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가족문화와 의 관점에서 본 주거공간이해 :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조은섭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주거공간을 가족문화와 효사상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주거공간이 가진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는 주거공간을 기존의 건축학적 시선과 같은 물리적인 측면이 아니라 ‘가족’과 ‘효’라는 인문학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논지를 구성한다. 이것은 인간의 사상과 철학이 주거공간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또한 역으로 주거공간에 의해서는 인간의 예법과 사상이 어떻게 반영되었고, 또한 역을 주거공간에 의해서는 인간의 예법과 사상이 어떻게 강화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의 ‘상류주택’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진행한다. 연구의 핵심저인 구조는 가족+주거공간이 가정을 형성하고 이것이 사회가 된다는 측면으로 곧 가족문화(효사상을 포함한)가 ‘사회-가족-주거공간’이라는 세 요소에 의해 유기적을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 세 요소의 구조는 연구의 시각이자 방법들로써 곧 사회문화는 인간-가족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가족은 주거공간을 형성하고, 주거공간은 가족과 사회문화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서로의 모습이 상호 발현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의 구성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사회문화의 특성을 통해 주거공간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 둘째, 주거공간에서 발현되는 가족문화와 효사상을 살펴보는 것, 셋째, 이론이 아닌 실제 사료를 중심으로 앞의 두 가지 내용을 실체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각 구조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조선시대의 유교적 사회문화는 주거공간에 오륜과 효사상의 측면에서 적용되어 있음을 밝혀내고, 둘째, 주거공간은 오륜의 특성으로 ‘부자유천 > 부부유별 > 장유유서 > 붕우유신 > 군신유의’의 순서대로 비중 있게 발현되고 있음을 알아내며, 셋째, 실제주거공간의 예시를 통해 가족문화는 전반적으로, 효사상은 특별한 구조와 형식을 통해서 더욱 강화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연구는 최종적인 귀결로써 조선시대의 주거공간은 유교적 사회문화를 대변하고 있으며, 가장의 철학과 사상에 의해 유교적(오륜-효사상)문화의 정도가 주거공간에서 표현되며, 이러한 주거공간에서 성장한 차세대(次世代)는 다시 사회와 가정에 영향을 미쳐 유교적 사회문화를 강화시키는 구조가 되어 있음을 밝혀낸다. 이러한 연구의 논변은 효사상의 연구에서는 인간의 정신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환경적 요소에서도 효를 살펴볼 수 있음을 제시하는 시각이 되며, 사회연구에서는 현대의 가족문제와 인성교육의 문제를 주거공간이 입장에서 재해석하고 풀이해보는 시선을 가져다주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주제어 : 효사상, 조선시대 가족문화, 상류주택, 주거공간, 효와 공간

      • 유아기의 통합적 도교육 연구

        김민석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은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問題중 특히 가정문제에 대한 解決 方法의 하나로 敎育的 接近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교육적 접근과 관련하여 특히 孝道敎育에 초점을 둔 것은 효도교육이 새로운 세기를 살아갈 유아기에 필수적인 교육이며 이를 통해 21세기의 세계적인 人間觀을 형성하는 시금석의 역할임을 강조하고 사회문제 해결의 필수적 代案이기 때문이다. 傳統的으로 효도교육은 한국의 代表的인 敎育이지만 현대교육에서 이를 그대로 수용하기는 여러 가지 限界가 있으며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유아 교육시설에서 보다 효과적인 유아 인성교육지도에 있어서도 종래의 학습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한계와 교육 성과적인 측면에서도 어려운 점이 상당히 도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통합적 교육이념에 관심을 갖고 이와 관련한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론’을 제시해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本 論文은 구체적으로 유아기의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여러 연구를 간략히 소개하고, 韓國的 敎育理念, 韓國的 敎育內容에 의한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론’에 근거한 ‘유아 통합 효도교육 프로그램’ 구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적 성과로는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현대적 의미의 유아 통합효도교육을 통해 효도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은 물론 주제토론 통합학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전통적 효도학습을 통해 효ㆍ한문학습능력의 신장을 가져왔다. 아울러 새로운 통합감성학습의 일환으로 효도와 국악을 통합한 학습방법을 통해 인성교육과 함께 성격발달, 발표와 표현력, 감성능력, 공동체의식개발 등 보다 획기적인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학습의 성과를 달성시켰다. 둘째, 현대적 孝道學習내용과 전통적 孝ㆍ漢文學習, 보다 새로운 통합감성학습 孝ㆍ國樂學習을 통해 유아들에게 신명나는 학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통합 인성 교과프로그램으로 정착시켰다. 셋째, 통합효도교재에 의한 인성교재학습은 물론 우리의 전통악기 국악기를 겸한 교구학습으로의 양면을 적절하게 통합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유아 교육현장에서 연령별로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활용하여 성공적인 유아기의 통합 효도교육이 實現되도록 보다 구체적인 指導方法을 제시하였다. 유아들의 정신세계는 일생의 어느 시기보다 가장 중요한 기초ㆍ기본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성공적인 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정착은 그리 용이한 현실이 아니며,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도처에서 각종 각양의 학습프로그램들이 우리의 유아교육현장에서 물밀듯 접목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연구’는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한 교육행사 사례 및 효과를 분석하여 상당한 성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많은 교육시설에서 이를 올바르게 활용한다면 학습을 받는 유아는 물론 교육시설의 경쟁력과 함께 가정이 변하고 우리 사회가 변하는 획기적인 유아 인성프로그램이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이 나라 유아 인성교육의 작은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 성경에 나타난 의 교육적 의의

        박영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효 사상은 한국인의 독특한 정신문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사람들의 의식 속에 깊이 내재되어 자손대대로 한민족에게 이어져 왔다. 효 사상은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소중한 정신적 가치이다. 이러한 효 사상은 가정과 가족, 사회와 생활 속에서 상호간에 요구되어지는 사랑, 공경, 신뢰, 그리고 통합을 이루고 지탱하는 원동력이 되어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산업화와 도시화는 인간소외와 정신적가치의 혼란과 정체성 상실을 야기했고 우리사회의 새로운 가족제도로 자리 잡은 서구식 핵가족제도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관계의 편협성과 경로효친 사상의 약화, 개인 및 집단 이기주의 풍조로 공동체의식이 좌초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특히 효 사상의 약화는 우리사회가 방향감각을 잃고 심각하게 흔들리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가 성경을 통하여 ‘효’를 무엇이라고 말하며, 그 효 사상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를 알아보며 실천방안을 찾으려고 시도하게 되었다. 성경이 말하는 효는 신과 인간과의 근원적인 관계를 명확히 말하고 있으며, 인간에 대한 계명으로서 부모공경, 더 나아가 가족사랑, 나라사랑, 인류봉사의 포괄적이고 실천적인 삶의 요소를 두루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효 사상교육의 필요와 실천방안을 연구할 필요를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경로사상의 약화와 효 사상의 부재로 일어나는 가정과 사회의 병리현상을 밝히고『성경』을 통해 효의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했다. 그리고『성경』에 담긴 효 사상의 기초와 그 의미를 찾아보려고 했다. 특히 신약성경의 복음서와 바울서신에서 나타난 효 사상의 기초와 의미를 발견하여 생활 속에서 사랑과 인격적 대화, 겸손으로서의 효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효 사상의 교육적 의의를 통해 신앙교육으로서의 효와 윤리교육으로서의 효의 의미를 토대로 효 사상에 교육적 가치를 신앙생활과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고자 했다. The thought of filial piety represents Korean's unique moral culture and has been handed down across the generations. Filial piety is a spiritual value, especially needed in this modern society which has been through rapid social change. The filial piety has been a driving force that combines and preserves love, respect and trust which are required in the home and family, society and life. However, today'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rought about human alienation, confusion of spiritual values and identity, and besides, th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Master's degree of Education in August, 2011 western family system which has been settled down in our society is now in danger because of provincialism in relationships, weakened thought of filial piety, egoism and collectivism even though it has its virtues. Especially the weakened thought of filial piety caused our society to loss direction and falters. About this, the thesis tries to find out and set up action plans about what Christianity calls filial piety through the Bible, and how they teach the thought of filial piety. Filial piety in the Bible is clearly described the origin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nd includes respecting parents, by extension, loving family, loving nation, serving mankind as Commandments which are given to us. Therefore, a study of the educational filial duty and action plans is necessary. Furthermore, the study reveals the pathological phenomena caused by weakened thought of filial piety and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filial duty. Then the basics and the meaning of the thought of filial piety in the Bible was tried to be found. Particularly, the attempt to discover the basics and the meaning of the thought of filial piety in the Gospels and the Pauline Epistles was made and examined for what love, respecting conversation, and modesty are, as filial piety. Lastly, on the basis of the significance of filial duty as a religious education and ethical education, the educational value was applied to our religious life, home and school, and the society.

      • 성경 7행교육 연구 : 성경인물의 행 실천을 중심으로

        박경자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우리들에게 있어 교육이란 생애의 삶을 위한 성공의 수단으로만 목적 삼는 경향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연구자는 진정한 교육이란 인간의 참된 삶의 가치를 인간의 행복함에 기초를 두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인간 행복의 기초에는 효행과 관련된 문제가 무엇보다 우선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러한 효행교육은 그리 큰 관심을 갖지 못하는 것이 오늘날의 일반적 현실이다. 다시 말해서 대다수의 많은 부모가 자녀 교육에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고 있기는 하지만 인성의 문제는 관심이 매우 희박한 현실이므로 이를 타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효행교육도 종래의 전통적인 유교적 개념의 효행교육과 최근에는 성경적인 효행교육의 개념과 서로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면서, 종래 우리의 전통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유교적 효와 함께 서로 다른 기독교적 관점의 성경적 효행교육의 실천과정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성경적 효행교육을 통해 가정에서는 물론 교육기관에서 현세대와 과거세대 더 나아가 미래세대를 향해 서로 소통의 벽이 허물어진다면 효행교육방향의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되리라 생각한다. 성경7효의 주제별 접근을 통하여 하나님 사랑과 그리스도의 이해를 살피는 과정을 통하여 성경의 13인물의 효행 내용을 정리한 결과는 이하고 같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기는 순종과 믿음의 사람임을 확인하는 등 등장인물의 효행력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다도의 실천적 프로그램 과제와 접목하여 성경적 효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에는 효다도의 실제를 이해하고, 교육지도 체계를 세워 성경적 효교육프로그램을 도식화하여 제안함으로써,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결과를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이 사회를 더 밝게 나아가는 작은 계기가 되기를 소망하며 부족하였던 부분에 대한 수정 보완 할 것을 다지며, 또한 후학들의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 尤庵 宋時烈의『戒女書』에 나타난 孝 思想에 관한 硏究 : 『聖經』의 孝와 比較를 中心으로

        송병훈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유교의 효를 바탕으로 한 조선후기 우암 송시열의 작품『계녀서(戒女書)』와 성경의 효를 비교통합 함으로써 현대의 가정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부덕교육의 대표 격인『계녀서』는 우암이 권씨 집안으로 출가하는 큰딸에게 효(孝), 경(敬), 화(和), 인(仁), 자(慈)의 덕목을 고루 닦아 수신제가(修身齊家)하고 삼강오륜(三綱五倫)을 온전히 지키라는 20가지의 행동지침서로『계녀서(戒女書)』를 써 주었다. 본 논문의 기본 내용은 『계녀서』의 효 사상을 ‘성경적 7효’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계녀서』는 개인생활에 대해 10개 장(章)에서 바른 몸가짐, 언어사용, 절제, 성실, 청결을, 가정생활로는 6개 장 에서 효와 형제애, 친척간의 예절 등을 토대로 하는 기초교육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기초교육으로 사랑이 넘치는 화목한 가정생활로 이어지며 온전한 사회생활에 순응하도록 강조한 가르침이다. 사회생활로는 2장, 8장, 15장, 16장, 17장 등 5개장과 19장 20장 가운데 해당되는 부분을 통해 상호존중, 타인배려, 공정 등을 가르쳐주었다. 가정교육의 첫 단계로『계녀서』는 개인생활에 대한 가르침을 우선으로 하였다. 가정생활의 주요 항목으로 각 장에서‘성경적 7효’가운데‘나라사랑을 제외하고 절대자 섬김, 부모 어른 스승공경, 어린이 청소년 제자 사랑, 가족사랑, 자연사랑 환경보호, 이웃사랑 인류봉사에 연계됨으로 “부모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미워하지 않고, 부모님을 공경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는다.”는 효경의 말씀대로 폭넓은 사회생활 적용 점을 찾을 수 있었다. 『계녀서』는 출가하는 딸에게 아버지가 써준 한 가정 단위의 가르침으로 좁은 범위의 실천 내용이 단점이라 할 수 있으나‘성경적 7효’의 폭넓은 성경말씀을 개인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보충하여 현대 가정교육에 맞도록 하였다. 이처럼 귀한 자료를 세상에 남겨준 우암의 효 사상 즉,‘글에 도(道)가 없으면 글이 아니다’고 주장하는 바탕에서 펴낸 미풍양속의『계녀서』가 후손들과 인류에게 품격 높은 정신문화 유산으로 계승되기를 다시 한 번 기대하는 바이다. 주제어 : 우암, 계녀서, 효, 성경적 7효, 가정교육.

      • 先秦儒家 孝思想의 展開에 관한 硏究

        정병섭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論者在本論文中論述了關于先秦儒家孝思想的展開。 孝思想的展開過程隨着時代地發展, 第一, 論述了孝思想的淵源和初期發展階段, 記述了殷代和周代的孝意識。 雖然在甲骨卜辭中沒有顯示出孝字, 但是在殷代時期已經確立了父系, 出現了個體家庭, 祖上崇拜也活躍地進行着。 隨之, 看不到孝字的字形, 但是在殷代時期已經有了關于孝的一系列的意識, 所以可以簡單地推論出孝的存在。 西周金文中出現了흔多孝字。 但是這所謂的孝主要出現于對祖先的追孝和享孝。 這些和在西周時期的血緣意識一樣, 作爲宗法制的基礎。 努力的結果是强調了政權的安定和確立了社會秩序。 第二, 論述了孝的發達過程和孝思想的根基確立, 記述了春秋戰國時期的孝思想。 春秋戰國時代到來的理由是因爲鐵制農器具, 牛耕, 水利灌漑的出現給以農業生産力基礎的事業帶來飛躍性的發展。 卽農業生産力的發展構成個體家庭從氏族集團中獨立出來形成現有的社會體制。 維持過的血緣紐帶觀念消失。 孝意識也一樣的。 在這樣的背景下, 孔子和孟子以仁和性善爲基礎再次解釋了以倫理德目爲本質中心的孝意識。 荀子以性惡爲基礎再次解釋了社會規約的禮。 第三, 論述了春秋戰國時代的孝思想綜合來用了孝經成立, 記述了戰國末期的孝思想。 推定孝經是在戰國末期由曾子學派完成。 這是由經字的原義和儒家書籍的關系, 關于孝經著者的各種各樣的學說, 幷通過孝經和其他文獻的多種論据的比較認識出的。 再有孝經中的孝思想有個特点, 타結合荀子的思想, 幷采用了孔子孟子的思想。 孝思想的展開過程還能由不同主題來區分。 那就是家庭倫理的孝和國家倫理的孝。 第一, 殷代的孝意識的論述部分中闡明了以個體家庭爲中心的家庭倫理中孝意識發生的事實。 而且到了后期隨着崇祖意識的强化, 國家倫理的孝意味着王權强化和社會統合上。 到了西周時代由于宗法制的出現, 能구深深體會到國家倫理的孝。 第二, 記述了春秋戰國時期個體家庭由于經濟獨立, 家庭倫理的孝變得重要了。 卽西周時代的孝出現于對祖上追孝和享孝。 相反的春秋時代出現了父子關系的孝。 當時出現維持以原來傳來的君臣關系倫理爲基本的孝思想和再次解釋的孝思想。 孔子, 孟子, 荀子, 他們有不同的倫理。 孔子和孟子强調家庭倫理的孝, 而荀子則强調以國家倫理的孝。 第三, 在戰國末期完成的孝經中形成家庭倫理的孝和國家倫理孝的結合。 旣有表明孔子和孟子所强調的家庭倫理的孝思想, 以父子關系的孝爲固有美德, 也有表明荀子所强調的國家倫理孝思想, 以君臣關系爲忠。 但通過孝經中孝思想從天子到庶民有着身分等級的差別, 而强調對天子的忠, 可以知道孝經是以國家倫理爲中心的。 總之, 孝經的孝思想綜合用了先秦儒家的孝思想, 可以說孝治思想。 孝治思想的特点是孝與忠合二爲一, 國家倫理和家庭倫理幷有。 中國許多帝王以此作爲혼好的政治道具。 實際上漢代以后中國社會在政治上利用孝治思想來實現社會統治。 因此本論文的硏究是爲了分析幷達到可以評論中國社會先行工作的。 展開對先秦儒家的孝思想的硏究也是爲了全方面記述孝思想的知識和孝治思想的整理。

      • 윤리체계에 의한「聖學輯要」의 교육 연구 : -초등학교 교육 활용방안을 중시으로-

        장옥화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聖學輯要」에 담긴 전통적 효규범을 보편화가능성의 효윤리 체계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효교육의 방양을 새롭게 구성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사람이 인정할 수 있는, 시공간을 초월하는 효에 관한 보편적 분석의 틀을 마련하는 작업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박철호 교수의 보편화 가능성의 효윤리체계를 적용하였다. 보편화가능성의 효 윤리 체계는 네 가지 변수, 즉 順從, 親愛, 存續, 代理의 상호 작용의 망으로 구축하였다. 네 변수의 내용을 살펴보면, ‘純宗’은 일반원리인 자녀의 부모공경을 말하며, ‘親愛’는 부모 자녀 관계의 수평적인 애정의 성격으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도덕적의무, 상호주의적 대응관리를 말한다. ‘存續’은 조상으로부터 받은 것은 앞으로도 자손에게로 이어갈 것이며, 나의 육체와 생명은 부모에게 물려받음을 뜻한다. ‘代理’는 효의 근원과 원천은 신이 있기에 신의 계명과 명령에 따라 효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화 가능성의 효윤리체계로 「聖學輯要」에 나타난 효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立志章에서는 順從의 효, 孝敬章에서는 親愛의 효, 收檢章에서는 存續의 효, 喪制章에서는 代理의 효가 각각 강조되어 드러났다. 「聖學輯要」는 가정 중심의 윤리뿐만 아니라 사람됨을 중시하고 있다. 이는 곧 현대의 효와 일치하며 부모에게 은혜를 보답할 뿐 사회, 국가적으로 은혜에 보답하는 요지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 인류에 대한 보답으로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聖學輯要」에 나타나는 효를 보편화 가능서의 효윤리체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학생에게 효를 지도하고, 앞으로의 효교육을 인간성회복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 안중근의 충사상과 리더십 연구

        박홍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안중근 효충사상의 형성 배경을 논의하여 보편적 리더십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안중근의 효충사상이 유교와 천주교의 복합적 논리에서 출발하여 인류애와 평화론의 가치로 확장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안중근의 사상과 실천은 전통과 개화, 유교와 기독교, 민족과 세계시민, 구국과 박애, 투쟁과 평화, 효와 충 등의 상충할 수 있는 이념들이 변증법적인 통합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그에게서 효는 가족 중심을 넘어서는 인류애의 표현이고 충은 민족주의를 극복하는 세계평화의 정신을 담고 있는 면에서 현대의 리더십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본 연구의 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효충사상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구한말의 사회적 배경, 가문의 환경과 사상적 성향, 효와 충의 통합적 원리를 살펴보았다. 안중근의 사상이 형성되어 온 복합적인 시대 정황과 효와 충의 통합적 원리와 관계를 논의하였다. 둘째, 효와 충이 확립된 사상적 원리를 논의하였다. 효와 충은 유교에서 형성된 개념이나 기독교 신앙과 결합되어 보편적인 인류애로 확장되고 있다. 유교와 천주교의 조화가 안중근의 효충사상에 다양성과 보편성을 부여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확장된 효충사상의 실천적 적용의 과정을 논의하였다. 성경 7효의 관점에서 효충은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기는 데서 시작되어 부모·어른·스승공경, 어린이·청소년 사랑, 가족사랑·나라사랑, 자연사랑·환경보호, 이웃사랑·인류봉사에까지 확대된다. 성경 7효는 안중근의 효충사상의 보편적 확장을 설명하는 유용한 설명틀로서 확인되었다. 넷째, 안중근의 효충 리더십과 예수의 섬김형 리더십을 비교하여 효충 리더십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천주에 대한 효와 의리정신으로서의 충이 인류애로써 표현되는 안중근의 리더십 정신의 형성과정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제시하면서 안중근의 효충사상과 리더십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였다.

      • 도덕형성체계론적 분석을 통한 『明心寶鑑』의 孝 교육 연구 : 초등학교 교육 지도방안을 중심으로

        강환명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효는 인륜의 기본이 되는 가장 큰 덕목이다. 공자는 ‘효는 행인의 근본’이요, ‘덕의 근본이며 모든 가르침의 시작’이라고 하였다. 도덕적 자아는 도덕적 판단이나 도덕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체계의 주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도덕적 자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박철호가 언급한 바와 같이 도덕적 자아의 성격과 발생과정, 변화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도덕적 자아가 그 모습을 습득하는 과정과 그 습득된 것의 성격 그리고 이러한 성격이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 어떻게 변화 하는가 등을 파악함이 필요하다. 이렇게 도덕적 자아가 형성되는 체계를 ‘도덕형성체계’이다. 도덕형성체계는 네 가지 변수인 환경, 인지, 욕구, 직관이 작동을 한다. 우선 여기서의 환경은 스키너에 의하면 도덕형성체계의 또 하나의 주요 변수가 된다. 왜냐하면 인간은 그가 살고 있는 환경에 의해 통제되어 도덕적 자아를 구축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 인지가 도덕형성체계의 주요 변수가 되는 것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잘 드러난다. 즉 콜버그에 의하면 도덕적 자아는 인지 발달에 의해 발달해 간다. 즉 인지에 의해 도덕적 판단과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지는 도덕형성체계의 주요 변수가 된다. 그 다음 욕구는 프로이드에 의하면 이드의 에너지와 연관된 것으로 이 에너지가 도덕적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에 도덕형성체계의 주요 변수가 된다. 또한 직관이 도덕형성체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헤어의 윤리이론에 의해서 잘 드러난다. 헤어에 의하면 도덕적 자아는 논리적 추론을 초월하는 직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직관은 도덕형성체계의 또 하나의 변수가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도덕형성체계의 4가지 변수 즉 환경-순종, 인지-친애, 욕구-존속, 직관-대리의 변수에 의한 「明心寶鑑」의 효의 내용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효 교육의 방향과 새로운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방법을 알아보았다. Ⅱ장에서는 효에 대해 보편적인 분석의 틀을 구축해보고 도덕형성체계 분석의 틀을 해설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구축한 도덕형성체계론적 분석를 도구로 하여 「明心寶鑑」의 각 편을 분석해 ‘환경-순종’, ‘인지-친애’, ‘욕구-존속’, ‘직관-대리’의 효와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明心寶鑑」의 효에는 ‘환경-순종’, ‘인지-친애’,‘욕구-존속’, ‘직관-대리’의 효가 골고루 포함되어 있어 현대사회의 효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준다. 왜냐하면 그동안 순종과 존속에 의한 권위주의적 효에 가족 위기의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치유가 되기 때문이다. Ⅳ장에서는 「明心寶鑑」에 드러난 효를 분석해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효 교육 체계를 정립할 필요성을 살펴보고 새로운 효 교육 방안을 구축하였다. 특히 「明心寶鑑」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안해 보았다.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고 효 윤리 체계의 하위변수인 환경-순종, 인지-친애, 욕구-존속, 직관-대리의 변수에 의한 효 교육이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적절한 수준으로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 효 윤리 체계 덕목에 의한 연령별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연령에 따라 순종과 친애, 존속, 대리의 덕목들이 효과적으로 교육하기에 유리하다 효 윤리 교육체계에 의한 효 교육의 재구성 방향으로는 효성의 구성요소인 ‘판독’, ‘경건’, ‘행위’, ‘신념’을 충분히 파악하여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 효의 당위성을 강화하는 교사의 역할과 노력이 필요하며, ‘환경’에 의한 순종의 효와 인지에 의한 친애의 효, 욕구에 의한 존속의 효, 직관에 의한 대리의 효의 4가지 변수가 모두 상호 복합적이고 다차원의 관계망을 형성하며 효성을 구축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효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明心寶鑑」은 4 가지 변수에 대한 효 윤리의식을 강화하고 효 교육에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시하여 주며 현대인들이 망각한 효행을 실천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 이 분석의 결과로 앞으로의 효 교육은 「明心寶鑑」을 이용한 새로운 효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明心寶鑑」에 담겨진 근본정신을 현실에 맞게 재해석하고 효 윤리 교육체계에 의한 효 교육 방법이 도덕 교육에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The filial piety is the largest virtue based on the morality. Confucius said that 'The filial piety is the foundation of passerby and it's the foundation of virtues and beginning of teaching.' The moral identity is one of the main variables in the moral system that influence to the moral decision and behaviors. For defining the moral identity it'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 development process and change process systematically as Park, Chul Ho mentioned. So to speak, it's necessary to identify how the moral identity is changed in the learning process, its character and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system which the moral identity is formed means 'Moral formation system'. The moral formation system acts in 4 variables that are environment, recognition, desire and intuition. First of all, according to Skinner the environment is one of the main variables in the moral formation system, because human constructs the moral identity which is controlled by the environment that he or she lives in. The desire according to Freud is related to the energy of Id which is the main variable in the moral formation system because it makes the moral decision to be possible. Also, the intuition influences to the moral 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Hare's ethics. The moral identity is influenced by the intuition that transcends the logical reasoning, which is another variable in the moral formation system. In this thesis Ⅰ tried to construct a new direction of the filial piety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learning proces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Myeongshim Bogam' (Thesarus of Bearing in Mind) based on 4 main variables of moral formation system that are environment-obedience, recognition-affection, desire-ascendent, and intuition-substitution.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In Chapter Ⅰ Ⅰ looked at the necessity, purpose and method of study. In Chapter Ⅱ Ⅰ constructed the typical analysis frames of filial piety and explained the moral formation system. In Chapter Ⅲ Ⅰ analyzed the filial piety in each section of 'Myeongshim Bogam' based on 4 main variables of moral formation system that are environment-obedience, recognition-affection, desire-ascendent, and intuition-substitution by using the moral formation system, which Ⅰ made in Chapter Ⅱ. As a result, in the 'Myeongshim Bogam' the filial piety of environment-obedience, recognition-affection, desire-ascendent, and intuition-substitution is well distributed so that it helps to construct the filial duty in modern society. Because it cures the family problems of the authoritarian filial piety by the obedience and ascendent. In Chapter Ⅳ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lial duty in 'Myeongshim Bogam' Ⅰ looked at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new filial piety education system and constructed the solution. Particularly, Ⅰ considered on the teacher-learning instruction solution for teaching the 'Myeongshim Bogam'. In the teacher-learning method there should be various ways and the suitable and systematic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which the filial piety education under the subordinate variables that are environment-obedience, recognition-affection, desire-ascendent, and intuition-substitution is experimented comprehensively. As we looked at the education process by ages in the virtues of filial piety ethics, it would be more advantageous to educate people effectively under the obedience, affection, ascendent and substitution. In the teacher-learning process the teachers should exert themselves into reinforcing the justified filial piety by identifying the elements of filial duty that are 'interpretation', 'devotion', 'behavior' and 'belief'. Moreover, the education should carried out by formulating the multidimensional and inter-complex relationship of 4 variables of the filial duty that are filial duty by the obedience in the environment, affection by recognition, ascendent by desire and substitution by intui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Myeongshim Bogam' suggests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in the filial piety education and helps the moderners can practice the forgotten duty by reinforcing the filial ethics recognition on 4 variabl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lial piety education in near future will be whole different by using a new direction with 'Myeongshim Bogam'. In addition, Ⅰ hope that the basic mind in the 'Myeongshim Bogam' could be reinterpreted in reality and it could be charged in the moral education with the filial moral education system.

      • 종교적 심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 하모니 7 (HYO)의 고찰

        양희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종교계에서 존경받는 상월 조사 스님의 수행을 통한 종교적 효 사상을 바탕으로 새 불교 이념을 연구하여 최근 사회성 변화에 현대인들의 인성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교육의 변화를 위하여 하모니 7 효를 천태종 중심으로 연구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불자(佛者)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위해 종교적인 효심의 바탕으로 관음 기도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종교적 효와 관음 기도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인성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인가를 찾아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종교적 효심으로 바른 인성을 각인시키는데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먼저 학교에서 수업과 더불어 종교적 효, 인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단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바른 효, 인성이 함양된 청소년으로 성장해가는 것을 생각하였다. 따라서 종교적 효와 관음 수행과 새 불교 이념인 본질을 이해하여 청소년의 부모, 자녀, 가족 사회의 환경 속에서 하모니 효를 실천하고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러운 효 인성 교육을 관음 기도를 통하여 인간이 최적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천태 대사의 사상에 대한 성찰과 한국 천태종을 중창한 상월 스님의 수행 사상을 조명하고, 보편적 논리로 종교적 효심에 기준점을 두었으며 조사 스님의 새 불교 이념에 나타난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중생구제에 한시도 소홀히 하지 않았음을 함께 살펴볼 것이다. 상월 조사 스님의 새 불교 이념은 조선 시대의 억불정책에 5백 년의 침체가 있었고, 근세에 와서는 소위 비구⋅대처의 분쟁과 충돌로 사법적 송사로 인하여 분 종으로 이루어졌다. 이 모든 것들을 아우르기 위한 새 불교 이념인 애국불교를 강조하고, 일제 시에 나라 없는 서러움을 겪은 아픔을 알고 나라를 생각한 것이며, 생활불교, 대중불교 구현은 모든 중생구제의 원이며 모두가 화합(하모니)될 수 있는 큰 서원이 깃들여져 있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관음 수행법을 가지고 청소년들에게 다가가 마음의 문을 열게 하고 정체성을 알게 하여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효 인성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부모, 어른 스승을 공경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관음 수행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나아가 이웃, 국가, 자연을 사랑하고 광의의 하모니의 효 인성을 실천하는 인격체로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려서부터 관음 기도로써 온화한 마음의 자리를 만드는 교육을 지도함으로써 효, 인성 증진과 함께 바른 인성 함양에 빠른 지침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게 하였다, 관음 기도 사상을 통하여 삶에 나타난 스님의 정신세계 속에서 우리가 본받아야 할 종교적 효의 가치와 새 불교 이념 정신을 볼 수 있다. 더욱이 어려서부터 효와 인성 함양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교육 관계자 그리고 일선 학교가 연계되어 청소년들의 바른 인성 함양에 변천하는 시대에 맞는 바탕으로 발휘된 관음 기도를 표준으로 삼아 청소년 효, 인성 함양에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