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귤 플라보노이드와 리모노이드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이동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Je-ju island, the citrus industry can be considered as both representative and chief one. However, it tends to be decreasing. Despite of various counter plans of the government, they are not practical. Due to this reason, other utilities of citrus should be searched. In recent years, consumers are interested in natural additive agent and functional food (nutracutical) materials, such as flavonoids, limonoids and pectin among various components. In this research, possibility of using Citrus extract is evaluated as natural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nutraceutical materials, focused on Citrus flavonoids and limonoids.In the antioxidant activity test, using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 (3-erthylbenz-thiazoline-6-sufonic acid), Citrus peel extract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d ROS scavenging effect than GFSE. In the case of ROS scavenging effect, in which is free-radicals such as superoxide anion radicals(O•2-) and hydroxyl radicals(OH•) and non free-radical species such as hydrogen peroxide(H2O2) and hypochlorous acid(HOCl), using PMS-NADH method, Deoxyribose method, guaiacol assay and chlorination of taurine method, Citrus peel extracts have higher than that of GFSE. And, in the real antioxidant capacity test, using POV (peroxide value) and AV (acid value) measurement methods, Peroxide formation and AV increase ratio were inhibited when Citrus peel extracts were added in oil.Antimicrobial activity test was surveyed through disc diffusion assay and growth inhibition capacity test. In this test, with 9 pathogens (L. monocytogenes, B. cereus, S. aureus, Micro. flavus, E. coli O157:H7, Sal. typhi, Sal. entritidis, V. parahaemolyticus, and Shigella flexneri), which generate food-bore disease, extracts of citrus spp. have antimicrobial activity.In Hep-G2 cell line toxicity test, using WST-1, all citrus peel extracts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at tested concentration range. So, thus citrus peel extracts can be used as food additives even in high concentration because extracts did not show toxicity in tested cell line.Because major antioxidant materials are flavonoids, those contents of extracts were analyzed by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ajor components of Citrus junos were naringin and neohesperidin, and main compounds of Citrus unshiu were narirutin and hesperidin. Also, in the case of water extract, pectin was occupied over 90%.In the antioxidant activity test of Citrus flavonoids and limonoids, rutin and NHDC were similar to those of quercetin, and aglycone-forms had lower activity compared with other flavonoids. ROS scavenging effect test was similar to antioxidant activity test. However, in the cases of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radicals, pectin activity was measured higher than other tests. In antimicrobial test, naringenin, hesperitin, quercetin and rutin represented higher activities than those of other tested substances.Briefly, Citrus extracts could be used for not onl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materials but also functional food material for ROS scavenging. This study will suggest other useful device in Citrus agricultural industry. 감귤은 제주도의 가장 대표산업이며 제주도 경제의 26% 차지할 만큼의 주요 산업이다. 그러나 최근 대내외적으로 감귤산업은 하향추세에 있다. 정부의 다양한 대책에도 불고하고, 현실적으로 미흡하다. 그러므로 감귤의 다른 이용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최근 소비자들은 천연첨가제와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분 중 플라보노이드류, 리모노이드류 및 펙틴성분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감귤 플라보노이드류와 리모노이드류를 중심으로 감귤 추출물이 활성산소종 제거와 관련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이나 항산화 및 항균제로 이용 가능한지를 평가했다. DPPH와 ABTS를 이용한 TEAC값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감귤추출물은 자몽종자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활성산소종 제거 효과의 경우 superoxide anion radicals (O•2- ), hydroxyl radicals (OH•), hydrogen peroxide (H2O2), singled oxygen (1O2) 그리고 Hypochlorous acid (HOCl)에 대한 제거효과를 PMS-NADH method, Deoxyribose method, Guaiacol assay, Chlorination of taurine method로 평가하였다. 추출물은 superoxide anion radicals, hydroxyl radicals, Hypochlorous acid에 있어서 높은 소거 효과를 보유하고 있었다. 유지에 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제 얼마나 항산화 효과가 있는지를 측정해본 결과 추출물은 과사화물의 생성과 산가의 증가를 억제하였다.항균 실험에서는 디스크 확산 실험과 생육저해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L. monocytogenes, B. cereus, S. aureus, Micro. flavus, E. coli O157:H7, Sal typhi, Sal. entritidis, V. parahaemolyticus, and Shigella flexneri의 9개 식중독 균을 이용한 실험에서 추출물중 ethanol 추출물의 경우 활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Hep-G2와 WST-1을 이용한 간세포 독성 실험을 통하여 추출물의 경우 자몽종자 추출물과 달리 간세포독성이 없었다.Ethanol와 열수 추출을 통한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Citrus junos는 naringin과 neohesperidin, Citrus unshiu는 narirutin과 hesperidin이 주 성분이었다. 열수 추출물의 경우 펙틴이 추출물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여러 감귤내 성분의 개별 항산화 활성은 quercetin, rutin, NHDC의 활성이 비타민C의 활성과 비슷하였으며, 배당체의 항산화 활성이 낮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활성산소종 제거 효과는 NHDC, quercetin, rutin이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C와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며 hydroxyl radical, superoxide radical 의 경우 펙틴의 활성도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리모노이드류의 경우 활성이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낮았다. 항균활성의 경우 naringenin, hesperitin, quercetin, rutin등의 물질이 다른 물질에 비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다른 성분들의 개별활성은 높지 않았다.결국, 감귤 추출물은 항균 및 항산화제로 사용 가능하며, 더 나아가 감귤내의 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사용 가능하다. 이 연구는 감귤이용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 췌장염 병인론에서 선세포 cytokine 발현에 대한 활성산소와 NF-κB의 역할

        유지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활성산소는 NF-κB를 활성화시키며, cerulein으로 유도된 급성 췌장염의 초기 단계에서 NF-κB 활성화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나아가 NF-κB가 활성화되면 췌장염의 병인에 관여하는 염증성 cytokine 유전자 발현이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쥐에서 분리한 췌장 선세포를 이용하여 cerulein에 의해 활성산소 및 지질과산화물 생성이 증가하고, NF-κB 활성화 및 cytokine(IL-1β, IL-6) 발현이 유도되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그 상관관계를 규명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췌장 선세포에서 cerulein은 활성산소 및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NF-κB가 활성화되었다. 또한 cerulein처치에 의하여 IL-1β 및 IL-6 mRNA와 단백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IL-1β 및 IL-6의 발현 증가는 항산화제인 GSH, SOD, catalase 그리고 NF-κB 활성화의 억제제인 PDTC의 전처치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췌장 선세포에서 cerulein 에 의하여 증가하는 활성산소 및 NF-κB 활성에 의하여 친염증성 cytokine의 발현 증가가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gulator in the pathogenesis and development of pancreatitis and as an activator of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κB (NF-κB) regulating inflammatory cytokine gene expression. NF-κB activation was demonstrated in cerulein pancreatitis which rapidly induces an acute, edematous form of pancreatitis.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cerulein induces ROS generation, production of lipid peroxide (LPO), NF-κB activation and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L-1β, IL-6) in pancreatic acinar cells, and whether these alterations are inhibited by antioxidants and an inhibitor of NF-κB activation. As a result, cerulein generated ROS and increased LPO production in acinar cells. It resulted in NF-κB activation and induction of cytokine gene expression in acinar cells. Cerulein-induced NF-κB activation was in parallel with IκB-α degradation. Both antioxidants(GSH, SOD, catalase) and NF-κB inhibitor(PDTC) inhibited cerulein-induced, oxidant-mediated alterations in acinar cells. In conclusion, ROS, generated by cerulein activates NF-κB, resulting in upregul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gene expression in acinar cells. Inhibition of NF-κB by scavenging ROS might allevi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pancreatic acinar cells by suppressing cytokine gene expression.

      • 활성화된 근린 소규모 전통시장 도시·공간 특성 연구

        박하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통시장은 오랫동안 근린의 소매유통을 담당하면서 상업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해왔으며 주거 생활에 있어서도 사회·문화적 활동과 정보 교류의 장의 기능을 담당해왔다. 현대 사회가 소비사회로 사회 구조가 변화하고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 변함에 따라 전통시장은 쇠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비사회로의 전환과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쇠퇴하고 있는 근린 소규모 전통시장 가운데 활발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여전히 근린의 상업의 중심지이자 주거 생활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근린 소규모 전통시장의 활성화 요인을 물리적 환경의 도시·공간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관악구 내의 근린 소규모 전통시장 18개이다. 연구방법은 우선 시장경영진흥원의 활성화 수준 분석과 유동인구 조사를 통해서 활성화된 시장과 침체된 시장으로 시장의 활성화 수준을 분류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 활성화 수준에 따라 분류된 시장의 도시·공간 특성 검토 항목을 추출한다. 전통시장의 시장 공간 구조를 1) 건물형 2) 가로형 3) 혼합형으로 나누어 지역 및 상업 환경, 네트워크 환경과 같은 도시 맥락에서 조사 분석하고, 가로(통로)공간, 건축 특성과 같은 공간 맥락에서 전통시장의 특성을 고찰한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활성화된 시장일수록 가로형의 공간 구조를 가지고 있고, 침체된 시장일수록 건물형 시장이 많다는 점이다. 둘째 지역 및 상업 환경에서 활성화 된 전통시장의 특징은 중규모 슈퍼와 시장의 개별 점포들이 경쟁 관계를 가지기 보다는 서로 다른 상품을 판매하고, 다른 판매 전략을 펼침으로써 상호 보완관계를 가진다는 점이다. 셋째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는 활발한 시장의 가로가 지하철과 배후주거지를 연결하는 최적의 가로에 위치해 있으며 동네 교통망인 마을버스와도 연계될 수 있는 위치에 입지해 있어 보행 네트워크가 활발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넷째 가로 및 통로 환경은 내부 점포와 내부 구성 요소들에 의해서 차이가 나는데 활발한 시장은 점포들이 외부 지향적인 진열대와 판매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침체된 시장은 내부지향적인 상업 시설이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건축 특성으로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아케이드와 같은 시장가로의 환경을 내부화시키는 방법의 시설 개선이 시장을 활성화 시키는데 큰 영향이 없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활성화된 근린 소규모 전통시장의 도시·공간 특성은 실제 근린 생활권에서 이용되는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이나 개선 방안을 수립할 때에 고려 할 수 있는 특성들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시장의 도시·공간 특성을 현장 관찰이나 문헌고찰을 통해서 정성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시장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알아내지 못한 점이다.

      • 왕호장으로부터 除草活性物質 탐색 및 동정

        김덕환 慶熙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활성이 강한 allelopathic chemicals를 함유하고 있는 약용작물을 선발하여 농경지에서 잡초의 생육을 억제하여 작물이 잡초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실용적 의미를 가지는 물질을 추적, 분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잡초와 약용식물의 추출물로부터 상추종자를 통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왕호장은 70%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발아종자가 모두 사멸하였다. 비록 발아율은 높았으나, 발아 이후 모두 사멸하여 특히 제초활성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였으며, 또한 왕호장은 매우 왕성한 영양생장을 보이는 식물로 시료의 채취가 용이하고 제초활성이 확인되는 경우 실용화에 유리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왕호장(Reynoutria sachalinensis) 건물중을 MeOH 80%로 추출하여 이를 생물검정한 결과 12%의 낮은 발아와 생육 후 모두 사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극성별로 분획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활성이 있었다. 제초기능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3번에 걸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1번의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제초활성이 높은 RSE 3-3-5를 얻었다. 제초활성이 높았던 RSE 3-3-5는 acetyl ation후 분리하여 RSE 3-3-5-2를 얻었고, RSE 3-3-5-2는 aldehyde와 oxygenated methine 및 methyl기를 가진 phenol compound로 사료된다. Allelopathy chemicals, secondary plant metabolites which released from plants into environment and nourish or poison other organism, are widely studied for the potential use for safer and environment friendly weed control. In this research, herbicidal activities of several medicinal plants were evaluated with methanol extracts, and the potent Reynoutria. sachalinensis were chosen further studies. When the methanol extracts of Reynoutria. sachalinensis were separated to 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fractions of different polarities, ethyl acetate fraction exhibited herbicidal potential in lettuce germination growth tests.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further separated and tested for herbicidal activities with column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biologically active RSE 3-3-5 indicated that the chemical be a phenol compound but was still impure for identification. After acetylation, RSE 3-3-5-1 could be separated to RSE 3-3-5-1 and RSE 3-3-5-2. RSE 3-3-5-1 could be identified as β-sitosterol, but RSE 3-3-5-2, the major herbicidal compound, is still under investigation.

      • 활성탄소섬유 복합체의 제조 및 물성에 관한 연구

        이덕용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탄화된 PAN 섬유, 페놀수지, 세라믹 결합제를 혼합하여 탄소섬유-세라믹복합체를 제조한 후 활성화시켜 PAN 섬유의 탄화온도에 따른 활성탄소섬유-세라믹복합체의 비표면적과 굽힘 강도변화를 연구하였다. 안정화 PAN 섬유를 800℃와 1000℃에서 각각 탄화시켜 얻은 두 종류의 탄소섬유를 복합체 제작시편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탄소섬유-세라믹복합체를 10~90분간 CO_(2)로 850℃에서 활성화시켜 얻은 두 종류의 활성복합체에 대한 물성 측정결과, 800℃로 PAN 섬유를 탄화시켜 만든 활성복합체의 burn-off이 37% 에서 76%로 증가될 때 비표면적은 493㎡/g에서 1090㎡/g으로 증가하였으며, 굽힘강도는 4.5MPa에서 1.4MPa로 감소하였다. 이 값들은 안정화 PAN 섬유의 탄화온도를 1000℃로하여 만든 활성복합체 시편이 나타내는 값보다 약 2배 정도 큰 값이었다. 비표면적, 굽힘강도 측정결과와 미세조직 관찰결과, PAN 섬유의 탄화온도가 활성복합체의 비표면적과 굽힘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활성화시 탄소섬유와 페놀수지탄화체 또는 세라믹필름간에 발생되는 결합력과 상대적인 수축율에 의해 결정되는 활성복합체의 구조특성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e PAN(Polyacrylonitrile) based carbon fiber-ceramic composites(CFCC) were prepared from mixtures of short carbon fibers, phenolic resin and ceramic binder. The effects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a precursor fiber, the stabilized PAN fiber, on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 bending strength of the activated CFCC were studied in this work. The precursor fiber was carbonized at 800℃ and 1000℃, respectively. The CFCC were activated at 850℃ in carbon dioxide for 10~90 minutes. As the burn-off of the activated CFCC of which precursor fiber was carbonized at 800℃ was increased from 37% to 76%, the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d from 493㎡/g to 1090㎡/g, and the bending strength decreased from 4.5MPa to 1.4MPa. These values were about two times larger than those of the activated CFCC of which precursor fiber was carbonized at 1000℃. The effects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a precursor fiber on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bending strength of the activated CCFC were explained by bonding force between carbon fiber and carbonized phenolic resin as well as by relative shrinkage between carbon fiber and ceramic film.

      • カゴノキ材の殺蟻活性成分に關する硏究

        강하영 愛媛大學 1993 해외박사

        RANK : 247807

        근년, 지구규모의 환경오염이 쟁점화되고 있는 가운데,목재보존기술도 커다란전환기를 맞고 있 다. 즉,저독성이면서 환경에 부하를 주지 않는 약제의 개발이중요시되어, 천연의 고내구성물질에기대가 한층 커진것 또한 사실이다. 본논문에서는 흰개미시험법 그 자체가 안고 있는 기본적인 므挽灼求�것을주목적으로 하였다. 그 과정에서 살의활성을 구하는 새로운 정량방법을 고안하여종법에 대한 자리매김을 함과 동시에, 육박나무재를 이용하여 실제로 살의활성성분의 검색에 유효품痼�입증했다 구체적으로는,우선 36수종의 목분에의한 스크리닝시험에서 육박나무를 선발했다 응�살의 활성은심·변재, 대소경재의 구분없이 강력하나, 새로 정의한 살의 활성치에 의해 검토품냉섟?〈�5~16배의 활성의 차이가 존재하고,변재의 외측부터 심재의내측으로 갈 수록 활성이 �그 활성의 크기는 편백보다 작지만대만편백,후피향나무보다 1. 5-2배 높았다. 그러나, 육박나무읔喪銹뭔極【�쪘갸봬“�작게 계산되어, 추출잔사의 활성소실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했댜. 육박나살의활성은 Me 애추출물을 거쳐 그 석유ether 가용부에이행하며,이것을 다시 silicagel column으하면, nhexane획분에 집중했다. 그러나,여과지함침법에 의해 살의활성치를 구하면, 약 60~90%의 활÷适ㅅ퓸駭� 그 원인을 검토한 결과,활성성분의 휘발성이 중요한 인자로부각되었으므로, 계면횻럭′求�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검토했다. 그결과, 각 획분은 원목분의 활성을 거의 완전하게 고 있다는 것이밝혀졌으며, 그것을 정제하여 얻은 활성획분에서는 원목분활성의 약 80%가설명되안뭔隙�전건목분수율 1. 15%인 무색의 유상물질로서,기기분석 결과sesquirosefuran으로 동정했다. ,이 sesquirosefuran이 육박나무재살의활성의 본체이며, 흰개미에 대해서는 주로 기피성을 갖는으로 작용하는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glob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the NPT regime), based on the NPT, the IAEA, the UN, and the NSG, tends to rely on the supply-side strategic options such as export controls, diversion controls, and punitive sanctions. However, in spite of its remarkable achievements, the NPT regime reveals its limitations in hal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is situation, the demand-side strategy, based on the strategic bargaining for reducing the aspirations of a proliferator for nuclear weapons,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 North Korean case of nuclear proliferation (from mid 199 1 to December 1995) is an exemplary one which showed the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y. As the NPT regime failed to fully dissuade North Korea from going nuclear, the U.S. and South Korea stroke several bargaining deals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tried to protect or promote its national interests by using its nuclear proliferation option as bargaining leverage. Meanwhile, the U.S. and South Korea adopted diverse strategic options which could affect the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of North Korea for nuclear weapons.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as bargaining parties fac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which they had to cope with in order to enhance the procedural or substantive rationality of their strategic choices. In the strategic bargaining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dispute,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uncertainty ignoring, uncertainty reduction, uncertainty accommodation, and uncertainty overlooking) influenced the strategic choices of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 S.(conceding strategy, demanding strategy, and compromising strategy). Moreover,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also affected the bargaining outputs (conflict, cooperation, and capitulation) by influencing the combination of strategic choices of bargaining parties. Uncertainty as a critical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ynamicity of the strategic nuclear bargaining.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ree dimensions. In theoretical ter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managerial approach to uncertainty which is newly emerging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analytic approach to uncertainty. In practical terms, this research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nuclear incentives, bargaining strategies, and bargaining tactics of North Korea as a nuclear proliferator. In policy terms, this research shows the weaknesses of the supply-side options of the NPT regime, especially the IAEA nuclear inspections and the UN sanctions. Meanwhile, this research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ic options which can be selected within or beyond the NPT regime. Index Words: Analytic approach, Conflict, Cooperation, Diversion controls, Export controls, IAEA, Managerial approach, NPT, NPT regime, North Korea, Nuclear Incentives,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proliferation, Punitive sanctions, Strategic choice, Supply-side strategy, UN, UN Sanctions, Uncertainty, Uncertainty management,

      • Synthesis of caryoynencins and related polyynes possessing antimicrobial activity

        박현주 Tohoku University 1997 해외박사

        RANK : 247807

        아세틸렌 결합이 공역된 polyyne 화합물이 미생물과 식물의 생산물로서 존재하여, 강한 생리활성을 나타냄이 비교적 오래전부터 알려졌다. 예를 들어 mycomycin은 항균활성의 공역 diyne 화합물이다. 또한 세이다카아와다치소우는 다른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므로 methyl (Z)-2-decen-4,6-ynoate를 생산한다. 그러나 이 특이한 구조의 분자가 어떻게 해서 활성발현 하는가? 또는 활성과 분자구조의 관계는 어떻게 되어 있나? 등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 이유로는 1) polyyne 화합물 특히 활성이 강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말단 아세틸렌 부분을 갖는 polyyne 화합물은 불안정한 점 2) polyyne 화합물이 미량밖에 얻어지지 않는 점 3) 적당한 합성 방법들이 없는 점 등이다. 카리오이넨신은 식물병원균 Pseudomonas caryoyphylli로부터 단리되었다. 카리오이넨신은 gram 양성균 및 gram 음성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구조적으로는 말단 tetrayne과 diyne 부분을 갖는 6-hydroxy octadecanoic acid이다. 또한 diyne 부분은 주로 (7E, 9E)-form과 (7E, 9Z)-form의 평행 혼합물로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와 같은 화합물에 대하여 이하의 흥미점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① 말단의 공역 tetrayne 구조를 갖는 천연물은 아주 드물고 이 특이한 분자구조는 challenge 해 볼만한 합성 표적이다. ②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구조와 활성의 관계에 흥미롭다. ③ L-660,631은 진균에 대하여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데, 세균에는 그다지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카리오이넨신은 진균에 대해서의 활성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세균에 대해서는 강한 활성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말단 polyyne 화합물이 polyyne 주위의 구조에 의해 활성이 변하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본 연구에서는 1) 불안정한 polyyne 항생물질 카리오이넨신(Caryoynencins)의 최초의 전합성(total synthesis)에 성공하였다. 2) 20여종류의 Caryoynencins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polyyne 화합물의 acetylene 부분의 ^13C-NMR chemical shift에 대한 규칙성이 있음을 NMR(¹H, ^13C, C-H COSY, COLOC, gated decouplar, DEPT) 기법에 의해 밝혔다. 3) Caryoynencins은 gram 양성균, gram 음성균외에 진균류에 대하여도 강한 활성이 있음을 확실히 하였다. 또한 관련물질의 항균성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아세틸렌 결합이 4개 공역되어 있는 것이 강한 활성발현에 필요함등을 알게 되었다.

      • 活性세라믹을 利用한 下水處理 效率에 관한 硏究

        김광수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새로운 세라믹 담체의 연구를 위해 초기단계로 혼합 광물을 담체로 이용하여 기초자료를 얻었고, 이것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세라믹 담체 제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공동연구자들로부터 미생물 활성용 세라믹 담체를 공급받아 현재 생물 막 재료로 많이 사용하고있는 Saran과의 제거효율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 다음단계로 실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합병정화조 실험 장치에 미생물 활성용 담체인 세라믹 담체를 이용하여 부착성 미생물 및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운전하여 하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인공폐수를 사용한 4개 반응조(두 종류의 다른 담체를 각각 사용한 무산소-호기공법, 담체를 넣지않은 무산소-호기공법, 활성슬러지 공법)를 운전하여 나타난 유기물 제거효율에서는, 초기미생물농도를 저농도로 설정하여 MLSS의 농도를 1100㎎/L로 하고, MLVSS의 분율을 70%로 조정하여 운전한 경우에는 담체의 유무에 상관없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초기 미생물농도를 고농도로 설정하여 MLSS의 농도를 4300㎎/L로 하고, MLVSS의 분율은 80%인 고농도 분율로 운전한 경우에 있어서는 담체 없이는 운전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Saran담체(99.5%)와 혼합광물을 담체(94.5%)로 사용한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총 질소제거효율을 보면 활성슬러지 공법에서 13.1%, 담체를 넣지 않은 무산소-호기공법에서는 54.0%, 두종류의 다른 담체를 넣은 무산소-호기공법에서는 Saran 57.6%와 혼합광물56.2%를 나타내어 두 종류의 다른 담체 사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총 인의 제거효율을 보면 활성슬러지 공법에서는 5.5%로서 거의 효과가 없는 반면에 무산소-호기공법에서는 27.9%를 나타내 활성슬러지 공법보다는 5배정도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고, 4개 반응조 중에서는 활성 세라믹담체가 37.0%로서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Saran과 혼합 광물 담체의 제거효율 비교에서는 유기물 및 질소의 제거효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인 제거효율은 월등히 우수하므로 새로운 담체의 원료로서의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ran과 처리효율을 비교한 실험결과를 보면 BOD제거효율은 활성세라믹이 Saran보다 5ppm정도 좋게 나타났으며, T-P의 제거효율도 활성세라믹이 Saran보다 1ppm 정도로 제거효율이 높았다. 본 실험결과에서 Saran에 비해 활성세라믹이 제거효율이 좋게 나타난 것은 Saran은 부착성 미생물만을 이용하는 반면에 활성세라믹은 미생물들에게 무기 영양 원소를 공급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조절도 가능하여 미생물들을 활성화 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합병정화조 실험장치에 의한 현장에 적용시킨 실험결과를 보면 COD, BOD의 방류수는 10ppm 전후로 나타났고, 총질소(T-N)는 60-70%정도까지 제거시킴으로 인해, 외부에서 환원제인 유기물질을 첨가하지 않고도 탈질을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총 인(T-P)은 80%이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어 생물학적인 처리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r the research of new ceramic media, attempts to gain the basic data by using mixed ore of early stage as media, to supply coworkers with data required to produce new ceramic media, to receive ceramic media for the composition of microorganism from them on the basis of these data, to make sure the possibility of removing nitrogen through the comparative experiment of removing efficiency with Saran used now as the materials of biofilm,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ing wastewater so that the activities of adhesive microorganism and soil microorganism can be improved using ceramic media, media for the activation of microorganism in the experiment of amalgamated septic tank in order to see if i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system. As for the efficiency of removing organic substance shown through the operation of four reaction tanks (anaerobic-aerobic methods using 'two kinds of different media respectively, anaerobic-aerobic method without media, and activated sludge method) with artificial wastewater, it can be seen that it doesn't have a great influence regardless of media for low concentration. Moreover, as for the efficiency of removing nitrogen totally,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13.1% in activated sludge method and 54.0% in anaerobic-aerobic method without two kinds of different. media, while it shows 57.6% and 56.2% respectively in anaerobic-aerobic method with two kinds of different media. This mean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kinds of different media. As for the efficiency of removing phosphorus totally,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5.5%, little effect in activated sludge method, while it shows 27.9% in anaerobic-aerobic method, signifying five times higher than activated sludge method. Additionally, it shows 37.0%, the highest efficiency in activated ceramic media among 4 reaction tanks. As a result of comparative experiment of removing efficiency with Saran, activated ceramic shows 5ppm better than Saran in the efficiency of removing BOD and lppm higher than Saran in the efficiency of removing T-P. Moreover, as a result of experiment to apply to actual site by amalgamated septic tank, it can be confirmed that discharging water of COD and BOD shows around l0ppm and denitrification is possible without additing organic substance, reducing agent by removing 60-70% of T-N. In addition, T-P represents higher than 80% of removing efficiency, signifying the possibility of biological treatment. Therefore,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is study is applicable to the actual system.

      • 유산균이 생산하는 보체계 활성화 물질의 특성

        김장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과 공시 유산균주들을 대상으로 보체 용혈 분석법을 이용하여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 활성화(항보체 활성, TCH_(50)) 정도를 검토하였다. 총 12종의 유산균의 세포질획분을 대상으로 활성을 측정한 결과 L. plantarum, L. delbrueckii KCTC 1047, L. plantarum KFRI 464, L. casei KCTC 3109 및 L. acidophillus IFO 3025의 유산균에서 대조구에 비해 70% 이상의 TCH_(50)의 감소를 일으키는 비교적 강력한 항보체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L. delbrueckii KCTC 1047과 L. plantarum의 세포질획분은 타 유산균종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균주로부터 조제된 세포벽획분의 경우 세포질획분 보다도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별로 세포벽획분을 조제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L. delbrueckii KCTC 1047과 L. plantarum의 세포질획분 중의 저분자와 고분자 물질을 나누어 활성을 비교한 결과로부터 고분자 물질이 항보체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L. plantarum의 세포질획분과 세포벽획분의 경우 pronase 소화 후에는 활성의 변화가 없는 반면 과요오드산 산화에 의해서는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L. plantarum에 의한 보체계 활성화는 단백질 부위가 아니라 다당 부위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L. plantarum의 세포질 및 세포벽획분을 Ca^(++) 이온을 제거한 상태에서 각각 정상인의 혈청과 반응시킨 후, anti-human C3 serum을 이용한 면역전기영동을 행한 결과 C3의 분해 산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L. plantarum의 세포벽획분에 의한 항보체 활성은 Ca^(++) 이온 부재 조건에서 활성을 유지한 반면 세포질획분에 의한 활성화 정도는 동일 조건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plantarum 세포벽획분의 보체계 활성화 양식은 주로 alternative pathway의 활성화에 의한 것이며, 세포질획분에 의한 활성화 양식은 classical pathway 뿐만 아니라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Sever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fermented dairy products were examined for their ability to activate the complement system by hemolytic complement assay(TCH_(50)). Among 12 kinds of the cytosol fractions from lactic acid bacteria, 5 kinds such as L. plantarum, L. delbrueckii KCTC 1047, L. plantarum KFRI 464, L. casei KCTC 3109 and L. acidophillus IFO 3025 showed relatively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which decreased TCH_(50) more than 70% in comparison with control. Especially, the cytosol fractions from L. delbrueckii KCTC 1047 and L. plantarum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ose of other bacterial strains.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the cell wall fractions prepared from these species was more potent than that of the cytosol fractions and a dose dependant effect was gained, when the cell wall fractions were tested for the activity in various concentrations. From the results of activity comparison between low and high molecular weight (M.W.) substances, high M.W. substances in cytosol fractions were turned out to possess the activity. The activities by the cytosol and the cell wall fraction from L. plantarum were relatively resistant to digestion with pronase but sharply decreased by treatment of NaIO_4.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the complement activation by L. plantarum is due to polysaccharide moiety, not to protein moiety. When the immunoelectrophoresis using anti-human C3 serum was carried out after incubation of the normal human serum with the cytosol and the cell wall fraction of L. plantarum in Ca^(++) free condition, a cleavage of C3 precipitation line was observed. Also, the activity of the cell wall fraction was retained in the absence of the Ca^(++) ion, whereas that of the cytosol fraction was reduced considerably in the same condition. From these results, it is inferred that the mode of complement activation by the cell wall fraction from L. plantarum is mainly via the alternative pathway and that of the cytosol fraction is via the alternative pathyway as well as the classical path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