal group) (HR=1.12, 95% CI: 0.83-1.44),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373). Additional long-term studies using extensive data are needed to more clearly determine the risk of gastric cancer according to the BMI trajectory. 연구 배경 및 목적 위암은 세계적으로 네 번째로 흔한 암이면서 암에 의한 치사 원인으로는 폐암에 이어 두 번째일 정도로 사망률이 높다. 일반적으로 위암은 30세 이전에는 거의 발병하지 않다가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발병률도 증가하며 대체로 40~70대에 발병한다(Mun, Bhin et al. 2019). 국가암정보센터의 2019년 자료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위암은 전체 11.6%로 갑상선암을 제외하고 두 번째로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남성의 경우 전체 암 중 2위(14.7%)이며, 여성은 4위(8.1%)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는 비만과 관련하여 대장암, 유방암 등의 발생 관계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위암 발생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전체 대표성을 가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코호트를 사용하여 BMI 변화와 위암 발생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후향적 코호트 연구DB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한 2002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코호트 DB를 이용하였다. BMI 변화가 위암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BMI 변화 관찰 기간을 2002년부터 2009년으로 설정하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위암 발생위험을 확인하였다. BMI 그룹별 위암 발생 위험을 살펴보기 위해 궤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궤적분석에 투입된 WAVE 기간은 WAVE1(2002년~2003년), WAVE2(2004년~2005년), WAVE3(2006년~2007년), WAVE4(2008년~2009년)로 설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수행하였고, 콕스비례위험 모형을 사용하여 위암 발생 위험비를 산출하였다. 위암 발생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카플란 마이어 곡선을 그린 후 검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9.4 version 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궤적 분석에 투입된 4번의 WAVE를 통한 가장 적합한 BMI 그룹은 최종 3그룹이며 Group 1(정상군), Group 2(과체중군), Group 3(비만군)으로 나누었다. 3그룹 별로 위암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확인하였다.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이용하여 BMI 그룹별 위암 발생 위험비를 확인하였을 때 Group 1(정상군) 대비 Group 2(과체중군)에서 위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HR=1.04, 95% CI: 0.86-1.27)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6873). Group 1(정상군) 대비 Group 3(비만군)에서 위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HR=1.12, 95% CI: 0.83-1.44)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73). 결론 BMI 3개 그룹 변수 Group 1(정상군), Group 2(과체중군), Group 3(비만군)으로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실시한 결과 첫째, Group 1(정상군) 대비 Group 2(과체중군)에서 위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HR=1.04, 95% CI: 0.86-1.27)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6873). Group 1(정상군) 대비 Group 3(비만군)에서 위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HR=1.12, 95% CI: 0.83-1.44)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73). BMI 궤적에 따른 위암 발생 위험을 보다 명확히 확정 지으려면 광범위한 데이터를 이용한 장기간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BMI and predicted fat mass in relation to mortality in Korean adults : findings from three prospective cohorts

        장하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론: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당뇨, 심혈관질환 및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아시안 인구집단에서 비만과 사망 간의 연관성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며, 비만 판단 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구분할 수 없는 등의 한계를 가져 연구 별 연관성이 상이하게 나타나 왔다. 본 연구에서는, BMI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독립적인 체지방량을 예측할 수 있는 한국인 대상 체지방 예측식을 개발 및 검정하였고, BMI와 체지방 예측값의 사망 연관성을 비교 · 분석하였다. 세 개의 독립적인 한국 코호트 자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한국인 인구집단에서의 체지방 지표 별 사망과의 연관성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조사된 지역사회기반 안산안성 코호트(2001년~), 도시기반 코호트(2004년~), 농촌기반 코호트(2005년~)가 각각 분석 대상에 포함되었고 총 153,248명(56,337명의 성인 남성과 96,911명의 성인 여성)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BMI는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1단계비만, 2단계비만으로 범주화 되었다(BMI<18.5, 18.5-22.9, 23.0-24.9, 25.0-29.9, ≥30.0 kg/m2). 체지방 예측값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08-2011년 이중에너지X선흡수법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한 예측식을 통해 산출되었다. 2019년 12월 31일까지 추적 관찰된 사망 기록을 기반으로 콕스 생존 분석을 통해 BMI 및 체지방 예측값과 총 사망 위험 간 연관성을 나타내는 위험비(hazard ratio, H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BMI와 체지방 예측값과 총사망 위험 간 연속적인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제한된 큐빅 스플라인 모델(restricted cubic spline model)을 사용하여 비선형적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BMI와 총 사망은 세 코호트에서 J-형의 비선형 연관성을 보였다. 정상 체중(BMI 23.0-24.9)과 비교했을 때, HEXA와 CAVAS는 저체중(BMI<18.5: HR[95% CI]=도시 1.87[1.51, 2.30]; 농촌 1.44[1.13, 1.83])과 2단계비만(BMI≥30.0: HR[95% CI]=도시 1.24[1.00, 1.52]; 농촌 1.42[1.07, 1.90])에서 사망위험이 증가했고, 과체중(BMI 23.0-24.9: HR[95% CI]=도시 0.88[0.80, 0.96]; 농촌 0.89[0.78, 1.02])과 1단계비만(BMI 25.0-29.9: HR[95% CI]=도시 0.93[0.86, 1.02]; 농촌 0.84[0.74, 0.96])에서는 사망위험이 감소했으며, 사망위험의 최저점 구간과 연관성의 크기는 코호트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체지방 예측값의 경우, 3개 코호트에서 모두 총 사망과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HEXA와 CAVAS의 경우, 가장 낮은 체지방량을 가지는 1분위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체지방량을 가지는 6분위(HR[95% CI]=도시 1.37[1.03, 1.82]; 농촌 1.55[1.07, 2.25])에서 사망위험이 증가했다. BMI 와 총 사망 연관성은 흡연과 근육량(skeletal muscle mass, SMI)을 보정했을 때 가장 크게 변화했다. 흡연자를 제외한 경우 저체중 구간에서의 사망위험이 감소하였고, SMI를 보정한 경우 모든 코호트에서 사망연관성이 단조적으로 증가하는 정적 상관관계로 변화하였다. 결론: 독립적인 체지방량과 사망 간 연관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며, BMI와 총 사망과의 연관성은 흡연과 근육량에 따른 영향에 취약했다. 조기사망의 예방을 위한 보건의료적 개입 시에는 체지방의 감소와 함께 근육량 증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Introduction: Obesity is a state of abnormal or excessive body fat tha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s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type 2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However, the relationship of obesity and mortality is not clear in Asian population. Body mass index (BMI) is generally used as a surrogate for classifying obesity, but it has several limitations such as inability to distinguish body fat from muscle mas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validated a prediction model to estimate body fat mass.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predicted fat mass and all-cause mortality and compared that for BMI and mortality in three Korean cohorts (the Ansan and Ansung study [Ansan-Ansung], the Health Examinee Study [HEXA], and the 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ion Study [CAVAS]) with vary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Method: A total of 153,248 (56,337 men and 96,911 women) Korean adults aged 40-91 years were included. BMI was calculated from height and weight measured at baseline and classified into underweight, normal weight, overweight, grade Ⅰ obesity, and grade Ⅱ obesity (BMI<18.5, 18.5-22.9, 23.0-24.9, 25.0-29.9, ≥30.0 kg/m2). Predicted fat mass was estimated from the prediction model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measurement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Participants were followed up through December 31st, 2019.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performed to estimate hazard ratio (H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associations of BMI and predicted fat mass with all-cause mortality. The nonlinear shape of relationship was assessed using restricted cubic spline models. In BMI and mortality analysis, we further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with mortality after accounting for 1) methodological issues, 2)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3) limitation of BMI as a surrogate measure of body fat. Results: The J-shaped relation between BMI and mortality was observed in HEXA and CAVAS. Based on BMI, underweight (BMI<18.5 vs. 18.5-22.9: HR[95% CI]=1.87[1.51, 2.30] HEXA; 1.44[1.13, 1.83] CAVAS) and grade Ⅱ obesity (BMI≥30.0 vs. 18.5-22.9: HR[95% CI]=1.24[1.00, 1.52] HEXA; 1.42[1.07, 1.90] CAVA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all-cause mortality risk, while overweight (BMI 23.0-24.9 vs. 18.5-22.9: HR[95% CI]=0.88[0.80, 0.96]) and grade Ⅰ obesity (BMI 25.0-29.9 vs. 18.5-22.9: HR[95% CI]=0.84[0.74, 0.96])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mortality risk in HEXA and CAVAS, respectively. The nadir and magnitude of associations were varied by cohorts. The predicted fat ma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HEXA and CAVAS. Higher predicted body fat (highest vs. lowest: HR[95% CI]=1.37[1.03, 1.82] HEXA; 1.55[1.07, 2.25] CAVA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all-cause mortality risk. The association between BMI and all-cause mortality changed when 1) methodological issue (confounding by smoking) and 3) limitation of BMI (mixed effect of body fat and muscle) were accounted for. In never smokers, the increased mortality risk in underweight alleviated in all three cohorts. After adjusting for SMI, the J-shaped relation in three cohorts changed into monotonic positive relation. The similar positive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SMI-adjusted BMI and predicted fat mass. Conclusion: Body fat may have monotonic positive association with all-cause mortality and possible sources of errors, such as smoking and body composi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using BMI as a proxy for adiposity. To prevent premature death, preventive strategies should focus of reducing body fat mass as well as increasing muscle mass. Abbreviation: Ansan-Ansung, the Ansan and Ansung study; BMI, Body Mass Index; CAVAS, the 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ion Study; CI, confidence interval; D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HEXA, the Health Examinee Study; HR, hazard ratio; KNH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GES,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SMI, skeletal muscle index.

      • 태권도 수련이 BMI와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조도제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BMI와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 광역시에 소재한 ○○ 태권도장의 초등학교 1학년-2학년(16명), 3학년-4학년(16명), 5학년-중학생(18명)의 3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2011년 11월~2012년 2월간 16주 동안 총 50명의 대상으로 BMI와 기초체력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태권도 수련이 1-2학년 그룹, 3-4학년 그룹, 5학년-중학생 그룹의 BMI는 측정결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태권도 수련으로 인한 BMI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태권도 수련이 1-2학년 그룹, 3-4학년 그룹, 5학년-중학생 그룹의 줄넘기 측정결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태권도 수련으로 인한 줄넘기(순발력)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3) 태권도 수련이 1-2학년 그룹, 3-4학년 그룹, 5학년-중학생 그룹의 눈감고 외발 서기 측정결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태권도 수련으로 인한 눈감고 외발 서기(평형성)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4) 태권도 수련이 1-2학년 그룹, 3-4학년 그룹, 5학년-중학생 그룹의 제자리멀리뛰기 측정결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태권도 수련으로 인한 제자리멀리뛰기(순발력)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5) 태권도 수련이 1-2학년 그룹, 3-4학년 그룹, 5학년-중학생 그룹의 6m 왕복달리기 측정결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태권도 수련으로 인한 6m 왕복달리기(민첩성)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6) 태권도 수련이 1-2학년 그룹, 3-4학년 그룹, 5학년-중학생 그룹의 윗몸일으키기 측정결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태권도 수련으로 인한 윗몸일으키기(근지구력)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on BMI and basal physical fitness. To achieve such goa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Taekwondo Training Place located in D Metro were selected and grouped into 3 as Grade 1-2 (16), Grade 3-4 (16), and Grade 5- Middle School Students (18). BMI and basal physical fitness of those 50 subjects were measured for 16 weeks from November to Februar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aekwondo training reduced BMI of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BMI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t was found that Taekwondo training increased the capability of jumping rope in all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jumping rope capability (refl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It was found that Taekwondo training increased the capability of standing in one leg with closed eyes in all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capability of standing in one leg with closed eyes (equilibriu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It was found that Taekwondo training increased the capability of the long jump in all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capability of the long jump (refl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It was found that Taekwondo training improved the record of 6m Shuttle Run in all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capability of the Shuttle Run (ag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6) It was found that Taekwondo training improved the record of sit-up in all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capability of the sit-up (muscle endur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BMI지표에 따른 WHR, %Fat 추정과 대사증후군과의 상관관계

        이재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40~50대 여성(320명)을 대상으로 BMI와 %Fat, WHR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BMI 지표에 해당되는 %Fat, WHR 수준을 확인하고 혈중지질(Total-Cholesterol, HDL-C, LDL-C, Triglycerides)그리고 혈압(Blood Pressure)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비만 평가 기준을 적용한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서울시 전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으로 2007년 7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서울 소재의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321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가자들의 폐경유무와 혈압, 혈중지질, 신체구성 검사를 위하여 사전 조사 설문지를 조사 대상자에게 배포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 내용을 작성하고 혈압, 신체구성, 혈액검사 순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for window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40대와 50대 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혈압의 차이는 50대 여 성은 40대 여성에 비해 연령, BMI, WHR, %Fat, TC, LDL-C, TG,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은 높은 반면 신장, 체중, HDL-C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0대와 50대 여성의 BMI와 WHR, %Fat에 대한 차이는 40대와 50대 여성모두 BMI와 %Fat보다 WHR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0대 여성의 BMI와 WHR, %Fat는 유의한(a<b<c<d)관계가 나타났고 50대 여성의 BMI와 WHR, %Fat는 a와 d는 뚜렷한 차이가 있지만 b와 c의 차이는 미비한 (a<b=c<d)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40대와 50대 여성의 metabolic syndrome indicator와 BMI, WHR, %Fat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TC, LDL-C는 40대 %Fat, 50대 WHR, HDL-C는 40대 BMI, 50대 %Fat, 중성지방은 40대 WHR, 50대 %Fat,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은 40대, 50대 모두 BMI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50대 여성은 40대 여성에 비해 TC, LDL-C, TG가 유의하게 높은 반면 HDL-C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폐경 후 여성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아질 것이며 비만을 판정하는 지표인 BMI, WHR, %Fat은 모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내므로 비만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대사증후군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써 비만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대사증후군 유병률 요인들의 높아질수록 BMI, WHR, %Fat도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40대와 50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다른 연령대에서도 똑같은 연구 결과가 나타날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앞으로 수행될 연구에서는 폐경 전&#8228;후를 대표 할 수 있는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Many women are suffering from a dramatic increase of metabolic syndrome after menopause(climacteric). And obesity is the primary cause of metabolic syndro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MI, WHR, %Fat. 321 women with ages ranging from 40-59 year took part in the study. In all subjects were asked whether menopausal-or not and evaluated BMI, blood pressure, serum lipid and body composition(physical characteristics) Results: 1. Women in 50’s show higher BMI, WHR, %Fat, TC, LDL-C, TG, SBP, DBP compared with women in 40’s but lower height, weight, HDL-C. 2. WHR was more affective variable than BMI, %Fat in both 40’s and 50’s. 3. BMI, WHR, %Fat of 40’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b<c<d), those of 50’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and d, but insignificant between b and c (a<b=c<d). 4. In present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indicator of 40’s and 50’s and BMI, WHR, %Fat were examined. TC and LDL-C were mostly influenced by %Fat(40’s), WHR(50’s), HDL-C by BMI(40’s), %Fat(50’s), triglyceride by WHR(40’s), %Fat(50’s), SBP and DBP by BMI of both 40’s and 50’s. In conclusion, women in 50’s show significantly higher TC, LDL-C, TG and significantly lower HDL-C compared with 40’s. This may suggest that after menopause metabolic syndrome might increase. And as indicators of obesity such as BMI, WHR, %Fa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e identified these are useful indicators of obesity. As BMI, WHR, %Fat goes higher, indicators of metabolic syndrome also rise, so we might suggest that the primary cause of metabolic syndrome is obesity.

      • 고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평형성 및 보행자세의 운동역학적 분석

        전윤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상체중그룹과 과체중그룹, 비만그룹 사이에서 평형성과 보행 자세 등을 비교 분석하고 비만정도(Body Mass Index: BMI, %BF)와 평형성 및 보행자세의 운동역학적 분석을 통해서 평형성과 보행자세의 상호연관성을 연구하여 청소년들의 잘못된 보행자세를 교정 할 수 있는 도구로서 평형성의 효용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들은 정형외과 질환이 없는 서울시 소재 M고등학교 1학년 남자학생이고 기 측정된 BMI 에 따라 정상체중 그룹 8명, 과체중 그룹 6명, 비만 그룹 8명으로 총 22명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발 평형성은 비만 청소년(Stability Index –1.94), 과체중 청소년(SI –1.42), 정상체중청소년(SI –1.28) 이었고, 오른발 평형성은 비만청소년(SI –3.31), 과체중청소년(SI –2.28) 그리고, 왼발평형성에서는 비만청소년(SI –3.03), 과체중청소년(SI –2.92), 정상체중청소년(SI –2.03) 으로 모든 평형성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냈다. 양발과 오른발 평형성에서는 비만청소년이 과체중청소년과 정상체중청소년에 비해 평형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왼발 평형성은 비만청소년이 정상체중청소년에 비해 평형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보행자세 요인은 활보장, 보폭, 보각, 구간별 소요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보간에서 비만청소년 25.10cm, 과체중청소년 22.72cm, 정상체중청소년 18.99cm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보행자세 요인 중 하나인 보간에서 비만청소년과 과체중청소년이 정상체중청소년보다 보간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양발평형성과 비만지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BMI(-.79), 체지방률(-.64)으로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양발평형성이 좋을수록 BMI와 체지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오른발평형성과 비만지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BMI(-.64), 체지방률(-.60)으로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오른발평형성이 좋을수록 BMI 와 체지방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왼발평형성과 비만지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BMI(-4.01), 체지방률(-.24)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은 없었다. 6. 양발평형성, 오른발평형성, 왼발평형성과 보행자세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활보장, 보폭, 보각, 구간별 소요시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은 없었다. 7. 양발평형성, 오른발평형성, 왼발평형성 보행자세 요인 중 보간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양발평형성(-.61), 오른발평형성(-.73), 왼발평형성(-.48)로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평형성이 좋을수록 보간의 폭이 좁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보간과 비만지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BMI(.70), 체지방률(.62)으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보폭이 좁을수록 비만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비만청소년은 정상체중청소년에 비해 평형성이 부족하고 보간의 폭도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성이 좋을수록 비만도와 보폭이 감소하고, 보폭이 좁아질수록 비만도가 감소하는 결과로 평형성이 좋으면 정상체중청소년의 보행자세에 가깝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평형성을 개선시킨다면 보행자세가 교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balance as a tool to correct a youth's wrong gait postu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balance and gait among the youth group of normal-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and studying of the correlation of balance and gait with degree of obesity (Body Mass Index: BMI, % BF) and kinetic gait analysis.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0th-grade males in a high school in Seoul who do not have orthopedic diseases. The subjects were grouped according to BMI: eight people in the normal weight group, six people in the overweight group, and eight people in the obese group, From selection and analysis of the subjects (n=22),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Stability test with both feet: obese adolescents (Stability Index: SI -1.94), overweight adolescents (SI -1.42), normal weight adolescents (SI -1.28). The right-foot stability test obese adolescents (SI -3.31), overweight adolescents (SI -2.28). The left-foot stability test inobese adolescents (SI -3.03), overweight adolescents (SI -2.92), normal weight adolescents (SI -2.0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bility test items (p <.05). In stability test with right foot and both feet, obese adolescents show lack of balance compare to overweight and normal-weight adolescents. In stabilitytest with left foot, obese adolescents lack stability compared to normal-weight. 2.As a gait factors stride length, step length, toe out angle and step time between each event of the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step width in obese adolescents 25.10cm, overweight adolescents 22.72cm, 18.99cm in normal-weight adolesc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was found. As the step width is one of gait factors, obese and overweight adolescents has large step width compare to normal adolescents. 3.In a correlation of stability test with both feet and obesity level, BMI (-.79) and percentage of body fat (-.64) show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body fat rate was lower when stability test with both feet is better. 4.In a correlation of stability test with the right foot and obesity level, BMI (- .64) andpercentage of body fat (- .60) show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BMI and body fat was lower when stability test with right foot is better. 5.In a correlation of stability test with the left foot and obesity level, BMI (-4.01) and percentage of body fat (- .2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6.The relationship between stability test with both feet, right foot, left foot, and gait factors including the stride length, step length, toe out angle, and step time between each event of the test, there was nosignificant correlation. 7.Stability test with both feet, right foot, left foot, step width and correlation factors in the both feet stability(- .61), right foot stability (- .73), left foot stability(- .48) all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better stability showed a narrowing of the step width. 8.In a correlation of step width and degree of obesity, BMI (.70), body fat percentage (.62) of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en the step length is narrower, degree of obesity i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e view, obese adolescents compared to normal weight adolescents lack balance, and step width is wider. When balance is better, step width and obesity level are reduced. When step width is shorter, the obesity level is lower. As a result, if the balance is better, the gaitis close to how normal weight adolescents walk, because, in conclusion, if balance improves the gait will be corrected.

      • 초등학생의 BMI와 체형인식, 식생활, 일상생활, 운동 습관간의 상관관계

        김재중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BMI와 체형인식, 식생활, 일상생활, 운동 습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아동들의 비만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D교육청 관내 3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206명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얻은 아동과 부모의 BMI 지수, 체형인식 점수, 식생활 습관 점수, 일상생활 습관 점수, 운동 습관 점수를 통계처리 한 후,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아동의 BMI와 영역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PC 12.0을 이용하여 5% 유의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BMI는 부모의 BMI와 체형인식, 저녁식사 후 간식섭취 요인, 규칙적인 식사요인, TV 및 컴퓨터 사용 요인, 일주일 동안 운동 요인, 체육수업 태도 요인, 운동의 종류 및 이동방법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연구에서는 아동의 BMI와 상관관계에 있는 요인들이 아동 비만에 어느정도 관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되면 아동들이 건강한 체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BMI, body type awareness, dietary life, daily routine life and exercise habits in an attempt to help provide children with better obesity guid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6 students who were in their fifth and sixth grades at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umbrella of D Office of Education in Namdong-gu, Incheon.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BMI of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ir body type awareness, dietary habits, life habits and workout habi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tilized to look for the connections among children's BMI and the other factors. As for data handling, 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PC 12.0 for Windows program,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5 perce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howed that the BMI of the children had a correlation to the BMI of their parents, their body-type awareness, post-dinner snack intake, regular eating, TV viewing, computer use, weekly workout, attitude to P.E. class, type of exercise and how to 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determining to what extent the BMI-related factors are linked to children's obesity, and the research efforts are expect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letting children maintain a sound body type.

      • 마우스를 이용한 경련중첩증 모델에서 Bmi1의 역할

        편해인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Bmi1(B cell-specific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integration site 1)은 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중요한 신호매개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Bmi1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조절하며 활성산소류의 생성을 조절하고 DNA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Bmi1의 발현을 유전적으로 억제한 동물에서 Bmi1의 기능 및 역할을 밝히기 위해 진행 되었다. Bmi1의 발현을 유전적으로 완전히 차단한 동물은 발생기에 성장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관계로 유전자의 하나만 발현을 억제한 동물을 이용하였다. Atropine-pilocarpine을 이용하여 경련중첩증을 유도하고 3일 후에 해마의 CA1와 Hillus에서 신경세포의 손상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경련중첩증 유도 2개월 후 간질 발작 양상을 관찰한 결과 자발적 경련이 유도되는 비율, 발작의 평균 지속 시간 및 빈도는 대조군과 Bmi1+/-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간질 환자에서 관찰되는 비정상적인 이끼 섬유 발아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Bmi1+/- 군에서 뚜렷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mi1은 주로 경련 중첩증에 의한 세포손상에는 영향이 크지 않으나 간질의 형성에는 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인천지역 고등학생의 BMI에 따른 체중조절실태, 식습관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조하윤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천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체중조절실태와 식습관, 영양지식 관련 요인들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고등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체형인식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며 학교현장에서 실천적인 체중조절 관련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고등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 27일부터 7월 29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Ver. 15.0)로 Student t-test, χ2-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성 검증은 p<0.05수준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BMI는 남녀 모두 정상수준에 속하였으며, 체중군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정상체중이 55.7%이었으나 남학생이 여학생의 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부모의 체형은 아버지가 약간 살찐 체형 일 때 자녀의 과체중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어머니의 체형 역시 약간 살찐 경우에 자녀의 과체중 비율이 31.3%, 비만이 44.3%로 자녀의 과체중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셋째, 본인 체형에 대한 인식은 비만군에서 스스로 많이 살찐 체형으로 인식하였고, 이상체형은 저체중과 정상체중은 약간 마른체형을 선호하고 과체중과 비만은 정상체중을 선호하여, BMI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넷째, 체형만족도는 저체중군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체중조절 관심도는 비만군에서 관심이 많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체중조절에 관한 관심이 많아 체형만족도가 낮은 군에서 체중조절관심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체중조절에 관심을 가진 동기는 비만군에서 스스로 뚱뚱하다고 생각되어서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비만군에서 체중을 감량한 경험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섯째, 체중감량횟수는 1~2회가 가장 많았으며, 체중감량기간은 과체중군에서 한 달 정도하였고, 체중감량 후 체중변화는 비만인 경우 유의적으로 체중이 약간 증가하였다. 체중감량결과 만족도는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일곱째, 체중감량에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인식은 운동이 가장 많았으며, 실제 체중을 줄이기 위해 시도한 방법 역시 운동이 가장 많았고, 체중감량 시 어지러움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여덟째, 조사대상자의 식사량은 비만군에서 많은 경향이 있었고, 비만군에서 맛있는 음식이 있을 때 과식이나 폭식을 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홉째, 식습관이 건강에 도움을 주는지 여부는 과체중과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식사습관의 문제점은 편식, 인스턴트식품 섭취, 과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식이섭취태도는 BMI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부정적 식이섭취태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있었다. 열한 번째, 간식필요여부는 저체중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간식은 불규칙적으로 섭취하였으며, 간식의 종류는 과자류, 빵 류 등 탄수화물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열두 번째,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 수준은 2.79/5점으로 보통정도라고 인식하였고, 영양지식의 습득경로는 매스컴이 59.7%로 나타났다. 열세 번째, 성별에 따른 영양지식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BMI에 따른 영양지식점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사대상자는 BMI에 따라 전반적으로 체형만족도가 낮고, 본인을 살찐 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마른체형을 선호하고, 체중조절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영양지식을 제공하여 체형만족도를 높이고 올바른 신체상을 정립하기 위한 체형인식 개선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식행동 변화까지 유도할 수 있는 장기적인 영양교육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의 BMI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 실태 조사

        서영주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BMI를 계산하여 실제 비만정도와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체중조절 방법을 알아보고, 차후 올바른 체중조절 계획을 세워 무리한 방법이 아닌 적절한 방법으로 체중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중조절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체중(㎏)/신장(m)2를 이용하여 BMI에 따라 비만군과 비비만군으로 나누었으며, SPSS/PC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통계분석은 각 요인들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Chi-Square)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비만군의 평균신장은 남자가 176.38±5.1이고, 여자는 162.94±3.7, 평균체중은 남자가 79.78±8.5이고, 여자는 64.64±4.1이었다. 비비만군의 평균신장은 남자가 175.25±4.8이고, 여자는 162.98±5.0, 평균체중은 남자가 64.19±5.9이고, 여자는 52.04±5.0이었다. 비만도(BMI)는 23.0㎏/㎡ 이상인 비만군의 남자는 평균 25.62±2.3이고, 여자는 24.33±1.1이었으며, 22.9㎏/㎡ 이하인 비비만군의 남자는 평균 20.8±1.4이고, 여자는 19.58±1.6으로 나타났다.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되는 체형에 대해 모두 “보통 체형”의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체형인식은 비만군은 “약간 뚱뚱한 편”, 비비만군은 “보통”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인의 체형만족도는 모두 “불만족”이 가장 높아 체형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체중조절 관심도는 비만군이 “매우 관심 있음”, 비비만군은 “약간 관심 있음”이 가장 높아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측정치는 비만군이 “한달에 한번”, 비비만군은 “1주일에 한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체중조절 시도희망여부에 대해 모두 “시도해보고 싶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조절 이유는 모두 “건강을 위해서”가 가장 높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중조절 정보는 비만군이 “인터넷”, 비비만군은 “매스컴”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조절 관심 동기는 모두 “스스로 표준체형이 아니라고 생각해서”가 가장 높아 본인의 체형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체중조절 희망부위는 비만군이 “허리둘레”, 비비만군은 “몸전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체중조절에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은 모두 “운동”을 효과적이라 생각했고, 체중조절 시도 여부는 모두 “시도한 적 있음”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조절 시도 방향에 대해 모두 “줄이는 방향”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체중조절 실시 지속기간은 비만군은 “1개월 미만”, 비비만군은 “1주일 미만”이 가장 높았고, 체중조절 후 유지기간은 모두 “2개월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조절을 위해 시도한 방법에 대해 모두 “운동”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이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is a study doing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basic materials in making the program for weight adjustment so as to adjust the weight not by unreasonable method, but by pertinent method due to making a right plan for weight adjustment as accounting BMI(Body mass index) of university student after looking into factual body-type recognition and w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body mass degree and body mass index. This study surveyed on 478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on Jeollabuk-do by paper questions, divided into body mass group and no-body mass group according to BMI making use of weight(㎏)/height(m)² and comput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n all materials making use of SPSS/PC Windows 12.0 program and the statistic analysis practiced a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₂²)verification so as to look into the frequency of every element. The result is the same as following ; Average height in body mass group was 176.38±5.1 in male and 162.94±3.7 in female and average weight 79.78±8.5 and 64.64±4.1. Average height in no-body mass group was 175.25±4.8 in male and 162.98±5.0 in female and average weight 64.19±5.9 and 52.04±5.0. BMI resulted into average 25.62±2.3 in body mass male group over 23.0㎏/m² and 24.33±1.1 in female and 20.8±1.4 in no-body mass male group and 19.58±1.6. On the idealest body-type, everyone answered mostly "common body-type" and on the self body-type, body mass group answered mostly "a little fat" and no-body mass group "common" and appeared some difference. On the body-type satisfaction, the result is low because almost everyone answered "dissatisfaction". On the interest in weight adjustment, body mass group answered mostly "very interest" and no-body mass group "little interest" and everyone had high interest in weight adjustment. Body mass group measured mostly body weight "one time a month" and no-body mass group "one time a week" and on the try in weight adjustment, everyone answered mostly "want to try". As above, the answers didn't appear any difference. On the reason in weight adjustment, everyone answered mostly "for health" and appeared some difference and on the information in weight adjustment, body mass group answered " through the internet" and no-body mass group "through the mass com" and didn't appear any difference. On the interest motive in weight adjustment, we can know the dissatisfaction

      • BMI지수와 신체외형도에 따른 신체의식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유란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Interests in the appearance in the modern society were limited to women in the past, but now more adolescents pursue to be beautiful so that they create new consumption culture. Therefore, through BMI index reflecting their actual body types and somatotype drawing that is their su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somatotypes, this study finds the awareness of young students and analyzes sociocultural factors, appearance satisfaction, contentment of their faces, self esteem and concerns for the beauty to figure out factors that change the adolescents’ consciousness about the body. Also, this research suggests fundamental data that helps the activation of beauty market targeting the teenagers as well as the materials for education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beauty program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of all, most teenagers consider that their shapes are normal but prefer to be underweight in relation to the BMI index. Thus, it is revealed that their preferred somatotypes are thin. Next, the difference in the BMI index and somatotype drawings is little between normal, overweight and obes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hose weight is lower than normal significantly regard that their body types are in regular. With regard to the BMI index, 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igh more than female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Unlike that, the results are quite alike in the somatotype drawings. As a result, we could see the results from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perception. Thirdly, the highest sociocultural factor is the beauty conscious- ness. It means that the adolescents utilize and accept the releva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BMI index is high in normal weight group and the underweight students have high somatotype drawings, so it is found out that the objective as well as subjective body consciousness is different in terms of the sociocultural factors. Moreover, the majority of teenag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The lower their weight i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s are regarding the analyses of the BMI index and somatotype drawings, which shows the strong desires of young students who want to be thinner. Fifth, the teenagers whose somatotype drawings as well as the BMI index are below the standard hav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ir faces. However, in case of the BMI index, However, considering the BMI index, the facial satisfaction is highest in the underweight group, and obese, normal and overweight groups follow next in order. It shows that obese adolescents are gratified with their faces more than the teenagers whose weight is normal. It illustrates that the beauty awareness that the teenagers have is not similar with that in reality so they may feel unstable. Consequently, we can say that follow-up researche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beauty awareness are necessary. Also, it is clearly seen that the self-esteem is more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than the internal ones, and the fact whether the adolescents are acknowledged by their peer groups or society affect the formation of their self-esteem as well. Additionally, this variable hits the higher marks in the underweight group. Lastly, the students who have normal weight are more interested in the beauty than any other groups. In detail, they highly care their skin, figures and makeup in comparison with general factors, hairstyles and nail cares. This result describes that they put their importance on actual appearance like body shapes and skin in that they have to study as well. 현대사회는 외모에 대한 관심은 여성들에 의해 제한되었던 예전과는 달리 점차적으로 연령이 낮아져 청소년들의 뷰티관심으로 새로운 소비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청소년들의 실제체형을 반영한 BMI지수와 주관적인 체형인식인 신체외형도를 통해 청소년들의 체형인식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과 사회·문화적요인, 외모만족도, 얼굴만족도, 자아존중감, 뷰티관심도를 분석하고 청소년의 신체 의식에 미치는 변인을 파악함으로써 잠정적 고객층으로 자리 잡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외모를 긍정적으로 자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뷰티시장 활성화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뷰티프로그램 개발이나 교육프로그램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체형인식은 대부분 자신의 체형을 표준체형으로 인식하였으나 희망 BMI지수에서는 저체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이 희망하는 체형은 실제로 마른체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BMI지수와 신체외형도의 차이는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인 학생들은 차이가 적게 나타났으나 저체중인 학생은 본인이 정상체중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BMI지수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과체중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외형도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신체계측에 의한 결과와 주관적 지각에 의한 결과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문화적 요인은 뷰티의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뷰티의식이 높다는 것은 청소년들이 뷰티관련 정보들을 활용·습득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며, BMI지수는 정상체중에서, 신체외형도는 저체중에서 높게 나타나 객관적인 신체의식과 주관적인 신체의식은 사회·문화적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외모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MI지수와 신체외형도 분석에서는 모두 저체중인 학생의 외모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더욱 날씬해지고 싶어하는 청소년의 강한 욕구가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얼굴만족도는 신체외형도와 BMI지수 모두 저체중에서 얼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BMI지수에서 저체중, 비만, 정상체중, 과체중 순서로 비만의 얼굴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청소년의 미의식이 본인이 지각하는 것과 현실사이에서 나타나는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어 청소년의 미의식에 작용하는 요인들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은 내부적요인에 비해 외부적요인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나 청소년기에 또래집단이나 사회에서 인정받는 정도가 자아존중감 형성에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BMI지수와 신체외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모두 저체중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뷰티관심도는 모두 정상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부 요인에서는 일반뷰티관심도, 헤어미용, 네일아트의 뷰티관심도에 비해 피부, 체형, 메이크업 뷰티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경우 학업과 외모 가꾸기를 병행함에 있어 헤어미용이나 네일아트와 같이 외적으로 드러나는 뷰티관심도보다 실제모습을 반영한 체형이나 피부에 관심이 높은 청소년의 특징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